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Quinone reductase activity

검색결과 101건 처리시간 0.023초

오징어내장 분획물의 in vitro에서의 암세포 성장억제 및 quinone reductase유도 활성 증가 효과 (Growth Inhibitory and Quinone Reductase Activity Stimulating Effects of Internal Organs of Todarodes pacificus Fractions on Human Cancer Cell Lines In vitro)

  • 신미옥;배송자
    • 생명과학회지
    • /
    • 제19권9호
    • /
    • pp.1251-1257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오징어내장을 각 용매별로 분획하여 암세포 성장 억제 효과와 quinone reductase (QR) 유도 활성 증가 효과를 알아보았다. 간암 세포인 HepG2, 유방암 세포주인 MCF-7 그리고 대장암 세포주인 HT-29를 이용하여 암세포 성장 억제 효과를 실험한 결과 모든 세포주에서 TPMH층에서 가장 높은 암세포 성장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고 다음으로 TPMM층에서도 높은 암세포 성장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HepG2, MCF-7 및 HT-29 세포주에서 모두 농도 의존적인 암세포 성장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으나 간암 세포주인 HepG2에서 가장 높은 효과를 나타내어 특히 간암에 대한 예방효과가 기대되어진다. 또한 암 예방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3종의 암세포 중 유일하게 quinone reductase를 가지고 있는 인체 간암세포주인 HepG2를 이용하여 QR 유도 활성 증가 효과를 측정한 결과, 암세포 성장 억제 효과의 결과에서와는 달리 TPMM층에서 유의적으로 가장 높은 QR 유도 활성 증가 효과를 나타내었고 다음으로 TPMH층에서도 높은 QR 유도 활성 증가 효과를 나타내었다. 본 실험 결과에서 암세포 성장 억제 효과는 오징어내장의 hexane 분획층인 TPMH층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QR 유도 활성 효과는 methanol 분획층인 TPMM층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므로 이들 분획층에 유효한 생리활성 물질이 함유되어 있을 가능성 추정되어진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하여 오징어 부산물인 내장을 이용한 항암 관련 기능성 식품의 개발 가능성이 보이며, 이를 위한 TPMH 분획층과 TPMM 분획층에 대한 집중적인 연구가 요구된다.

군소내장 분획물의 in vitro에서의 암세포 성장억제 및 quinone reductase 유도 활성 증가 효과 (Growth Inhibitory and Quinone Reductase Activity Stimulating Effects of Internal Organs of Aplysia kurodai Fractions on Cancer Cell Lines In vitro)

  • 신미옥
    • 생명과학회지
    • /
    • 제20권6호
    • /
    • pp.877-884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군소내장을 각 용매별로 분획하여 암세포 성장 억제 효과와 quinone reductase (QR) 유도 활성증가 효과를 알아보았다. 간암 세포인 HepG2, 유방암 세포주인 MCF-7, 대장암 세포주인 HT-29 그리고 피부암 세포주인 B16-F10 를 이용하여 암세포 성장 억제 효과를 실험한 결과 모든 세포주에서 AKMM층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가장 높은 암세포 성장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다음으로 AKMB층, AKMH층 및 AKMA층의 순이었다. 그리고 4종의 암세포주 중에서 B16-F10 세포주가 가장 높은 암세포 성장 억제 효과를 나타내어 특히 피부암에 대한 예방효과가 기대되어진다. 또한 암 예방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4종의 암세포 중 유일하게 quinone reductase를 가지고 있는 인체 간암세포주인 HepG2를 이용하여 QR 유도 활성 증가 효과를 측정한 결과, 암세포 성장 억제 효과에 있어서 가장 높은 효과를 나타낸 AKMM층에서 가장 높은 QR 유도 활성 증가 효과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다른 분획층에서는 QR 유도 활성 증가 효과를 거의 볼 수 없었다. 이상으로 암세포 성장 억제 효과와 QR 유도 활성 효과에서 모두 methanol 분획층인 AKMM층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므로 이 분획층에 유효한 생리활성 물질이 함유되어 있을 가능성이 추정되어진다. 따라서 폐기되어지는 군소부산물인 내장을 이용한 암 예방 관련 기능성 식품의 개발 가능성이 기대되어지며, 이를 위한 AKMM분획층에 대한 더욱더 심도 높은 집중적인 연구가 요구되어진다.

석류 추출성분이 암세포 증식 억제와 Quinone Reductase 유도활성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Punica granatum L. Fractions on Quinone Reductase Induction and Growth Inhibition on Serveral Cancer Cells)

  • 심선미;최상원;배송자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80-85
    • /
    • 2001
  • Various lines of evidence suggest that dietary components protect the initiation step of carcinogenesis. In this study, the ethylacetate (PGMEA), ethylether (PGMEE), butanol (PGMB) and aqueous (PGMA) soluble fractions of Punica granatum L. (PG) were screened for their growth inhibition using the MTT assay on HepG2, HeLa, C6, MCF-7 and HT-29 cells and for their activity to induce quinone reductase (QR) in HepG2 cells. Among various fractions of Punica granatum L., the PGMEE showed the strongest growth inhibition at 500 $\mu\textrm{g}$/mL which resulted 92.5% on Hela cell lines and 97.8% on C6 cell lines. The PGMEA and PGMB also showed significant growth inhibition. The assay of QR induction on HepG2 cells, grown in the presence of PGMEE at the concentration of 50$\mu\textrm{g}$/mL, was 1.4 times more effective compared with the control value of1.0.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useful cancer chemoprevention materials could be isolated from PGMEE fraction of Punica granatum L.

  • PDF

인체 암세포주에 대한 당근잎 추출 성분의 세포독성과 Quinone Reductase 유도효과 (Cytotoxicity and Quinone Reductase Induced Effects f Daucus carota L. Leaf Extracts on Human Cancer Cells)

  • 심선미;김미향;배송자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86-91
    • /
    • 2001
  • The anticarcinogenic effects of various food components on human cancer cells have received much attention in recent years. The precise effect and mechanisms of anticarcinogens in food materials on cancer cells have rarely been investigated.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effects of Daucus carota L. leaf (DCL) extracts on cytotoxic and chemopreventive effect on human cancer cells.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to determine cytotoxicity of Daucus carota L. leaf extracts on HepG2, Hela and MCF-7 cells by MTT assay. Among various partition layers of Daucus carota L. leaf, the ethylacetate partition layer (DCLMEA) at 500 $\mu\textrm{g}$/mL was shown to be most effective on MCF-7 cell lines. The four partition layers which are DCLM, DCLMH, DCLMB and DCLMH were less effecitve in inducing cytotoxicity than DCLMEA was. We also determined the induction of intracellular quinone reductase (QR) activity by adding DCL extracts on HepG2 cells. Among various partition layers of DCL extracts, DCLMH and DCLM were tested to be most effective with results such as 4.9 and 4.73 with a control value of 1.0.

  • PDF

Induction of Quinone Reductase and Glutathione S-Transferase in Murine Hepatoma Cells by Flavonoid Glycosides

  • Kim, Jung-Hyun;Lee, Jeong-Soon;Kim, Young-Chan;Chung, Shin-Kyo;Kwon, Chong-Suk;Kim, Young-Kyoon;Kim, Jong-Sang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8권4호
    • /
    • pp.365-371
    • /
    • 2003
  • The potential of seven flavonoid glycosides to induce quinone reductase (QR), an anticarcinogenic marker enzyme, in murine hepatoma cells (hepalc1c7) and its mutant cells (BPRc1) was evaluated. Among test compounds, kaempferol-3-O-glucoside, luteolin-6-c-glucoside, and quercetin-3-O-glucoside (Q-3-G) induced QR in hepalc1c7 cells in a dose-dependent manner. However, in BPRc1 cells lacking arylhydrocarbon receptor nuclear translocator (ARNT), only Q-3-G caused a significant induction of quinone reductase at the concentration range of 0.5 to 8 ug/mL, suggesting that it is a monofunctional inducer. Q-3-G induced not only phase 2 enzymes, including QR and glutathione-S-transferase, but also nitroblue tetrazolium reduction activity in HL-60 cells, a biochemical marker for cell differentiation promoting agents. In conclusion, Q-3-G merits further study to evaluate its cancer chemopreventive potential.

Induction of the Anticarcinogenic Marker Enzyme, Quinone Reductase, by Dalbergiae Lignum

  • Yin, Hu-Quan;Lee, Bang-Wool;Kim, Youn-Chul;Sohn, Dong-Hwan;Lee, Byung-Hoon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27권9호
    • /
    • pp.919-922
    • /
    • 2004
  • The effect of an extract of Dalbergiae Lignum and four components that were isolated from the extract on the anticarcinogenic phase II marker enzyme, quinone reductase (QR), was investi-gated. Of the solvent extracts of Dalbergiae Lignum, the CH$_2$CI$_2$ fraction was the most potent in inducing QR activity, with a CD value (the concentration required to double the QR activity) of 29.5 $\mu$/mL. The CH$_2$CI$_2$ extract was further separated into six compounds, four of which were identified as 4-methoxydalbergione, latifolin, 4',6-dihydroxy-7-methoxyflavanone, and obtusafu-ran. Obtusafuran [CD = 1.1 $\mu$M; chemopreventive index (CI) = 101.9] and latifolin (CD = 1.7 $\mu$M; CI = 154.6) displayed potent QR inducing activity and high chemopreventive indices. Lati-folin and 4-methoxydalbergione were identified as strong DPPH-scavengers with half-maximal free radical scavenging concentrations of 15.9 and 17.2 $\mu$M, respectively.

쑥부쟁이 분획물의 in vitro 암세포증식 억제 및 QR 유도효과 (Inhibitory Effects on Cell Survival and Quinone Reductase Induced Activity of Aster yomena Fractions on Human Cancer Cells)

  • 정복미;임상선;박윤자;배송자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8-12
    • /
    • 2005
  • 본 연구는 약용 및 식용 식물로 사용되고 있는 쑥부쟁이 추출물과 분획물의 암세포 증식 억제 효과와 QR유도 효과를 실험하였다. 쑥부쟁이의 metanol 추출 및 용매 분획물의 암세포 증식억제 효과를 MTT assay로 실험한 결과, 3종의 인체 암세포주, 간암세포주인 HepG2, 자궁경부암 세포주인 HeLa 및 유방암 세포주인 MCF-7에서 모두 쑥부쟁이의 ethyl ether 분획층인 AYMEE층과 ethyl acetate 분획층인 AVMEA층에서 암세포 성장 저지 효과가 제일 컸다. 특히 HepG2 세포주에서 는 AYMEE를 200 $\mu$g/mL 첨가시켰을 때 94.5%의 암세포 증식 억제 효과가 나타났으며, 농도를 증가시킬수록 그 효과가 커져 500 $\mu$g/mL에서는 97.7%의 저지 효과를 보였다. MCF-7 세포주와 HeLa 세포주에서도 이와 비슷한 경향이었다. Butanol층인 AYMB와 메탄올층인 AYM에서는 대체적으로 낮은 농도에서는 효과가 약하였으나 300 $\mu$g/mL 이상에서는 높은 암세포 성장저지 효과를 보였다. HepG2 세포를 이용하여 암예방 지수인 QR 유도 활성을 측정한 결과, 다른 분획층에 비해 비극성 용매층인 hexane 분획층, AYMH에서 QR 유도 활성을 증가시키는 경향이었다.

Induction of Phase II Enzymes and Inhibition of Cytochrome P450 Isozymes by Chitosanoligosaccharides

  • SHON, YUN-HEE;NAM, KYUNG-SOO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5권1호
    • /
    • pp.183-187
    • /
    • 2005
  • Abstract The cancer chemopreventive potential of chitosanoligosaccharides was investigated by measuring the induction of quinone reductase and glutathione S-transferase activities and inhibition of cytochrome P450 1A1, 2B1, and 2E1 activities. Chitosanoligosaccharide I (1-${\kappa}$Da${\kappa}$Da) significantly induced glutathione S-transferase activity with a maximal 1.5-fold increase at 500 ${\mu}$g/ml, while chitosanoligosaccharide II (3-${\kappa}$Da${\kappa}$Da) (500 ${\mu}$g/ml) strongly induced quinone reductase (p<0.01) and glutathione S-transferase (p<0.005) activities. The in vitro incubation of rat liver microsomes with chitosanoligosaccharides I and II (2.5, 5, 50, and 500 ${\mu}$g/ml) showed a dose-dependent inhibiton of cytochrome P450 1A1, 2B1, and 2E1 activities. Chitosanoligosaccharide II was a more potent inhibitor of cytochrome P450 2B1 activity than chitosanoligosaccharide I. Accordingly, these findings suggest that chitosanoligosaccharides are potential chemopreventive agents.

석창포(石菖蒲) 약침액(藥鍼液)의 암(癌) 예방(豫防) 관련 효소 유도 효과 (Effects of Acori Graminei Rhizoma Aqua-acupunture Solution(AGRAS) on Induction of Cancer Chemopreventive Enzymes)

  • 노동일;임종국
    • Korean Journal of Acupuncture
    • /
    • 제19권2호
    • /
    • pp.51-56
    • /
    • 2002
  • 발암물질을 무독화시키는 QR 생성 유도를 살펴보기 위하여 석창포 약침액 및 열수추출액을 생쥐의 간암세포인 Hepa1c1c7에 처리하여 측정한 결과, 석창포 약침액의 농도를 증가시킬수록 높은 QR 생성율을 보였으며, QR 활성 유도효과 보다는 낮았찌만 GSH와 GST 생성도 증가하였다.

  • PDF

황기(黃耆) 약침액(藥鍼液)의 Glutathione S-transferase 와 NAD(P)H: Quinone Reductase 유도 (Induction of Glutathione S-transferase and NAD(P)H:Quinone Reductase by Astragali Radix Aqua-acupuncture Solution)

  • 류준선;임종국
    • Korean Journal of Acupuncture
    • /
    • 제18권1호
    • /
    • pp.21-26
    • /
    • 2001
  • 발암물질을 무독화시키는 QR 생성 유도를 살펴보기 위하여 황기 약침액 및 열수추출액을 생쥐의 간암세포인 Hepa1c1c7에 처리하여 측정한 결과, 황기 약침액의 농도를 증가시킬수록 많은 QR 생성율을 보였으며, GSH 생성이 증가하였고, GST 생성 또한 증가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