• 제목/요약/키워드: R&D Support Policy

검색결과 325건 처리시간 0.022초

정부 R&D 지원이 민간 R&D 투자에 미치는 영향: 혁신성장동력 정책을 중심으로 (The Effects of Government R&D Support on Private R&D Investment: Evidence from Innovative Growth Engine Policies)

  • 구본진;이종선
    • 아태비즈니스연구
    • /
    • 제12권3호
    • /
    • pp.281-294
    • /
    • 2021
  •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verifying the policy effects by field of innovative growth engines, focusing on the discuss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government support and corporate R&D activities (substitute/complementary goods), and based on the results, policy recommendations for promoting private R&D were carried out. Design/methodology/approach - Through literature research, academic/theoretical discussions about relationship between government support and corporate R&D activities were synthesized. Next, survey data were collected for companies engaged in the field of innovative growth engines and empirical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government support and R&D activities in 13 major sectors. Findings -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all companies regardless of sector, government R&D subsidies had a positive (+) relationship with R&D activities of companies engaged in innovative growth engines, that is, a complementary relationship. Next, as a result of performing empirical analysis by dividing the 13 fields, it was found that 9 fields were complementary goods in which government support had a positive (+) effect on the R&D activities of companies. On the other hand, in the remaining four fields, the effect of government support on corporate R&D activitie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earch implications or Originality - In order to promote R&D activities of companies in the 9 fields where government support acts as a complementary product,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policies centered on direct government support. On the other hand, it would be more desirable to seek indirect support rather than direct support in the 4 fields where government support did not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corporate R&D activities.

R&D 조세 지원 정책과 기업 혁신활동 간의 관계 연구: 국가전략기술 R&D 기업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R&D tax support policy and corporate innovation activities: Focus on national strategic technology R&D companies)

  • 구본진;이종선
    • 아태비즈니스연구
    • /
    • 제14권4호
    • /
    • pp.191-204
    • /
    • 2023
  •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se the relationship between R&D tax support policy and firm innovation activity using data on firms engaged in 12 national strategic technology sectors. Design/methodology/approach - This study collected survey data from 664 companies engaged in national strategic technologies. The data were then analysed using the Propensity Score Matching (PSM) analysis. Findings - First, corporate R&D tax support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 relationship with firm innovation performance. Second,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 relationship with incremental innovation, but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with radical innovation. Third,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 relationship with the firm's first innovation, but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with the world's first innovation. Fourth,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 relationship with the number of R&D projects of a firm. Finally,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 relationship with a firm's open innovation. Research implications or Originality - First, in terms of policy effectiveness, the government needs to consider promoting R&D tax support policies in areas where R&D competition is fierce. For private companies engaged in the 12 national strategic technology fields, the R&D tax support policy is working in the direction of promoting corporate innovation activities, and this positive policy effect is likely to be effective in areas where R&D competition is fierce. Second, if the government wants to improve the quality of corporate innovation activities through R&D tax support policies, it needs to provide incentives higher than the current level.

R&D 자원, R&D 협력, 정책지원 및 운영성과의 구조적 관계에 대한 연구 -국내 보건산업 클러스터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R&D Resources, R&D Collaboration, Policy Support, and Operational Performance - Focusing on Korean Health Industry Clusters -)

  • 강석민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38권2호
    • /
    • pp.225-240
    • /
    • 2019
  • 보건산업 관련 클러스터는 거시적으로 국가경제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미시적으로 개별기업의 성장 및 발전에 기여할 수 있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서, 국내의 보건산업 클러스터들은 광교, 대덕, 원주, 송도를 중심으로 높은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원동력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서 형성되어 왔다. 본 연구는 지식을 기반으로 고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광교, 대덕, 원주, 송도 지역의 보건산업 클러스터에 위치한 156개의 기업들을 대상으로, R&D 자원, 정책지원, 외부 R&D 협력이 어떠한 구조적 관계를 형성하여 기업의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실증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R&D 자원이 운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가설을 제외한 모든 가설들이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R&D 자원이 정책지원과 R&D 협력에 각각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책지원과 R&D 협력이 운영성과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도 도출되었고, 정책지원이 R&D 협력에 미치는 긍정적이며 유의적인 영향도 발견되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기업의 운영성과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보건산업 관련 클러스터내에 존재하는 기업들에게 정책지원과 R&D 협력은 중요한 요소로서 인식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본 연구는 국가경제의 발전을 도모할 수 있는 보건산업과 관련한 기업들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바이오의약품산업 육성 정책 우선순위 도출에 관한 연구 : 경기도 정책과제의 IPA 분석을 중심으로 (A Study on Prioritization of Biopharmaceutical Industry Promotion Policy: Focusing on IPA analysis of Gyeonggi-do policy tasks)

  • 강지민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20권1호
    • /
    • pp.47-54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바이오의약품산업 육성을 위한 정책의 우선순위를 도출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경기도 바이오의약품산업 육성 정책의 시급성과 중요도에 대해 조사하고, IPA 분석을 통해 바이오의약품산업 정책의 우선순위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바이오의약품산업 육성 정책의 최우선지원과제는 '연구개발 지원', '전문인력 양성', '사업화 지원'으로 나타났다. 바이오의약품분야별 정책우선순위 도출 결과 '연구개발 지원'과 '전문인력 양성'은 공통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세포치료제, 첨단바이오융복합제제 등 산업분야별 정책 우선순위의 차이를 확인하였다. 또한, 정책수요는 R&D 자금지원, 임상시험 지원, 사업화 자금지원 등이 높게 나타났다. 본 결과를 바탕으로 정부의 바이오의약품산업 육성 정책은 '연구개발 지원'과 '전문인력 양성' 중심으로 지원하고 각 산업분야별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지원이 필요하다는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중소기업 R&D 정보 지원과 성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 ICT 기업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R&D information support programs and SME Performances: with focus on ICT SMEs)

  • 전승표
    • 한국기술혁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기술혁신학회 2015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847-866
    • /
    • 2015
  • 최근 우리나라는 글로벌 경제 침체 극복하고 침체된 경제를 활성화시키기 위해서 중소기업의 혁신역량을 강화시킬 수 있는 다양한 정책을 진행해 왔다. 이 연구는 ICT 기술 기업이라는 관점에서 이러한 정부의 노력 중에서 R&D 정보 지원 사업이 가진 가능성과 한계를 실증적으로 연구해서 증거기반의 정책이 가능하도록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 연구에서는 2014년 중소기업 기술통계조사 결과를 활용해서 정부의 R&D 정보 지원 정책이 중소기업의 기술적 또는 경제적 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분석했다. 이 연구의 결과에 따르면 중소기업에 제공된 R&D 지원 사업(R&D 기획 지원 및 기술정보 제공)은 기술투자에 유의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R&D 정보 지원 사업은 기술적 또는 경제적 성과와 직접적으로 유의한 관계는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 다만, R&D 기획 지원 사업은 기업이 ICT 분야를 연구하는 경우 기술적 성과에 유의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났다. 이 연구의 결과는 ICT를 포함한 기술 중심의 중소기업을 지원하는 정책을 구상하는 정책입안자에게 다양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으며, 특히 중소기업에게 정보를 지원하는 기업이나 연구자에게 여러 가지 정책적 가이드를 제공해 줄 것으로 기대한다.

  • PDF

직접지원 vs 간접지원: 중소기업 R&D투자 촉진을 위한 정책조합 모색 (Direct Support vs. Indirect Support : Exploration of Policy Mix for R&D Investment o f SMEs)

  • 김주일
    • 기술혁신연구
    • /
    • 제27권1호
    • /
    • pp.1-43
    • /
    • 2019
  • 본격적인 뉴노멀(New Normal) 시대에 접어들면서 중소기업의 중요성은 더욱 강조되는 추세이다. 우리나라도 경제성장과 일자리 창출을 위하여 중소기업 지원을 강화하고 있으며, 특히 R&D투자와 기술혁신을 촉진하기 위하여 국가연구개발사업과 조세지원제도를 확충하는 등 다양한 정책수단을 강구하고 있다. 하지만 중소기업의 R&D투자를 유인하기 위한 직 간접지원의 효용성에 대해서는 연구자마다 의견이 엇갈리고 있으며, 두 정책수단 간 최적의 조합을 모색하려는 논의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중소기업 정책의 주무부처가 격상되었고, 중소기업을 지원하는 정부 R&D투자의 규모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현 시점이 직 간접지원의 정책조합을 비롯한 중장기적 방향성에 대하여 논의할 적기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는 그간 국내 학계에서 발표되었던 유관 연구 32건을 취합하여 체계적 문헌고찰과 메타분석을 시도하였다. 이러한 작업은 단순히 정부의 정책지원이 중소기업의 자체 R&D투자를 유인하는지 검증하는 수준을 넘어, 그간의 관련 논쟁을 종합하고 실증적으로 정리한다는 의의도 있다. 본 연구의 메타분석 결과, 대기업은 조세지원 위주로, 중소기업은 보조금 위주로 지원하는 것이 효과적이었다. 하지만 현재 우리나라의 중소기업 R&D지원은 직접지원에 대한 비중이 과도하게 높아서 간접지원 비중을 점진적으로 늘릴 필요성이 제기된다.

혁신형 중소기업을 위한 기술지원정책 연구 (A Study of Technical Support Policy for Innovative SMEs)

  • 박문수;이호형
    • 통상정보연구
    • /
    • 제14권1호
    • /
    • pp.197-218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중소기업 R&D 투자 지체와 정부지원 보완이라는 문제의식에 기인하여 중소기업 기술지원정책과 기술경쟁력과의 관계를 실증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를 종합하면, 다음과 같이 두 가지의 결과를 도출할 수 있다. 첫째, 중소기업 기술경쟁력에 영향을 주는 기술지원정책은 기술 자금세제지원, 기술인프라지원 등 직접적인 R&D 지원정책이 기술경쟁력에 높은 영향을 나타냈으며, 기업특성에 따라 1차협력기업 5~49인(소규모 기업) 제조업의 특성을 가진 혁신형 중소기업이 기술지원정책과 기술 경쟁력간 긍정적 영향 관계가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결국 정책자금, 투자유치, 대출 확대 등으로 기술자금지원을 늘려야 하며 그 가운데서도 고성장 혁신형 중소기업 육성을 위한 전략적 R&D 자원배분과 연구인력지원 강화가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점으로 제시하였다.

  • PDF

The Impact of Government Innovation Subsidies on the Survival of SMEs in Korea

  • Kim, Sangsin
    • STI Policy Review
    • /
    • 제9권1호
    • /
    • pp.55-76
    • /
    • 2018
  •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 of the government R&D subsidy program on long-term firm survival. In order to estimate the average treatment effect for the treated group, we used the survival analysis and matching method by constituting a comprehensive dataset of more than 90,000 observations. The analysis results show that the government R&D subsidy has a negative impact on long-term firm survival. In particular, not only the subsidy does not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firm survival in the relatively short-term, the survival probability of the subsidized firms i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non-subsidized firms after six years. These results can be seen as weakening the justification of government R&D support. There may be problems in the subsidy policy itself and the process of selection of subsidy awardees; however, the more fundamental problem is that the subsidy policy is concluded as the one-time event. Admittedly, it would be difficult for the government to precisely manage the subsidized projects over a long term period. However, in the case of a project in which short-term performance is detected, it would be necessary to provide a step-by-step support to strengthen the firm's competitiveness through further support and continuous development of performance. Of course, mid- and long-term evaluations of subsidy support policy should be performed in parallel with such phased support.

중소기업 R&D 정보 지원과 성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 ICT 기업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R&D Information Support Programs and SME Performances: With Focus on ICT SMEs)

  • 전승표;성태응;서주환
    • 기술혁신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48-79
    • /
    • 2016
  • 최근 우리나라는 글로벌 경제의 침체를 극복하고 침체된 경제를 활성화시키기 위해서 중소기업의 혁신역량을 강화시킬 수 있는 다양한 정책을 진행해 왔다. 이 연구는 ICT 기술 기업이라는 관점에서 이러한 정부의 노력 중에서 R&D 정보 지원 사업이 가진 가능성과 한계를 실증적으로 연구해서 증거기반의 정책이 가능하도록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 연구에서는 2014년 중소기업 기술통계조사 결과를 활용해서 정부의 R&D 정보 지원 정책과 중소기업의 기술적 또는 경제적 성과가 어떤 관계가 있는지 분석했다. 이 연구의 결과에 따르면 중소기업에 제공된 R&D 지원 사업(R&D 기획 지원 및 기술정보 제공)은 기술투자에 유의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R&D 정보 지원 사업은 기술적 또는 경제적 성과와 직접적으로 유의한 관계는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 다만, R&D 기획 지원 사업은 기업이 ICT 분야를 연구하는 경우 기술적 성과에 유의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결과는 ICT를 포함한 기술 중심의 중소기업을 지원하는 정책을 구상하는 정책입안자에게 다양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으며, 특히 중소기업에게 정보를 지원하는 기업이나 연구자에게 여러 가지 정책적 가이드를 제공해 줄 것으로 기대한다.

프로세스모델링을 활용한 사회적기업 R&D지원정책의 논리모형 (A Study on the Logical Model of R&D Support Policy for Social Enterprise)

  • 경종수;이보형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4호
    • /
    • pp.259-266
    • /
    • 2021
  • 본 연구는 사회적기업의 경쟁력을 강화하는 방안으로 R&D활동 체계화와 지원정책의 논리모형을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사회적기업의 R&D수요조사 및 심층면접(FGI)을 토대로 R&D활동을 체계화하여 R&D정책의 논리모형을 도출하고자 한다. 사회적기업의 R&D활동은 일반기업과 비교해 초기단계이거나 체계성이 매우 미흡하다. 프로세스모델링 방법은 사회적기업의 R&D활동 세부요소를 표준화하는 방법으로 R&D지원정책의 논리성 확보에 활용될 수 있다. 연구결과 사회적기업들은 사회가치 증진을 위한 제품과 서비스의 경쟁력확보를 위해 R&D활동의 필요성과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으며, R&D경험 및 역량이 부족하기 때문에 R&D전문기관(R&D기획전문기관, 정부출연 연구기관, 대학 등)과 협력을 통한 R&D역량 개선을 기대하고 있다. 사회적기업 R&D활동의 성과지표는 심층면접(FGI)을 통하여 투입-과정-성과지표 단위로 도출하였고, R&D지원정책의 논리모형은 심층면접자료와 기존연구를 참고하여 사업정의, 주요고객, 비전체계, 사업전략, R&D활동요소, 성공요인 등의 영역으로 구분하여 도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