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ulmonary Infarction

검색결과 81건 처리시간 0.024초

수면 무호흡증후군의 내과적 치료 (Medical Treatment of Sleep Apnea Syndrome)

  • 문화식;최영미
    • 수면정신생리
    • /
    • 제3권2호
    • /
    • pp.77-89
    • /
    • 1996
  • Data collected to date indicate that sleep apnea syndrome is a risk factor in the development of cardiovascular dysfunction such as systemic hypertension, cardiac arrhythmias, pulmonary hypertension, right heart failure, angina, myocardial infarction, and stroke. Several reports suggest that untreated patients with sleep apnea syndrome have a higher long-term mortality than treated patients and than normal subjects. But there are many controversies concerning the treatment of sleep apnea syndrome, and there is no universally accepted standard for effective treatment. We reviewed the current approaches and options in the medical treatment of sleep apnea syndrome.

  • PDF

고셔병 환자에서 효소대체치료의 장기적 효과와 한계 (Longterm Benefit and Unmet Needs in Enzyme Replacement Therapy of Gaucher)

  • 김유미
    • 대한유전성대사질환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42-47
    • /
    • 2014
  • Gaucher disease is a multisystemic disorder arising from a deficient activity of the lysosomal enzyme glucocerebrosidase, which leads to accumulation of glycosylceraide and other glycolipids in the regiculoendothelial system. The characteristics of Gaucher disease are anemia, thrombocytopenia, hepatosplenomegaly, and skeletal disease. Enzyme replacement therapy (ERT) has been proven to prevent progressive manifestations of Gaucher disease and effective in improving anemia, thrombocytopenia, bone markers and biomarkers. However, some patient needs still remain unmet because of the inaccessibility of certain sites including brain, bone and various organs. ERT could not Improve the irreversible lesion such as liver fibrosis, hepatopulmonary syndrome, and necrosis or infarction of bone and other organs. Adult patients with Gaucher disease should be screened for longterm complication such as bone disease, pulmonary hypertension, gallstone, and cancer, especially in patients with splenectomy. Parkinsonism and polyneuropathy was also reported among patients with type 1 Gaucher disease, but ERT does not improve neurological function. We need to review the benefits and unmet needs of ERT in Gaucher disease.

심내막염을 동반한 좌주관동맥과 우심방사이의 선천성 동정맥루 -1례 보고- (Congenital Coronary Arteriovenous Fistula of the Left Main Coronary Artery to the Right Atrium Associated with Bacterial Endocarditis -A Case Report-)

  • 나명훈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7권6호
    • /
    • pp.509-512
    • /
    • 1994
  • Congenital coronary arteriovenous fistula is a ~are condition, and with widespread use of cardiac catheterization, angiography and selective coronary arteriography is being recognized with increasing frequency. Surgical correction is strongly recommended to prevent the development of congestive heart failure,angina, subacute bacterial endocarditis, myocardial infarction, and pulmonary hypertension, as well as coronary aneurysm formation with subsequent rupture or embolization. I report a case of congenital coronary arteriovenous fistula of the left main coronary artery to the fight atrium in a 23 year old female, which is associated with bacterial endocarditis with right atrial vegetation.

  • PDF

뇌경색 환자에게 사용된 덱스트란 40의 부작용 분석 (Adverse Drug Reactions of Dextran 40 Treated to the Cerebral Infarction Patients)

  • 김재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9호
    • /
    • pp.473-481
    • /
    • 2016
  • 뇌경색으로 입원하여 덱스트란 40을 투여받고 약물유해반응이 발생하여 의약품 부작용 보고서에 의해 보고된 전주예수병원 환자 2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 연구의 목적은 뇌경색으로 덱스트란 40을 투여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덱스트란 40의 약물유해반응과 부작용을 조사 및 보고함으로써 약물유해반응을 줄이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덱스트란의 부작용은 저혈압, 오심, 호흡곤란, 전신적인 두드러기, 열이고 과량 투여 시 폐부종을 유발한다. 평균 입원 기간은 20일로 입원환자의 26.8%가 입원기간의 연장을 경험하였고 덱스트란 40의 약물유해반응 발생률은 12.4%였고, 9명(28.1%)이 itching, rash는 7명(21.9%)이었다. 주입초기에, 초회 주사에서 덱스트란 아나필락틱 반응이 나타날 수 있다고 보고되고 있으나 투여 후 4일째에 부작용이 발생한 환자가 4명으로 18.2%에 이른다. 우리나라에는 덱스트란 1이 아직 널리 알려져 있지 않지만 미국 FAD에서는 사용을 권장하고 있으며, 덱스트란 40의 약물유해반응을 줄이기 위해서는 덱스트란 1의 사용을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

퇴행성 관절염 환자에게 동시에 시행하는 양측 인공 슬관절 전치환술에서 관절강 내 Tranexamic Acid 주입의 장점 (Advantages of Intra-Articular Tranexamic Acid Injection Following Simultaneous Bilateral Primary Total Knee Arthroplasty)

  • 박형석;김동휘;이광철;임재환;임동섭;이정호
    • 대한정형외과학회지
    • /
    • 제56권6호
    • /
    • pp.504-511
    • /
    • 2021
  • 목적: 양측 슬관절 퇴행성 관절염으로 동시에 시행하는 양측 인공 슬관절 전치환술(simultaneous bilateral total knee arthroplasty, SBTKA)의 정맥 투여 금기에 해당하는 환자를 포함하여 관절강 내 트라넥삼산(tranexamic acid, TXA) 투여 후 배액량, 실혈량, 수혈률, 수혈량 및 합병증 발생의 차이를 비교해 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16년 4월부터 2018년 12월까지 퇴행성 관절염으로 SBTKA를 시행하였던 환자 중 관절낭 봉합 후 배액관을 통해 관절강 내로 한쪽당 3 g의 TXA를 주입한 139명을 실험군(group T), 2007년 10월부터 2010년 8월까지 TXA를 주입하지 않고 수술하였던 SBTKA 환자 57명(group A)을 대조군으로 설정했다. 양 군은 나이, 성별에 따른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572, 0.474). TXA는 정맥 내 투여의 금기에 해당하는 환자들에게도 관계 없이 주입하였고 염증성 관절염으로 수술을 시행한 환자는 본 연구에서 제외시켰다. 각각 평균 배액량, 실혈량, 수혈률, 수혈량과 일 평균 혈색소의 변화 추이, 일 평균 수혈량을 비교하였다. 합병증으로 심부 정맥 혈전증, 폐색전증, 감염, 뇌경색, 심근경색 발생 여부를 조사하였다. 결과: 평균 실혈량은 group A와 group T에서 각각 2195.32±1175.63 ml, 1145.09±382.95 ml, 평균 배액량은 1178.30±484.59 ml, 774.19±310.06 ml로 group T에서 각각 유의하게 적었다(p=0.002, <0.001). 수혈률은 각각 77.2% (44/57), 0.7% (1/139), 전체 평균 수혈량은 각각 735.44±550.83 ml, 4.60±54.28 ml로 group T에서 각각 유의하게 적었다(p<0.001, <0.001). 혈색소는 group A, group T에서 각각 술 후 3, 4일째 증가하였다(p<0.001, 0.001). 합병증으로 심부 정맥 혈전증이 group T에서 2예(1.4%), 폐색전증이 3예(2.2%) 발생하였으나 group A에서는 발생하지 않았다. 감염, 뇌경색, 심근경색은 모두에서 발생하지 않았다. 결론: 동시에 시행하는 SBTKA에서 TXA의 관절강 내 주입은 TXA의 평균 배액량, 실혈량, 수혈률, 수혈량을 유의하게 감소시키며 정맥 내 투여 금기에 해당하는 환자들을 포함하여도 합병증 발생률이 높아지지 않는다.

다발성 폐공동을 형성한 베체트병 1예 (A Case of Behcet's Disease with Multiple Cavitary Lung Lesion)

  • 윤세희;손지웅;정청일;최유진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61권1호
    • /
    • pp.65-69
    • /
    • 2006
  • 저자들은 43세 남자환자에서 반복적인 구강궤양을 가지고 있으며 안증상으로 진단한 베체트병 환자에서 폐동맥 색전증, 폐동맥류, 상대정맥 협착등 다양한 폐혈관 침범과 함께 폐아스페르길루스종을 동반한 다발성 공동 형성을 경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초저체온 및 순환정지하에서 Aprotinin의 안전성 (Safety of Aprotinin Under Hypothermic Circulatory Arrest)

  • 장병철;김정택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0권5호
    • /
    • pp.501-505
    • /
    • 1997
  • 초 저체온 및 순환정지하 개심수술시 Aprotinin을 사용하는 경우 혈관내 응고와 관련된 신기능장애 등의 합병증이 증가된다는 보고가 있다. 저자들은 1992년 11월부터 95년 8월까지 초저체온 및 순환정지하에서 대 동맥 수술을 한 44례 환자 중 고농도 Aprotinin을 사용한 2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수술 후 주요장기에 미치 는 aprotinin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초저체온하 순환정지 시에는 좌측대퇴동맥을 통하려 저혈류로 순환시켜 흉부대동맥내로 공기유입이 되지 않도록 하였으며 순환정지시간이 길어질 것으로 예상되거나 대동맥궁을 치 환하는 경우에는 선택적뇌관류를 하였다. 순환정지시 활성응고시간은 639초에서 1531초로 1례를 제외한 모 든 환자에서 활성응고시간을 750초 이상 유지하였다. 대상환자 20례중 수술사망은 4례에서 발생하였다. 사망원인은 출혈 1례, 폐출혈 1례, 좌 관상동맥 박리에 따른 좌심실 기능부전이 1례, 근리고 다발성 뇌경색이 1례 있었다. 수술 후 뇌손상이 2례에서 발생하였으나 1례는 수술전 부터 자측 총경동맥 박리가 원인이었고 1례에서는 그 원인을 알 수 얼었다. 생존한 환자중 수 술 후 신 기능이나 간기능의 이상은 얼\ulcorner다. 결론적으로 초저체온 및 순환정지를 이용한 대동맥수술시 avotinin을 사용한 결과 ACT를 750초이상 충분 히 유지하고, low flow retrograde perfusion을 유지하는 경우 신기능의 장애를 포함한 혈관내 응고와 관련된 합 병증이 증가되지 않고,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Stress-induced Cardiomyopathy during Pulmonary Resection (Takotsubo Syndrome) - A case report -

  • Lee, Seok-Kee;Lim, Seung-Pyung;Yu, Jae-Hyeon;Na, Myung-Hoon;Kang, Shin-Kwang;Kang, Min-Woong;Oh, Hyun-Kong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4권4호
    • /
    • pp.294-297
    • /
    • 2011
  • Stress-induced cardiomyopathy is caused by emotional or physical stressors and mimics acute myocardial infarction, though Stress-induced cardiomyopathy is characterized by reversible left ventricular (LV) apical ballooning in the absence of significant coronary artery disease. We describe a 51-year-old male who underwent left upper lobectomy for non-small cell lung cancer, and during which cardiogenic arrest occurred due to stress-induced cardiomyopathy, successfully managed by intra-aortic balloon pumping and extracorporeal membrane oxygenation.

급성 수부 손상 후 발생한 보우선 (The Beau's Line Secondary to Acute Hand Injury)

  • 김탁호;정성모;이내호;양경무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33권5호
    • /
    • pp.652-654
    • /
    • 2006
  • Beau first described transverse depressions of the fingernails after an acute febrile illness in 1846. It was the result of the temporary arrest of nail matrix formation. The transient interference of nail growth rate is usually induced by disability caused by severe systemic disease. Such as Raynaud disease, myocardial infarction, pulmonary embolism, acute renal failure, psoriasis and dysmenorrhea were reported to be the cause of Beau's line. The trauma caused either in a hand or in a forearm was also reported to be the cause of Beau's line. We experienced patients with Beau's line, two cases secondary to fingertip injury and one case due to fracture in radius. They had Beau's lines in all fingers of traumatized hand and nails of opposite hand were normal. During the follow-up, the growth rate of traumatized fingernails were normal and there was no complication.

급성신손상과 횡문근융해증이 합병된 amlodipine 중독 (Amlodipine intoxication complicated by acute kidney injury and rhabdomyolysis)

  • 이인희;강건우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32권1호
    • /
    • pp.17-21
    • /
    • 2015
  • Amlodipine, a calcium channel blocker of the dihydropyridine group, is commonly used in management of hypertension, angina, and myocardial infarction. Amlodipine overdose, characterized by severe hypotension, arrythmias, and pulmonary edema, has seldom been reported in Korean literature. We report on a fatal case of amlodipine intoxication with complications including rhabdomyolysis and oliguric acute kidney injury. A 70-year-old woman with a medical history of hypertension was presented at the author's hospital 6 hours after ingestion of 50 amlodipine (norvasc) tablets (total dosage 250 mg) in an attempted suicide. Her laboratory tests showed a serum creatinine level of 2.5 mg/dL, with elevated serum creatine phosphokinase and myoglobin. The patient was initially treated with fluids, alkali, calcium gluconate, glucagon, and vasopressors without a hemodynamic effect. High-dose insulin therapy was also started with a bolus injection of regular insulin (RI), followed by continuous infusion of RI and 50% dextrose with water. Despite intensive treatment including insulin therapy, inotropics, mechanical ventilation, and continuous venovenous hemodiafiltration, the patient died of refractory shock and cardiac arrest with no signs of renal recovery 116 hours after her hospital admis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