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26D Quality Assurance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22초

천연가스 분석의 불확도 평가 및 품질 보증을 위한 연구 (A study on quality assurance and evaluation of uncertainty for the analysis of natural gas)

  • 우진춘;김용두;배현길;이강진;허재영
    • 분석과학
    • /
    • 제19권6호
    • /
    • pp.490-497
    • /
    • 2006
  • 액화 천연가스(LNG) 공정 분석 결과의 불확도 요인을 평가하였다. 평가된 불확도 요인은 측정 반복성, 사용된 GC의 비 직선성, 사용된 표준가스의 불확도, 시료 채취 방법에 따른 농도 변화 그리고 교정 후의 기기 변동이었으며, 이 중에서 중요한 불확도 요인은 사용된 GC의 비 직선성, 사용된 표준가스의 불확도 그리고 교정 후의 기기 변동이었다. 주요 성분인 메탄 및 에탄의 경우, 각각 $90.0{\pm}0.9%mol/mol$(확장불확도, 95% 신뢰 수준) 및 $6.26{\pm}0.08%mol/mol$(확장불확도, 95% 신뢰 수준)이었다. 가스 성분원소별로 각 불확도 요소의 기여 정도는 차이가 있었고, 메탄 분석의 경우 사용된 GC의 비 직선성의 상대 표준불확도가 0.28%, 사용된 표준가스의 상대 표준불확도가 0.25%, 그리고 교정 후의 기기 변동에 의한 상대 표준불확도가 0.24%이었다.

$Fraxion^{(R)}$ System을 이용한 뇌 정위적 방사선 수술 유용성 평가 (Evaluation on Usefulness of Stereotactic Radio Surgery using $Fraxion^{(R)}$ System)

  • 김태원;박광우;하진숙;전미진;조윤진;김세준;김종대;신동봉
    • 대한방사선치료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345-354
    • /
    • 2014
  • 목 적 : $Fraxion^{(R)}$ system과 s-thermoplastic mask을 사용하여 뇌 전이(Brain metastasis)가 있는 환자에게 정위적 방사선 수술(Stereotactic Radiosurgery, SRS)을 시행하면서 발생 되는 환자의 셋업 오차(Setup Error)를 비교하고 오차가 선량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하여 $Fraxion^{(R)}$ system의 유용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2014년 5월부터 2014년 10월까지 본원에 내원하여 정위적 방사선 수술을 받은 뇌 전이(Brain metastasis) 환자 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머리를 고정하기 위해 3명은 s-thermoplastic mask와 mouthpiece를 이용한 그룹과 3명은 $Fraxion^{(R)}$ system을 이용하여 제작 한 2그룹으로 나눈 뒤 방사선 수술 당시 얻어진 3D 콘빔CT(Cone Beam Computerized Tomography, CBCT) 영상과 전산화 단층모의치료 영상의 오차 값을 기록하고 환자별 최대치(Max), 최소치(Min), 평균치(Mean), 표준편차(standard deviation, SD) 구하여 비교하였다. 또한 StereoPHAN Phantom 및 Pinpoint 3D cylindrical chamber를 이용하여 환자별 정도관리(Patient Specific Quality Assurance, PSQA)와 같은 방법으로 선량을 측정하여 선량값을 비교하였다. 결 과 : 정위적 방사선 수술 전 콘빔CT 영상과 전산화단층모의치료영상을 비교하여 얻어진 셋업 오차의 경우 $Fraxion^{(R)}$ system이 s-thermoplastic mask와 mouthpiece를 함께 사용한 경우보다 셋업 오차가 평균을 기준으로 X축 83% 감소, Y축 40% 감소, Z축 92% 감소하였으며 X, Y, Z 회전성분인 Pitch 64% 감소, Roll 88% 감소, Yaw 87% 감소로 모든 방향에서 상대적으로 이동 값이 적었으며 선량 측정을 시행한 결과는 평균을 기준으로 s-thermoplastic mask와 mouthpiece를 사용한 경우가 $Fraxion^{(R)}$ system보다 셋업 오차 보정 전은 83% 감소, 보정 후는 1.9% 감소된 선량측정을 보였다. 결 론 : $Fraxion^{(R)}$ system은 개인 치열(dentition)에 맞춘 구강고정기구(mouthpiece)와 Fraxion frame, Frontpiece, thermoplastic mask nose을 사용하여 s-thermoplastic mask와 mouthpiece를 가지고 머리를 고정하는 기존의 방식보다 높은 재현성을 보였으며 이는 기존의 치료 방법보다 1회 치료로 많은 선량이 조사되는 뇌 정위적 방사선 수술에서 안정된 고정 효과를 나타낼 것으로 사료된다.

Effect of Ground Chopi (Zanthoxylum piperitum) on Physicochemical Traits and Microbial Community of Chicken Summer Sausage during Manufacture

  • Utama, Dicky Tri;Park, Jongbin;Kim, Dong Soo;Kim, Eun Bae;Lee, Sung Ki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8권5호
    • /
    • pp.936-949
    • /
    • 2018
  • Changes in microbial community and physicochemical traits of chicken summer sausage made from spent layer thigh added with different level (0%, 0.1%, 0.3%, and 0.5% w/w) of ground chopi (Zanthoxylum piperitum) during manufacture were analyzed. The microbial community was profiled and analyzed by sequencing 16S rRNA gene using Illumina MiSeq. Samples were taken from raw sausage batter, after 15 h of fermentation, 8 h of cooking including cooling down, and 7 d of drying. The final pH of the sausage was reduced by the addition of ground chopi. However, no clear effect on water activity was observed. Ground chopi inhibited the development of red curing color after fermentation as it exhibited antimicrobial effect. However, the effect on species richness and microbial composition after cooking was unclear. Ground chopi delayed lipid oxidation during manufacture and the effect was dependent on the addition level. Fermentation reduced the species richness with a dominancy of lactic acid bacteria. The profile of microbiota in the raw batter was different from other stages, while the closest relationship was observed after cooking and drying. Proteobacteria was predominant, followed by Firmicutes and Bacteroidetes in raw samples. Firmicutes became dominating after fermentation and so forth, whereas other predominant phylum decreased. At genus level, unclassified Lactobacillales was the most abundant group found after fermentation and so forth. Therefore, the overall microbial composition aspects were mainly controlled during fermentation by the abundance of lactic acid bacteria, while bacterial counts and lipid oxidation were controlled by cooking and the addition of ground chop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