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ythium

검색결과 203건 처리시간 0.027초

Occurrence and pathogenicity of Pythium (Oomycota) on Ulva species (Chlorophyta) at different salinities

  • Herrero, Maria-Luz;Brurberg, May Bente;Ojeda, Dario I.;Roleda, Michael Y.
    • ALGAE
    • /
    • 제35권1호
    • /
    • pp.79-89
    • /
    • 2020
  • Pythium species are ubiquitous organisms known to be pathogens to terrestrial plants and marine algae. While several Pythium species (hereafter, Pythium) are described as pathogens to marine red algae, little is known about the pathogenicity of Pythium on marine green algae. A strain of a Pythium was isolated from a taxonomically unresolved filamentous Ulva collected in an intertidal area of Oslo fjord. Its pathogenicity to a euryhaline Ulva intestinalis collected in the same area was subsequently tested under salinities of 0, 15, and 30 parts per thousand (ppt). The Pythium isolate readily infected U. intestinalis and decimated the filaments at 0 ppt. Mycelium survived on U. intestinalis filaments for at least 2 weeks at 15 and 30 ppt, but the infection did not progress. Sporulation was not observed in the infected algal filaments at any salinity. Conversely, Pythium sporulated on infected grass pieces at 0, 15, and 30 ppt. High salinity retarded sporulation, but did not prevent it. Our Pythium isolate produced filamentous non-inflated sporangia. The sexual stage was never observed and phylogenetic analysis using internal transcribed spacer suggest this isolate belongs to the clade B2. We conclude that the Pythium found in the Oslo fjord was a pathogen of U. intestinalis under low salinity.

Pythium spinosum Sawada에 의한 꽃도라지 뿌리썩음병의 발생 (Occurrence of Lisianthus (Eustoma gradiflorum) Root Rot Disease Caused by Pythium spinosum Sawada)

  • 김진원;김성기;박은우;홍순성;양장석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03-108
    • /
    • 1998
  • A Pythium species was isolated from roots of lisianthus (Eustoma grandiflorum) showing wilt symptoms and reduced growth in a greenhouse at Ichon, Kyonggi-do in 1997. The Pythium species was identified as Pythium spinosum Sawada based on various mycological characteristics. The isolate was strongly pathogenic when inoculated to root of lisianthus plants in pots. The diseased plants showed typical symptoms of root and crown rot, resulting in reduced growth of roots and shoots, and consequently wilting of the above ground part of plants.

  • PDF

Isozyme을 이용한 Pythium species의 비교 및 Pythium systematics에의 이용 (Comparisons of Isozyme Patterns in Pythium Species and Application to Pythium Systematics)

  • 이윤수
    • 한국균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293-300
    • /
    • 1993
  • Enzyme AAT, GmDH, ME, GPI, LDH 그리고 IDH에 대해 각각 아홉, 일곱. 넷, 아홉, 일곱 그리고 네개의 서로 다른 phenotype이 관찰되었다. Sugarcane field에서 분기한 종명이 밝혀지지 않은 여섯개의 sterile isolate 모두 여섯개의 enzyme에 대해 동일한 위치에 band를 형성하였다. 이 phenotype들은 이미 밝혀진 Pythium species와는 다른 위치에서 band를 형성하였다. 종명이 밝혀지지 않은 Pythium isolate중 isolate 145와 299는 여섯개의 enzyme에 대해서 동일한 위치에서 band가 형성되었고, 다른 isolate들은 다른 위치에서 band를 형성하였다. 다섯개의 Pythium heterothallicum isolate들은 IDH를 제외한 모든 enzyme에 대해서 동일한 위치에서 band를 형성하였다. 두개 그리고 세개의 P. torulosum isolate가 AAT, GmDH 그리고 ME와 GPI,LDH 그리고 IDH 에 대해 각각 동일한 위치에 band를 형성하였다. 한개의 P. spinosum 과 P. irregulare isolate 각각이 enzyme AAT, GmDH 그리고 GPI에 대해 동일한 위치에 band를 형성하였다. 결론적으로, sterile Pythium isolate 들은 intraspecies level에서는 similarity 가 100%였지만, P. heterothallicum 그리고 Pythium spinosum과는 무관함이 밝혀졌고 isolate 306 을 제외한 다른 Pythium species들과는 전반적으로 낮은 상관성을 나타내었다 . 서로 다른 species간의 상관성은 몇몇 경우를 제외하고는 전반적으로 매우 낮았다.

  • PDF

잔디 피시움마름병(Pythium blight)의 생물학적 방제를 위한 길항 미생물의 선발과 효력 검정 (Development of Antagonistic Microorganism for Biological Control of Pythium Blight of Turfgrass)

  • 정우철;신택수;도기석;김원극;이재호;최기현
    • 식물병연구
    • /
    • 제12권3호
    • /
    • pp.260-266
    • /
    • 2006
  • Pythium spp. 균에 의해 발생되는 피시움마름병(Pythium blight)은 골프장 퍼팅 그린에서 문제가 되는 대표적 병해이다. 본 연구에서는 Pythium aphanidermatum를 피시움마름병 병원균으로 하여 생물학적 방제법에 이용할 수 있는 길항 미생물을 1차 선발하였고, 선발된 길항 미생물에 대해 폿트 수준의 생물 검정 실험을 실시하였다. 두 실험을 동해 선발된 미생물 중에서 Relative Performance Indies 값을 기준으로 가장 우수한 것을 선별하여 피시움마름병에 대한 길항 미생물로 최종 선발하였고, 동정한 결과 Bacillus subtilis로 밝혀졌다. 최종 선발된 미생물은 B. subtilis GB-0365라 명명하였고, 화학 농약에 대한 내성 실험과 혼용 처리에 따른 효과를 검정하여 화학 농약과 시간의 차이를 두고 교호 살포할 경우 방제효과가 보다 높게 나타났다. 골프장의 간이 묘포장에서 자연 발생된 피시움마름병에 대한 B. subtilis GB-0365의 방제효과를 검증한 결과, 무처리 대비 방제가는 56.4%, 화학 농약 대비 방제가는 60.9%로 우수한 방제 효과을 가진 것으로 판명되었다.

Pythium myriotylum에 의한 만삼 뿌리썩음병 (Root Rot of Codonopsis pilosula Caused by Pythium myriotylum)

  • 김진원;장석원;김성기
    • 한국균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27-130
    • /
    • 2001
  • 2000년 경기도 연천지역의 만삼(Codonopsis pilosula) 재배포장에서 시들음 증상을 나타내는 만삼의 뿌리로부터 Pythium sp.를 분리하였고, 다양한 균학적 특성을 조사한 결과 Pythium myriotylum으로 동정되었다. 병원성검정을 위하여 pot에 식재된 만삼의 뿌리에 분리 균을 접종한 결과 강한 병원성을 나타냈고, 포장에서 나타난 특징적인 증상과 유사한 뿌리썩음에 의한 시들음 증상을 나타냈다. 만삼에서 P. myriotylum에 의한 병은 아직 국내에 보고된 바 없어 P. myriotylum에 의한 만삼 뿌리썩음병을 최초로 보고한다.

  • PDF

Pythium aphanidermatum에 의한 Chewing Fescue에 잎마름병 발생 (Occurrence of Pythium Blight Caused by Pythium aphanidermatum on Chewing Fescue)

  • 장태현;이용세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2권3호
    • /
    • pp.306-311
    • /
    • 2013
  • Pythium aphanidermatum에 의한 잎마름병(pythium blights)이 chewing fescue "Jamestowm II" 품종에서 2011년 6월 상순에 대구대학교 시험포장에서 발생하였다. 잔디에 발병증상은 잎 끝으로부터 잎마름 증상과 뿌리 썩음증상이 나타나고, 잎색은 진한갈색,회 갈색으로 나타났다. 병원균은 병든 잎과 지제부에서 분리를 하였으며, 동정을 위하여 PDA에서 배양하였다. 균사에는 잎 같은 포자가 복잡한 구조로 부풀어져 있고, 균사로부터 구별되지 않은 실같은 포자낭이 있다. 리보소옴 DNA의 염기서열을 분석한 결과, 유전자은행 DB에 P. aphanidermatum 균주 와의 100% 상동성을 나타낸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병원성은 chewing fescue, creeping bentgrass 및 Kentucky bluegrass에서 코흐의 원칙에 따라 확인하였다. 이것은 chewing fescue 종에서 P. aphanidermatum 에 의한 잎마름병을 국내에서 처음보고 한다.

Rhizoctonia 및 Pythium 모잘록병에 대한 Serenade 제제의 방제효과 (Control Efficacy of Serenade Formulation against Rhizoctonia and Pythium Damping-off Diseases)

  • 조은주;강범관;장경수;최용호;김진철;최경자
    • 식물병연구
    • /
    • 제20권3호
    • /
    • pp.201-205
    • /
    • 2014
  • Rhizoctonia solani와 Pythium ultimum에 의한 모잘록병은 대부분의 작물에서 전 세계적으로 발생하여 종자와 유묘에 심각한 피해를 주고 있다. Serenade 제제(1.34%, SC)의 Rhizoctonia 및 Pythium 모잘록병 방제 효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병원균 접종 토양에 파종된 고추와 오이에 Serenade 제형 9배, 19배 및 39배 희석액을 관주 처리하였다. Serenade 제제를 9배 및 19배 희석액으로 처리하였을 때, 고추의 Rhizoctonia 모잘록병에 대한 Serenade 제제의 방제효과는 각각 58%와 29%이었다. 그리고 오이에서도 고추의 Rhizoctonia 모잘록병과 유사한 각각 54%와 28%의 방제효과를 보였다. 반면에 오이 Pythium 모잘록병에 대한 Serenade 제형의 방제효과는 Rhizoctonia 모잘록병에 비하여 아주 낮은 방제효과를 나타내었고, Serenade 9배 희석액으로 처리한 고추의 Pythium 모잘록병에 대해서만 무처리구와 유의성 있는 발병도 차이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Serenade 제형은 Rhizoctonia 및 Pythium 모잘록병을 효과적으로 방제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었다.

완두종자분필물과 Pythium에 의한 묘립고병에 대한 감수성과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Susceptibility to Pythium Seedling Blight and Pea Seed Exudates)

  • 오승환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193-197
    • /
    • 1977
  • Pythium ultimum에 의한 묘립고병에 감수성인 완두품종의 종자는 저항성품종의 종자보다 다량의 환원당이 종자분필물내에 포함되었으며 분필속도도 감수성인 완두품종의 종자에서 더 빨랐다. 묘립고병에 저항성인 완두품종의 종자와 감수성인 품종의 종자분필물에서 모두 Raffinose, Meilbiose, Sucrose, Glucose 및 Fructose가 확인되었으나 Glucose와 Sucrose는 감수성 품종의 종자분필물에서 더 많이 검출되었다. Pythium ultimum균은 감수성인 종자 및 종자분필물에서 더 잘 자랐다.

  • PDF

Creeping Bentgrass에서 미생물제에 의한 Pythium Blight, Brown Patch 및 Dollar Spot 방제 효과 (Control Effects of Microbial Products on Pythium Blight, Brown Patch and Dollar Spot of Creeping Bentgrass)

  • 황연성;최준수;김영호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237-244
    • /
    • 1996
  • 길항곰팡이 3종(Aspergillus sp. A101, Penicillium sp. B202, Trichoderma sp. C303), 길항세균 3종(Arthrobacter sp. AN303)또는 이들 모두의 혼합균주를 배양하여 creeping bentgrass 양묘장에 처리하여 Pythium blight, brown patch 및 dollar spot의 방제효과를 조사하였다. 또한 길항미생물 6종의 배양액을 살균제와 병용하여 그린에 살포하여 이들 토양병에 대한 방제효과를 조사하였다. 양묘장에서는 미생물의 종류에 관계없이 Pythium blight 억제효과가 커 3회 이상 미생물제 처리시 병이 전혀 발생하지 않았다. 그러나 brown patch와 dollar spot은 미생물제에 의한 방제효과가 크지 않았으며, 살균제에 의해 효과적으로 방제되었다. 미생물제와 살균(Pythium blight 방제용 살균제 제외)를 병용하여 처리한 그린에서는 살균제 단독처리와 비교할 때 brown patch는 유의적으로 억제되었고 Pythium blight와 dollar spot은 차이가 없었다.

  • PDF

Water Potential이 Pythium속(屬) 균(菌)의 균사(菌絲) 신장(伸長)과 Sporangia 형성(形成)에 미치는 효과(效果) (Effect of Water Potential on Mycelial Growth and Sporangial Formation by Pythium spp.)

  • 성재모
    • 한국균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105-108
    • /
    • 1983
  • The mycelial growth of Pythium graminicola, P. ultimum, P. rostratum was best at -3 osmotic potential. P. monospermum was best grown at -8 bars osmotic potential. Mycelial growth by Pythium spp. was prevented at -42 bars for P. graminicola, P. ultimum and P. monospermum. Sporangial formation by P. graminicola and P. ultimum was influenced by water potential in much the same way as mycelial growth: -3 bars was maximum and -42 bars or below was minimal. Pythium spp. tested was grown faster on PDA than other media including oat meal agar. P. ultimum was best grown on any media among Pythium spp. test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