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Quadratic Residue Diffuser

검색결과 14건 처리시간 0.02초

2D 확산기를 이용한 전자파 잔향실 내의 필드 분포 특성 (Field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a Reverberation Chamber with 2D Diffuser Sets)

  • 양욱;이중근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16권4호
    • /
    • pp.373-379
    • /
    • 2005
  • Schroeder 방식의 1 Dimension QRD(quadratic Residue Diffuser)를 사용하여 잔향실 내부에서의 필드 균일성이 향상됨을 밝힌 연구는 이미 수 차례 발표된 바 있다. 본 연구에서는 $2.3\;\cal{GHz}\~3\;\cal{GHz}$대역에서, 전자파 잔향실의 전자기장 특성 및 필드의 균일도 향상을 위해 잔향실 내에 Schroeder 방식의 CRD(Cubical Residue Diffuser)가 설계 및 적용되었고 필드 분포 해석을 위해 FDTD(Finite-Difffrence Time-Domain) 방법의 수치해석이 이루어졌다. 잔향실 내부의 확산기는 cubical residue algorithm과 2D 배열을 사용함으로써 더욱더 random한 형태를 이루었으며 결과적으로 CRD를 사용함으로써 잔향실 내에서의 편파 특성, 표준 편차 및 tolerance 등의 성능이 좋아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2D CRD의 경우, 전력 효율도 높아짐을 알 수 있었다.

이중 대역 확산기를 이용한 전자파 잔향실 시험 주파수 대역 확장 및 전자기장 균일도 향상에 관한 연구 (Expansion of Test Frequency Band and Improvements of Field Uniformity in a Reverberation Chamber by Using Dual-Band Diffusers)

  • 임욱채;이중근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17권1호
    • /
    • pp.74-80
    • /
    • 2006
  • 본 논문은 전자파 장해 및 복사 내성 측정의 대용 시험 시설로서 활용될 수 있는 전자파 잔향실의 전자기장 특성에 관한 연구이다. 잔향실 내에는 서로 다른 두 주파수 대역에서도 사용 가능한 이중 대역 확산기(diffuser)가 적용되었고, 이중 대역 확산기는 서로 다른 단일 대 역 Schroeder 방식의 QRD(Quadratic Residue Diffuser)로 합성되었다. 잔향실 내부의 전자기장 분포 해석을 위해서는 FDTD(Finite-Difference Time-Domain) 수치 해석 방식이 이용되었다. 잔향실에 사용된 이중 대역 확산기는 단일 대역 확산기에 비해 시험할 수 있는 주파수 대역 확장 뿐 아니라, 잔향실의 전자기장 균일도, 편파 특성, 전력 효율 및 공차 등의 성능을 향상시켰다. 따라서 이중 대역 확산기를 사용한 잔향실이 단일 대역 확산기를 사용한 잔향실보다 효율적인 시험시설로서 활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비대칭적 구조 전자파 잔향실 전자기장 균일도 해석 (Field Uniformity Analysis of Reverberation Chamber with Asymmetric Structure)

  • 정삼영;이중근;이황재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12권5호
    • /
    • pp.837-843
    • /
    • 2001
  • 전자파 잔향실은 일반적으로 직사작형 구조의 차폐실에 전자기장 균일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모드 스터러 또는 모드-튜너로 구성된다. 본 논문은 기존에 많이 사용되는 직사각형의 잔향실 구조 대신 두 종류의 비대칭 구조를 사용하였을 경우의 전자기장 균일도 개선효과에 관하여 검토한 것이다. 하나는 Quadratic Residue Diffuser (QRD)를 사용한 비대칭 구조, 그리고 다른 하나는 Randomly Made Diffuser(RMD)를 사용한 비대칭 구조의 전자파 잔향실이다. Finite-Difference Time-domain(FDTD) 수치해석 방법을 사용하여 두 종류의 전자파 잔향실에 관한 전자기장 균일도 특성을 조사하였다.

  • PDF

유전체로 충진된 확산기를 이용한 전자파 잔향실 내의 전자기장 균일도 향상 연구 (Improvement of Field Uniformity in the Reverberation Chamber Using Diffusers Filled with Dielectric Material)

  • 김혜광;이중근;임욱채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16권12호
    • /
    • pp.1222-1228
    • /
    • 2005
  • 본 논문은 MWO(Microwave Oven)의 동작 주파수로 사용되는 2.45 GHz 대역에서, 전자파 잔향실 내의 전기장특성 향상 및 시험 공간 확장에 관한 연구이다. 잔향실 내부에서의 전자기장 균일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Sch-roeder 방식의 Quadratic Residue 확산기(diffuser)를 사용하였고, 전자기장 분포 해석을 위해 FDTD(Finite Difference Time Domain) 수치 해석 방식을 이용하였다. 잔향실 내부의 확산기는 도체로만 설계된 것(Type 1)과 유전체 및 도체를 같이 사용한 것(Type 2, 3)으로 설계하였다. 해석 결과 유전체를 사용한 확산기는, 유전체 없는 확산기의 전기장 특성을 유지하면서 확산기의 물리적 크기를 줄일 수 있었고, 특히 Type 3 확산기에서는 동일한 물리적 공간에 더 많은 주기의 확산기를 설계할 수 있어, 시험 공간 확장, 잔향실의 편파 특성, 편차 및 공차등의 성능이 가장 좋은 것을 확인하였다.

전자파 진향실 내 확산기 배열 조건에 따른 필드분포 특성 (Field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A Reverberation Chamber with Different Conditions of Diffuser Arrangement)

  • 이광순;이중근;정삼영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12권2호
    • /
    • pp.227-233
    • /
    • 2001
  • 본 논문에서는 전자파 장해 및 복사내성 측정의 대용 시험시설로서 활용될 수 있는 전자파 잔향실의 전자기장 특성에 관하여 연구되었다. 전자파 잔향실 내부에서의 필드 균일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Shroeder 방식의 Quadratic Residue 확산기(diffuser)를 설계한 후, 확산기의 방향에 따른 3가지 배열 형태로 잔향실 내부에 적용하여, 필두 분포를 해석하였다. FDTD(Finite-Difference Time-Domin) 수치해석 방식을 이용하여 잔향실 내부의 필드 특성을 연구한 결과 확산기를 부착한 3가지 형태 모두 최대 변화범위 $\pm$3 dB 이내의 필드 균일도를 나타내었으며, type 3, 대칭형 구조의 확산기 형태가 효율이 가장 우수하다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 PDF

원통형 확산기를 사용한 전자파 잔향실내의 전기장 분포특성 (The Characteristics of Electric Field Distributions in a Reverberation Chamber using Cylindrical Diffuser)

  • 이용;이중근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TC
    • /
    • 제45권8호
    • /
    • pp.121-127
    • /
    • 2008
  • 본 논문은 원통형 확산기를 사용한 전자파 잔향실내의 전기장 분포에 관하여 다루었다. $1{\sim}3$ GHz 주파수 대역의 QRD(Quadratic Residue Diffuser)와 원통형 확산기(Cylindrical Diffuser)를 설계 후 각각의 전기장 분포 특성을 비교하였다. 전기장 분포 특성 및 전기장 균일도를 조사하기 위해 FDTD(Finite-Difference Time-Domain) 수치 해석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2 GHz에서 수치해석 결과 원통형 확산기를 사용하였을 경우 기존의 QRD를 사용한 경우에 비하여 표준편차와 공차는 각각 0.11 dB, 0.43 dB 개선되었고, 전기장 세기는 QRD의 36.6 dBmV/m보다 높은 43.2 dBmV/m로 나타났으며, 편파 특성면에서도 QRD보다 개선되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따라서 원통형 확산기를 사용한 전자파 잔향실이 소형 전자기기의 전자파 장해 및 복사 내성 측정을 위한 대용시험 시설로 사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경사진 QRD를 이용한 전자파 잔향실 내 전자기장 균일도 향상을 위한 연구 (An Improvement of the Field Uniformity inside the Reverberation Chamber with Inclined QRD Set)

  • 이병준;김혜광;이중근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18권6호
    • /
    • pp.577-583
    • /
    • 2007
  • Schroeder 방식의 QRD(quadratic Residue Diffuser) 구조에서 더욱 진화한 경사진 QRD를 사용하여 전자파 잔향실(reverberation chamber) 내의 전자기장 균일도를 향상시켰다. FDTD(Finite-Difference Time-Domain) 수치 해석방식을 이용하여 $2{\sim}3GHz$ 대역에서의 전자파 잔향실 내의 전자기장의 분포를 해석하였다. QRD 경사 각도의 조절과 경사 방향을 전환하여 전자파 잔향실 내부의 시험 공간에서의 E_x,\;E_y,\;E_z$ 샘플의 표준편차 및 공차가 각각 0.3 dB, 2.5 dB 향상되고 전체적으로 전자기장 분포의 균일성이 확보되었다.

전자파 잔향실 내의 필드 균일성 확보를 위한 Shroeder 방식의 Diffuser 설계 (Design of Schroeder Method Diffusers To obtain Field Uniformity Characteristics of Reverberation Chamber)

  • 이광순;이중근;정삼영;김혜광
    • 한국음향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음향학회 2000년도 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제19권 1호
    • /
    • pp.211-214
    • /
    • 2000
  • 본 논문은 전자파 장해 및 복사내성 측정의 대용 시험시설로 활용될 수 있는 전자파 잔향실의 전자기장 특성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전자파 잔향실 내부 균일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음향효과의 극대화를 위해 인간의 가청 주파수대인 16-20,000Hz 범위, 음속(340 m/sec)에 적용하여 활용되고 있는 Shroeder Quadratic Residue Diffuser를 무선 주파수 대역 30 KHz -3 THz인 범위로 확장, 3가지 형태의 Diffuser를 설계하여 잔향실 내부에 적용하였다. FDTD(Finite-Difference Time-Domain) 수치해석 방식을 이용하여 잔향실 내부의 필드 특성을 조사한 결과 Diffuser를 부착한 3 가지 형태 모두 치대 tolerance $\pm$3dB 이내의 필드 균일도를 나타내었으며, Type 3, 대칭형 구조의 Diffuser 형태가 효율이 가장 우수하다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 PDF

Schroeder 확산기를 이용한 전자파 잔향실내의 필드 균일도 향상 및 최적화에 관한 연구 (Optimization and Improvements of Field Uniformity in a Reverberation Chamber with Schroeder Diffusers)

  • 김정훈;이중근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18권4호
    • /
    • pp.372-378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Schroeder 방식의 QRD(Quadratic Residue Diffuser)를 사용하여 전자파 잔향실 내부의 필드 균일도를 향상시키고, 전자파 잔향실 내벽 전체 면적 대비 QRD가 차지하는 면적비를 변화시키면서 필드 균일도를 향상시키는 최적의 면적비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1{\sim}3\;GHz$의 주파수 대역에서 QRD를 설계하였고, 전자파 잔향실의 전계 특성 및 필드 균일도 향상을 조사하기 위해 FDTD(Finite-Difference Time-Domain) 방법의 수치 해석이 이루어졌다. 2 GHz에서 QRD 크기가 잔향실 한쪽 내벽의 약 $30{\sim}60\;%$일 경우 표준 편차가 가장 작았으며, 20 % 이하, 70 % 이상에서는 점차로 필드 균일도가 나빠짐을 알 수 있었다. 특히 QRD의 면적이 30 %일 때와 적용되지 않은 경우를 비교한 결과, 전자의 경우 표준 편차가 후자의 경우에 비하여 1.53 dB가 향상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송신 안테나에 의한 5 GHz 이차 잔류 디퓨저를 적용한 전자파 잔향실의 내부 필드 균일도 변화 (Electric Field Uniformity in Reverberation Chamber with 5 GHz Diffuser by Transmission Antenna)

  • 이유진
    • 반도체디스플레이기술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83-86
    • /
    • 2021
  • In this paper, electric fields in electromagnetic reverberation chambers, which are used as a substitute facility for EM-free anechoic chambers, are analyzed. This paper focused on the 4-5 GHz band, which is expected to adversely affect equipment. To analyze the field uniformity inside the electromagnetic reverberation chamber, electric field strengths are sampled and finite-difference time-domain method was used for numerical analysis. Moreover, Quadratic residue diffuser was used to improve the characteristics of the electromagnetic reverberation chamber and the uniformity of the internal field strength. Standard deviation, tolerance characteristics, and partiality characteristics were compared while varying the aiming point of transmission antenn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