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ublic Big data

검색결과 709건 처리시간 0.029초

공공빅데이터를 활용한 1인당 주거면적 추정에 관한 연구 - 서울의 단독 및 다세대 주택을 중심으로 - (A Study on Estimating Housing Area per capita using Public Big Data - Focusing on Detached houses and Flats in Seoul -)

  • 임재빈;이상훈
    • 지역연구
    • /
    • 제36권1호
    • /
    • pp.51-67
    • /
    • 2020
  • 본 연구는 건축물대장, 주민등록대장 등 공공빅데이터의 활용성을 탐구하기 위해, 비교적 간단한 구조를 가진 맨큐-와일(MW)모형을 활용해 1인당 주거면적 추정을 시도하였다. 그 결과 공공빅데이터를 활용하여 정기조사 방식에 버금가는 모형을 수립할 수 있고, 기존 정기조사 방식으로는 어려웠던 기초자치단체별 모형수립도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공공빅데이터로부터 일반단독주택과 다세대주택 샘플을 판별하는 과정을 설계하여, 10세 연령대별 1인당 주거면적을 추정하고, 인구주택총조사, 주거실태조사 등 기존 정기조사 자료를 활용한 결과와 비교해 일치시킨 후, 서울시 25개 자치구별 1인당 주거면적을 도출하였다. 공공빅데이터는 지식영역을 확장시켜주는 장점이 있지만 본래의 작성의도와 다른 목적으로 생성된 자료를 활용한다는 점에서 근본적 한계는 존재한다. 또 개인정보 접근이라는 어려운 과정은 분석을 보다 신중히 진행해야 하는 부담을 주고, 비식별화를 거친 자료를 분석함에 따라 연구설계가 어려워지는 문제도 있다. 향후 공공빅데이터가 기존 통계조사를 보완하거나 대체할 수도 있도록 가공하는 방법 등에 대한 꾸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공공 빅데이터 기반의 식품 가격 정보 분석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Food Price Information Analysis System Based on Public Big Data)

  • 임종태;이현병;복경수;유재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7호
    • /
    • pp.10-17
    • /
    • 2022
  • 최근 4차 산업혁명이 이슈가 되며 빅데이터를 이용한 많은 서비스들이 개발됐다. 이에 따라 빅데이터 중에서도 가장 가치 있는 데이터로 여겨지는 공공 데이터를 활용하기 위한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공공 빅데이터 기반의 식품 가격 정보 분석 시스템을 설계하고 구현한다. 제안하는 시스템은 다양한 출처로부터 다양한 형태로 수집되는 식품 가격 관련 데이터를 분석하여 특징에 따라 분류한다. 또한 제안하는 시스템은 빅데이터 분석 기법을 통해 식품의 가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여 가까운 미래의 식품 가격을 예측하기 위한 자료로 활용한다. 마지막으로 제안하는 시스템은 데이터 시각화를 통해 분석된 결과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Cultural Big Data Platform and Digital Management: Focused on Cultural Contents Industry

  • Hong, Jong Youl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10권3호
    • /
    • pp.287-294
    • /
    • 2022
  • This paper examines the change and its meaning of marketing strategy in business administration, which is changing along with the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Unlike conventional marketing, digital marketing is creating new relationships and making changes through a two-way approach rather than a one-way approach between producers and consumers. And these changes are creating new approaches not only in the problems between businesses and consumers, but also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ublic institutions and citizens. In particular, the potential of platforms, which are emerging as important in digital management, is applied to public policies, and efforts are being made to establish marketing strategies for public institutions. One case of this was applied to the cultural contents industry and policy to examine specific measures and visions. The cultural big data platform is in line with digital management and continuously utilizes digital marketing strategies in the public domain, and aims to promote creative work as well as publicize it to citizens and workers in the cultural content industry. The synergy effect that will emerge from the combination of the cultural big data platform and digital management is expected to continue.

공공데이터를 활용한 국가정보화 전략연구 - 시나리오플래닝을 적용하여 - (The Study on Strategy of National Information for Electronic Government of S. Korea with Public Data analysed by the Application of Scenario Planning)

  • 이상윤;윤홍주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7권6호
    • /
    • pp.1259-1273
    • /
    • 2012
  • 최근의 웹에서 유비쿼터스로의 지식정보화사회의 급속한 진행에 의한 IT와 컴퓨팅기술에 있어서의 빅데이터 시대라는 새로운 패러다임 도래는 한국 정부 및 각국 정부에 있어, 전자정부 및 국가정보화 추진에 있어서의 주목할 만한 전환점이 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미래예측방법으로 많이 활용되고 있는 시나리오 플래닝 방법론을 적용하여 한국 전자정부 및 국가정보화 발전의 바람직한 미래상을 도출하였다. 곧 빅데이터 시대에 합당한 한국 전자정부 및 국가정보화의 상대적 미래우위전략을 찾고자, 정부의 빅데이터인 공공데이터의 활용에 대한 발전방안을 모색하였으며, 그 결과 한국의 전자정부 및 국가정보화에 부합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한 대국민공개강화 전략을 도출하였다. 또한 '인간의 이해'보다는 '기계의 이해'를 지향하는 시멘틱웹 기술과 함께하는 링크드데이터 기술의 적용 아래에서의 개발을 제안하였다.

소셜 커뮤니케이션에 기반한 빅데이터의 시각화(Big Data Visualization) 전략에 관한 연구:빅데이터 시각화 유형에 따른 사용자 경험(UX)을 중심으로 (A Study on Big Data Visualization Strategy Based on Social Communication:Focusing on User Experience (UX) based on Big Data Visualization Types)

  • 추진기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1호
    • /
    • pp.142-151
    • /
    • 2020
  • 우리는 이제 초연결사회(Hyper-Connectivity)에 살고 있다. 오늘날 대중이 소셜 커뮤니케이션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게 된 이유는 필요한 정보가 웹(Web) 공간을 통해서 소셜 빅데이터(Social Big Data)라는 이름으로 수집되고 분류되어 정보의 생태계인 빅데이터 시대를 만들어 가고 있기 때문이다. 빅데이터 정보가 대중에게 꼭 필요한 정보로 이용되기 위해서는 알기 쉽고 명확하게 전달할 수 있는 빅데이터 시각화작업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소셜 빅데이터의 정보에 따른 시각화 유형을 분류하였고, 경험 평가대상으로 실제 빅데이터 시각화를 직접 활용하고 연구해야 하는 관련 전공생들과 일반인을 포함한 체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체험자들의 경험을 분석한 결과, 데이터를 관리·분석·활용할 수 있는 시각화 전달방법에 대한 중요한 시사점이 도출되었다. 이에 따른 빅데이터 시각화 전략은 SNS상의 데이터 환경과 사용자의 눈높이에 맞는 방식으로 표현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앞으로 사용자를 위한 빅데이터 시각화가 상품서비스나 사회적 트렌드에 적용하여 활용된다면 개인의 상품 구매, 취향, 문화 등 그 역할과 적용 범위가 넓어지고 적용 대상이 많아질 것이라는 측면에서 중요한 자료가 될 것으로 생각한다.

창업지원을 위한 공공기관 빅데이터 통합 제언 (Suggestions of Big-Data Integration in Public Institutions for Supporting Start-up Businesses)

  • 김도관;진찬용;신성윤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5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204-206
    • /
    • 2015
  • 현재의 국내의 많은 자영업자들이 창업의 실패를 경험하고 있다. 이러한 점에서 무분별한 창업을 줄이고, 창업의 성공률을 높이기 위해 창업 준비과정에서 명확고 통합된 정보의 제공이 요구된다. 본 연구는 다양한 공공기관들이 분산되어 보유하고 있는 다양한 데이터를 통합한 빅데이터를 제언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창업에서 요구되는 데이터의 유형을 분류하고 통합적 창업지원 정보시스템 구축을 위한 분석 모형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조달청 OPEN API 빅데이터를 활용한 공공 소프트웨어 산업의 SNA 패턴 분석 (SNA Pattern Analysis on the Public Software Industry based on Open API Big Data from Korea Public Procurement Service)

  • 김소정;심선영;서용원
    • 정보화정책
    • /
    • 제24권3호
    • /
    • pp.42-66
    • /
    • 2017
  • 본 연구는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개방 데이터인 조달청의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최근 사회과학 연구에서 활발하게 사용되는 사회관계망 분석을 통해 정부의 특정 정책(소프트웨어 대기업 참여 상한제) 전후의 산업 네트워크 구조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소프트웨어 시장의 생태계 변화를 조망하고 공공데이터 개방의 시사점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2013년에서 2015년까지 3년에 걸쳐 공공 소프트웨어 시장의 정보화 사업에 대한 발주 및 수주 계약 데이터를 분석해 본 결과, 첫째 공공 소프트웨어 시장에서 Power Law현상이 관찰되고 있으며, 이 현상은 규제 등의 외부적 충격과 상관없이 지속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이 시장에서 Power Law현상은 지속되고 있었지만 생태계의 구성은 년도별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임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공공 소프트웨어 시장의 생태계 구성 및 변화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 근본적으로 이러한 분석을 가능케 하는 공공 빅 데이터 개방의 장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공공데이터 기반 고용보험 가입 예측 모델 개발 연구 (A Development on a Predictive Model for Buying Unemployment Insurance Program Based on Public Data)

  • 조민수;김도현;송민석;김광용;정충식;김기대
    • 한국빅데이터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17-31
    • /
    • 2017
  • 빅데이터의 중요성이 증가함에 따라 공공기관에서는 다양한 빅데이터 관련 인프라를 제공하고 있으며, 그 중 하나가 공공데이터이다. 공공데이터 기반의 다양한 활용 사례가 공유되고 있으며, 공공기관에서도 데이터 기반의 모델을 통해 공공의 문제를 해결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대표적으로 사회 보험 중 하나인 고용보험 케이스가 있다. 고용보험은 근로자의 권익 보호를 위해 근로자를 고용한 모든 사업주가 필수적으로 가입하여야 하는 보험이지만 가입누락의 경우가 많다. 가입누락을 막기 위한 데이터 기반의 접근이 필요하지만, 분산된 형태의 공공데이터, 수집 시기의 차이로 인해 데이터 통합이 어렵고, 체계적인 방법론이 부재한 상황이다. 본 논문에서는 공공데이터를 기반의 고용보험 가입 예측을 위한 모델 도출방법론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방법론은 데이터 수집, 데이터 통합 및 전처리, 데이터 탐색 및 이력 데이터 분석, 예측 모델 도출을 포함하며, 프로세스 마이닝 및 데이터 마이닝을 활용한다. 또한, 사례 연구를 통해 본 방법론의 유효성을 검증한다.

  • PDF

공공기관 빅데이터 시스템 구축을 위한 성공모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uccess Model for the Establishment of Big Data System in Public Institutions)

  • 이광수;권정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20권1호
    • /
    • pp.129-139
    • /
    • 2022
  • 본 연구는 빅데이터시스템 구축 시 어떠한 요인이 성공적인 빅데이터시스템 구축에 영향을 주는가를 파악하고, 요인들 간의 관계를 규명하여, 공공기관에서 빅데이터 시스템을 구축하는데 있어서 필요한 성공모형과 성공요인을 규명하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와 관련된 선행 및 관련연구들을 고찰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빅데이터 시스템 구축을 위한 성공요인을 도출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빅데이터 시스템을 구축하였거나, 구축할 계획을 가지고 있는 기관의 사용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으며, 성공요인들 간의 미치는 영향관계를 검증하기 위하여 구조방정식(AMOS)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조직지원요인, 개발지원요인, 사용자지원요인, 정보 품질, 서비스 품질, 시스템 품질, 사용, 순 편익이 빅데이터 시스템 구축을 위한 성공요인으로 도출되었으며, 이들 간의 관계를 규명하고 성공모형을 제시하였다. 이는 빅데이터 특성을 반영한 정보시스템 구축 성공모형의 첫 연구라는 점에서 의의와 학술적 공헌점이 있다고 볼 수 있으며, 향후 본 연구결과가 공공기관에서 빅데이터 시스템 구축의 기초 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Design of Public Transportation Route Guidance System for Wheelchair Users Utilizing Public Data of Seoul City

  • Geumbi, Lee;Humberto, Villalta;Seunghyun, Kim;Kisu, Kim;Jaehyeong, Go;Yongjoo, Jun;Kwang Sik, Kim
    •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제15권1호
    • /
    • pp.97-112
    • /
    • 202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ign and test a new way of public transportation route guidance system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including wheelchair users. The guidance system is smartphone app-based, using, routes that involve disabled-friendly facilities in the vicinity can be searched. A database that contains publicly available data on low-floor bus services, location and extent of disabled-friendly facilities, and suitable subways and stations, was developed for this purpose. The app uses the database to access and query the required information. A pilot study was conducted to test the effectiveness of the guidance system. It was found that the system was able to convey information about the disabled-friendly routes and related guidance information even inside subway stations, effectively. The performance of the system was compared with route guidance services that do not explicitly use data on disabled-friendly services. A notable difference was observed in the travel time estimated by this program and other guidance services. The difference was around 4 to 15 minutes. This is significant savings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if they use the app and service. The study thus shows that exclusive use of disabled-friendly data in route guidance will bring more benefits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