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oximal humeral fracture

검색결과 49건 처리시간 0.02초

Internal Fixation with a Locking T-Plate for Proximal Humeral Fractures in Patients Aged 65 Years and Older

  • Yum, Jae-Kwang;Seong, Min-Kyu;Hong, Chi-Woon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20권4호
    • /
    • pp.217-221
    • /
    • 2017
  • Backgroun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clinical and radiographic outcomes of internal fixation with locking T-plates for osteoporotic fractures of the proximal humerus in patients aged 65 years and older. Methods: From January 2007 through to December 2015, we recruited 47 patients aged 65 years and older with osteoporotic fractures of the proximal humerus. All fractures had been treated using open reduction and internal fixation with a locking T-plate. We classified the fractures in accordance to the Neer classification system; At the final follow-up, the indicators of clinical outcome-the range of motion of the shoulder (flexion, internal rotation, and external rotation) and the presence of postoperative complications-and the indicators of radiographic outcome-the time-to-union and the neck-shaft angle of the proximal humerus-were evaluated. The Paavolainen method was used to grade the level of radiological outcome in the patients. Results: The mean flexion was $155.0^{\circ}$ (range, $90^{\circ}-180^{\circ}$), the mean internal rotation was T8 (range, T6-L2), and the mean external rotation was $66.8^{\circ}$ (range, $30^{\circ}-80^{\circ}$). Postoperative complications, such as plate impingement, screw loosening, and varus malunion were observed in five patient. We found that all patients achieved bone union, and the mean time-to-union was 13.5 weeks of the treatment. The mean neck-shaft angle was $131.4^{\circ}$ at the 6-month follow-up. According to the Paavolainen method, "good" and "fair" radiographic results each accounted for 38 and 9 of the total patients, respectively. Conclusions: We concluded that locking T-plate fixation leads to satisfactory clinical and radiological outcomes in elderly patients with proximal humeral fractures by providing a larger surface area of contact with the fracture and a more rigid fixation.

Short-term comparative outcomes between reverse shoulder arthroplasty for shoulder trauma and shoulder arthritis: a Southeast Asian experience

  • Ng, Julia Poh Hwee;Tham, Sherlyn Yen Yu;Kolla, Saketh;Kwan, Yiu Hin;Tan, James Chung Hui;Teo, Timothy Wei Wen;Wee, Andy Teck Huat;Toon, Dong Hao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25권3호
    • /
    • pp.210-216
    • /
    • 2022
  • Background: Reverse shoulder arthroplasty (RSA), first introduced as a management option for cuff tear arthropathy, is now an accepted treatment for complex proximal humeral fractures. Few studies have identified whether the outcomes of RSA for shoulder trauma are comparable to those of RSA for shoulder arthritis. Methods: This is a retrospective, single-institution cohort study of all patients who underwent RSA at our institution between January 2013 and December 2019. In total, 49 patients met the inclusion criteria. As outcomes, we evaluated the 1-year American Shoulder and Elbow Surgeons (ASES) and Constant shoulder scores, postoperative shoulder range of motion, intra- and postoperative complications, and cumulative revision rate. The patients were grouped based on preoperative diagnosis to compare postoperative outcomes across two broad groups. Results: The median follow-up period was 32.8 months (interquartile range, 12.6-66.6 months). The 1-year visual analog scale, range of motion, and Constant and ASES functional scores were comparable between RSAs performed to treat shoulder trauma and that performed for arthritis. The overall complication rate was 20.4%, with patients with a preoperative diagnosis of arthritis having significantly more complications than those with a preoperative diagnosis of trauma (34.8% vs. 7.7%). Conclusions: Patients who underwent RSA due to a proximal humeral fracture or dislocation did not fare worse than those who underwent RSA for arthritis at 1 year, in terms of both functional and radiological outcomes.

상완골 간부 골절에서 교합성 골수강 내 금속정 고정 후 잔존한 골절편 전위에 대한 임상적, 방사선학적 추시 (Clinical and Radiographical Follow-up for Residual Displacement of Fracture Fragments after Interlocking Intramedullary Nailing in Humeral Shaft Fractures)

  • 염재광;임동주;정의엽;손수인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6권2호
    • /
    • pp.107-114
    • /
    • 2013
  • 목적: 상완골 간부 골절에서 골수강 내 금속정 고정을 시행한 후 잔존한 전위에 대해 임상적, 방사선학적 결과를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4년 7월부터 2011년 8월까지 상완골 간부 골절에 대해서 골수강 내 금속정 고정 후 잔존한 전위가 10 mm 이상, 20 mm 미만인 8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평균 연령은 54.1세(43~70세), 남자 3예, 여자 5예였다. 수술 직후 단순 방사선 사진으로 전위와 각형성의 정도를 측정하였으며, 추시 방사선 사진으로 이의 호전 정도와 골유합, 합병증 여부를 확인하였다. 술 후 견관절 및 주관절의 운동 범위와 통증에 대해서 조사하였다. 결과: 모든 예에서 골유합을 얻을 수 있었고, 평균 골유합 기간은 16.1주였다. 최종 추시 견관절 및 주관절의 운동범위는 대부분 정상 범위로 돌아왔다. 1예에서 견관절 강직으로 인하여 관절경적 관절낭 이완술 및 도수 조작술 후 운동범위를 회복하였으며, 일시적인 견관절 통증 1예, 주관절 통증 1예가 있었다. 2예에서 근위 나사못의 빠짐이 있었으나 모두 골유합을 얻었다. 결론: 상완골 간부 골절에서 골수강 내 금속정 고정 후 잔존한 전위에도 불구하고 골유합을 얻을 수 있었으며 우수한 임상적 결과를 보였기 때문에, 관혈적 정복 또는 추가 고정은 필요하지 않았다.

상완골 근위부 골절의 치료 실패 후 견관절 치환술 (Shoulder Replacement Arthroplasty after Failed Proximal Humerus Fracture)

  • 박진영;서범호;이승준
    • 대한정형외과학회지
    • /
    • 제54권2호
    • /
    • pp.110-119
    • /
    • 2019
  • 상완골 근위부 골절은 상완골의 외과적 경부 또는 근위부에 발생하는 골절로 정의할 수 있으며, 적절한 치료에도 불구하고 다양한 합병증 및 후유증이 발생할 수 있어 그 치료가 매우 까다롭고 견관절 치환술 등의 수술적 치료를 요하는 경우가 많다. 상완골 근위부 골절 후 후유증은 Boileau가 제시한 분류법이 가장 많이 사용되며, 2개의 카테고리 및 4가지의 타입으로 분류할 수가 있다. 카테고리 I은 관절 내 감입 골절로 결절들과 상완골 두 사이에 저명한 해부학적 변형이 동반되지 않아 결절 절골술을 시행하지 않고도 해부학적 치환물을 사용할 수 있는 경우로서 결절의 불유합이 거의 없이 두경부의 붕괴(cephalic collapse)나 괴사가 있는 타입 1과 잠김 탈구(locked dislocation) 또는 골절-탈구와 관련이 있는 타입 2로 나눌 수 있다. 카테고리 II는 관절 외 골절이며 결절들과 상완골 두 사이에 육안적인 변형이 있는 경우로서 해부학적 치환물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결절 절골술을 시행해야 하며, 외과적 경부의 불유합이 동반된 타입 3와 심각한 결절의 부정유합이 동반된 타입 4로 분류할 수 있다. 각 타입별 치료를 위해서 타입 1의 경우에는 결절 절골술을 시행하지 않고 비구속형 치환술을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하지만, 타입 1C, 1D와 같이 외반이나 내반 변형이 동반되거나 회전근 개의 지방 변성이 심할 경우에는 역행성 견관절 전치환술 또한 고려해야 한다. 타입 2는 일반적으로 비구속형 치환술로 좋은 결과를 기대할 수 있으나 관절와 골 결손이 없으며 회전근 개의 결손이 동반된 경우 역행성 견관절 전치환술 또한 하나의 치료 방법으로 고려할 수 있다. 타입 3는 견관절 치환술보다는 골쐐기 이식 등을 함께 시행하여 내고정을 시행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으로 보이며, 최근 역행성 견관절 전치환술의 결과에 대한 보고 또한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마지막으로 타입 4는 역행성 견관절 전치환술이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잠김 압박 금속판을 이용한 근위 상완골 골절의 내고정술 (Internal Fixation of Proximal Humerus Fracture with Locking Compression Plate)

  • 박철현;박성혁;서재성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2권1호
    • /
    • pp.44-52
    • /
    • 2009
  • 목적: 상완골 근위부 골절에서 잠김 압박 금속판을 이용하여 치료한 후 그 임상적 및 방사선학적 결과를 알아 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5년 2월부터 2007년 9월까지 상완골 근위부 골절로 잠김 압박 금속판을 이용하여 치료받은 2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평균 연령은 60.6세였고, 평균 추시 기간은 22.3개월이었다. 임상적 결과는 Constant score 및 DASH score를 이용하여 평가하였고, 방사선학적 평가는 경간각을 이용한 Pavolainen의 방법과 상완 골두의 높이를 측정하여 평가하였다. 결과: 최종 추시 시 Constant score는 평균 75.3점이었고, 15예에서 양호 이상의 점수를 보였고, DASH score 평균 16.4점이었다. 경간각은 평균 $137.1^{\circ}$였으며 19예에서 양호 이상의 결과를 보였다. 전 예에서 골유합을 얻을 수 있었으며, 지연성 유합 및 부정 유합이 각 1예에서 관찰되었고 1예에서 나사못에 의한 자극을 보였다. 결론: 불안정성 상완골 근위부 골절에서 잠김 금속판을 이용한 내고정술은 임상적 및 방사선학적으로 양호한 결과를 보여 주었고, 적은 합병증을 나타내었으며 만족스런 정복과 안정적인 초기 고정력을 얻을 수 있어 조기에 관절 운동이 가능하였다. 잠김 압박 금속판을 이용한 내고정술은 불안정성 상완골 근위부 골절의 치료에 좋은 방법이라고 생각된다.

상완골 간부 골절과 동반된 진단이 지연된 근피신경 손상 - 증례 보고 - (Delayed Diagnosis of Muculocutaneous Nerve Injury Associated with a Humerus Shaft Fracture - A Case Report -)

  • 노영학;김성완;정문상;백구현;오주한;이영호;공현식
    • Archives of Reconstructive Microsurgery
    • /
    • 제19권1호
    • /
    • pp.50-55
    • /
    • 2010
  • Injury of the musculocutanous nerve can be associated with a proximal humeral fracture or shoulder dislocation, and injury of the brachial plexus. However, injury of this nerve associated with a humeral shaft fracture has rarely been reported. Diagnosis of the musculocutaneous nerve injury is difficult because its sensory loss is ill-defined, and examination of elbow flexion is difficult when it is associated with fractures. We report an unusual case of musculocutaneous nerve injury in a 27 years old woman who had multiple injuries including a humerus shaft fracture, an ipsilateral radius shaft fracture, and an associated radial nerve laceration. Diagnosis of the musculocutaneous nerve injury was delayed because combined fractures of the humerus and radius prevented proper examination of the elbow motion and nerve grafting of the radial nerve delayed early elbow motion exercise. Delayed exploration of the musculocutaneous nerve 6 months after trauma showed complete rupture of the nerve at its entry into the coracobrachialis muscle and the defect was successfully managed by sural nerve graft.

  • PDF

잠김 압박 금속판(LCP)을 이용한 상완골 근위부 이분 및 삼분 골절의 치료 (Treatment of Two- and Three-Part Fracture of Proximal Humerus using LCP)

  • 신성일;송경원;이진영;이승용;김갑래;현윤석;박덕용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0권2호
    • /
    • pp.204-211
    • /
    • 2007
  • 목적: 본 연구는 잠김 압박 금속판(LCP)을 이용한 상완골 근위부 골절 치료의 결과와 합병증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4년 부터 2006년 까지 잠김 압박 금속판으로 치료한 상완골 근위부의 이분 골절과 삼분 골절을 가진 21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평균 나이는 54.9세 였다. 술후 평균 추시 기간은 22.9개월 이었다. 정복과 합병증의 평가는 최종 방사선 소견을 이용하였고, 기능적 평가는 Neer의 기능적 평가기준을 사용하였다. 결과: Neer의 기능적 평가기준에 의해 견관절 기능의 평균 점수는 86.3 이었고, 18예에서 만족스러운 결과를 보였다. 불유합은 1예 발생하였으며, 상완골 두의 감염이나 무혈성 괴사는 없었다. 최종 결과와 골절의 유형, 나이, 성별 또는 정복의 양상과는 임상적 연관을 보이지 않았다. 결론: 본 연구에서는 상완골 근위부 골절의 치료에서 잠김 압박 금속판 고정으로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었다. 상완골 근위부 골절의 치료에서 잠김 압박 금속판을 이용한 고정은 만족스러운 정복, 강한 고정 그리고 조기 관절 운동을 얻는 좋은 방법이라고 생각된다.

Strut Support with Tricortical Iliac Allografts in Unstable Proximal Humerus Fractures: Surgical Indication and New Definition of Poor Medial Column Support

  • Lee, Seung-Jin;Hyun, Yoon-Suk;Baek, Seung-Ha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22권1호
    • /
    • pp.29-36
    • /
    • 2019
  • Background: The execution of fibular allograft augmentation in unstable proximal humerus fractures (PHFs) was technically demanding. In this study, the authors evaluated the clinical and radiographic outcomes after tricortical iliac allograft (TIA) augmentation in PHFs. Methods: We retrospectively assessed 38 PHF patients treated with locking-plate fixation and TIA augmentation. Insertion of a TIA was indicated when an unstable PHF showed a large cavitary defect and poor medial column support after open reduction, regardless of the presence of medial cortical comminution in preoperative images. Radiographic imaging parameters (humeral head height, HHH; humeral neck-shaft angle, HNSA; head mediolateral offset, HMLO; and status of the union), Constant score, and range of motion were evaluated. Patients were grouped according to whether the medial column support after open reduction was poor or not (groups A and B, respectively); clinical outcomes were compared for all parameters. Results: All fractures healed radiologically (average duration to complete union, 5.8 months). At final evaluation, the average Constant score was 73 points and the mean active forward flexion was $148^{\circ}$. Based on the Paavolainen assessment method, 33 patients had good results and 5 patients showed fair results. The mean loss of reduction was 1.32 mm in HHH and 5.02% in HMLO. None of the parameters evaluated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poor and not poor medial column support). Conclusions: In unstable PHFs, TIA augmentation can provide good clinical and radiological results when there are poor medial column support and a large cavitary defect after open reduction.

Comparative analysis of proximal humerus fracture management in elderly patients: complications of open reduction and internal fixation by shoulder surgeons and non-shoulder surgeons-a retrospective study

  • Rui Claro;Bianca Barros;Carlos Ferreira;Ana Ribau;Luis Henrique Barros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27권1호
    • /
    • pp.32-38
    • /
    • 2024
  • Background: Open reduction and internal fixation (ORIF) with a locking plate is a popular surgical treatment for proximal humeral fractures (PHF). This study aimed to assess the occurrence of complications in elderly patients with PHF treated surgically using ORIF with a locking plate and to investigate the potential differences between patients treated by shoulder surgeons and non-shoulder surgeons. Methods: A retrospective study was conducted using a single-center database to identify patients aged ≥70 years who underwent ORIF for PHF between January 1, 2011, and December 31, 2021. Data on the Neer classification, follow-up, occurrence of avascular necrosis of the humeral head, implant failure, and revision surgery were also collected. Statistical analyses were performed to calculate the overall frequency of complications according to the Neer classification. Results: The rates of implant failure, avascular osteonecrosis, and revision surgery were 15.7%, 4.8%, and 15.7%, respectively. Complications were more common in patients with Neer three- and four-part fractures. Although the difference between surgeries performed by shoulder surgeons and non-shoulder surgeons did not reach statistical significance, the rate of complications and the need for revision surgery were nearly two-fold higher in the latter group. Conclusions: PHF are highly prevalent in the elderly population. However, the ORIF surgical approach, as demonstrated in this study, is associated with a considerable rate of complications. Surgeries performed by non-shoulder surgeons had a higher rate of complications and a more frequent need for revision surgery. Future studies comparing surgical treatments and their respective complication rates are crucial to determine the optimal therapeutic options. Level of evidence: III.

제 1형 신경 섬유종증 환자에서 발생한 재발성 견관절 탈구 및 근위 상완골 골절 - 1예 보고 - (Recurrent Shoulder Dislocation and Proximal Humerus Fracture in Neurofibromatosis Type I - A Case Report -)

  • 황태혁;조형래;왕태현;양희순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6권2호
    • /
    • pp.135-140
    • /
    • 2013
  • 제 1형 신경 섬유종증 환자에서 발생한 재발성 견관절 탈구 및 동반된 근위 상완골 골절 1예를 보고하고자 한다. 제 1형 신경 섬유종증으로 진단된 20세 남자로 가벼운 외상 후 발생한 우측 견관절의 탈구와 근위 상완골 골절로 내원하였다. 수상측 주관절부에는 큰 망상형 신경 섬유종들이 있었으며 견관절 탈구는 재발성 병변이었다. 단순 방사선과 컴퓨터 단층 촬영 소견 상 상완골과 견갑골의 골성 변형을 보였고 자기 공명 영상 검사 상 삼각근과 회전근 개에 다발성 신경 섬유종성 변화가 관찰되었다. 관혈적 정복술 및 관절막 재건술을 시행하였으며 근위 상완골 골절은 재건 금속판을 이용하여 고정하였다. 골유합과 만족스런 기능 회복을 보였으며 수술 후 7개월 추시 상 견관절 탈구의 재발은 관찰되지 않았다. 제 1형 신경 섬유종증 환자에서 발생한 견관절 재발성 탈구와 근위 상완골 골절은 드문 합병증이나 질환의 정형외과적 접근 시 고려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