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yrazosulfuron-ethyl

검색결과 40건 처리시간 0.019초

Flucetosulfuron+pyrazosulfuron-ethyl 합제의 다년생 사초과 및 sulfonylurea계 저항성 잡초 방제효과 (Herbicidal efficacy of flucetosulfuron+pyrazosulfuron-ethyl in controlling perennial sedges and sulfonylurea resistant weeds)

  • 황기환;김도순;이종남;구석진
    • 농약과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320-328
    • /
    • 2006
  • 본 연구는 flucetosulfuron+pyrazosulfuron-ethyl 합제의 다년생 사초과잡초인 올방개, 새섬매자기에 대한 경엽처리시 제초활성 및 sulfonylurea계 저항성 잡초인 물달개비, 올챙이고랭이의 효율적 방제를 위한 bentazone, 2,4-D와의 혼합 경엽처리효과를 구명하고자 수행되었다. Flucetosulfuron+pyrazosulfuron-ethyl 추천량의 올방개 방제효과는 처리 29일차에 75%로 bentazone+MCPA의 95%보다 낮았지만 처리 60일차에는 90%로 bentazone+MCPA의 78%보다 현저히 높았으며, penoxsulam에 비해서는 전시기에 걸쳐 높았다. 새섬매자기에 대한 flucetosulfuron+pyrazosulfuron-ethyl 합제의 방제효과는 bentazone+MCPA 보다는 낮았지만 penoxsulam보다는 높았다. 제초제 경엽처리시 수심 조건에 따른 올방개와 피의 제초효과를 비교한 결과 flucetosulfuron+ pyrazosulfuron-ethyl은 담수심 조건에 관계없이 높은 올방개 및 피 방제효과가 확인되었다. 그러나 penoxsulam, bentazone+MCPA, cyhalofop+bentazone의 경우는 완전배수조건에서는 평가한 제초제 모두 높은 제초효과를 보인 반면 5 cm 담수조건에서는 제초효과가 현저히 감소되었다. Flucetosulfuron+pyrazosulfuron-ethyl은 sulfonylurea계 저항성 물달개비와 올챙이고랭이를 충분히 방제하지 못하였으나 bentazone과 2,4-D를 각각 추천량의 2/3약량 이상 혼합하여 살포하였을 때 효과적으로 방제하였다.

직파(直播)벼의 제초제(除草劑) 약해(藥害) 요인(要因)과 회복(回復)에 관한 연구(硏究) - I. 약해(藥害)의 변동(變動) 요인(要因) (Factors and Recovery of Herbicide Phytotoxicity on Direct - seeded Rice - I. Variation Factors of Phytotoxicity)

  • 임일빈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292-300
    • /
    • 1996
  • 벼 담수직파시 제초제에 의한 약해의 원인을 구명하고자 온도, 용액의 pH, 수심, 토성 및 영양(營養)의 유무(有無) 등의 조건하에서 실험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Bensulfuron methyl 및 pyrazosulfuron-ethyl 처리는 20/$11^{\circ}C$에서 30/22$^{\circ}C$에서보다 벼 생육 억제 정도가 컸으며, 특히 근부(根部)에서 현저히 컸다. Dimepiperate 및 molinate 처리는 저온 (20/$11^{\circ}C$) 고온(30/$22^{\circ}C$) 에서 생육억제 정도가 컸으며 경엽부(莖葉部)에서 현저하였다. 2. 무영양(無營養) 조건에서는 bensulfuron methyl 처리에서, 영양(營養)조건 에서는 pyrazosulfuron-ethyl의 처리에서 생육 억제 정도가 컸다. 3. pH3.5, 5.5, 7.5 및 9.5 용액에 bensulfuron methyl 및 pyrazosulfuron-ethyl 처리시 벼 생육은 pH3.5 및 5.5의 낮은 pH에서 저조하였으며, 무처리 대비한 생육 억제정도는 bensulfuron methyl 처리는 pH5.5 및 7.5에서 pyrazosulfuron-ethyl 처리는 pH7.5 및 pH9.5에서 낮았다. 4. 수심 6cm의 심수조건에 bensulfuron methyl 및 pyrazosulfuron-ethyl 처리시는 근부(根部)의 생육이, dimepiperate 및 molinate의 처리는 경엽부(莖葉部)의 생육이 크게 억제되었으며, 특히 dimepiperate처리는 90% 정도 억제되었다. 또한 pyrazosulfuron-ethyl+molinate의 처리에서 bensulfuron methyl+dimepiperate 처리보다 경엽부(莖葉部)의 억제정도가 컸다. 5. Pyrazosulfuron-ethyl 처리는 무비구는 식양토에서, 시비구는 사양토에서 생육저해 정도가 컸으며, bensulfuron methyl 처리는 사양토에서 생육이 저조한 경향이었다.

  • PDF

직파(直播) 벼의 제초제(除草劑) 약해(藥害) 요인(要因)과 회복(回復) 연구(硏究) - 3. 비료 3요소에 따른 약해 발생 특성 (Factors and Recovery of Herbicide Phytotoxicity on Direct - seeded Rice - 3. Phytotoxicity of Herbicide by Three Elements of Fertilizer)

  • 임일빈;;조수연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20-27
    • /
    • 1998
  • 직파 벼에서 몇가지 제초제의 약해에 대한 비료 3요소의 영향을 검토하기 위하여 일반계 품종인 동진벼(Oryza sativa L. japonica cv dongjin)를 공시하여 시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비료 3요소와 각 요소 혼합용액에서 제초제 처리에 의한 벼의 생육 억제 반응은 질소 및 질소 + 칼리 용액에서는 pyrazosulfuron-ethyl 과 pyrazosulfuron-ethyl+molinate처리에서 bensulfuron methyl과 bensulfuron methyl+dimepiperate처리에서보다 전체적으로 경엽 및 근부의 생육 억제 정도가 컸다. 인산 및 인산+칼리용액에서는 bensulfuron methyl 및 bensulfuron methyl+dimepiperate처리에서 pyrazosulfuron-ethyl 및 pyrazosulfuron-ethyl+molinate처리보다 생육의 억제정도가 큰 편이었다. 또한 질소+인산 및 질소+인산+칼리용액에서는 경엽부는 pyrazosulfuron-ethyl 및 pyrazosulfuron-ethyl+molinate처리에서 뿌리 부분은 bensulfuron methyl 및 bensulfuron methyl+dimepiperate처리에서 생장억제율이 상대적으로 큰 경향이었다. thiocabamate계인 dimepiperate과 molinate의 처리는 전체 비료 용액에서 초장 신장을 억제시켰으며 근부는 질소+인산용액에서 생육이 가장 억제되었으나 대체로 억제정도는 경엽부보다 낮았다. pyrazosulfuron-ethyl과 bensulfuron methyl 및 그의 혼합 처리에서는 질소농도가 높을수록 생육 억제정도가 컸으며, 비료 3요소 중 인산 결핍시 생육 억제정도가 가장 큰 경향이었다.

  • PDF

Control of Sulfonylurea Herbicide-Resistant Lindernia dubia in Korean Rice Culture

  • Kuk, Yong-In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7권4호
    • /
    • pp.328-334
    • /
    • 2002
  • A Lindernia dubia (L.) Pennell var. dubia accession from Jeonnam province, Korea was tested for resistance to sulfonylurea (SU) herbicides, imazosulfuron and pyrazosulfuron-ethyl in whole-plant response bioassay. The accession was confirmed resistant to both herbicides. The $GR_{50}$ (herbicide concentration that reduced shoot dry weight by 50%) values of resistant accession were 264 and 19 times higher to imazosulfuron and pyrazosulfuronethyl, respectively, than that of the standard susceptible accession. The surviving resistant L. dubia after pyrazosulfuron-ethyl + molinate application can be controlled by sequential applications of soil-applied herbicides, butachlor, dithiopyr, pyrazolate, and thiobencarb and foliar herbicides, bentazon. Sulfonylurea-based mixtures such as mixtures of azimsulfuron + anilofos, bensulfuron-methyl + oxadiazon, pyrazosulfuron-ethyl + fentrazamide, and pyrazosulfuron-ethyl + anilofos + carfentrazon can also be used to control the surviving resistant L. dubia. However, use of these mixtures should be restricted to a special need basis. Thus, we suggest that sequential applications of non-SU-based mixtures such as butachlor + pyrazolate and MCPB + molinate + simetryne be used to control the surviving resistant L. dubia after SU herbicide applications. Rice yield was reduced 24 % by resistant L. dubia that survived after the pyrazosulfuron-ethyl + molinate application compared with pyrazolate + butachlor in transplanted rice culture. In vitro ALS activity of the resistant biotype was 40 and 30 times more resistant to imazosulfuron and pyrazosulfuron-ethyl, respectively, than the susceptible biotype. Result of in vitro ALS assay that the resistance mechanism of L. dubia to SU herbicides may be due, in part, to an alteration in the target enzyme, ALS.

Cyhalofop-butyl, Bispyribenzoxim 및 Pyrazosulfuron-ethyl의 상호작용효과(相互作用效果) 및 상호작용(相互作用) 기작(機作)에 관(關)하여 - 제(第) 1 보(報) 제초제간(除草劑間)의 상호작용효과(相互作用效果) (Studies on Effect and its Mechanism of Herbicide Mixtures of Cyhalofop-butyl, Bispyribenzoxim and Pyrazosulfuron-ethyl - I. Interaction of Herbicide Mixture)

  • 오명근;김길웅;신동현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54-160
    • /
    • 1998
  • 본(本) 연구(硏究)는 벼 건답직파재배(乾畓直播栽培) 잡초방제(雜草防除)에 우수한 경엽처리형(莖葉處理型) 혼합제초제(混合除草劑)를 선발(選拔)하기 위해 3원(元) 2차(次) UPCCD계획법(計劃法)을 이용(利用)하여 건답직파재배(乾畓直播栽培)에서 문제(問題)가 되고 있는 피, 너도방동사니 등의 잡초(雜草)를 방제대상(防除對象)으로 cyhalofop, bispyribenzoxim, pyrazosulfuron 간(間)의 상호작용(相互作用) 및 혼합효과(混合效果)를 구명(究明)함과 아울러 제초제분야(除草劑分野)에서 UPCCD계획법(計劃法)의 활용가능성(活用可能性)을 검토(檢討)하였다. (1)제초제분야(除草劑分野)에서 직선(直線) 및 2차곡선(次曲線) 관계(關係)를 나타내는 반응(反應)또는 비수식(指數式), 대수식(對數式) 관계(關係)를 나타내는 반응(反應)이라도 혼합제초제(混合除草劑)의 처리량(處理量) 범위(範圍)를 적당(適當)히 선정(選定)하면 UPCC계획법(計劃法)을 응용(應用)하여 제초제간(除草劑間)의 상호작용(相互作用) 및 혼합제(混合劑)의 혼합효과(混合效果) 분석(分析)은 가능(可能)하였다. (2) 제초제(除草劑) cyhalofop, bispyribenzoxim 및 pyrazosulfuron 혼합처리시(混合處理時) 피에 대한 억제효과(抑制效果)는 cyhalofop, bispyribenzoxim, pyrazosulfuron 순(順)이었고 제초제간(除草劑間)에 상가작용(相加作用)이 존재하는 동시(同時)에 cyhalofop와 bispyribenzoxim 간(間)에 역상호작용(逆相互作用)이 존재하여 "부분적 상가작용(相加作用)"이 검정(檢定)되었다. (3) 너도방동사니에 대한 억제효과(抑制效果)는 pyrazosulfuron, bispyribenzoxim 순(順)이었고 cyhalofop의 억제효과(抑制效果)는 인정되지 않았으며, pyrazosulfuron과 bispyribenzoxim 간(間)에는 상가작용(相加作用)이 있었다. (4) 사마귀풀에 대한 억제효과(抑制效果)는 bispyribenzoxim, pyrazosulfuron 순(順)이었고 cyhalofop의 억제효과(抑制效果)는 인정되지 않았으며 bispyribenzoxim과 pyrazosulfuron 간(間)에 상가적작용(相加的作用)이 있었다. 피, 너도방동사니 및 사마귀풀 등의 3종(種) 잡초(雜草)의 $ED_{90}$을 나타내는 cyhalofop+bispyribenzoxim+pyrazosulfuron 적정혼합(適正混合) 처리량(處理量)은 100+12+10g ai/ha 이었다.

  • PDF

Pyrazosulfuron - ethyl과 Imazaquin의 살초작용 비교 (Comparison of Herbicidal Action between Pyrazosulfuron - ethyl and Imazaquin)

  • 황인택;최정섭;김진석;조광연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317-326
    • /
    • 1996
  • Sulfonylurea계 제초제 pyrazoslulfuron-ethyl과 imidazolinone계 제초제 imazaquin을 대상으로 약해발생양상, dymron에 의한 약해경감효과, butachlor와의 상호작용성, ALS에 대한 혼합작용 등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제초제에 의한 벼(동진)의 생장저해증상은 pyrazosulfuron-ehtyl 처리구에서 시간이 경과되면서 회복되었지만 imazaquin 처리구에서는 회복되지 않았다. 2. 높은 농도의 pyrazosulfuron-ehtyl에 의한 벼의 약해는 dymron 혼합처리에 의하여 크게 감소되었지만, IMA에 대해서는 약해경감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3. 혼합처리에 의한 강피의 생장억제효과는 동시 또는 체계처리 모두 동일한 경향으로 pyrazosulfuron-ehtyl과 butachlor은 길항적이었지만 imazaquin과 butachlor은 상가적이었다. 4. Pyrazosulfuron-ehtyl과 imazaquin의 ALS 효소활성 50% 저해농도는 각각 $4{\times}10^{-7}$M, $2.8{\times}10^{-6})$M 이었고 혼합처리할 경우 butachlor은 두 제초제의 ALS 저해작용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를 보면 pyrazosulfuron-ethyl과 imazaquin이 공통적으로 ALS를 저해하지만 살초기작은 서로 다른 것으로 생각되었다.

  • PDF

Photodegradation of Butachlor and Pyrazosulfuron-ethyl in Rice Paddy Water under Natural Sunlight

  • Ok, Junghun;Watanabe, Hirozumi;Cho, Junglai;An, Nanhee;Lee, Byungmo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134-137
    • /
    • 2014
  • BACKGROUND: Dissipation of herbicides in paddy water varies significantly, being dependent on environmental conditions such as sunlight. The photodegradation under natural sunlight may be one of natural degradation routes of herbicides dissipation. Therefor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monitor the degradation of butachlor and pyrazosulfuron-ethyl in paddy water under natural sunlight. METHODS AND RESULTS: The 12 water sample bottles of treatment were covered by quart glass plates, which allow about 90% of UV radiation (280-2000 nm) to pass through, to minimize the UV attenuation. The other 12 water sample bottles of the control were covered by glass lids and wrapped with aluminum foils to prevent the sunlight. The concentration of butachlor and pyrazosulfuron-ethyl in paddy water samples bottles was monitored under ambient conditions with and without natural sunlight. The concentration of butachlor and pyrazosulfuron-ethyl for treatment decreased from $355.3{\mu}g/L$ to $37.8{\mu}g/L$ and from $10.5{\mu}g/L$ to $3.9{\mu}g/L$, respectively, during consecutive 21 days after herbicide application under natural sunlight. CONCLUSION: The concentration of butachlor in paddy water decreased quickly under ambient conditions with natural sunlight. The degradation of butachlor in paddy water was enhanced by the natural sunlight. However, the degradation of pyrazosulfuron-ethyl was insignificant under natural sunlight.

Evaluation of the Genetic Toxicity of Synthetic Chemicals (XI) - a Synthetic Sulfonylurea Herbicide, Pyrazosulfuron-ethyl-

  • Ryu, Jae-Chun;Kim, Eun-Young;Kim, Young-Seok;Yun, Hye-Jung
    • 한국환경성돌연변이발암원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33-39
    • /
    • 2004
  • To validate and to estimate the chemical hazard playa very important role to environment and human health. The detection of many synthetic chemicals including agrochemicals that may pose a genetic hazard in our environment is of great concern at present. Since these substances are not limited to the original products, and enter the environment, they have become widespread environmental pollutants, thus leading to a variety of chemicals that possibly threaten the public health. Pyrazosulfuron-ethyl [Ethyl-5-(4,6-dimethoxypyrimidin-2-ylcarbamoylsulfamoyl)-1-methylpyrazole-4-carboxylate, $C_{14}H_{18}N{6}O_{7}S,$ M.W. =414.39, CAS No. 93697-74-6], is one of well known rice herbicide belong in the sulfonyl urea group. To clarify the genotoxicity of this agrochemical, Ames bacterial reversion assay, in vitro chromosomal aberration assay with Chinese hamster lung (CHL) fibroblast and bone marrow micronucleus assay in mice were subjected. In Ames assay, although pyrazosulfuron-ethyl revealed cytotoxic at 5,000-140 $\mug/plate$ in Salmonella typhimurium TA100, no dose-dependent mutagenic potential in 4.4~70 $\mug/plate$ of S. typhimurium TA 98, TA 100, TA1535 and TA 1537 both in the absence and presence of S-9 metabolic activation system was observed. Using CHL fibroblasts, the 50% cell growth inhibition concentration $(IC_{50})$ of pyrazosulfuron-ethyl was determined as 1,243 $\mug/mL,$ and no chromosomal aberration was observed both in the absence and presence of S-9 mixture in the concentration range of 311-1,243 $\mug/mL.$ And also, in vivo micronucleus assay using mouse bone marrow, pyrazosulfuron-ethyl revealed no remarkable induction of MNPCE (micronucleated polychromatic erythrocytes/1000 polychromatic erythrocytes) in the dose range of 625-2,500 mg/kg body weight when administered orally. Consequently, Ames bacterial gene mutation with Salmonella typhimurium, in vitro chromosome aberration with mammalian cells and in vivo bone marrow micronucleus assay revealed no clastogenic potential of pyrazosulfuron-ethyl in this study.

  • PDF

Sulfonylurea계(系)와 pyrazol계(系) 제초제(除草劑)의 벗풀에 대(對)한 살초기작(殺草機作) (Effect of Sulfonylurea and Pyrazol Herbicides on the Control of Sagittaria Trifolia)

  • 신현승;박재읍;이한규;류갑희;이정운;전재철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12-119
    • /
    • 1994
  • 본(本) 시험(試驗)은 벗풀 우점도(優占度)의 지속적(持續的) 증가(增加) 원인인(原因)과 효과적(效果的)인 방제법(防除法)을 밝히고자 수행하였다. 1. Sulfonylurea계(系) 제초제(除草劑) 관행처리시(慣行處理時) 벗풀은 일정(一定) 기간(期間)동안 생육억제(生育柳制) 후(後) 재생(再生)되었다. 2. Pyrazolate에 의한 벗풀의 살초범위(殺草範圍)는 7엽기(葉期) 전개(展開) 이전(以前)이었다. 3. Pyrazolate에 대한 벗풀의 살초범위(殺草範圍)와 괴경(塊莖)의 크기 및 탄수화물(炭水化物) 소비량(消費量)과는 상관(相關)이 없었다. 4. Pyrazosulfuron-ethyl과 pyrazolate 일차(一次) 처리(處理) 후(後) 이들 제초제(除草劑)의 체계처리시(體系處理時) 벗풀 괴경형성(塊莖形成)이 95% 이상(以上) 억제(抑制)되었다.

  • PDF

직파(直播) 벼의 제초제(除草劑) 약해(藥害) 요인(要因)과 회복(回復) 연구(硏究) - 2. 영양(營養) 조건(條件)에 따른 약해(藥害) (Factors and Recovery of Herbicide Phytotoxicity on Direct-seeded Rice - 2. Phytotoxicity of Herbicide with Nutrient Condition)

  • 임일빈;구정건이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24-30
    • /
    • 1997
  • 담수 직파 벼에서 최근 많이 사용하고 있는 제초제들의 영양(營養) 유무(有無)에 따른 약해 반응을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Bensulfuron-methyl, pyrazosulfuron-ethyl 및 imazosulfuron의 처리는 경엽부(莖葉部)보다 근부(根部)의 생육을 크게 억제시켰으며 영양(營養) 조건 재배에서 무영양(無營養) 조건의 재배에서보다 생육 억제 정도가 컸다. 또한 영양(營養) 재배와 무영양(無營養) 재배에서 벼 생육 억제율(抑制率)의 차이는 pyrazosulfuronethyl의 처리에서 가장 컸다. 2. Dimepiperate의 처리는 경엽부(莖葉部) 근부(根部) 모두 무영양(無營養) 조건에서 생육 저해 정도가 컸으며, 근부(根部)보다 경엽부(莖葉部)의 생육을 크게 억제시켰으며, 특히 초장신장이 크게 억제되었다. 3. Molinate 처리는 경엽부(莖葉部)의 억제율(抑制率)이 근부(根部)보다 컸으며 경엽부(莖葉部)는 영양(營養)조건에서, 근부(根部)는 무영양(無營養) 조건에서 생육 억제율(抑制率)이 큰 경향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