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ufferfishes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22초

자연산과 양식산 식용복어의 성분 비교 (Comparisons of Food Component Characteristics of Wild and Cultured Edible Pufferfishes in Korea)

  • 황석민;오광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6권6호
    • /
    • pp.725-732
    • /
    • 2013
  • To identify the food component characteristics of seven edible pufferfishes (five wild pufferfishes including striped puffer Takifugu xanthopterus; eyespot puffer Takifugu chinensis; purple puffer Takifugu porphyreus; rough-backed puffer Lagocephalus wheeleri; and grass puffer Takifugu niphobles; and two cultured pufferfishes including yellow puffer Takifugu obscurus, and tiger puffer Takifugu rubripes) in Korea, the proximate, fatty/amino acid, chemical and taste compositions were investigated. The proximate composition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sampled pufferfishes, whereas grass puffer had lower moisture and crude lipid levels contents, and higher crude protein and ash contents than the other species. The total amino acid levels in wild and cultured pufferfishes were 14,941.6-16,427.9 mg/100 g, and the major amino acids were aspartic acid, glutamic acid, glycine, alanine, leucine, lysine and arginine. Regarding the fatty acid and mineral compositions, the major fatty acids included 22:6n-3, 16:0, 18:1n-9, 20:5n-3, 18:0, 20:4n-3, and 22:5n-3 in that order, and there was a little difference among the sampled pufferfishes. Grass puffer had a higher monoenes ratio, i.e., 16:1n-7 and 18:1n-9, and a lower polyenes ratio than the other pufferfishes. The main minerals detected K, P, Na, S and Ca. Regarding the taste-active compounds, the free amino acid contents of pufferfish extracts were 236.4-428.1 mg/100 g, consisting primarily of taurine, lysine, proline, glycine, alanine and arginine in that order. The amino nitrogen content of the pufferfishes was 84.5-156.4 mg/100 g, and there was a little difference among the species. As for taste intensity, the total taste value of the purple puffer was higher than that of the other pufferfishes.

인도산 참복과(Tetraodontidae) 어류 3종의 형태 기재 (Morphological Description of Three Species of Pufferfishes (Tetraodontidae) from India)

  • 한경호;백정익;신임수;김희진;윤병일;황재호;이성훈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0권1호
    • /
    • pp.77-84
    • /
    • 2017
  • Three species of pufferfishes (family Tetraodontidae) were examined to determine their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based on meristics, morphometrics, olfactory organs, and lateral line systems of specimens collected from the Chennai Fish Market in Tamil Nadu, India, in December 2016. The three species, which are all previously unreported in Korea, are Chelonodon patoca (Hamilton, 1822), Lagocephalus spadiceus (Richardson, 1845), and Arothron immaculatus (Bloch and Schneider, 1801). For nostril shape, fishes of the genus Lagocephalus have two nostrils, while Arothron and Chelonodon have none. Fishes of the genera Lagocephalus and Arothron have a single well-developed lateral line on the body, while Chelonodon fishes have two lateral lines that merge on the caudal peduncle.

검은밀복어 간유중의 고도불포화지방산의 함량 (Contents of Polyunsatureated Fatty Acid in the Pufferfish (Lagocephalus gloveri) Liver Oil)

  • 임정규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13-118
    • /
    • 1999
  • Ten specimens of pufferfish Lagocephalus gloveri(called Gumeun-mibog in Korean) were purchased at a fish market in Pusan Korea. The pufferfishes were immediately frozen packed in ice boxes transpor-ted to our laboratory and then dissected in to four parts. The tissues were homoginized after adding with chloroform: methanol mixture solution and storaged at cool and dark place to extract total lipid. The total lipid contents were 29,34∼36.54% in liver 4.95∼6.11% in intestine 1.08∼1.60% in skin and 0.23∼0.38% in muscle of the pufferfish respectively. The contents of DHA and EPA were higher in the total lipids of livers showing 15.99% DHA and 3.04% EPA. The other fatty acids in the total lipids of liver were mainly composed of palmitic acid(16:0) palmitoleic acid(16:1) stearic acid(18:0) and oliec acid(18:1) Furthermore the contents of neurtral lipids were 95.45% and those of phospholipids and glycolipids were 1.45 and 3.09% respectively. Main fattty acids of the neutral lipid were composed of palmitic acid(16:0) stearic acid(18:0) oleic acid(18:1) oleic acid(18:1) EPA(20:6) and DHA(22:6) The contents of DHA and EPA were 16.62 and 2.41% respectvely. From these results of toxicity in the raw liver the tissue was judged to be nontoxic before and after extracting of total lipid.

  • PDF

Development of Species-Specific PCR Primers for the Rapid and Simultaneous Identification of the Six Species of Genus Takifugu

  • Dong, Chun Mae;Park, Yeon Jung;Noh, Jae Koo;Noh, Eun Soo;An, Cheul Min;Kang, Jung-Ha;Park, Jung Youn;Kim, Eun-Mi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23권4호
    • /
    • pp.367-375
    • /
    • 2019
  • Pufferfish (Takifugu spp.) are economically important edible marine fish. Mistakes in pufferfish classification can lead to poisoning; therefore, accurate species identification is critical. In this study, we used the mtDNA cytochrome c oxidase subunit I gene (COI) to design specific primers for six Takifugu species among the 21 domestic or imported pufferfish species legally sold for consumption in Korea. We rapidly and simultaneously identified these pufferfish species using a highly efficient, multiplex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system with the six species-specific primers. The results showed that species-specific multiplex PCR (multiplex species-specific polymerase chain reaction; MSS-PCR) either specifically amplified PCR products of a unique size or failed. MSS-PCR yielded amplification fragment lengths of 897 bp for Takifugu pardalis, 822 bp for T. porphyreus, 667 bp for T. niphobles, 454 bp for T. poecilonotus, 366 bp for T. rubripes, and 230 bp for T. xanthpterus using the species-specific primers and a control primer (ca. 1,200 bp). We visualized the results using agarose gel electrophoresis to obtain accurate contrasts of the six Takifugu species. MSS-PCR analysis is easily performed and provides identification results within 6 h. This technique is a powerful tool for the discrimination of Takifugu species and will help prevent falsified labeling, protect consumer rights, and reduce the risk of pufferfish poisoning..

참복과(복어목) 어류 속의 외부형태적 특징 (Generic Characters of the Fishes of the Family Tetraodontidae (Teleostei: Tetraodontiformes))

  • 한경호;김용억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309-316
    • /
    • 1998
  • 참복과 (Tetraodontidae) 어류의 외부형태 형질 가운데 후각기관, 옆줄, 피부극. 체형 및 체색의 특징을 조사하기 위하여. 1989년 9월부터 1994년 7월까지 우리나라 20개 지점에서 10속 27종의 표본을 채집하여 관찰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참복과 어류 가운데 참복속(Takifugu), 밀복속(Lagocephalus), 은띠복속(Plurancanthus). 불룩복속(Spheoides) 및 대치복속 (Feroxodon) 어류의 콧구멍은 2개이며. 수지복속 (Ephippion)과 청복속 (Canthigaster) 어류는 1개이고, 반면에 별복속 (Boesemanichthys), 꺼끌복속(Arothron) 및 첼로복속 (Chelonodon) 어류는 없다. 2. 밀복속, 불룩복속, 별복속, 꺼끌복속 및 대치복속어류의 옆줄은 몸의 옆쪽에 단지 1열로 잘 발달되어 있으며, 참복속과 은띠복속 어류는 2열이고, 첼로복속과 수지복속 어류는 꼬리자루 부분에서 2열로 융합되어 있다. 3. 청복속 어류는 옆줄 및 후각기관의 형태가 참복과의 다른 속 어류와 많은 차이를 보여 구별되었다 4. 수지복(Ephippion guttifer)의 피부극은 비늘이 완전하게 변형되어 등쪽과 옆쪽의 것은 딱딱한 나무껍질 모양을 하며, 꼬리쪽의 것은 긴 막대기 모양으로 특이하였다. 5. 피부극을 가지고 있는 종은 22종으로 밀복속 어류와 참복속의 까칠복 (Takifugu stictonotus) 및 꺼끌복속(Arothron)의 꺼끌복 (A. Stellatus)의 피부극은 등쪽의 것보다 배쪽의 것이 크고, 첼로복 (Chelonodon patoca)과 청복 (Canthigaster tivulata)은 등쪽의 피부극의 뿌리가 3개이었다. 6. 밀복속 어류의 대부분은 피부극을 등쪽과 배쪽에 가지고 있으나, 민밀복 (L. inermis)은 몸 전체에 피부극이 없는 점에서 밀복 (L. lunaris), 은밀복 (L. wheeleri), 흑밀복 (L.gloveri) 및 은민밀복 (L. laevigatus)과 구별된다.

  • PDF

인도네시아산 흰 밀복 및 중국산 황복의 조직별 독성 (Anatomical Toxicity of Pufferfishes, Chinese Fugu obscurus and Indonesian Lagocepalus wheeleri)

  • 김동수;이화정;이명자;이문조;김현대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361-365
    • /
    • 1996
  • 인도네시아산 흰밀복 10마리와 중국산 황복 9마리의 근육, 껍질, 간장, 내장 및 난소 등의 조직별 독성을 조사하였다. 또한, 간장 독소성분을 Bio-gel P-2 컬럼 크로마토크래피로 분리하여 TLC, 전기영동, HPLC로 분석하였다. 흰 밀복의 간장은 무독하였고 내장은 무독 내지 약독으로 나타났고, 평균 독력은 각각 5.5$\pm$0.9와 11.8$\pm$4.2 MU/g이었다. 그리고 근육과 껍질부위의 평균독력은 각각 3.0$\pm$0.8과 2.2$\pm$0.1 MU/g이었다. 황복의 부위별 독성은 담즙, 난소, 정소 및 간장이 각각 9~200, 40~133, 13~186 및 6~210 MU/g으로 나타났다. 껍질 및 근육부위는 3~34 MU/g와 2~44 MU/g으로 비식용부위 보다는 낮았다. 각 부위의 유독개체 출현율은 난소(100%), 내장(100%), 담즙(89%), 간장(78%), 껍질(67%), 정소(33%) 및 근육(11%)의 순서로 나타났다. 흰 밀복과 황복의 간장으로부터 분리한 독소는 TLC로 분석한 결과 TTX 및 anhydro-TTX로 동정되는 2개의 TTX spot을 검출하였고, 전기영동에서도 마찬가지 결과를 얻었다. 또한, HPLC의 분석결과와 TTX와 anhydro-TTX와 같은 위치의 피크를 나타냈다. 황복은 표준물질 TTX, 4-epi-TTX 및 anh-TTX의 세 피크를 나타냈다.

  • PDF

참복과(복어목) 어류의 속별 척추골과 담기골 특징 (Generic Characters of Vertebrae and Pterygiophore of the Fishes of the Family Tetraodontidae (Teleostei: Tetraodontiformes))

  • 한경호;김용억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645-653
    • /
    • 1998
  • 참복과 (Tetraodontidae) 어류의 형태와 골격 및 분류를 연구하기 위하여, 1991년 3월부터 1994년 3월까지 우리나라 20개 지점에서 10속 27종의 표본을 채집하여, 척추골 및 담기골의 형태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1. 참복과 어류의 척추골수는 밀복속(Lagocephalus), 은띠복속 (Pleurancanthus), 불룩복속 (Spheoides), 꺼끌복 속(Arothron), 첼로복속(Chelonoeon) 및 청복속(Canthigaster)이 17$\~$19개이며, 수지복속(Ephippion), 별복속 (Boesemanichthys) 및 대치복속(Feroxodon)의 어류는 20개이고, 반면에 참복속(Takifugu) 어류는 19$\~$25개였다. 2. 참복과 어류의 척추골수는 17$\~$25개로, 밀복속의 밀복 (L. lunaris과 은띠복속의 은띠복 (P. sceleatus), 청복속 등이 17개로 최소치를, 참복속의 황복 (T. obscurus)이 24$\~$25개로 복어과 가운데 최대치를 보였다. 3. 밀복속의 척추골수는 밀복이 17개, 민밀복 (L. inermis)이 18개, 흑밀복 (L. gloveri), 은밀복 (L. wheeleri) 및 은민밀복 (L. larigatus)이 19개로 다른 속 어류들 보다 적은 수의 척추골을 가지고 있는 점에서 더 분화되어 있다. 4. 척추골 가운데 복추골의 신경극이 참복속의 졸복(T. pardalis)과 황복이 제$1\~5$번째 척추골의 신경극까지 쌍으로 되어 있고, 나머지 다른 종과 속 어류들은 제1$\~$4 번째 척추골의 신경극이 쌍으로 되어 있다. 5. 밀복속과 은띠복속의 큰 특징은 등쪽과 배쪽 담기골에 뒷 돌기가 있으며, 상미축골 (epural)이 넓은 판 모양이고, 복추골의 혈관극에 돌기가 없는 점에서 다른 속과 쉽게 구별된다. 6. 은띠복속의 은띠복은 꼬리자루 부분이 날씬하고 측편되어 있어서, 미추골 뒷부분의 신경극과 혈관극이 다른 속 어류와 비교해 짧은 점에서 구별된다 7. 청복속은 등지느러미와 뒷지느러미를 지지하는 제1 담기골이 다른 속에 비하여 매우 비대하여 큰 편이다. 또한 복추골의 뒷부분에 혈관극과 혈관궁이 둥글고 판판하게 잘 발달되어 참복과의 다른 속과 큰 차이를 보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