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yro

검색결과 163건 처리시간 0.024초

An Analysis of Constraints on Pyroprocessing Technology Development in ROK Under the US Nonproliferation Policy

  • Jae Soo Ryu
    • 방사성폐기물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383-395
    • /
    • 2023
  • Since 1997, the Republic of Korea (ROK) has been developing pyro-processing (Pyro) technology to reduce the disposal burden of high-level radioactive waste by recycling spent nuclear fuel (SNF). Compared to plutonium and uranium extraction process, Korean Pyro technology has relatively excellent proliferation resistance that cannot separate pure plutonium owing to its intrinsic characteristics. Regarding Pyro technology development of ROK, the Bush administration considered that Pyro is not reprocessing under the Global Nuclear Energy Partnership, whereas the Obama administration considered that Pyro is subject to reprocessing. However, the Bush and Obama administrations did not allow ROK to conduct full Pyro activities using SNF, even though ROK had faithfully complied with international nonproliferation obligations. This is because the US nuclear nonproliferation policy to prevent the spread of sensitive technologies, such as enrichment and reprocessing, has a strong effect on ROK, unlike Japan, on a bilateral level beyond the NPT regime for non-proliferation of nuclear weapons.

노즈캡 분리장치 성능 연구 (Design and Evaluation of Opening Devices of Separable Nose Cap)

  • 강춘길;이동민;박근수
    •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01-108
    • /
    • 2015
  • In this paper, we have proposed a separable nose cap and its opening device to protect a seeker's window from aerodynamic heating and to decrease the drag force on missile body. The nose cap should be promptly deployed to secure the view field of seeker when it is needed. This cap consists of two nose cap structures and separation devices such as pyro puller and pusher. The performance of pyro puller was fully verified through analyses and several kinds of operating tests. We can obtain a sufficient confidence level of the pyro puller through many operating tests under various environments.

Pyro를 사용한 지능형로봇 시스템 시뮬레이션 환경구축 사례연구 (A Case Study on Building AI robotics Simulation environment using Pyro)

  • 이병준;우균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7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34 No.2 (B)
    • /
    • pp.379-382
    • /
    • 2007
  • 지능형로봇 산업은 큰 성장 잠재력을 가진 신산업이다. 하지만 로봇을 개발하기 위해서 설계, 구현 단계에서 실제 로봇을 사용하기 어려워 시뮬레이션 환경이 많이 사용된다. Pyro 프로젝트는 파이썬 언어로 작성된 로봇 시뮬레이션 및 제어 환경이다. Player/Stage 프로젝트는 C와 C++로 작성된 로봇 시뮬레이션 및 제어 환경이다. Pyro 프로젝트는 Player/Stage 통합환경을 제공하여 Pyro를 사용하는 것과 같이 Player/Stage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Pyro와 Stage 시뮬레이터를 이용한 시뮬레이션 환경을 구축하고 적용사례 등을 서술한다.

  • PDF

압력카트리지를 이용한 파이로 분리장치 개발 (The Development of Pyrotechnically Releasable Mechanical Linking Device Using Pressure Cartridge)

  • 김동진;이응조;고영균
    • 한국추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추진공학회 2011년도 제37회 추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340-343
    • /
    • 2011
  • 지금까지 많은 파이로 분리장치들이 우주 발사체 및 유도무기에 사용되고 있다. 이중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분리장치가 폭발볼트이다. 폭발볼트는 볼트내에 화약이 내장되고 작동시 내장된 화약이 폭발하면서 볼트 몸체가 절단되기 때문에 작동시 파이로충격과 미세한 파편이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점으르 보완하기 위해 화약 연소시 발생되는 압력을 이용하여 구조물을 작동시켜 분리가 될 수 있는 Pyro-lock을 설계하게 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Pyro-lock의 작동개념, 부품 설계, 압력카트리지 위력 결정, 분리성능 및 내환경성 평가를 통하여 Pyro-lock의 작동 및 결합 신뢰도를 확인하였으며 이와 유사한 작동메커니즘을 갖는 분리장치를 설계하고 평가할 수 있는 개발절차를 제시하였다.

  • PDF

우주비행체 분리장치 작동에 의한 충격현상 모의 시험기 개발 (Development of Shock Testing M/C to Simulate Pyro-technic Device Explosion of Space vehicle)

  • 김홍배;오진호;문상무;우성현;이상설
    • 한국소음진동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소음진동공학회 2000년도 추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581-586
    • /
    • 2000
  • Explosively activated pyro-technic device is used to release exhausted rocket booster or payloads at prescribed times in the rocket's flight. It creates pyro-shock environment that rocket or payload components must survive. With the shock spectra acquired from flight data, laboratory test should be performed before flight to check whether all of component can sustain the shock environment. The pyro-shock environment simulation was created by the resonance fixture response to a projectile impact. Desired shock spectra is realized by adjusting the natural frequency of resonance plate and the velocity of impact hammer. This paper describes the development process of Pyro-shock testing machine, which is designed and tested by Korean engineers, to verify components of Korean Sounding Rocket(KSR-3) and the other Korean space vehicle. Both analytical and experimental techniques are introduced in this paper.

  • PDF

효과적인 로봇 프로그래밍 교육을 위한 Pyro 플랫폼 비교 (Pyro platform comparison for effective education of robot programming)

  • 송주원;우균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0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272-275
    • /
    • 2010
  • 인간이 하기 힘들거나 번거로운 작업은 지능형 로봇이 대체하고 있다. 하지만 로봇을 개발하기 위해서 설계, 구현 단계에서 실제 로봇을 사용하기 어려워 시뮬레이션 환경이 많이 사용된다. 실제 로봇을 사용할 경우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들며 개발에 실패하거나 문제가 생겼을 경우 위험부담이 크다. 그러므로 위험부담을 줄이고 개발기간을 단축하기 위해서 실제 구성될 환경과 동작 환경을 고려한 시뮬레이션 환경이 로봇 제어 프로그램 개발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Pyro는 교육과 개발의 용도로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로봇에 대한 세부적인 지식이 없더라도 제어 프로그램을 충분히 구현할 수 있어 시뮬레이션 환경으로 적합한 로봇 개발 플랫폼이다. 본 논문에서는 Pyro에 대해서 알아보고 Pyro 플랫폼들을 비교해본다.

발사체 탑재용 파이로 충격기록장치 개발 및 시험 (Development of On Board Pyro-Shock Recorder for Launch Vehicle)

  • 김주년;정혜승;이재득;김보관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33권5호
    • /
    • pp.65-71
    • /
    • 2005
  • 인공위성 발사체의 파이로 충격 데이터는 환경시험 조건의 기준을 마련하고 또한 구조적인 강인성을 확인하기 위해 원격측정 데이터로 지상으로 송신되어야 한다. 본 논문은 발사체 탑재를 위한 충격기록장치의 초기 개발모델 설계, 개발 그리고 성능시험 결과에 대하여 기술하고 있다. 충격기록장치는 원격측정 데이터 전송률의 제한적 요소로 인해 고속으로 샘플된 데이터를 저장하였다가 저속으로 KSLV-I 원격측정 시스템으로 전송하도록 설계하였다. 충격기록장치의 회로 부분에서는 필터설계와 신호 대 잡음비를 최대화하기 위한 신호 조절부등이 설계되었다.

혼합 인산염의 첨가가 어류 연육의 기능적 성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hosphate Complex on the Functional Properties of Fish Meat paste)

  • 우상규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544-548
    • /
    • 1997
  • 인산염의 첨가가 조기 및 갈치연육의 보수력 및 단백질의 용출성에 미치는 영향과 가열처리 후에 조기육을 원료로 가공한 어묵의 texture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인산염을 첨가하지 않은 대조구와 4종의 시판 복합 인산염을 첨가수준별로 사용했을 때의 기능적 성질을 분석 검토하였다. 연육의 보수력 및 염용성 단백질량은 조기연육에는 인산염 B(sodium pol-phosphate 50%, sodium pyro-phosphate 20%, sodium tetra meta-phosphate 20%, sodium acid pyro-phosphate 5%, sodium ultra meta-phosphate 5%)를, 갈치연육에는 인산염 C(sodium poly-phosphate 40%, sodium pyro-phosphate 30%, potassium pyro-phosphate 15%, sodium tetra meta-phosphate 10%, hexa meta-phosphate 5%)를 각각 0.4% 첨가한 경우가 가장 효과적이었고 그 때의 염용성 단백질의 용출량은 조기연육이 954mg%, 갈치연육이 686mg%였다. 조기육을 원료로 하여 가공한 어묵의 적정 가열조건은 85$^{\circ}C$에서 45분간 가열한 것이 조직감이 양호하였다. 한편 121$^{\circ}C$에서 10분간 가열한 경우는 C 인산염이 다른 인산염에 비하여 어육 단백질의 열안 정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연소충격 격리용 완화부품 설계 (Design of Compliant Joint for Pyro-shock Isolation)

  • 한혁섭;임대현;김진용;이영원;박성한
    • 한국추진공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8-13
    • /
    • 2016
  • 연소충격완화부품은 폴리우레탄과 같은 완화소재를 사용하여 진동을 격리함으로써 추진기관이나 화공품 연소로 발생한 충격에 의해 로켓의 전자장비가 작동하지 않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한다. 연소충격완화부품의 성능은 굽힘 고유진동수와 전달률을 측정하여 판단할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 동일한 추진기관의 해외 연구결과를 통한 기준 모델의 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굽힘 고유진동수와 전달률에 대한 설계요구조건을 수립하였으며, 충분한 충격완화특성을 가지는 완화소재를 개발하여 새로운 로켓에 적합한 연소충격완화부품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는 완화소재 및 성능 측정 방법을 이용하여 연소충격완화부품을 개발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다.

산화성 고온 리튬용융염계 분위기에서 Pyro-Carbon의 부식거동 (Corrosion Behavior of Pyro-Carbon in Hot Lithium Molten Salt Under an Oxidation Atmosphere)

  • 임종호;최정묵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23-127
    • /
    • 2013
  • The electrolytic reduction of a spent oxide fuel involves liberation of the oxygen in a molten LiCl electrolyte, which is a chemically aggressive environment that is too crosive for typical structural materials. Therefore, it is essential to choose the optimum material for the process equipment for handling a molten salt. In this study, the corrosion behavior of pyro-carbon made by CVD was investigated in a molten LiCl-$Li_2O$ salt under an oxidation atmosphere at $650^{\circ}C$ and $750^{\circ}C$ for 72 hours. Pyro-carbon showed no chemical reactions with the molten salt because of its low wettability between pyro-carbon and the molten salt. As a result of XRD analysis, pyro-carbon exposed to the molten salt showed pure graphite after corrosion tests. As a result of TGA, whereas the coated layer by CVD showed high anti-oxidation, the non-coated layer showed relatively low anti-oxidation. The stable phases in the reactions were $C_{(S)}$, $Li_2CO_{3(S)}$, $LiCl_{(l)}$, $Li_2O$ at $650^{\circ}C$ and $C_{(S)}$, $LiCl_{(l)}$, $Li_2O_{(S)}$ at $750^{\circ}C$. $Li_2CO_{(S)}$ was decomposed at $750^{\circ}C$ into $Li_2O_{(S)}$ and $CO_{2(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