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Qualifications of the Academic Librarians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16초

국립대학 교수와 사서의 대학도서관 전문사서 교수지위부여에 대한 인식분석 (A Recognition Analysis on Faculty Status for Academic Librarians of the National University professors and librarians)

  • 육상옥;강진백
    • 정보관리연구
    • /
    • 제39권1호
    • /
    • pp.131-149
    • /
    • 2008
  •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학도서관에 유능한 인적자원을 확보하기 위한 방안의 하나로 대학도서관 전문사서의 교수지위를 제안하는 데 있으며, 이를 위해 국 내외의 연구들을 문헌조사를 통해 살펴보고, 교수지위 부여에 대한 이론적인 근거를 살펴보았다. 또한 교수임용요건을 갖춘 대학도서관의 전문사서에게 교수지위를 부여하는 문제에 관해 교수집단과 사서집단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두 집단의 견해를 비교 분석하였다. 모든 분석결과에서 동의수준에는 차이가 있지만, 두 집단이 모두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도서관 전문사서의 교수지위 부여는 대학도서관의 사서들에게 자격요건을 갖추게 하는 동기부여의 수단으로 작용됨에 따라 사서들의 자질이 향상되고, 전문사서의 자질향상은 서비스의 질적 향상으로 이어져 대학교육과 연구에 도움을 주는 결과를 가져옴으로써 결과적으로 대학도서관 발전에 기여할 것이다.

대학도서관 사서를 위한 전문 계속교육과정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urriculum Development of Continuing Education for Academic Librarians in Korea)

  • 장혜란;홍현진;노영희;오의경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133-168
    • /
    • 2008
  • 도서관 정보 환경의 발전에 따라 서비스를 개선하고 이용자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사서들은 필수적으로 계속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다. 대학도서관사서들을 위한 계속교육 교과과정을 개발하기 위하여, 국내외 선행연구와 현행 계속교육 프로그램 사례를 고찰하였으며. 우리나라 대학도서관 사서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하여 교육 요구 주제를 식별하였다. 분석 결과를 기초로. 학습자를 중간관리자와 실무자로 구분하여 각각 계속교육 교과과정을 개발하였다. 중간관리자를 위한 교과과정은 9개 영역 27개 과목으로 구성되었으며 실무자를 위한 교과과정은 7개 영역 25개 과목으로 구성되었다. 또한 수요가 높은 부문을 직급별로 하나씩 선택하여, '도서관 마케팅'과 '디지털정보자원 구축 및 관리' 과정에 대한 구체적인 교육프로그램 모델을 개발하였다. 교육프로그램 모델에서는 교육목표. 교육내용, 교수학습 전략, 교육시간, 교수방법과 도구 강사진 등에 관한 사항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계속교육의 정착과 발전을 위한 방안을 제언하였다.

A Comparative Study on the Perception of the Job Seeking College Degree Candidates and the Librarians Concerning Library Specialized Services

  • Noh, Younghee
    • International Journal of Knowledge Content Development & Technology
    • /
    • 제9권1호
    • /
    • pp.81-108
    • /
    • 2019
  • This research has investigated the perceptions of subject specialization services and the opinions of students majoring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preparing for librarianship, librarians operating in the field, and library directors on the status and ways of nurturing subject specialization for librarians, among others. To this end, based on the results of previous research and the survey questionnaire analysis, we have presented a policy to train subject librarians. First, we have proposed a plan for systematizing the current educational system within the department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We have also suggested ways to secure subject expertise based on curriculum management, minor programs, multi-major programs, and interdisciplinary major programs based on the standard curriculum model. Second, we have presented a subject specialization educational system for field librarians, and further suggested details for the development of an educational program that can help build subject expertise and the operation of educational methods as well as the personnel in charge of implementing the educational programs. Third, we have proposed institutionalization of the qualifications of the subject librarian where the qualification requirements have been organized considering academic background, major program, library career, and career experience in the subject specialization service, further suggesting the implementation and maintenance of the system.

미국, 영국, 한국 사서직 교육의 비교 (Education for librarianship in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the United Kingdom and the Republic of Korea : a comparative study)

  • 엄영애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27권
    • /
    • pp.1-25
    • /
    • 1997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Korean situation of education for librarianship by comparing library education in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the United Kingdom and Korea. The qualifications of librarians,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the present trends of education for librarianship in the three countries are described and compared. It was not intended to find out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as the three countries share no similar cultural and historical backgrounds. Compared with the education of the two countries, Korea has more ways to qualify librarians, more library schools, and lower academic levels for librarians. Library Associations or Institutes of the U. S. A. and the U. K. are involved in library education by accrediting library schools or library school curricula, but the Korean Library Association has nothing to do with library education. In case of present trends in library education, Korean institutions seem to lag behind in coping actively with the changes occurring in the modern society. Based on the findings, some suggestions are recommended.

  • PDF

사서의 핵심능력에 대한 대학도서관 사서의 인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Recognition of Academic Librarian about ALA's Core Competencys of Librarianship)

  • 노동조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237-250
    • /
    • 2009
  • 본 연구는 2009년 1월 27일 미국도서관협회 평의원회에서 공표한 '사서의 핵심능력'에 대한 국내 대학도서관 사서들의 인식을 조사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대학도서관 현장의 사서 17명을 대상으로 사전 교육 후,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사서의 핵심능력에 명시된 8개 영역과 40개 세부능력에 대하여 각각의 중요도와 전공심화정도, 필요 교과목 등을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 8개 영역별 중요도에서는 기록된 지식과 정보의 조직, 전문직 기초, 참고봉사와 이용자 서비스의 순으로 중요했으며, 전공심화정도에서는 전문직 기초, 연구, 참고봉사와 이용자 서비스의 순인 것으로 밝혀졌다. 사서의 핵심능력 배양에 필요한 교과목은 도서관경영론, 정보서비스론, 문헌정보학개론, 도서관정보정책론, 도서관연구방법론, 도서관자동화론의 순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