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Quality Management Activity

검색결과 780건 처리시간 0.042초

유색보리 분말을 첨가한 식빵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Pan Bread Added with Color Barley Powder)

  • 정현철;유승석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127-143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기능성 물질이 함유된 유색보리와 유색보리 분말을 첨가한 식빵 반죽 및 식빵을 제조하여 이화학적, 관능적 특성을 첨가량을 달리하여 측정하였다. 유색보리 분말의 수분함량은 9.35%, 조단백은 9.37%, 조지방은 1.64%, 조회분은 2.96%로 나타났다. 수용성 식이섬유 함량은 3.21 g/100 g, 불용성 식이섬유 함량은 4.91 g/100 g, 총 식이섬유 함량은 8.12 g/100 g으로 나타났고, ${\beta}$-glucan 함량은 49.31 mg/g으로 나타났다. DPPH radical 소거능은 56.76%로 나타났고, 총 페놀 함량은 234.34 mg/100g으로 나타났다. 유색보리 분말을 첨가한 식빵 반죽의 farinograph 측정 결과 consistency, water absorption, development time, time breakdown은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고, tolerance index는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다. Alveogram 측정 결과 overpressure P값, extensibility L값, swelling index G값, deformation energy W값은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Amylograph 측정 결과 pasting temp. T값은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고, peak viscosity P값, hot past viscosity H값, breakdown P-H값은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유색보리 분말을 첨가한 식빵의 굽기 손실률, 비용적은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색도 L값, b값은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고, a값은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다. 유색보리 분말 첨가한 식빵의 texture 경도, 점착성은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고, 응집성, 탄력성, 씹힘성은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기호도는 맛, 부드러움, 씹힘성은 10% 첨가군이 높게 나타났고, 전반적인 기호도도 10% 첨가군이 5.04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수업컨설팅 활성화를 위한 매뉴얼 개발 - 수학 교과를 중심으로 - (Research on the manual development for activating teaching consulting in mathematics)

  • 최승현;황혜정;남금천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6권1호
    • /
    • pp.1-29
    • /
    • 2013
  • 본 연구는 수업컨설팅과 관련된 이론과 실천을 연계한 컨설팅 활성화 방안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두고, 학교교육의 문제 해결, 교사의 전문성 신장, 수업의 질 향상에 보탬이 되고자 하였다. 이러한 취지에서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에서는 수학, 과학 및 영어의 3개 교과를 중심으로 교과별 내용교수지식(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PCK)에 초점을 둔 수업컨설팅 실시 방안 및 그 구체적인 내용을 '수업컨설팅 매뉴얼'의 형태로 담아내고자 하였다. 본고에서는 수업컨설팅의 의미를 점검하고, 설문 조사를 통하여 현행 수업컨설팅 운영 실태 및 문제점을 진단하고자 하였다. 또, 매뉴얼 개발을 위한 수업컨설팅 사례를 분석하여 이를 토대로 수업컨설팅 활성화를 매뉴얼을 개발하고 개발된 수업컨설팅 매뉴얼 활용 방안을 정책 제언으로 제안하였다. 다만, 본고에서는 지면관계상 수업컨설팅 활성화 매뉴얼 부문에서 '처방 및 투입 단계'에 초점을 두어 제시하였다.

  • PDF

발아현미 추출물 첨가 배추김치와 시판배추김치의 품질특성 비교 (Comparison of Quality Characteristics of Korean Cabbage Kimchi Added with Germinated Brown Rice Extracts and Korean Cabbage Kimchi on the Market)

  • 우승미;우상철;정용진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3권6호
    • /
    • pp.789-795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기능성이 강화된 배추김치 개발을 위하여 발아현미 농축액(A)과 발아현미 추출물 분말(B)이 첨가된 김치와 시판김치 4종의 품질특성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pH와 총산은 시료들 간에 비슷한 수치를 나타내었다. (A)와 (B)의 배추김치 총당은 각각 29.86과 40.99 mg/g, 환원당은 각각 21.45와 22.88 mg/g으로 시판배추김치 4종의 총당과 환원당 함량에 비해 상당히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L 및 b값은 시료들 간에 비슷한 수치를 나타내었고, a값은 (A)와 (B)의 배추김치가시판배추김치보다 조금 낮게 나타났다. 총 아미노산과 필수아미노산 함량은 (A)와 (B)의 배추김치가 시판배추김치에 비해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으나 발아현미의 주요 기능성분으로 알려진 GABA는 (A)와 (B)의 배추김치가 시판배추김치와 비교했을 때 비슷하거나 오히려 낮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총 페놀성 화합물과 기타활성은 (A)와 (B)의 배추김치가 시판배추김치보다 전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 발아현미 농축액과 추출물 분말이 첨가된 김치는 시판김치와 발효가 비슷하게 진행되었으며 항산화능 및 혈전용해능 등의 기능적인 면에서는 매우 우수한 것으로 나타나 품질이 향상된 배추김치의 제조가 가능 할 것으로 나타났다.

당귀.지황.홍삼 첨가에 따른 발효 청국장의 기능성 변화 연구 (Changes in the Functionality of Cheonggukjang During Fermentation Supplemented with Angelica gigas, Rehmanniae Radix, and Red ginseng)

  • 최은지;이정숙;장흥배;이미숙;장해동;권영인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467-474
    • /
    • 2010
  • 일반 청국장과 한약재를 첨가한 CKJ-DD, CKJ-RG, CKJDD+RG, CKJ-RED의 기호도 및 기능성을 측정하였다. 색도분석 결과, 5가지 청국장 모두 브라운 계열이었으며, a값 (redness), b값(yellowness)은 5가지 청국장에서 모두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냈다. 유리아미노산 분석 결과, 구수한 맛을 나타내는 Aspartic acid, Glutamic acid의 함량이 CKJ보다 한약재를 첨가한 청국장(CKJ-DD, CKJ-RG, CKJ-DD+RG, CKJ-RED)이 더 많은 함량을 나타났으며, 단맛을 나타내는 alanine, glycine, lysine 또한 CKJ에 비해 한약재를 첨가한 청국장(CKJ-DD, CKJ-RG, CKJ-DD+RG, CKJ-RED)이 3~4.5배 더 많은 함량을 나타냈다. 반면, 한약재의 고유한 향에 의해서 쓴맛을 나타내는 leucine은 CKJ에 비해 CKJ-DD, CKJ-RED이 2배의 함량을 더 나타냈다. 한편 혈당강하 조절기전과 관련된 항당뇨 활성 결과에서는 농도 의존적으로 혈당상승억제효과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지만, CKJ과 한약재를 첨가한 청국장(CKJ-DD, CKJ-RG, CKJ-DD+RG, CKJRED CKJRED) 간의 큰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5종의 청국장의 기능성을 알아보기 위해, 총 피놀릭성분의 함량 분석 결과, CKJ에 비해 한약재를 첨가한 청국장(CKJDD, CKJ-RG, CKJ-DD+RG, CKJ-RED)의 총 피놀릭 함량이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항산화 활성(Peroxyl radical 소거능)을 측정한 결과, $10\;{\mu}g/mL$ 농도에서 대조군인 CKJ과 비교하여 CKJ-DD은 비슷한 활성을 보였으나 CKJ-RG는 1.5배, CKJ-DD+RG은 3배 높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냈다. 이상의 결과로 다양한 한방청국장 제품의 표준화 및 제품화를 위한 다양한 지표들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어머니 취업여부에 따른 자녀의 영양소 섭취 수준과 비만 유병률 비교 -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2013-2015년) 활용 - (Children's Food Intake and Nutrition Levels, and Obesity by Maternal Employment: Based on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3-2015)

  • 강근영;이윤나;엄미향;계승희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331-342
    • /
    • 2019
  • Objectives: This study examines the intake of food and nutrients of children according to the employment and working hours of their mothers. Methods: The married women in the source data from the 6th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were classified into full-time working mothers, part-time working mothers and housewives according to the working type and the data on their children from 3 to 18 years old were analyzed using SAS 9.4. Results: The group from 3 to 5 years old was the smallest group with 682 children (20.2%), followed by the group from 6 to 11 years with 1,345 children (39.8%) and the group from 12 to 18 years old with 1,355 children (40.1%). The lowest rates for having no breakfast and dinner were observed in the group with housewives (p<0.05). The calcium and phosphorous intakes were the highest in the group with housewives at 61.9% and 126.8%, respectively, and the lowest in the group with full-time working mothers at 54.7% and 115.3%, respectively (p<0.05). The group with full-time working mothers had the highest rate in the calcium and iron intake less than the dietary reference intake at 74.9% and 30.0%, respectively. It indicated that the group with full-time working mothers did not have sufficient nutrients as compared to the other two groups. Moreover, the group with the part-time working mothers showed the high vitamin A intake ratio of 41.4% (p<0.05). Conclusions: This study found evidence of a negative association between mother's employment status and children's diet quality. The employment and economic activity of married women will continuously increase in the future. Therefore, a national nutrition policy is required to provide quality nutrition care for children in the households.

아로니아즙 첨가량에 따른 요구르트 드레싱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Aronia (Aronia melanocarpa) Juice added Yogurt Dressing)

  • 박기봉;권순용;문정희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206-217
    • /
    • 2015
  • 본 연구는 아로니아를 이용한 건강 기능성 요구르트 드레싱을 개발하기 위해 아로니아즙을 각각 10~40%를 첨가하여 요구르트 드레싱을 제조한 다음, 이화학적 및 관능적 특성을 평가하여 새로운 드레싱 개발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아로니아즙 첨가량에 따른 요구르트 드레싱의 유기산 함량 분석 결과, 아로니아즙을 첨가할수록 Malic acid, Acetic acid, Citric acid 등이 증가하고, Tartaric acid와 Lactic acid는 감소하였다. 점도는 대조군(4,296.67 cP)이 아로니아즙 첨가군(1,466.67~3,496.67 cP)보다 높게 나타났다. pH는 아로니아즙 10% 첨가군(3.83)이 다른 첨가군(3.59~3.74)보다 높게 나타났다. 당도는 아로니아즙 10% 첨가군($5.17^{\circ}Brix$)이 다른 첨가군($2.47{\sim}3.47^{\circ}Brix$)보다 높게 나타났다. 색도는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명도 L값은 감소하였고, 적색도 a값과 황색도 b값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DPPH radical 소거활성 측정 결과, 대조군이 7.42%이었으며, 아로니아즙 첨가군이 26.30~69.86%로 높게 나타났다. 관능검사 결과 색, 걸쭉한 정도, 맛, 입안에서의 느낌, 전체적인 기호도 등에서 아로니아즙 20% 첨가군이 가장 높게 평가되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아로니아즙 첨가 요구르트 드레싱 제조 시 아로니아즙 첨가량은 20%가 가장 적합할 것으로 판단된다.

워크플로우 결정성 판단 메커니즘 (A Workflow Determinacy Decision Mechanism)

  • 정우진;김광훈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10권3호
    • /
    • pp.1-8
    • /
    • 2009
  • 워크플로우 관리 시스템은 크게 다섯 가지 측면, 즉 자원(조직)측면, 제어흐름측면, 데이터흐름측면, 이력관리측면, 운용(응용프로그램)측면의 핵심규격을 정의하고 분석하는 모델링모듈과 그 규격에 따른 워크케이스를 실행시키는 엔진모듈로 구성된다. 또한, 워크플로우 관리 시스템의 품격을 결정짓는 핵심기준은 "제정된 규격에 따른 워크플로우 실행의 정확성을 얼마나 보장할 수 있는가?"이다. 특히, 워크플로우의 제어흐름측면규격과 데이터흐름측면규격의 상호간섭으로 발생할 수 있는 "워크플로우 결정성 문제"는 워크플로우 실행의 정확성 보장 여부를 결정짓는 핵심문제이며, 이에 대한 해결방안은 모델링모듈 차원의 워크플로우 분석기법과 엔진모듈 차원의 워크플로우 실행 검증기법으로 나뉘어 구현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워크플로우 결정성 문제에 대한 해결방안으로 엔진모듈 차원의 워크플로우 실행 검증기법, 즉 워크플로우 엔진모듈에 의해 실행되는 액티비티들간의 상호간섭 조건(제어흐름과 데이터흐름)을 검출할 수 있는 메커니즘을 제안한다. 또한, 제안된 메커니즘을 저자 소속의 연구실에서 개발한 워크플로우 관리 시스템에 실제 적용한 결과를 제시함으로서 워크플로우 결정성 문제에 대한 실행 가능한 해결방안임을 증명한다.

  • PDF

제왕절개술 환자를 위한 Critical Pathway 개발 (Development of the Critical Pathway for Cesarean Section Patient)

  • 정경희;장금성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66-80
    • /
    • 1998
  • With the opening of healthcare market, the health care environment in Korea is anticipating a drastic change. In this Internationally open market environment,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a systematic health care plan and DRG system which offer qualitative medical services as well as reduced cost.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test the critical pathway for Cesarean section patient in the way to be possible the integrated inpatient management. It was adopted the process of six phases to develop the critical pathway as the theoretical framework implemented by Johns Hopkins Hospital, Maryland, U.S.A. In the first phase, make a selection of diagnosis/procedures to develop. In the second phase, organize a development team consisted of eight expertises working in maternity nursing area. In the third phase, analyze the overall medical service offered to patient through review medical records and decided the service content and the implementation period for the Cesarean section patient. In the forth phase, make out a preliminary critical pathway after verification of expert group on content validity. In the fifth phase, validity operate to ten Cesarean section patients to test implementation in practice by using the preliminary critical pathway, In the sixth phase, defined the final critical pathway. The result of this study was as follows. 1. There were classified 8 categories as monitoring/assesment, treatment, medication, activity, diet, test, consult, education/discharge plan for vertical axis and showed hospital stayed from admission to discharge for horizontal axis of critical pathway through analysis 68 Cesarean section patients medical records. 2. After critical review 68 medical records to make out a preliminary critical pathway, hospital stays for horizontal axis were showed 6 days, mean hospital stays were 7.5 days, 2.1 days were to be taken operation after admission and 4.2 days were stayed until discharge after operation. 3. After making out a questionare in 90 items of a medical service content of eight categories and verifying the content validity of expertises, the 85 items of the preliminary critical pathway were selected by expertises agreement over 88% and modified or deleted 5 items showing agreement below 75%. 4. After verifying a validity to 10 patients for 4 weeks, hospital stays were 5.9 days. There were deleted 1 item and modified or supplemented the 9 items of the 10 items.

  • PDF

당뇨병 질환자의 의료이용 및 직접의료비 연구 (The study of Health Care Utilization and Direct Medical Cost in the Diabetes Mellitus Client)

  • 유인숙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1권4호
    • /
    • pp.87-101
    • /
    • 2015
  • 본 연구는 당뇨병 질환자의 의료이용 및 의료비를 통하여 직접의료비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하여 2012년 한국의료패널 총 5,434가구, 15,872명을 이용하여 만19세 이상 당뇨병 질환자는 81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방법은 응급의료이용, 입원의료이용, 외래의료이용에 대한 평균 의료비와 직접의료비(환자본인부담의료비+공단부담금+비급여본인부담금)를 구하였고, 년간총직접비용은 직접의료비에 당뇨병유병율(N)을 곱하여 산출하였다. 연구결과, 당뇨병 질환자의 100명당 평균 응급의료이용횟수는 1.98회 의료비, 총직접비용, 년간총직접비용은 85,942원, 447,359원, 363,255,508원이었고, 입원의료이용횟수는 5.6회 의료비, 총직접비용, 년간총직접비용은 772,240원, 4,061,982원 3,298,329,384원 이였으며, 외래의료이용횟수는 10회 의료비, 총직접비용, 년간총직접비용은 11,978원, 26,020원, 21,128,240원 이였다. 이상과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당뇨병의 발생은 의료비증가와 직접의료비 증가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이는 가구 및 환자에 있어 큰 부담이며 삶의 질도 낮아질 것이다. 당뇨병 질환의 감소를 위한 식생활. 운동 혈당, 혈압 등의 조기진단과 예방을 위한 관리가 중요하다.

성인의 골밀도와 잔존치아수와의 관련성 (Relationship between bone mineral density and the remaining teeth in Korean adults)

  • 송혜정;이덕희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63-71
    • /
    • 2015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bone mineral density and remaining teeth in Korean adults. Methods: Using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KNHANES) 5th Year 1(2010), 1,985 adults over 50 years old having bone mineral density test were selected. Male adults were 883, and female adults were 1,102. The raw data consisted of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bone density data, and oral examination data.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general health survey, laboratory examination study, and nutrition study.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18.0 program for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OVA, t-test. The variables included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health behavior, diet habit, and oral health behavior. General characteristics consisted of gender, age, residence area, education level, marital status, monthly income, and vocation. Health behavior consisted of smoking, alcohol drinking, body mass index(BMI), physical activity, and mental health. Diet habit consisted of frequency of meal, milk, coffee, and calcium ingestion. Oral health behavior consisted of frequency of tooth brushing, use of oral health care devices, and oral examination. Systemic diseases were measured by the questionnaire for hypertension, diabetes mellitus, and hyperlipidemia. Bone density was measured in T-score of femoral bone, neck of femur, and lumbar vertebrae. Bone density was classified into normal($T-score{\geq}-1.0$), osteopenia(-2.5 < T-score < -1.0), and osteoporosis ($T-score{\leq}-2.5$). The remaining teeth were measured by the differences between normal teeth and missing teeth. Results: Smoking and age are the most influencing factors on the number of remaining teeth and bone density(p<0.01)(p<0.05). Those who had higher bone density, younger age, and nonsmoker significantly had more remaining teeth. Those who were men, diabetic, lowly educated women, and low birth weighted persons tended to have less number of teeth(p<0.01). Conclusions: The study suggest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men and women according to the oral health management behavior and systemic disease control. Proper management of the oral health and good quality of bone mineral density can reserve the remaining teeth through the whole lif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