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sychotherapy Game

검색결과 11건 처리시간 0.02초

정신 치료를 위한 기능성 게임 분석 (Analysis on Serious Games for Psychotherapy)

  • 이면재;고기숙;김영은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2권4호
    • /
    • pp.417-427
    • /
    • 2011
  • 기능성 게임은 게임의 오락성에 특정 전문 분야(교육, 의료, 스포츠, 국방, 공공 분야 등)의 고유 목적이 결합된 게임이다. 현재, 국내에서는 많은 기능성 게임이 개발되고 있지만, 기능성 게임의 개발 요소에 관한 중점사항이 제시되어 있지 않는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정신 치료 분야의 기능성 게임 개발을 위하여, 기존 정신 치료를 목적으로 개발된 게임들을 Hy Resnick과 Moshe Sherer가 제시한 휴먼서비스(Human Service) 게임의 필요 요소들로 분석한다. 그리고, 분석된 요소들을 바탕으로 정신 치료 게임의 개발 방법을 논한다. 본 논문은 정신 치료를 위한 기능성 게임의 이론적 토대를 제시하고 정신 치료 분야의 기능성 게임의 제작하려는 개발자들에 가이드라인을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다.

정신 치료 게임의 재미 요소 향상 방안 (A Study on Improving Fun Factor of Psychotherapy Game)

  • 이면재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3권1호
    • /
    • pp.13-20
    • /
    • 2012
  • 게임은 대부분의 사람들에게 접근과 몰입이 우수한 미디어이다. 이러한 특성을 바탕으로 게임의 재미와 각 분야의 학습 목적이 결합된 게임들이 다양한 분야에서 개발되어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게임을 개발하려고 할 경우에, 기획자들은 게임의 재미와 해당 분야의 학습 목적을 균형있게 기획해야만 한다. 본 논문에서는 면대면 치료에서의 치료의 접근성과 치료 회기의 지속을 개선하기 위하여 개발된 정신치료 게임들을 상업용 게임에서의 재미 요소로 분석한다. 그리고, 정신 치료 게임의 재미를 증가시키기 위한 방법을 기술한다. 이 논문은 보다 높은 몰입성을 갖는 정신 치료 게임을 제작하려는 개발자들에게 도움이 될 수 있다.

영화치료에 있어 스토리 콘텐츠의 효과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Story Content in Film Therapy)

  • 조상호;김치용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20권1호
    • /
    • pp.93-100
    • /
    • 2017
  • In our life, stories are ubiquitous. Such stories of our lives are shared during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Modern storytelling is not limited to image and digital media. It encompasses various media, including offline contents such as festivals and theme parks. Furthermore, it is also utilized in film therapy. Film therapy refers to all the methods that utilize films and image media in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This paper summarizes and analyzes film therapy that utilizes storytelling. As the result of this analysis, it was found that we could gain insight into the identity of patients and their treatment through the storytelling that utilized films.

Do Therapeutic Interventions Exist in Online Games? Effects of Therapeutic Catharsis, Online Game Self-Efficacy, and Life Self-Efficacy on Depression, Loneliness, and Aggression

  • Lee, Hye Rim;Jeong, Eui Jun
    •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ents
    • /
    • 제14권1호
    • /
    • pp.12-17
    • /
    • 2018
  • This study explored potential therapeutic mechanisms of playing preferred online games as predictors of therapeutic interventions for players' psychosocial factors (i.e., aggression, depression, and loneliness). Based on theories of catharsis, the generic model of psychotherapy, we took a therapeutic approach to integrate these perspectives. We created a path model describing how therapeutic catharsis-seeking, online game self-efficacy, and life self-efficacy were associated with psychosocial factors of aggression, depression, and loneliness, including generalized sub-constructs of each factor as multi-dimensional sources. We analyzed the path model using data of 1,227 online game players in Korea. Our results indicated that therapeutic catharsis-seeking could alleviate aggression via favorite game playing. Life self-efficacy was a primary predictor for alleviating depression and loneliness. However, online game self-efficacy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depression and loneliness.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are discussed.

Intuitive Game Design as digital therapeutic tool for silver-generation

  • Hyein Kwon;Chan Lim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12권1호
    • /
    • pp.305-310
    • /
    • 202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lement game content within the generative artificial intelligence module Chat-GPTs, grounded in the humanistic discourse of self-reflection. This content aims to empower the dignity of the silver generation, which has been marginalized by digital technology. Simultaneously, we intend to prototype a digital psychotherapeutic tool. The development of a flexible device that adapts to the silver generation's living environment and temporal constraints is also part of our plan. However, there are still few commercially available products, and digital therapeutics developed in the form of content are virtually nonexistent. The goal is to implement game content that allows the elderly, who have been marginalized by digital technology, to find their true dignity. Simultaneously, we plan to commercialize a prototype of digital psychotherapy that can flexibly adapt to the range of living environments and time constraints of the elderly. This study has been extended based on the game content 'Daily Run' created by Hyein Kwon, an undergraduate student at Kyungil University.

백색잡음을 혼합한 게임음악이 전전두엽에 미치는 영향 (An Effect of the Prefrontal Lobe Influenced by Game Music Mixed with White Noise)

  • 최종윤;이대웅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11권6호
    • /
    • pp.3-11
    • /
    • 2011
  • 디지털미디어의 사운드는 인간의 감각을 자극하여 커뮤니케이션을 수행한다. 소리 자극은 생리적 흥분을 가져오고 반응에 민감한 상태로 각성시키는데, 이는 심장박동, 혈압, 뇌파신호로 나타난다. 본 논문에서는 이완효과가 있는 백색잡음을 혼합한 게임음악과 백색잡음이 섞이지 않은 게임음악을 듣는 게임 플레이어의 뇌파변화를 검사했다. 실험은 두 그룹으로 나누어 진행되었으며 A 그룹은 백색잡음이 섞인 게임음악을, B 그룹은 백색잡음이 섞이지 않은 게임음악을 들으며 게임을 플레이했다. 두 그룹의 전전두엽 뇌파 변화를 측정한 결과 좌뇌에서는 백색 잡음의 이완효과가 나타났으며, 우뇌의 경우는 기대치에 미치지 못했다. 본 연구는 백색잡음의 이완효과를 이용한 기능성 심리치료 게임을 개발하기 위한 기본 연구가 될 것이다.

의료용 기능성 게임의 품질평가 요소 추출 (The Extraction of Quality Evaluation Elements for Medical Serious Game)

  • 윤선정;류미영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8권3호
    • /
    • pp.19-26
    • /
    • 2013
  • 최근에 의료용 기능성 게임의 긍정적 효과가 입증되면서 사용자를 위하여 품질평가가 중요한 이슈가 되었다. 품질평가는 객관적인 기준과 평가요소 개발이 중요하다. 기능성게임의 품질평가는 프로그램적인 기술적 영역과 콘텐츠적인 비기술적 영역으로 나누어 진행된다. 본 연구에서는 품질평가 모델 개발 프로세스에 따라 심리 치료게임과 헬스 재활 치료게임에 대해 비기술적인 영역의 품질평가 요소를 개발하였다. 두 종류의 의료용 게임에 각각 5가지의 평가 요소를 추출하고 타당성을 확보하기 위해 의료 전문가들의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추출된 요소는 적합도 검사를 실시하여 검증하였다. 두 집단에 대한 카이제곱검정 결과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본 연구 결과는 의료용 기능성게임을 설계하고 개발하는데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학령전기아동의 정서지능 및 친사회적 행동 증진을 위한 장기집단상담프로그램 효과연구 (Effectiveness of the Long-term Group-Counseling Program to Improve Emotional Intelligence and Prosocial Behavior in Preschooler)

  • 이정숙;유정선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5권1호
    • /
    • pp.29-43
    • /
    • 2007
  • Effectiveness of Long-term Group-counseling in Improving Emotional Intelligence and Prosocial Behavior in Preschool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effectiveness of long-term group-counseling in preventing children's maladjustment at school. for this study, six children were selected for an experimental group and another six for a control group. They were tested using the Emotional Intelligence Rating System and the Prosocial Behavior Skill Situations Measure for Preschool Level. In addition to quantitative analysis, a qualitative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group processes and changes in each child.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socio-drama, group art therapy, and game play therapy whereas the control group did not receive any treatment. In order to examine the impact of the intervention, pre-program tests and post-program tests were conduct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was improved with group counseling.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emotional intelligence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the control groups. Second, children's prosocial behavior ability alsoimprove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ocial ability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the control groups.

저소득층 아동의 사회성증진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 효과 연구 (Effectiveness of the Group-Counseling Program to Improve Social Ability in the Children from Low-Income Families)

  • 이정숙;유정선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3권3호
    • /
    • pp.127-136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effectiveness of a group-counseling program to improve children's social ability. For this study, six children were selected for an experimental group and another six for a control group. They were tested using the Social Skill Rating System for Preschool level. In addition to a quantitative analysis, a qualitative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group processes and changes of each child.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a socio-drama group art therapy, and game play therapy whereas the control group did not receive any treatment. In order to examine the impact of the intervention, ore-program tests and post-program tests were conduct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children's social ability was improve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ocial ability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the control group. Second the group counseling program was proved to be effective. This program was primarily designed for children from low-income families.

온라인 게임 플레이영상의 이용자에 따른 색채 특성 분석 연구 (A Study on Analysis of Color characteristic of On-line of Game Play Image of according to the Users)

  • 장현주;정형원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10호
    • /
    • pp.399-404
    • /
    • 2017
  • 게임 이미지가 연령에 적합하지 않은 색채를 사용할 경우 게임의 특성이 사라지고 이미지표출의 효율성이 떨어진다. 유저는 게임에서 선호하는 색을 먼저 지각하여 게임을 선택하고 호기심 또한 유발시킬 수 있으므로 색채연구는 매우 중요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와 관련된 연구가 미흡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게임 이미지의 색이 이용자에 따라 어떤 차이가 있는지 분석 연구하였다. 이용자 구분은 전체 이용자와 18세이상 이용자로 구분하며, 게임인기순위에서 전체이용가와 청소년이용불가 등급의 각 10개 게임의 게임플레이영상을 스냅샷으로 각각100장의 이미지, 총 2000장을 추출하여 각 게임의 RGB와 HSB의 평균값을 구하고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두 이용자 간의 RGB색채 값이 확실하게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색채 심리를 이용한 심리치료 게임이나 감성 게임 등을 개발 시 색채 선택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되며, 나아가 색 이미지 스케일 등을 이용하여 색을 형용사로 표현하고 더 다양한 방법으로 색채특성을 분석하고자 하며, 나라별 게임 이미지의 색채의 차이가 있는지 연구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