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ublic Understanding of Engineering

검색결과 155건 처리시간 0.023초

Improvement of ITSM IT Service Efficiency in Military Electronic Service

  • Woo, Hanchul;Jeong, Suk-Jae;Huh, Jun-Ho
    • Journal of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s
    • /
    • 제16권2호
    • /
    • pp.246-260
    • /
    • 2020
  • IT Service Management (ITSM) achieves consolidated management for the IT services supporting the acquisition system, and no outside connections can be established with such ITSM. Issues pertaining to the D2B can be addressed to System Q&A or a Call Center for problem-solving. In other words, internal staff can take the necessary measures for problems by directly connecting with ITSM. Currently, diverse innovative technologies are being used in electronics and ubiquitous computing environments. This allows us to create a better world by providing the backbone for remarkable development in our human society in the fields of electronics, devices, computer science, and engineering. Following the expansion of IT services in the military acquisition sector such as Defense Electronic Procurement, military export/import support system, etc., customers' dependence on IT for conducting business with the military or related companies is increasing, including the military's dependence on the same technology for services to the public. Nonetheless, issues pertaining to the simplified/integrated management of complex IT service management systems, including slow system recovery, lack of integrated customer service window, and insufficient information sharing, have become the priority problems that IT managers are required to solve. Therefore, this study conducted research on the integrated management of IT services provided by Korea's national defense acquisition system, which was developed based on the existing system IT Infrastructure Library (ITIL) v2, and investigated the level of satisfaction with services with focus on ensuring that it can be used for understanding the necessity of the system and its advancement in the future.

FACTOR ANALYSIS ON CONTRACTOR COMPETITION STRATEGY: A HONG KONG STUDY

  • L. Y. Shen;Y. T. Tan;S C Song;M X Yu
    • 국제학술발표논문집
    • /
    • The 2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Project Management
    • /
    • pp.289-298
    • /
    • 2007
  • The development of construction industry has led to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criteria imposed by project clients for selecting contractors. For example, clients often request tenderers to satisfy various conditions such as tight programme, financial strength, managerial ability, relevant work experiences, technical strength, high workmanship standard, safety requirement, quality specification, and yet others. This trend has attracted research interests of devising various methods for helping project clients to assess contractors' bids. For example, in recent development, the Works Bureau of the Hong Kong Government has introduced two mechanisms in tender evaluation for various public work contracts, namely, the Marking Scheme effective from June 2002 and the Formula Approach effective from November 2002 [1], [2]. These approaches evaluate a contractor's tender by considering collectively its tender price and performance attributes, the latter including contractor experience, past performance, technical resources and technical content of his proposal. The tender with the highest combined price and performance score (CPPS) will be normally recommended for acceptance. It appears, however, that there is little existing research in helping contractors to identify a competition strategy that enables the contractor to offer his most competitive bid collectively taking into account his resource capacities and project client's multiple performance criteria. This paper examines the factors affecting contractor's competition strategy to compete for works in Hong Kong. The understanding about the factors will contribute to identifying effective competition strategy. The data used for the analysis were collected from Hong Kong construction industry. The research findings may provide valuable references for investigating effective competition strategies in other construction industries outside the region.

  • PDF

홈쇼핑 종사자의 데이터홈쇼핑과 기존 TV홈쇼핑의 인식차이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ifference of Perception between Data Home Shopping and Traditional TV Home Shopping by Home Shopping Workers)

  • 전성율;장용수;최성진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25권2호
    • /
    • pp.218-232
    • /
    • 2020
  • 데이터홈쇼핑은 데이터방송기술을 기반으로 기존 TV홈쇼핑, 데이터방송의 상품DB, 그리고 카탈로그 쇼핑의 장점을 결합한 T-커머스 서비스이다. 이러한 데이터홈쇼핑 서비스는 2012년부터 일부 시작되었기에 데이터홈쇼핑 인식에 관한 연구가 심층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기존 TV홈쇼핑과 데이터홈쇼핑이 플랫폼 품질, 서비스 품질, 콘텐츠 품질측면에서 어떠한 인식을 나타내고 있으며 차이점은 무엇인지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데이터홈쇼핑에 대한 이해도가 높은 TV홈쇼핑과 데이터홈쇼핑 업무종사자 14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TV홈쇼핑과 데이터홈쇼핑의 플랫폼 품질, 서비스 품질, 콘텐츠 품질의 차이는 유의미하며, TV홈쇼핑의 품질이 더 높게 나타났다. 플랫폼 품질의 경우는 TV홈쇼핑은 5점 척도로 3.75, 데이터홈쇼핑은 2.93으로 나타났으며, 서비스 품질은 TV홈쇼핑(3.60), 데이터홈쇼핑(3.25)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콘텐츠 품질의 경우, TV홈쇼핑(3.21), 데이터홈쇼핑(2.82)로 TV홈쇼핑의 콘텐츠 품질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성별, 연령, 직급, 업무분야의 경우 연령에 따른 플랫폼 품질을 제외하고는 상호작용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민간투자사업 성과평가 모델 개발 및 적용 - 도로 부문 사업을 중심으로 - (Performance Evaluation Model for Public-Private Partnership Projects - with Reference to BTO (Build-Transfer-Operate) Road Projects -)

  • 박현;박인석;이신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9권2호
    • /
    • pp.83-95
    • /
    • 2018
  • 본 논문은 민간투자사업의 특수성을 반영한 성과평가 모델 개발을 목적으로 한다. 성과평가 모델 개발을 위해 첫째, 문헌연구를 통하여 민간투자사업 주요 관점과 관점별 성공항목을 정의하고, AHP 설문조사를 통하여 가중치를 산정하였다. 둘째, 민간투자사업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핵심 성과요인을 도출하고, 이를 평가할 수 있는 평가항목을 제안하였다. 셋째, 관점별 성공항목과 평가항목을 매칭함으로써 민간투자사업 성과평가 모델을 구축하였다. 성과평가 모델 개발과 적용을 통해 민간투자사업 이해관계자 사이의 첨예한 관점의 차이가 존재함을 파악할 수 있었다. 이는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관점을 균형있게 반영한 민간투자사업의 종합적인 평가의 필요성을 보여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성과평가 모델의 평가 결과와 기존의 건설공사 사후평가 결과를 비교해보면, 본 연구의 평가 점수가 이용자 만족도 조사 결과와 유사하다. 건설공사 사후평가에 비해 본 연구의 평가모델은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만족도 및 관점을 반영하였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성과지표의 결과를 통해 다양한 관점을 고려한 민간투자사업의 성과를 측정할 수 있으며, 어떠한 성공요인 및 평가항목이 프로젝트 성공에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본 모델의 프로세스를 기반으로 주요관점 및 성공항목의 가중치 변화와 평가항목의 가감을 통해 도로 시설물을 제외한 민간투자사업 프로젝트에도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AI를 활용한 비정형 문서정보의 공간정보화 (Spatialization of Unstructured Document Information Using AI)

  • 윤상원;박정우;남광우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37-51
    • /
    • 2023
  • 도시현상의 해석을 위해 공간정보는 필수적이다. 위치정보가 부족한 도시정보를 공간정보로 변환하기 위한 공간정보화 방법론이 꾸준히 개발되어왔다. 정형화된 주소정보나 지명 등을 이용한 Geocoding이나 이미 위치정보가 있는 공간정보와의 공간결합, 참조데이터를 활용한 수작업 형태 등이 대표적이다. 그러나 아직도 행정기관에서 작성되는 수많은 문서정보들은 비정형화된 문서형태로 인해 공간정보화의 수요가 있음에도 그동안 깊이 있게 다루어지지 못하였다. 본 연구는 자연어 처리 모델인 BERT를 활용하여 도시계획과 관련된 공개문서의 공간정보화를 진행한다. 주소가 포함된 문장 요소를 문서로부터 추출하고, 이를 정형화된 데이터로 변환하는 과정을 중점적으로 다룬다. 18년 동안의 도시계획 고시공고문을 학습 데이터로 사용하여 BERT 모델을 학습시켰으며, 모델의 하이퍼파라미터를 직접 조정하여 성능을 향상시켰다. 모델 학습 후의 테스트 결과, 도시계획시설의 유형을 분류하는 모델은 96.6%, 주소 인식 모델은 98.5%, 주소 정제 모델은 93.1%의 정확도를 보였다. 결과 데이터를 GIS 상에 맵핑하였을 때, 특정 지점의 도시계획시설에 관한 변경 이력을 효과적으로 표출할 수 있었다. 본 연구로 도시계획 문서의 공간적 맥락에 대한 깊은 이해를 제공하며, 이를 통해 이해관계자들이 더욱 효과적인 의사결정을 할 수 있게 지원하기를 기대한다.

서울 소재 도시광장에 대한 이용자 만족도 분석 - 중심 대 광장을 대상으로 - (Analysis of User Satisfaction on the City Squares in Seoul - Focused on Grand Public Place -)

  • 이정아;이형숙;최윤의;전진형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42-50
    • /
    • 2012
  • 도시광장은 시민들의 일상생활에 밀접한 영향을 줄 수 있는 도시의 대표적인 공공 오픈 스페이스 중의 하나이다. 대부분의 도시광장은 도시의 중심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도시민의 커뮤니티를 형성하고 여가 문화 활동, 오픈 마켓, 정치적 집회 등과 같은 다양한 활동을 할 수 있는 공간으로 이용된다. 최근 우리나라에 공공 오픈 스페이스로 조성된 도시광장은 도시민들의 요구에 의한 중심 대 광장 유형의 광장으로 볼 수 있으며, 여러 가지 특징을 갖고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공간으로 조성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 시내에 중심 대 광장의 유형으로 보여지는 광화문 광장, 서울 광장, 청계 광장을 연구 대상지로 선정하고, 광장의 구성요소 및 특성에 대한 만족도를 측정하여 분석하고, 공간 이용 만족도를 조사하여 구성요소 및 특성에 대한 만족도와의 관계성을 파악하고자 한다. 각각의 광장에서 수집한 설문조사 결과는 빈도분석, 요인분석, 일원배 치분산분석, 상관관계분석, 회귀분석 등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도시광장 구성요소 및 특성에 대한 만족도를 요인분석한 결과, 구성요소, 이용성, 쾌적성/안전성, 공간특성 요인으로 구분되었다. 이용성 요인에 대한 만족도가 다른 요인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나, 연구 대상지가 오픈 스페이스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광장의 이용 만족도는 전반적으로 높으며, 특히, 다양한 구성요소가 조성되어 있는 광화문 광장의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도시광장의 공간 이용에 대한 만족도는 이용성 요인에 대한 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을 받으며, 나머지 요인들과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계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도시광장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만족사항을 반영하여, 도시 오픈 스페이스의 역할을 하는 도시광장의 발전방향을 제시하는 데 일조할 것이라 기대된다.

Knowledge and Awareness about Breast Cancer and its Early Symptoms among Medical and Non-Medical Students of Southern Punjab, Pakistan

  • Noreen, Mamoona;Murad, Sheeba;Furqan, Muhammad;Sultan, Aneesa;Bloodsworth, Peter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6권3호
    • /
    • pp.979-984
    • /
    • 2015
  • Breast cancer is the leading cause of morbidity and mortality globally but has an even more significant impact in developing countries. Pakistan has the highest prevalence among Asian countries. A general lack of public awareness regarding the disease often results in late diagnosis and poor treatment outcomes. The literacy rate of the Southern Punjab (Pakistan) is low compared to its Northern part. It is therefore vital that university students and especially medical students develop a sound knowledge about the disease so that they can spread awareness to others who may be less educated. This study therefore considers current knowledge and understanding about the early signs of breast cancer amongst a study group of medical and non-medical university students of the Southern Punjab, Pakistan. A cross-sectional descriptive analysis of the university students was carried out using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to assess their awareness of breast cancer from March to May 2014. A total of 566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out of which 326 were non-medical and 240 were from a medical discipline. Statistical analysis was carried out using Graph Pad Prism Version 5 with a significance level set at p<0.05. The mean age of the non medical and medical participants was 23 (SD 2.1) and 22 (SD 1.3) years, respectively. Less than 35% students were aware of the early warning signs of the breast cancer development. Knowledge of medical students about risk factors was significantly better than the non medical ones, but on the whole was insufficient. Our study indicated that knowledge regarding breast cancer was generally insufficient amongst the majority of the university students (75% non-medical and 55% medical) of Southern Punjab, Pakistan. This study highlights the need to formulate an awareness campaign and to organize conferences to promote breast cancer awareness among students in this region.

디자인 속성지표 도출을 통한 선거 결과 인포그래픽 디자인 방향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결과 인포그래픽 디자인을 중심으로- (The Direction of Infographics Design of Election Results by Deriving Design Factors -Focused on infographics design of the 21st national assembly election results-)

  • 김선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4호
    • /
    • pp.267-274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선거 결과 인포그래픽 디자인이 지역과 이념의 분할을 부추기지 않고 포용적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디자인 속성지표를 도출하고 이에 기반을 둔 디자인에 대한 평가와 해석을 통하여 선거 결과 인포그래픽 디자인의 전망을 제시하는 것이다. 연구의 방법과 결과는 첫째, 이론적 고찰을 통해 인포그래픽 디자인의 특성을 파악하여 데이터의 시각화가 중요함을 확인하고, 선거 결과 인포그래픽 디자인의 사례조사를 통해 다양한 형식의 디지털 인터랙션을 활용한 카토그램 형식의 디자인이 주요 흐름인 것을 파악하였다. 둘째,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결과 인포그래픽 디자인에 대한 반응 조사를 통해 5개의 디자인 속성지표(합목적성, 편의성, 심미성, 이해 용이성, 공공성)를 도출하고 선정한 5개 디자인에 대해 설문조사와 전문가 인터뷰를 통해 디자인 지표와의 적합성을 평가하고 분석하였다. 결론적으로, 선거 결과 인포그래픽 디자인은 기본적인 목적과 기능에 맞으면서 수요자가 요구하는 정보를 선택할 수 있는 다양한 형식의 인포그래픽 디자인을 제공함으로써 수요자 요구에 맞는 포용적 정보를 제공하여 지역과 이념의 분할 적 관념을 상쇄하는 방향으로 발전할 것으로 전망한다.

초등학생의 식품위생안전에 대한 지식, 태도 및 실천에 관한 연구 (Knowledge, Attitudes, and Practices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Regarding Food Hygiene and Safety)

  • 김종규;김중순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256-267
    • /
    • 2013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food hygiene and safety knowledge, attitudes, and practices (KAP) among the elementary school children, and furthermore, to explain the interrelations among these three variables. A second purpose was to compare gender differences of KAP. Methods: A self-administered, structured questionnaire was designed and completed by 376 elementary school children. A five-point Likert scale with twenty questions was used to gather information. Data was analyzed by frequency analysis, Pearson's correlation and analysis of variance or Student's t-test. Results: Children generally had good knowledge of food hygiene and safety, and knowledge of children was superior to the attitudes and also to their practices (p < 0.05). The attitude score was mediated between knowledge and practice scores. Significant differences (p < 0.05) were found between boys and girls in an item of knowledge, three items of attitudes, and six items of practice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ere observed between knowledge and practices (${\gamma}$ = 0.70, p < 0.001), and between attitudes and practices (${\gamma}$ = 0.45, p < 0.001), as well as between attitudes and practices (${\gamma}$ = 0.51, p < 0.001), revealing that increased knowledge and even attitudes toward food hygiene safety could result in positive change in practices or behaviors.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despite good knowledge and attitudes of children, their practices toward food hygiene and safety are not acceptable. Gender differences in practices were highlighted. In order to create effective educational interventions on the food hygiene and safety of children,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ir awareness and the required related information is necessary.

과학 교육콘텐츠 디자인에서 파타포(Pataphor)의 개념과 유형 (The Notion and Forms of Pataphor in Science Educational Contents Design)

  • 한지애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10호
    • /
    • pp.399-406
    • /
    • 2016
  • 과학교육의 패러다임이 과학지식의 전달에서 '대중화'로 바뀌어 가면서 과학교육에서 시각적 도구를 활용한 커뮤니케이션 방식이 점차 중요해 졌다. 본 연구에서는 과학 커뮤니케이션의 시각적 도구로 "파타포(Pataphor)"에 대해 고찰하고, 그 역할과 유형을 제안하였다. 문학에서 '가상과 현실의 중첩' 이미지로 사용 되었던 '파타포'의 개념을 콘텐츠 디자인 관점으로 고찰함으로써, 파타포를 과학적 상상력을 토대로 현실과 형이상학적 유사성을 도출하거나 만들어 가상과 현실을 중첩시켜 표현하는 시각적 방법이라고 정의하였다. 또한 시각매체로서의 파타포의 역할을 도출하고, 파타포의 유형을 "현실 복제적 파타포", "현실 반영적 파타포", "현실 변형적 파타포", "인공 현실적 파타포"로 제안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콘텐츠 제작 매체와 학습자의 콘텐츠 인지과정에 따른 파타포의 활용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에 대한 필요성을 발견하고, 향후 이에 따른 파타포 활용 방법에 대해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