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Q&A Community

Search Result 323,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천마산 동부릉선 남북사면의 삼림식생의 구조적 특성에 관한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Forest Vegetation at the Southern and Northern Slopes of the Eastern Ridge in Mt. Cheonma, Central Korea)

  • Lee, Nam-Ju;Yang-Jai Yim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11권4호
    • /
    • pp.213-225
    • /
    • 1988
  • The plant communities of the eastern ridge in Mt. Cheonma, Central Korea, Quercus mongolica, Q mongolica-Acer pseudo-sieboldianum, and Q. mongolica-Rhododendron schlippenbachii communities in the northern slope and Q. variabilis and Q. cutissima communities in the southern slope were detected by Zurich-Montpellier method. The undergrowth of Q mongolica community in the northern slope was dominated by Ainsliaea acerifolia, Carex siderosticta, Astilbe chinensis var. davidii, Heloniopsis orientalis, Pseudostellaria palibiniana, ranging 3.3 to 2.2 in dominance-sociability, while the those of Q variabilis and Q acutissima in the southern slope were dominated by Spodiopogon cotulifer, Artemisia keiskeana, Carex humilis, Atractylodes japonica, Lysimachia clethroides and Disporum smilacinum with similar degree in dominance-sociability to that of Q mongolica community. The two communities were considered as regenerating forest after severe disturbance judging by their age structure. The relationship between Shannon's diversity index (H') and Simpson's dominance index (i) was in reciprocal proportion in both two communities. The Q. mongolica and Q. variabilis communities were showed 13 and 12 m respectively. Seasonal changes of undergrowth coverage in the two communities were seemed to be affected especially with soil moisture among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temperature, light intensity, relative humidity and organic matter.

  • PDF

내연산(內延山) 일대(-帶) 삼림식생(森林植生)의 군락분류(群落分類)에 관(關)한 연구(硏究) (A Study on Community Classification of Forest Vegetation in Mt. Naeyeon)

  • 이병천;윤충원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5권3호
    • /
    • pp.153-161
    • /
    • 2002
  • 내연산의 삼림식생을 대상으로 ZM식물사회학적 방법에 의해 군락단위 및 그 하위단위를 분류하고, 분류된 각 단위와 환경사이의 상관관계를 서열법으로 해석하여 내연산 산림식생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목적으로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군락단위는 신갈나무군락, 굴참나무군락, 소나무군락, 서어나무군락, 느티나무군락이 구분되었고, 하위단위는 신갈나무군락에서 철쪽꽃군과 참회나무군, 굴참나무군락에서 우산나물군, 털조록싸리군 및 찰피나무군, 느티나무군락에서 까치박달군과 고욤나무군이 각각 세분되었다. 따라서 내연산 일대의 산림은 5개군락, 7개군으로 총 9개의 식생단위로 분류되었다. CCA 방법으로 식생과 환경사이의 상관관계 분석 결과 내연산 지역의 식생단위는 해발과 가장 높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갈나무군락의 철쪽꽃군과 참회나무군은 해발고와 지형이 높은 곳과 노암율이 낮은 곳에 각각 분포하는 경향이었다. 한편 느티나무군락은 신갈나무군락과 역의 관계로 나타났다. 앞으로 산림식생관리시 특히 계곡림에 대해서는 교목층의 우점종들이 상관적으로 이질적인 모습을 하고 있더라도 하나의 관리단위로 고려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다도해해상국립공원 팔영산지구의 식생구조 (Vegetation Structure of the Paryeongsan (Mt.) Zone in Dadohaehaesang National Park)

  • 강현미;최송현;박석곤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473-486
    • /
    • 2013
  • 본 연구는 2011년 국립공원으로 편입된 다도해해상국립공원 팔영산지구의 식생구조와 식생천이계열을 파악하기 위하여 75개의 조사구(단위면적 $100m^2$)를 설치하여 조사를 실시하였다. Classification 분석 중 TWINSPAN기법을 이용하여 군락을 분리한 결과, 상수리나무군락(I), 졸참나무-개서어나무군락(II), 소나무-신갈나무군락(III), 굴참나무군락(IV), 리기다소나무-굴참나무-소나무군락(V), 편백림(VI)으로 구분되었다. 군락 I, II는 낙엽성 참나무류가 서로 경쟁하거나 개서어나무 등과 경쟁하여 향후 낙엽활엽수림으로의 천이가 예측되며, 군락 III, V는 소나무와 리기다소나무 등이 낙엽성 참나무류와 경쟁하여 향후 낙엽성 참나무류로의 천이가 예상된다. 군락 IV는 굴참나무가 우점하나 아교목층에서 난온대 수종인 후박나무가 높은 비율로 출현해 점차 후박나무의 세력 확장이 예측된다. 군락 VI은 편백 조림지로 수관층에 편백만이 우점하여 당분간 편백림이 유지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 편백림은 국립공원의 편입취지에 맞게 편백을 간벌하여 천연림으로 갱신을 유도해야 할 것이다. 난온대 기후대에 속하는 팔영산지구에서 출현한 난온대수종은 후박나무, 사스레피나무, 보리밥나무 등 총 9종이었다.

Understanding Information Sharing Among Scientists Through a Professional Online Community: Analyses on Interaction Patterns and Contents

  • Shin, Eun-Ja;Lee, Guiohk;Choi, Heeyoon
    • Journal of Information Science Theory and Practice
    • /
    • 제5권4호
    • /
    • pp.26-38
    • /
    • 2017
  • Even through many professional organizations increasingly use Q&A sites in their online communities for information sharing, there are few studies which examine what is really going on in the Q&A activities in professional online communities (POC).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interaction patterns and contents posted in the Q&A site of a POC, KOSEN, a science and technology online community in South Korea, focusing on how actively scientific information and knowledge are shared. The interaction patterns among the participants were identified through social network analysis (SNA) and the contents in the Q&As were examined by content analysis. The results show that the overall network indicated a moderate level of participation and connection and answerers especially tended to be active. Also, there are different interaction patterns depending on academic fields. Relatively few participants were posting leaders who seemed to steer the overall interactions. Furthermore, some content related to manipulation and explanation for experiments, which are in urgent need, seem to be posted in the sites more frequently with more amounts. Combining both SNA and content analysis, this study demonstrated how actively information and knowledge is shared and what types of contents are exchanged. The findings have practical implications for POC managers and practitioners.

지식검색커뮤니티 정보의 신뢰성에 관한 연구 동향 분석 (Research Trends of the Credibility of Information in Social Q&A)

  • 김수정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35-154
    • /
    • 2012
  • 야후 앤서(Yahoo! Answers)와 네이버 지식인과 같은 지식검색 커뮤니티는 인터넷에서 정보를 찾고 공유하는 중요한 수단으로 부상하였다. 그러나 지식검색 커뮤니티의 인기가 날로 높아지는 것과 비례하여 정보자원으로서의 유효성에 대한 우려 또한 커지고 있는 것이 주지의 사실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논문은 지식검색 커뮤니티와 관련된 신뢰성 문제에 대한 선행 연구들을 정리하고 향후 연구 과제를 제시함으로써 지식검색 커뮤니티 신뢰성에 관한 연구를 활성화시키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왕릉의 식생경관구조 및 관리대책에 관한 연구(I) - 동구릉 식생군집의 천이 - (Studies on the Vegetational Landscape Structure and Administration Planning of the Royal Tomb(I) - Successional Trends of Plant Community of Donggu Royal Tomb -)

  • 이경재;오구균;전용준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13-26
    • /
    • 1988
  • ^x This study was executed to analyze the vegetational landscape structure of Donggu Royal Tomb forest by four kinds of ordination techniques(polar,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reciprocal averaging, and detrended correspondence analysis) and comparison of the couple photographs between 1920s and 1987. Thirteen sites were sampled with clumped sampling method in June of 1987 and five quadrats were examined in each site.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Environmental impact grade 3,4 and 5 area covered 16.11ha and these area should be restored by the input of human energy because self - refair seemed to be impossible. 2. Pinus densiflora community of actual vegetation covered 8.2%, Alnus japonica community 5.7% and quercus aliena community 15.8% of the surveyed area(73.3ha). And afforested vegetation including Pinus koraiensis, Pinus rigida, Alnus hirsuta and Robinia pseudoacacia covered 27.0%. 3. Donggu Royal Tomb forest was divided by Pinus densiflora, P. densiflora-Quercus aliena, Alnus japonia - Q. aliena and A. japonica community. DCA was the most effective method of this study. 4. DCA ordination were showed that succesional trends of tree species seem to be from Pinus densiflora through Prunus sargentii, Quercus serrata, Quercus aliena to Carpinus laxiflora in P. densiflora community and from Alnus japonica through Acer ginnala to Q. aliena in A. japonica community of the upper layer and from Rosa multiflora, Symplocos chinensis for. pilosa, Zanthoxylum schiniflolium through Rhus trichocarpa, Styrax japonica, Rhododendron scilippenbachii to Viburum erosum, Lindera obtusiloba in the middle layer. 5. By the comparsion of the couple photographs beween 1920s and 1987, we can recognize the change of historical landscape composed by P. densiflora and A. japonica community and those community is succeed to Q. aliena.

  • PDF

가야산 국립공원 지역의 현존식생 및 녹지자연도 (The Actual Vegetation and Degree of Green Nat-urality in Gaya Mountain National Park)

  • 김준선;김갑태;임경빈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1-15
    • /
    • 1989
  • 가야산국립공원지역의 현존식생을 파악하기 위하여 식생상관 및 종조성에 의한 식물사회학적 분석을 통해 식생군집을 분류하였으며 이를 기초로 녹지자연도를 사정하였다. 가야산의 식생은 크게 소나무림과 낙엽활엽수림으로 구성되었으며 구분된 식생군집은 다음과 같다. 1. 소나무 군집 1) 소나무-진달래 하위군집 2) 소나무-조록싸리 하위군집 3) 소나무-조릿대 하위군집 4) 소나무-대사초 하위군집 2. 신갈나무 군집 1) 신갈나무-철쭉군집 a) 전형하위군집 b) 산앵두나무 하위군집 2) 신갈나무-조릿대군집 3) 신갈나무-조록싸리군집 3. 졸참나무 군집 4. 서어나무-졸참나무 군집 5. 흰참꽃군집 6. 참싸리-억새군집 또한 가야산국립공원지역의 녹지자연도 등급은 2차림으로 구성된 녹지자연도 7,8이 93.9%를 차지하였다.

  • PDF

양호교사의 성교육에 대한 태도 유형분석 : Q방법론적 접근 (An Analysis of School Health Nurses' Attitude Toward Sex Education: A Q-methodological Approach)

  • 정영숙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97-211
    • /
    • 1995
  • This study was designed to identify school health nurses' attitudes toward sex education through a Q-methodological approach. Research was done from Apr. 3, 1995 to Oct. 15, 1995. A final Q-sample was selected to 37 statements out of initial 128 statements after consultation from counselors, educators and writers related to sex education. The P -sample was consisted with 32 school health nurses in Chonbuk provinc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Quanal program on PC.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School health nurses are categorized into 6 types. The first type, receiving type with cognition deficiency about general learning objectives of sex education were consisted with 4 subjects. The second type, valuing type with cognition deficiency about general learning objectives of sex education were consisted with 6 subjects. The third type, adopting behavior type with cognition deficiency about specific learning objectives of sex education were consisted with 5 subjects. The fourth type, receiving type with cognition deficiency about specific learning objectives of sex education were consisted with 5 subjects. The fifth type, making sense of information type with cognition deficiency about specific learning objectives of sex education were consisted with 5 subjects. The sixth type, adopting behavior type with cognition deficiency about general learning objectives of sex education were consisted with 7 subjects. As a result of this study, we may realize necessity of prepared sex educators. Sex the educators must be fully cognitive and affective toward sex education before practicing sex education.

  • PDF

변산반도국립공원 소나무림 식물군집구조 및 관리방안 연구 (A Study for Plant Community Structure and Management Plan of Pinus densiflora Forest in Byeonsanbando National Park)

  • 최진우;곽정인;이경재;최운규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3권5호
    • /
    • pp.447-459
    • /
    • 2009
  • 본 연구는 변산반도국립공원 소나무군집의 식생구조 특성을 분석하여 소나무군집의 관리방안 수립하고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하였다. 변산반도국립공원 전체 현존식생 조사결과 소나무군집과 소나무-참나무류군집이 40.3%의 넓은 면적으로 분포하였다. 소나무군집 내에 설정한 21개 조사지(단위면적: $400m^2$)의 TWINSPAN 분석결과 8개 유형으로 구분되었으며 수령 분석결과 소나무와 낙엽활엽수와의 수령이 40~50년생으로 유사하였다. 8개 유형은 굴참나무와 경쟁하는 소나무군집, 아교목층에 쇠물푸레나무와 졸참나무가 출현하는 소나무군집, 아교목층에 졸참나무, 관목층에 청미래덩굴이 출현하는 소나무군집, 아교목층에서 소나무와 쇠물푸레가 출현하는 소나무 군집, 졸참나무, 개서어나무와 경쟁하는 소나무군집, 굴참나무, 졸참나무와 경쟁하는 소나무군집, 산벚나무가 출현하는 소나무군집, 전나무가 출현하는 소나무군집이었다. 굴참나무, 졸참나무 등 참나무류, 개서어나무와 경쟁하는 소나무림은 향후 이들 낙엽활엽수림으로의 천이가 예측되었다. 샤논의 종다양도지수는 0.2756~1.3879이었으며 상관관계 분석결과 소나무는 굴참나무, 개서어나무 등과 유의적인 부의 상관관계가, 쇠물푸레나무, 철쭉꽃 등과는 유의적인 정의 상관관계가 인정되었다. 변산반도국립공원 소나무림 식생구조 분석 결과 일부 참나무류, 낙엽활엽수로 천이가 예측되는 지역이 전체면적의 30.4%로 분포하여 관리방안으로 소나무림 경관보전을 위한 보존지역 설정과 참나무류, 개서어나무 등 경쟁수종의 관리를 제안하였다.

가지산도립공원 통도사지구의 식물군락과 환경요인의 상관관계 (A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Plant Community and Environmental Factors of Tongdosa(Temple) Area, Gajisan(Mt.) Provincial Park)

  • 이상철;강현미;김지석;유찬열;최송현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715-724
    • /
    • 2014
  • 본 연구는 우리나라 3대 사찰 중 하나인 통도사를 중심으로 지정되어 있는 가지산도립공원 통도사지구의 식물군락과 환경요인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수행하였다. 식물군락구조를 알아보기 위해 $200{\sim}300m^2$ 크기의 조사구 31개소를 설치하여 조사 분석하였으며, 환경요인으로는 해발고도, 경사도 등의 물리적 환경과 토양산도, 유기물함량, 전질소함량, 치환성양이온 등의 토양특성을 조사 분석하였다. 환경요인과 식물군락과의 상관관계분석을 위해 DCCA기법을 활용하였다. 식물군락구조를 분석한 결과, 소나무-갈참나무군락, 개서어나무-참나무류군락, 소나무-개서어나무군락, 소나무-굴참나무군락, 굴참나무-신갈나무군락으로 총 5개 군락으로 분리되었다. 식생천이는 소나무에서 굴참나무와 신갈나무 등 참나무류와 개서어나무로 진행되고 있었다. DCCA분석 결과, 가지산도립공원 통도사지구 내 군락분포는 해발고도에 가장 큰 영향을 받았으며, 해발고도가 비교적 낮은 곳에는 소나무-갈참나무군락, 높은 곳에는 굴참나무-신갈나무군락이 분포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