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ublic books

검색결과 390건 처리시간 0.024초

공공도서관 동시 대출 도서의 주제 연관성 분석 연구 (A Study on the Topical Associations of Simultaneously Borrowed Books in Public Libraries)

  • 강우진;정인영;이종욱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4권3호
    • /
    • pp.33-55
    • /
    • 2023
  • 공공도서관 대출데이터를 활용하여 이용자의 정보 이용행위를 이해하려는 노력이 꾸준히 이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공공도서관 이용자가 동시에 대출한 도서들의 주제 분야를 살펴보고, 이들 간의 연관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9년에 이루어진 대출 도서 984,790권의 한국십진분류기호를 활용하여 같은 날 동일한 이용자에 의해 대출된 도서 목록의 집합인 동시 대출 건수 22,443,699에 대해 ITEM2VEC 기법을 적용하여 분류기호를 벡터로 변환하였다. 다음으로 연관성이 높은 분류기호를 10개씩 추출하였으며, 총 522개의 분류기호를 활용하여 네트워크를 생성하였다. 네트워크에서는 15개 커뮤니티를 식별하였으며, 커뮤니티별 주요 특성을 파악하였다. 15개의 커뮤니티 가운데 두 개 이상의 주류로 구성된 커뮤니티에서는 요목 수준에서 의미 있는 주제적 연관성을 파악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이용자의 도서 이용행위에 기초하여 함께 대출될 가능성이 있는 자료의 주제를 파악한 것으로 도서관 장서 구성 및 배치, 관련 주제 분야 자료 추천, 분류표 개정 등에 유익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공공도서관 고객 규모의 영향요인에 대한 시계열분석 (A Time-series Analysis of the Influence Factors on Public Library Patron Numbers)

  • 이경진;송명규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4권4호
    • /
    • pp.195-220
    • /
    • 2020
  • 본 연구는 2014년부터 2019년까지의 전국도서관통계를 활용하여 공공도서관 고객(방문자 및 자료실이용자) 규모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시계열적으로 분석했다.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장서수나 연속간행물 등의 변수가 고객 규모에 미치는 영향력은 6년에 걸쳐 지속적으로 유의하지 않게 나타났다. 이는 도서관의 전통적인 기능이었던 일반 도서와 간행물에 대한 접근 서비스가 인터넷으로 대체되고 있음을 암시한다. 둘째, 문화 및 도서프로그램 요인, 도서관 운영 요인, 이용자 활동 요인, 시설규모 요인들이 공공도서관 고객 규모에 미치는 영향력이 소장자료 요인보다 더 크고 지속적이다. 이는 이들 영역에서는 도서관이 인터넷과 보완관계에 있음을 의미한다.

공공도서관 자료열람실 공간기준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Spatial Standard for Data Reading Rooms in Public Libraries)

  • 임호균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2권5호
    • /
    • pp.328-335
    • /
    • 2013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atios of area, according to the domains and functions, of a public library. To this end, 20 public libraries were selected as samples from the 2012 Public Library Construction Casebook and from cases of consulting on the construction and operation of public libraries. The domains of a public library were categorized into data reading, cultural education, operation, common use, and others. There was a large difference in the area ratios between public libraries that were built with the aid of consulting (Group B) and those without consulting (Group A). In functional terms, the data(bookshelf) space and reading space had similar ratios within a data reading room, while the ratio of the library information space was smaller. Within a general data reading room, the ratio of the library information space was 12%, while the ratios of the data space and seating space were 44%, respectively. Moreover, within a data reading room for children, the ratios of the library information space and children's space were adjusted to 14%, respectively, while the data space and seating space each accounted for 36%, with either 3- or 5-decker bookshelves installed. This study has identified how to calculate the area for each domain, capacity of books, and seating capacity by applying area ratios through functions in the data storage domain, along with numbers of books and seats per unit space. This study has also succeeded in calculating the required area and seats for each type of data storage room by applying the number of books that exist. However, this study has its limitation in that the regional characteristics(Metropolis, Small & medium size cities, Rural areas) were not considered because the number of samples was only 20 libraries.

큰글자책 제작 및 보급 현황과 서지적 특성 분석 - 2009년부터 2022년까지를 중심으로 - (Analysis of the Production and Distribution Status and Bibliographic Characteristics of Large Print Books from 2009 to 2022)

  • 임성관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4권1호
    • /
    • pp.69-90
    • /
    • 2023
  • 본 연구는 문화체육관광부에서 추진하고 있는 큰글자책 보급 지원 사업에 보조 사업자로 참여하고 있는 한국도서관협회가 제작 및 보급하고 있는 큰글자책의 현황과 서지적 특성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목적 달성을 위해 2009년부터 2022년까지의 제작도서 목록을 분석한 결과 평균 종수는 20.5권이고 책수는 21.7권이었다. 선정된 도서의 주제 분야는 '문학(39.5%)'이 가장 많았고, 번역서의 비중은 19.9%였으며, 가장 많은 책이 선정된 저자는 총 6권의 법륜 스님이었다. 또한 큰글자책이 보급된 공공도서관은 매년 평균 454곳이었는데, 향후 이 사업이 안정적으로 지속되면서 더 높은 성과를 거둘 수 있도록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정책적 측면, 선정의 측면, 제작을 위한 측면, 안내의 측면에서 각각 적정 방안을 모색해 제언하였다.

우리나라 최초의 보건간호학 교과서 "공중위생간호학" 연구 (A Study on the Gongjungwisaeng Kanhohak, the First Korean Textbook for Public Health Nursing)

  • 전경자;이꽃메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84-95
    • /
    • 2022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tend the knowledge about the textbook, Public Health Nursing Textbook (in Korean, Gongjungwisaeng Kanhohak) which is published in 1933 by the Nurses' Association of Korea. Methods: Public Health Nursing Textbook was investigated from the cover page to the last page and compared with two original books and other nursing books published in modern Korea. Results: Public Health Nursing Textbook was the forth published Korean nursing textbook and the first published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textbook. Rosenberger, a missionary nurse from USA, Lee Keumjeon, Korean public health nurse who studied in Canada, and other Koreans were in charge of translation, etc. It is a user - friendly book written mainly in Korean (Hangul) with Chinese characters and included the English table of contents, preface and back cover. Most of its contents were extracted and translated from two original books, one is Public Health Nursing by Mary Gardner and the other is Personal Hygiene Applied by Jesse Williams. It is worth noting that the book not only introduced the public health nurses's activities across the country, but also focused on the information necessary for common health problems at that time. Conclusion: From the Public Hygiene and Nursing, it can be seen that public health nurses had been independently educated since Imperial Japan's colonial period, and public health nursing was growing as a independent field in Korea.

공공대출보상권 도입의 타당성에 대한 실증적 검토를 위한 기초 연구 - 인기대출도서와 베스트셀러의 비교를 중심으로 - (A Preliminary Research for Empirical Analysis on the Validity of Public Lending Right: Focus on the Comparison between Popular Borrowing Books and Best Sellers)

  • 이호신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2권1호
    • /
    • pp.179-202
    • /
    • 2018
  • 공공대출보상권은 도서관의 도서 대출로 인하여 도서의 판매가 감소하는 것을 전제로, 이에 대하여 저작자에게 국가나 지방자치단체가 일정한 보상을 제공하는 제도이다. 최근 들어 우리나라에도 공공대출보상권을 도입해야 한다는 주장이 작가들로부터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이 연구는 공공대출보상권 도입 주장이 과연 합당한 전제에 바탕을 둔 것인가를 실증적으로 검증하기 위한 기초 작업의 일환으로 진행되었다. 도서관의 인기대출도서와 서점의 베스트셀러 목록을 비교하여 도서관의 대출과 서점에서의 판매 양상에서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서 공공대출보상권 도입의 타당성을 실증하기 위해서 필요한 요인을 도출하고 후속연구를 제안하였다. 아울러 도서관의 도서 대출의 사회적인 의미를 환기하였다.

공공도서관의 장서개발정책 수립을 위한 장서평가 지표에 관한 탐색적 연구 (An Exploratory Study on Collection Evaluation Indicators for the Collection Development Policy in Public Libraries)

  • 오지은;정동열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43-62
    • /
    • 2015
  • 본 연구는 국내 공공도서관에서 장서개발정책 수립 시에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장서평가 지표를 제시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러한 탐색적 연구를 위하여 공공도서관의 실제 데이터를 개별 장서평가 지표에 적용하는 사례연구를 통해서 그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장서평가 지표 분석을 위하여 서울시 광진구립도서관의 최근 10년간 장서대출 데이터가 이용되었다. 주요 장서평가 지표로는 연도별 구입도서의 장서회전율과 이용계수, 연도별 사서 추천도서 장서회전율과 이용계수, 연도별 비대출도서 비율, 대출자 거주지별 도서관 이용도 등이 분석되었다.

Translated Picture Books in Korea from 1969 to 2012

  • Ko, Seonju
    • Child Studies in Asia-Pacific Contexts
    • /
    • 제4권1호
    • /
    • pp.65-76
    • /
    • 2014
  •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characteristics of translated picture books in South Korea and their cultural meanings over a five-decade period. This time can broadly be divided into three periods, being the Settlement Period (pre-1990), the Flourishing Years (1991-2000) and Globalization (post-2001). During the Settlement Period, picture books in South Korea were derived mainly from Japan and America and tended to be informational in nature or based on folk tales. These were translated into Korean to meet the public's curiosity for foreign cultures or for scientific information. The Flourishing Years were characterised by the availability of picture books on a wide variety on themes and forms from all over the world. In this period, the translation of books into Korean focused on a literal rendition of the meanings and sounds of names from the original text. There was also a proliferation of audiotapes, videos and TV programs based on famous picture books. In the current period of Globalization, Korean publishers, who have built confidence through studying foreign picture books over time, have increased efforts to produce their own picture books and export them abroad.

한국어 일반명이 없는 고래 종의 영어 일반명에 대한 번역명 제안 (Suggestions for Translating Cetacean English Common Names with No Korean Common Names)

  • 손호선;최영민;이다솜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9권6호
    • /
    • pp.875-882
    • /
    • 2016
  • The numbers of books, news articles, and documentary films on whales and dolphins have increased dramatically in Korea. The translation of 37 species with established Korean names, as reviewed and reported by Sohn et al. (2012), Kim et al. (2010), and Kim et al. (2013) in those books and public media, was not a problem. However, 52 cetacean species, which do not have proper Korean names, have been translated into Korean, causing confusion in the public. This short note suggests Korean translations for common names that have no Korean names based on the origins of the English common names, recent scientific information, and books on cetaceans.

조선후기 대중 서적수입정책 연구 (A Study on the Book Importation From China in the Latter Choson Period)

  • 강혜영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11권
    • /
    • pp.1-18
    • /
    • 1984
  • The study aims at book importation from China in the Latter Choson Period. It chiefly, achieved to concomitant with an envoy of a trimming policy. The pattern of book importations divided into public trade, private trade, Royal gift. Beyond the main stream of imports were Neo-Confucian books, a bibliographical study of Chineses classics books and Paegwan fictions (fictional narratives of oral natures compiled by local officials) including So-hag books that were at that time in the fashion were introduced into Korea. Like this, several pattern of book importation had an important effect upon closed Choson societ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