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yrus species

검색결과 58건 처리시간 0.021초

AFLP 표지를 이용한 배 유전자원의 유연관계 분석 (Analysis of Genetic Relationship of Pear (Pyrus spp.) Germplasms Using AFLP Markers)

  • 조강희;신일섭;김현란;김정희;허성;유기열
    • 한국육종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444-450
    • /
    • 2009
  • 본 연구는 배 유전자원의 유전적 변이를 DNA 수준에서 비교함으로써 육종의 기초 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유전자원 60점을 대상으로 AFLP 분석을 수행하였다. 총 20종의 AFLP 프라이머 조합을 이용하여 522개의 다형성 밴드를 얻었다. 획득된 다형성 밴드를 이용하여 UPGMA 방식으로 유사도 및 집괴분석을 수행한 결과 유전적 유사도 0.691를 기준으로 4개의 그룹으로 분류되었다. 첫 번째 그룹에는 Pyrus communis에 속하는 품종 및 P. nivalis, P. cordata 등이 포함되었다. P. betulaefolia와 P. fauriei에 속하는 콩배 계통들이 두 번째 그룹에 속하였고, P. calleryana와 P. koehnei를 포함한 콩배 계통들이 세 번째 그룹으로 분류되었다. 네 번째 그룹에는 P. pyrifolia와 P. ussuriensis에 속하는 재배품종, 교잡종 및 그 외의 종들이 대부분 속하여 동아시아에서 유래한 유전자원들은 P. pyrifolia나 P. ussuriensis와 서로 밀접히 연관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유전자원 간 유전적 유사도는 0.584에서 0.879범위로 평균 유전적 유사도는 0.686이었다.

한국자생으로서 미국 및 카나다에서 재배되고 있는 조경수목(교목) 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Korean Native Woody Plants of Trees in the North American Landscape)

  • 심경구;서병기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95-117
    • /
    • 1995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Korean native trees in the America landscape through arboretums, the plant inventory of America, computer files for accessions from Korea, source lists of plants and seeds, and seed and plant nursery compan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Korean native trees introduced in America and Canada were 119 species, 116 species were being cultivated in arbrids were being sold in nurseries, new cultivars were selected from 32 species, and hybrids were bred from 5 species. 2. Abies koreana, Malus baccata, and Stewartia koreana were being cultivated in many arboretums and sold in many nurseries. Also there were new hybrids as well as new cultivars. 3. 25 species including Albizzia julibrissin were being cultivated in many arboretums and sold in many nurseries. Also there were new hybrids. 4. Ilex integra and Ilex rotunda were being cultivated in many arboretums and sold in many nurseries. There were no new cultivars, but there were new hybrids. 5. 44 species including Abies holophylla were being cultivated in many arboretums and sold in many nurseries. There were no new cultivars or hybrids. 6. Populus tremula var. davidiana was being cultivated in many arboretums. There were new cultivars of 'Erecta', 'Gigas', 'Pendula', but no new hybrids. They were not sold by any nurseries. 7. 41 species including Abies nephrolepsis were being cultivated in many arboretums. But they were not sold by any nurseries. They didn't have any new cultivars or hybrids. 8. Diospyros kaki 'Kyungsan Bansi', Elaeocarpus sylvestris var. ellipticus, and Pyrus serotina 'Dankae' were not being cultivated in arboretums in America but some nurseries were selling those species as well as new cultivars. 9. Only 3 species (Berchemia berchemiaefolia, Carpinus eximia, and Chionanthus retusus var. coreana which are native Korean plants) were not introduced in America or Canada.

  • PDF

밀성박씨 경주 손곡문중 목판의 수종식별 (Wood Species Identification of Documentary Woodblocks of Songok Clan of the Milseong Park, Gyeongju, Korea)

  • 엄유정;박병대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6권3호
    • /
    • pp.270-277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기록으로 남아있는 밀성박씨 경주 손곡문중의 박씨문헌록(朴氏文獻錄)과 지당실기(智堂實紀)의 인쇄에 사용된 목판의 수종을 식별하고자 수행되었다. 전체 282장의 목판 중 88장을 무작위로 선정하여 광학현미경으로 목재해부학적 특징을 비교분석한 결과, 7개의 목재수종이 식별되었다. 즉 가장 많이 사용된 수종은 서어나무로 39.8%를 차지하였고, 그 다음으로 돌배나무가 25.0%, 고로쇠나무가 15.9%, 산벚나무가 10.2%, 피나무가 3.4%, 감나무가 3.4%, 그리고 거제수나무가 2.3%가 사용된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 같은 결과는 일반적으로 목판인쇄에 사용된 목재수종의 범주에 속하는 것이다. 또 식별된 모든 수종들은 활엽수 산공재로 복잡한 한자를 새기기 쉽고 여러 번 인쇄를 하더라도 글자가 쉽게 닳지 않고 용이하게 구할 수 있는 목재수종이 사용된 것으로 판단된다.

Report of seven unrecorded bacterial species in Korea belonging to the family Acetobacteraceae

  • Jun Heo;Hyorim Choi;Seunghwan Kim;Yiseul Kim;Daseul Lee;Byeong-Hak Han;Seung-Beom Hong;Soon-Wo Kwon
    • Journal of Species Research
    • /
    • 제12권spc2호
    • /
    • pp.7-14
    • /
    • 2023
  • Several genera belonging to the family Acetobacteraceae were generally considered to be acetic acid bacteria (AAB) which produce acetic acid from alcohols using an oxidation pathway. Some species of the family Acetobacteraceae have been of interest to the industry due to their capability to produce vinegar. In 2018-2020, several bacterial strains were isolated from plants, fruits and vinegar in various regions of the Republic of Korea. Based on the 16S rRNA gene sequences, seven species classified into the family Acetobacteraceae were found to be ones unrecorded in the Republic of Korea, including two Asaia species, one Gluconacetobacter species, three Gluconobacter species and one Komagataeibacter species. As a result, we report Asaia lannensis AF11C3 (=KACC 22050) isolated from plant Chrysanthemum zawadskii, Asaia platycodi AF15C2 (=KACC 22051) isolated from plant Isodon inflexus, Gluconacetobacter liquefaciens C23-3 (=KACC 22064) isolated from fruit of Pyrus pyrifolia, Gluconobacter cerinus BGF2-R2 (=KACC 22053) isolated from fruit of Prunus armeniaca, Gluconobacter kondonii FR39A4 (=KACC 22388) isolated from persimmon fruit, Gluconobacter thailandicus FR36C4 (=KACC 22057) isolated from fruit of Pseudocydonia sinensis and Komagataeibacter melaceti SPV-2 (=KACC 22058) isolated from potato vinegar.

경기도 안성지역의 노거수 식물유전자원 분포 및 실태 (Distribution and Status of the Big and Old Trees as Plant Genetic Resources in Ansung City)

  • 안영희;최광율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99-108
    • /
    • 2003
  • 본 연구는 경기도 안성지역에 소재하는 노거수의 합리적인 보전 및 관리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안성지역에 분포하는 노거수는 총 6종으로 조사되었다. 주요 수종은 느티나무, 은행나무, 음나무, 참배나무, 취앙네, 소나무 등의 순으로 전형적 온대기후대에서 수명이 상대적으로 긴 수종들임을 알 수 있었다. 그 가운데 느티나무는 전체 수종 가운데 73.5%를 차지하여 가장 많이 분포하였다. 본 조사에서 나타난 노거수들의 흉고직경은 전체의 76.4%가 1.5 m 이상으로 나타났으며 수고는 10-14 m 범위가 47.1%를 차지하였다. 노거수의 추정연령 은 200∼299년 범위가 38.2%로 가장 높은 분포를 나타냈으며 500년 이상도 20.6%나 조사되었다. 또한 안성시 노거수의 64.7%는 민속신앙 또는 전설, 고사 등의 전승 유래를 지니고 있어 매우 중요한 생물 문화재적 가치를 지니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안성 지역의 대부분 노거수에는 조류 및 착생식물 등의 생물이 함께 서식하고 있음이 조사되었다. 노거수에 대한 관리실태는 전체에서 98.3%가 병충해 및 가지절단 등과 같은 심각한 훼손상태로 방치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체 조사 노거수의 47.1%는 근원부 주변이 콘크리트 및 아스콘 등으로 포장되어 투수 및 통기조건이 매우 불량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완전히 없어져 버린 노거수도 1종이 조사되었다.

화분매개곤충과 인공수분이 '신고' 배의 과실품질과 수익성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Insect Pollination and Artificial Pollination on Fruit Quality and Economic Profit in the 'Niitaka' Pear (Pyrus pyrifolia Nakai))

  • 이경용;임순희;서호진;김선영;윤형주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759-771
    • /
    • 2016
  • 꽃가루가 없는 '신고' 배에서 화분매개곤충의 수분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망실과 노지에서 꿀벌, 서양뒤영벌과 인공수분 간의 과총착과율과 수확물 특성을 비교하였다. 수분방법별 착과율을 조사한 결과, 망실에서는 인공수분이 77.1%로 서양뒤영벌보다 1.3배, 꿀벌보다 1.9배 높았다. 노지에서는 인공수분이 38.4%로 서양뒤영벌과 꿀벌보다 1.2배, 1.3배 높았다. 장소별로는 망실이 노지보다 1.3-2.2배 높은 과총착과율을 보여주었다. 화분매개곤충 별로는 서양뒤영벌이 꿀벌보다 같거나 1.5배 높은 과총착과율을 나타내었다. 수확물 특성을 조사한 결과, 인공수분이 과실 크기, 무게가 꿀벌보다 화분매개곤충보다 5-10% 정도 높고, 과형지수도 2-3%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경제성 분석결과, 인공수분 대비 순수익지수가 서양뒤영벌은 97.0%, 꿀벌은 93.1%로 나타났다. 따라서, 화분이 나오지 않는 '신고' 배에서 인공수분이 화분매개곤충보다 더 효과적이지만, 과실품질과 경제성을 고려할 때, 인공수분을 대체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조경식물의 식재와 이용 - 원주시와 횡성군을 중심으로 - (Analysis of the Planting and Use of Landscaping Plants - Focused on Weonju and Hoengseong -)

  • 원종화;정진형;김창섭;이기의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21권1호
    • /
    • pp.34-58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강원도 원주시와 횡성군내에 식재 활용 되고 있는 조경 식물의 이용 상황을 조사 분석하여 현재 어떠한 식물이 어떻게 이용되고 있는가를 파악함으로서 그 이용방법에 대한 개선 방안을 모색하고 아울러 원주시와 횡성군의 아름다운 경관 형성을 위한 관리 방법 등을 제시하였다.

  • PDF

Genome Research on Peach and Pear

  • Hayashi, Tateki;Yamamoto, Toshiya
    • 한국식물생명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식물생명공학회 2002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01-109
    • /
    • 2002
  • A lot of SSRs (simple sequence repeats) in peach and pear from enriched genomic libraries and in peach from a cDHA library were developed. These SSRs were applied to other related species, giving phenograms of 52 Prunus and 60 pear accessions. Apple SSRs could also be successfully used in Pyrus spp. Thirteen morphological traits were characterized on the basis of the linkage map obtained from an Fa population of peach. This map was compiled with those morphological markers and 83 DHA markers, including SSR markers used as anchor loci, to compare different peach maps. Molecular markers tightly linked to new root-knot nematode resistance genes were also found. A linkage map including disease-related genes, pear scab resistance and black spot susceptibility, in the Japanese pear Kinchaku were constructed using 118 RAPD markers. Another linkage map, of the European pear Bartlett, was also constructed with 226 markers, including 49 SSRs from pear, apple, peach and cherry. Maps of other Japanese pear cultivars, i.e., Kousui and Housui, were also constructed. These maps were the first results of pear species.

  • PDF

Species-specific Detection of Erwinia pyrifoliae by PCR Assay Using Enterobacterial Repetivive Intergenic Consensus (ERIC) Primers

  • Park, Duck-Hwan;Thapa, Shree Prasad;Kim, Won-Sik;Hur, Jang-Hyun;Lim, Chun-Keun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26권3호
    • /
    • pp.267-270
    • /
    • 2010
  • We designed a sensitive and specific PCR-based method with enterobacterial repetitive intergenic consensus (ERIC) primer to detect Erwinia pyrifoliae, which cause shoot blight in Asian pear, from a mixed culture and infected plant materials. The primers specifically detected only E. pyrifoliae and showed no cross-reactivity with other bacterial phytopathogens.

종에 따른 배나무 열매의 항산화 활성 비교 (Comparison of Antioxidant Effects of Different Korean Pear Species)

  • 이철희;신소림;김나래;황주광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253-259
    • /
    • 2011
  • 본 연구는 한국에서 많이 재배하는 배나무속(Pyrus)의 신고배(P. pyrifolia var. culta)와 한국산 야생배 5종의 항산화 물질의 함량 및 항산화 활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돌배나무(P. pyrifolia), 취앙네(P. ussuriensis var. acidula), 백운배나무(P. ussuriensis var. hakunensis), 문배나무(P. ussuriensis var. seoulensis), 무심이배(P. ussuriensis var. seoulensis) 등 5종류의 한국산 야생배와 신고배의 페놀성 물질의 함량을 분석한 결과, 총 폴리페놀의 함량은 신고배(76.8 $mg{\cdot}g^{-1}$, D.W.), 총 플라보노이드의 함량은 취앙네(1.12 $mg{\cdot}g^{-1}$, D.W.)에서 가장 많았다. 식물의 종류에 따라 총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의 함량은 각기 달랐으나, P. pyrifiolia 계통에서는 총 폴리페놀의 함량이 총 플라보노이드의 함량보다 많고, P. ussuriensis 계통에서는 총 플라보노이드의 함량이 총 폴리페놀의 함량 보다 많은 경향을 보였다. DPPH radical 소거활성은 문배나무($RC_{50}$=1.45 $mg{\cdot}mL^{-1}$), ABTS radical 소거활성은 취앙네($RC_{50}$=0.69 $mg{\cdot}mL^{-1}$)에서 가장 우수하였다. 신고배는 총 폴리페놀의 함량이 가장 높았으나 DPPH와 ABTS radical 소거활성은 가장 낮았으며, 문배나무의 과실은 페놀성 물질의 함량은 낮았으나 radical 소거능이 우수한 특징을 보였다. $Fe^{2+}$ chelating은 radical 소거능이 낮았던 신고배(95.93%)와 무심이배(68.71%)에서 우수하였다. 따라서 야생배의 페놀성 물질의 함량은 radical 소거활성과 반드시 비례하지 않으며, 추출물의 radical 소거활성 또한 $Fe^{2+}$ chelating 활성과 비례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의 결과, 한국산 야생배 중 취앙네, 문배나무, 무심이 배의 과실은 신고배보다 항산화활성이 우수하거나 유사한 것으로 나타나 항산화 기능성 천연소재로 활용가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들은 각기 우수한 항산화 활성이 다르므로 단독으로 사용하기 보다는 함께 이용하여 항산화활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생각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