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umpkin

검색결과 344건 처리시간 0.033초

호박분말 효소가수분해물의 항산화활성 (Antioxidant Activities in Enzymatic Hydrolysates of Pumpkin Powder (Cucurbita spp.))

  • 오창경;김명철;오명철;양태석;현재석;김수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172-178
    • /
    • 2010
  • 본 연구는 늙은호박, 단호박 및 애호박을 다양한 탄수화물 분해효소로 소화하여 조제한 효소가수분해물의 총 폴리페놀 함량과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였다. 조회분, 조단백질 및 조섬유는 애호박이 높았으며, 탄수화물은 단호박이 높았고, 조지방은 서로 비슷하였다. 애호박 분말의 모든 효소처리군의 총 폴리페놀 함량은 늙은호박과 단호박의 가수분해물에 비하여 좀 더 높았다. 애호박 분말의 AMG와 Termamyl 소화로 조제된 효소가수분해물의 DPPH 유리기 소거활성 또한 늙은호박 및 단호박에 비하여 매우 높게 나타났다. 한편, Visozyme 처리 가수분해물을 제외한 늙은호박과 단호박의 대부분 가수분해물은 애호박보다 더 높은 superoxide anion 소거활성을 나타내었다. 애호박 가수분해물(Ultraflo 예외)의 hydrogen peroxide 소거활성은 다른 호박의 효소 분해물 보다 약간 높았으나, hydroxyl radical 소거활성은 모든 호박 품종에서 14% 미만으로 낮았다. Nitric oxide 소거활성은 단호박 및 애호박의 Viscozyme 분해물에서 매우 효과적이었으며, 다른 효소가수분해물의 경우에도 BHT보다는 낮았으나 $\alpha$-tocopherol보다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반응표면분석법에 의한 늙은 호박 추출조건의 모니터링 (Monitoring on Extraction Conditions of Old Pumpkin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 정용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466-470
    • /
    • 2001
  •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was used for monitoring extraction conditions, based on quality properties of old pumpkin extracts. Hunter's color L value of extracts was maximized at 101℃, 2.6 hr and decreased gradually after maximum point. The polynomial equation for Hunter's color L value showed 10% of significance level and 0.8799 of R². Hunter's color a value was minimized at 117℃, 3.9 hr and R² of polynomial equation was 0.9852 within 1% significance level. Hunter's color b value and ΔE value increased as the extracting temperature and time increased. Extraction yield of old pumpkin was maximized at 110℃, 4 hr and increased in proportional to the extracting temperature and time, but decreased after 113℃ and 2 hr. Viscosity of pumpkin extracts were maximized at 120℃, nearly 3 hr. R² of polynomial equations for yield, viscosity and sugar content were 0.9532, 0.9812 and 0.8869, respectively. Optimum ranges of extraction conditions for quality properties of old pumpkin were 102∼109℃, 2.5∼3.5 hr, respectively. Predicted values at the optimum extraction condition agreed with experimental values.

  • PDF

Suppressive Effects of Coumarins on Pumpkin Seedling Growth and Glutathione S-Transferase Activity

  • Hossain, Md. Daud;Li, Jing;Guo, Shirong;Fujita, Masayuki
    • Journal of Crop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1권3호
    • /
    • pp.187-192
    • /
    • 2008
  • The effects of some coumarins(coumarin, 7-hydroxycoumarin, scopoletin and esculetin) were investigated on pumpkin(Cucurbita maxima Duch.) seedlings and on pumpkin glutathione S-transferases(GSTs). Coumarin and esculetin suppressed the growth of seedlings, especially the elongation of roots as well as hypocotyls. Among the compounds tested, only esculetin inhibited the activity of a particular pumpkin GST by 50%, CmGSTU3 toward 1-chloro-2, 4- dinitrobenzene(CDNB) and at a concentration of 22 ${\mu}M$. Both ethylacetae(EtOAc) and water fractions in pumpkin seedlings and different organs of one-month-old pumpkin plants contained esculetin or similar hydrophobic fluorescent substances as well as hydrophilic substances, which showed different degrees of inhibitory effects on CmGSTU3 activity.

  • PDF

제조방법을 달리한 호박떡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pumpkin rice cake prepared by different cooking methods)

  • 윤숙자;안현주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36-39
    • /
    • 2000
  • 제조법을 달리한 호박떡의 기계적 측정 및 관능적 특성을 통해 품질평가를 하였다. 호박떡의 수분함량은 제조방법에 따른 차이를 나타냈는데, 단호박을 쌀가루와 함께 빻아 만든 경우의 경우 가장 수분함량이 높았다. 색도의 경우 L 값은 단호박을 쌀가루와 함께 내려 제조한 단호박을 쌀가루와 함께 빻아 만든 경우가 유의적으로 낮았으며, a값과 b값은 단호박을 쪄서 가루에 섞는 방법으로 만든 경우, 단호박을 삶아서 가루에 섞는 경우 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는 carotenoids계 색소의 영향으로 제조방법에 따라 그 차이를 보였다. Two bite compression test에 의한 물성특성치를 살펴보면, hardness, gumminess, chewiness 등이 단호박을 쌀가루와 함께 빻아 만든 경우가 단호박을 쪄서 가루에 섞는 방법으로 만든 경우, 단호박을 삶아서 가루에 섞는 경우 보다 유의적으로 낮은 수치를 보였고, cohesiveness 및 springiness는 각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관능검사 결과에서는 항목별로 유의적인 차이 (p<0.05)를 나타냈는데, 모든 항목, 즉 color, flavor, taste, moistness, consistency, overall acceptance에서 단호박을 쌀가루와 함께 빻아 만든 경우를 선호하는 결과를 보여 가장 기호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기계적 물성치와 관능적 물성치를 비교해 볼 때, 떡의 조직감이 견고한 것 보다는 부드러운 것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산후부종(産後浮腫)의 호박(琥珀)과 남과(南瓜)의 오용에 대한 문헌고찰 (Literature research on the use of succium and pumpkin in postpartum edema)

  • 안상영;한창현;권오민;박상영;안상우
    • 대한한의학방제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39-51
    • /
    • 2009
  • Objectives : In Korea the practice of folk remedies is widely spread. One of the main uses is the utilization of pumpkin in postpartum edema. While this practice is widely propagated no one could exactly define the evidence of its uses. Therefore we aimed to provide literature evidence of correct prescription in postpartum edema. Methods : As the use of pumpkin in postpartum edema is particular to korea, we revised all the medical book published from the 17th century, the time supposed to have been introduced pumpkin in Korean peninsula. We also researched the prescription mainly used in postpartum edema, and the common main herbal component, succium. As pumpkin and succium is homophony to 'Ho bak' in korean it had the possibility of being misinterpreted. Results : On our literature research we found the precautions of pumpkin to provoke gi-stagnatio and dampness obstruction and that it was restricted while the recovery of all kind of diseases as well as in puerperium. The main reason of postpartum edema is caused by blood stasis which when the blood gains its normal circulation, edema is dispersed by itself. For this propose main prescription was Jogyeongsan調經散 type with its main component succium which medical properties are cited in all medical classics consistently. From the literature of "Juchonsinbang" and "Uibanghapbu" we found three different prescriptions, Hobakgo琥珀膏, Hobakgo胡朴膏, and Namgwago南瓜膏 which contents and their medical proposes were equal. Conclusions : By these finding we could refer that the use of pumpkin in postpartum edema was caused by homophonic reasonal misinterpretation of succinum in korean. This research provides the literature evidence to correct pumpkin's misuse and also the necessity of restriction of the use of even most common products for medical proposes and/or at least the importance of being guided by the experts.

  • PDF

단호박을 이용한 반고형 이유식의 제조 (Preparation of Semi-solid Infant Foods Using Sweet-pumpkin)

  • 박현경;임성경;손경희;김현정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1108-1114
    • /
    • 2001
  • 호박을 이용한 반고형 이유식을 제조하기 위하여 단호박과 늙은호박을 각각 마쇄하거나, 찌거나, 데친 후 각각을 체에 내리고 가열하여 puree를 만들고, 이들의 수분함량, 점도, 색도, $\beta$-carotene 함량, riboflavin 함량, ascorbic acid 함량을 측정하고, 관능검사를 실시하였다. 단호박퓨레가 호박퓨레보다 수분 함량이 적었고, 점도, Hunter L, a, b 색도, $\beta$-carotene 함량, riboflavin 함량은 높았다. 관능검사를 실시하여 단맛과 전체적인 선호도가 높은 찐 단호박 퓨레를 이유식의 주원료로 선택하였다. 변성전분의 혼합비율이 증가할수록 호화개시온도는 낮아지고 최고점도는 증가하였다. 찐 단호박 퓨레에 변성전분, 쌀가루, 유제품을 혼합하여 제조한 이유식은 살균과정에서 색도의 변화는 적었으나 점도가 증가하였는데 변성전분 3%를 혼합한 이유식은 점도가 안정하였다. 전체적인 선호도가 찐 단호박퓨레 40%, 쌀가루 7%와 전지분유 3%, 물 50%를 혼합한 단호박 이유식이 가장 높았다.

  • PDF

단호박 첨가수준을 달리한 식혜의 저장 중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Sikhye with Varied Levels of Sweet Pumpkin during Storage)

  • 안연화;이인선;김향숙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803-814
    • /
    • 2011
  • The new version of sikhye(sweet rice drink) was prepared by adding sweet pumpkin (SP) in order to improve customers' preferences for sikhye by modifying the color, and flavor, as well as health functionality. The independent variables were sweet pumpkin amount(0, 2, 4, 6, and 8% malt powder extract) and storage periods(0, 3, 6, 9, and 12 days). Each sample was measured by using physicochemical and sensory evaluations, and results were statistically tested to examin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samples. pH increased with higher amounts of added pumpkin. As additional levels of sweet pumpkin increased, the Hunter's L value decreased, whereas the b value increased. In a consumer acceptance test, all characteristics except for sweetnes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t p<0.05. The overall acceptability, including yellowness, malt aroma, and sweetness in the pumpkin added sample was estimated to be better than the comparative sample wa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SP4, SP6, and SP8, but SP2 showed a lower preference than other samples.

한국 호박의 지방산 조성 (Fatty Acid Composition of Korean Pumpkins)

  • 남현근;고대희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95-99
    • /
    • 1994
  • In order to investigate the fatty acid composition of Korean pumpkins, this study was designed. Three samples of Korean pumpkins, A(yellowish ripe), B(unripe, 30 days old) and C(unripe, 20 days old) were used for fatty acid analysis by gas chromatograph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Pumkin C, B and A showed 10, 12 and 15 kinds of fatty acids, respectively. In case of palmitic acid(C16:0), pumpkin C, B and A showed 22.5%, 22.9% and 26.6%, respectively. In case of u linolenic acid(C18:3), pumpkin C, B and A showed 22.6%, 23.6% and 44.8%, respectively. In case of palmitoleic acid(Cl6:1), pumpkin C. B and A showed 12.4%, 10.1% and 0.5%, respectively. In case of oleic acid(C18:1), pumpkin C. B and A showed 9.2%, 7.7% and 2.8%, respectively, In case of stearic acid(C18:0), pumpkin C, B and A showed B.S%, 3.7% and 3.5%, respectively. The ratio of P/S was 1.4, 1.6 and 1.9 for sample C, B and A, respectively. The ratio of w-3/w-6 was 1.1, 0.9 and 2.6 for sample C, B and A, respectively. Through this study, the ripe pumpkin(sample A) was thought to be good enough in nutritional aspects of fatty acids, particularly a-linoleic acid, Cl8 : 3(u-3) series.

  • PDF

호박 Silage의 품질(品質) 및 이용성(利用性)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Quality and Utilization of Pumpkin Silages)

  • 김용국;김상근
    • 농업과학연구
    • /
    • 제3권1호
    • /
    • pp.77-84
    • /
    • 1976
  • 최근(最近)에 사료(飼料)의 요구량(要求量)이 급증(急增)되고 사료용(飼料用) 호박이 도입(導入) 재배(裁培)되므로서 호박의 사료화(飼料化)에 대(對)한 관심(關心)이 많아졌다. 이에 본시험(本試驗)은 사료용(飼料用) 호박으로 Mammoth pumpkin(C. Maxima), Queensland blue pumpkin(C. Maxima), Korean pumpkin(C. Moschata)으로 부터 밀기울을 0, 10, 20%씩 각각(各各) 첨가(添加)하면서 Silage 제조(製造) 하였으며, 제조후(製造後) 40~60일(日) 사이에 화학적(化學的) 조성분(組成分), pH, 유기산함량(有機酸含量)을 분석(分折)하고 산란계(産卵鷄)에 대(對)한 급여시험(給與試驗)을 하여 호박의 사료적(飼料的) 가치(價値) 및 이용성등(利用性等)을 조사(調査)하고 그 결과(結果)를 아래와 같이 요약(要約)하였다. 1. Silage의 수분함량(水分含量)은 재료(材料)인 호박의 수분함량(水分含量)이 Mammoth pumpkin의 경우(境遇) 약(約) 97%, Queensland pumpkin이 94%, Korean pumpkin이 91%였던 관계(關係)로 상당히 높았으며 Silige제조후(製造後) 성분변화(成分變化)는 가용무질소량(可溶無窒素量)이 약간(約間) 감소(減少)하였을 뿐, 기타(其他)의 성분(成分)은 변화(變化)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밀기울을 첨가(添加)하므로서 수분(水分)을 조절(調節)할 수 있었고 영양분(營養分)도 증가(增加)되었으나 이는 단지 밀기울의 성분함량(成分含量)에 좌우(左右)되었다. 또한 Silage의 성분손실량(成分損失量)은 제조후(製造後) 2주(週)에서 1개월(個月)사이에 10%정도(程度)였으며 그후(後) 약간씩 감소(減少)하여 6개월후(個月後)에는 15%정도(程度)였는데 호박을 그대로 저장(貯藏)했을 시(時)는 9월(月)부터 12월(月)사이에는 수분함량(水分含量)이 특(特)히 많은 Mammoth pumpkin을 제외(除外)하고 그 감량(減量)이 심(甚)하지 않았으나 월동(越冬)을 한 2월(月)에는 3종(種)의 호박 거의가 사료가치(飼料價値)를 상실(喪失)하였다. 2. Silage의 품질(品質) 또한 처리구간(處理區問)에는 특별(特別)한 차이(差異)가 없이 pH가 3.8~4.1, 유기산중(有機酸中) 유산(乳酸)이 2.09~2.93%였고 초산(醋酸)이 0.68~1.71%, 낙산(酪酸)은 0%로서 Flieg씨(氏) 평점법(評點法)에 의(依)하면 모두 98~100점(點)으로 양질(良質)의 Silage가 제조(製造)되었다. 3. Mammoth pumpkin silage를 산란계(産卵鷄)에 급여(給與)하여 사료섭취율(飼料攝取率), 산란율(産卵率), 난중(卵重) 및 Haugh unit등(等)을 측정(測定)한 결과(結果), 고형물기준(固形物基準)으로 Silage를 5.0%와 7.5%급여구(給與區)가 가장 좋았고 다음이 2.5%구(區)였으며 10%급여구(給與區)는 대조구(對照區)보다 떨어졌다. (P<0.01). 이는 호박 Sil-age가 신선(新鮮)하므로 기호성(嗜好性)을 증진(增進)시켰고 Vitamin등(等) 풍부(豊富)하여 산란(産卵)을 촉진(促進)시키는 것으로 사료(恩料)되나 10%이상(以上)의 급여(給與)는 양(量)이 너무 많아 효과적(效果的)인 급여(給與)가 못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4. 호박을 이용(利用)하여 양질(良質)의 Silage를 제조(製造)할 수 있었고 또한 산란계(産卵鷄)에 급여(給與)한 결과(結果) 산란율(産卵率)도 증진(增進)되었으나 수분함량(水分含量)이 너무 많은 관계(關係)로 다량(多量)의 Silage가 요구(要求)되므로 가축(家畜)의 기본사료(基本飼料)로는 적당치 않고 단지 사료가치(飼料價値)가 떨어지는 타사료(他飼料)와 혼합(混合)하여 Silage를 제조(製造) 이용(利用)하므로서 타사료(他飼料)의 기호성(嗜好性)을 향상(向上)시켜 사료가치(飼料價値)를 증진(增進)시키고 아울러 Vitamin을 공급(供給)할 수 있는 방향(方向)으로 Silage를 제조(製造) 이용(利用)함이 적당할 것으로 사료(思料)된다.

  • PDF

반응표면분석법을 이용한 호박분말 첨가 즉석 호박죽의 최적화 (The Optimization of Instant Pumpkin Gruel with Pumpkin Powder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 신동선;박보람;유선미;황영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291-300
    • /
    • 2013
  • 본 연구는 호박분말을 이용하여 간편식 형태의 즉석 호박죽을 제조하기 위하여 호박분말의 첨가량, 볶음 대두분말의 첨가량, 알파미분의 첨가량을 달리하여 반응분석법의 중심합성계획법을 이용하였다. 최적화를 위해 호박분말($X_1$), 볶음 대두분말($X_2$), 알파미분($X_3$)의 양을 독립변수로 하고 색도(L, a, b), pH, 점도, 관능평가 항목(외관, 색, 향, 맛, 점도, 전반적인 기호도)을 종속변수로 각각 선정하였다. 그 결과 즉석 호박죽의 색도는 호박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L값은 감소하고 a값과 b값은 증가하였다(p<0.001). pH와 점도는 호박분말과 볶은 대두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다(p<0.001). 관능검사의 전반적 기호도에서 호박분말 5.25 g, 볶은 대두분말 3.00 g 알파미분 4.50 g일 때 가장 높게 평가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호박분말을 이용하여 제조한 즉석 호박죽의 최적값은 호박분말 5.72 g, 볶은 대두분말 4.30 g 알파미분 3.00 g으로 제조하는 것이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