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otestant

검색결과 88건 처리시간 0.023초

한국개신교와 종교 혼합주의 (THE PROTESTANT CHURCH AND RELIGIOUS SYNCRETISM IN SOUTH KOREA)

  • 김은기
    • 대순사상논총
    • /
    • 제19권
    • /
    • pp.125-143
    • /
    • 2005
  • This study offers an analysis of how Protestant Christianity in South Korea incorporated many beliefs and practices of Korean traditional religions in order to make the new faith more appealing to the masses. The paper also examines the way in which specific Protestant doctrines and practices were modified or accentuated to suit the disposition of the Korean people. In agreement with Confucianism, for example, Protestant churches in general emphasized the values of diligence, self-cultivation, righteous living, and, most importantly, filial piety. By overtly and subtly permitting ancestral rites to be conducted by Christians, moreover, Protestant Christianity evaded successfully the potential alienation of the tradition-bound Koreans. From Buddhism, Protestant Christianity syncretized such elements as the daily dawn prayer and all-night prayer as well as the practices of baekilgido ("a hundred-day prayer") and chunilgido ("a thousand-day prayer"). Hundreds of prayer centers that exist deep in the mountains also manifest a Buddhist influence. Shamanistic influences are also evident in Korean Protestantism, replete with the latter's emphasis on this-worldly success (health, prosperity, long life, etc.), faith healing, and conceptualization of God as being merciful and generous. What all of this reveals is that Christian conversion in South Korea did not involve an exclusivistic change of religious affiliation, meaning that it did not require the repudiation of traditionally held beliefs. Instead, millions of South Koreans eagerly embraced Protestant Christianity precisely because the new faith was advanced as an extension or continuation of traditional religious practices.

  • PDF

한국적 상황에서 관상기도 이해 (Understanding Contemplative Prayer in the Korean Protestant Context)

  • 권진구
    • 기독교교육논총
    • /
    • 제69권
    • /
    • pp.163-192
    • /
    • 2022
  • 20세기 초 한국 개신교인들은 통성기도와 새벽기도를 시작했다. 이 두 기도는 이후 100년 동안 한국 개신교인들에게 사랑받고 널리 행해졌다. 방언은 1950년대에 도입되기 시작해 통성기도 및 새벽기도와 함께 가장 대중적인 기도가 되었다. 이후 한국 개신교회는 1970년대 매일 성경과 같은 묵상집을 통해 성경 묵상을 시작했다. 그리고 한국 개신교 기도 역사에서 가장 최근에 관상기도라는 생소한 기도가 등장하게 되었다. 관상기도는 곧 개신교 학자와 목회자에게 논쟁의 주제가 되었고 이러한 논쟁은 관상기도가 2000년대를 즈음해 등장한 후로 줄곧 지속하고 있다. 관상기도는 개신교계에서 기도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킨 최초의 비(非) 개신교 기도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관상기도 논쟁은 주로 성경적 기원, 신학적 적합성, 역사와 전통에 대한 일치성에 관련되어있다. 이전의 연구들이 관상기도의 적합성에 대해 논했다면 본 연구는 관상기도 논쟁이 왜 중요한지 묻고 답한다. 이 연구는 관상기도에 대해 찬반을 논하는 학자들의 연구를 소개하고 양측의 관점을 분석한다. 그리고 한국 개신교 기도와 관상기도의 만남이 의미하는 바가 무엇인지 논한다. 관상기도는 통성기도, 새벽기도, 방언 등으로 대표되는 한국 개신교의 기도 문화와 음성의 유무, 개별성과 집합성, 기도의 방법과 목적 등의 차원에서 충돌하고 있다. 본 논문은 한국 개신교에서 관상기도 논쟁이 한국교회가 새로운 기도 문화와 전통을 창조할 잠재력이 있다는 점을 보여주고 침묵을 통한 영적 훈련을 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주장한다.

개신교 기혼여성의 종교활동이 가족원의 관계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Protestant Married Women’s Religious Activity on Family Mamber’s Relational Satisfaction)

  • 변경애;김순옥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19권5호
    • /
    • pp.33-49
    • /
    • 2001
  • This study was performed under the need for systematic analysis about the effect of religious activity of a protestant married women in Korea on the relational satisfaction between her and her family members. It was separately analyzed that church-centered religious activity and home-centered religious activ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are to propose religious activity that could allow for a satisfactory relationship between all family members of a protestant married women, and to contribute to make a harmonious family through recommended activities for a protestant family and church to accept and carry out. The analyses of the results are in case of the pure explanation power that religious activity has on a protestant married women and her family member’s relational satisfaction, the couple relational satisfaction degree from wife is 4.6%, the one from husband is 4.4%, the mother-child relational satisfaction degree from mother is 2.5%, and the one from child is 1.5%. Therefore effect of religious activity on family member’s satisfaction is more couple relational satisfaction than mother-child relational satisfaction, and the significant variable on all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protestant married women and her family members are home-centered religious activity.

  • PDF

한국 개신교 기도 전통과 기독교교육 (Korean Protestant Prayer Traditions and Christian Education)

  • 권진구
    • 기독교교육논총
    • /
    • 제68권
    • /
    • pp.307-344
    • /
    • 2021
  • 1880년대 초기 개신교 선교사들이 한국에 복음을 전한 이후 한국 개신교는 양적 성장에 이은 질적 성장을 추구하고 있다. 신학, 목회, 사회 참여, 윤리, 교육, 상담, 역사, 영성 등 다양한 분야에서 질적 성장을 위한 목회자들과 학자들의 노력이 이어지고 있다. 기도는 한국 개신교의 역사와 신앙에 있어 중요한 영적 자원이자 방법이었다. 한국 개신교 기도전통에 대한 역사적이고 이론적인 연구가 지속하고 있고 시대와 상황에 맞게 재정립할 필요가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역사적 흐름 속에서 개신교의 변화와 기도 교육을 위해 한국 개신교 기도전통을 정리해 그 의의를 서술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한국 개신교 기도전통의 특징적 요소에 대해 분석하고 교회와 기독교교육에 있어 어떤 의의가 있는지 논한다. 또한, 한국 개신교에 특정한 기도의 요소가 자리 잡게 된 원인이나 배경을 분석하고 최근 다루어지는 주제와의 관계를 서술한다. 이러한 시도를 통해 한국 개신교 기도전통이 기독교교육에 어떤 의미가 있으며, 향후 교육의 내용, 방법, 목적 등을 연구하고 고찰할 때 새롭게 논의되고 고려되어야 할 점이 무엇인지 제안한다. 본 연구는 개신교 초기 기도의 교육적 요소와 비교육적 요소를 구분할 수 있다는 점과 개신교 기도전통의 특징을 이해하면서 동시에 기독교 전체 역사와 전통의 관점에서 기도 교육이 이루어져야 함을 주장한다.

농촌지역(農村地域) 개신교회(改新敎會)의 다목적(多目的) 공간(空間) 활용(活用) 방안(方案) (A Plan of the Multi-use Space for the Rural Protestant Church)

  • 남윤철;장순우;한규영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1권2호
    • /
    • pp.75-82
    • /
    • 199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lan the social space for utilization in rural protestant church. Sindai church is the oldest and has rural characteristics in Chung-Ju. This model is used with the data which were obtained by the paster, believer, inhabita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The movable furnitures have merits of multi-use space in the rural protestant church. This could be possible the various functions for a flexible worship space.

  • PDF

한국 현대 개신교회 대예배실 디자인의 추상적 상징성 표현 분석 연구 - 2000년 이후 건축된 개신교회를 중심으로 - (A Study of Analysis on Abstract Symbolism Expression in Korean Contemporary Protestant Church Main Chapel Design - Focus on the Protestant Church was built after 2000 -)

  • 김정태;최상헌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1권4호
    • /
    • pp.3-11
    • /
    • 2012
  •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find out design problems of grand chapel of the Protestant church and to set analysis frame based on theoretical study on abstract symbolism and investigate cases and to give reference of abstract symbolism expression of design of the chapel. The findings were as follow: Introduction of the light was found to be the most outstanding among abstract symbolic factors, and metaphor was commonly used to express abstract symbols. First, 1) Introduction of the light was found to be the most outstanding at application of abstract symbolic factor of modern Protestant church to be the highest among pastors, office bearers, believers and non-Christians. 2) The metaphor was found to be the most noticeable among abstract symbolic expressions. Second, the findings of questionnaire survey was: The findings of questionnaire of not only abstract symbolic expression factor but also symbolic expression method was not to cognize ideas of pastor, office bearers, believers and designers often. This was because abstract symbolism was made from point of view of designers. Therefore, abstract symbolic expression factors of grand chapel of modern Protestant church, for instance, effective introduction of the light, light quoting the Bible sayings, material, color and shapes, etc should be used with metaphor and symmetry to give Christians value of symbol and to hide meaning of symbolic values to non-Christians who do not know contents of the Bible.

  • PDF

Dorsal Track Control (DTC): A Modified Surgical Technique for Atraumatic Handling of the Distal Esophagus in Esophagojejunostomy

  • Lehwald-Tywuschik, Nadja;Steinfurth, Fabian;Kropil, Feride;Krieg, Andreas;Sarikaya, Hulya;Knoefel, Wolfram Trudo;Kruger, Martin;Benhidjeb, Tahar;Beshay, Morris;Esch, Jan Schulte am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19권4호
    • /
    • pp.473-483
    • /
    • 2019
  • Surgical therapy for adenocarcinoma of the esophagogastric junction II requires distal esophagectomy, in which a transhiatal management of the lower esophagus is critical. The 'dorsal track control' (DTC) maneuver presented here facilitates the atraumatic handling of the distal esophagus, in preparation for a circular-stapled esophagojejunostomy. It is based on a ventral semicircular incision in the distal esophagus, with an intact dorsal wall for traction control of the esophagus. The maneuver facilitates the proper placement of the purse-string suture, up to its tying (around the anvil), thus minimizing the manipulation of the remaining esophagus. Furthermore, the dorsally-exposed inner wall surface of the ventrally-opened esophagus serves as a guiding chute that eases anvil insertion into the esophageal lumen. We performed this novel technique in 21 cases, enabling a safe anastomosis up to 10 cm proximal to the Z-line. No anastomotic insufficiency was observed. The DTC technique improves high transhiatal esophagojejunostomy.

Iconoclasm and the Capitalistic Spirit of "making things new": a New Print Culture from the English Civil Wars and its Modern Legacy

  • 최재민
    • 영미문화
    • /
    • 제18권1호
    • /
    • pp.23-51
    • /
    • 2018
  • This paper focuses on historical instances of iconoclasm after the Reformation to reveal how iconoclasm had greatly contributed to the formation of the Protestant mindset in the early modern times. During the English civil war, when iconoclastic campaigns and movements were in full tide, the paper argues that the notions of novelty and progress were more positively accepted among radical religious groups. To put it in another way, the paper suggests a different way of looking the formation of Protestant habitus by giving accounts of how iconoclastic impulses spurred diverse religious groups during the civil war to break the mold of conservative thinking and to revolutionize the print culture hitherto based on patronage and served as a buttress for status-quo. From this analysis, then, we are ledto the different portrait of the protestant in the seventeenth century, whose mindset was not quite as solitary and guilt ridden as Max Weber would have us believe.

한국 개신교사학의 종교교육 공간에 나타난 종교자유 논쟁: 개종주의와의 관련을 중심으로 (Religious Freedom and Religious Education in Protestant Mission School in Recent Korea: with Special Reference to Proselytism)

  • 이진구
    • 종교문화비평
    • /
    • 제29호
    • /
    • pp.134-167
    • /
    • 2016
  • 이 글은 최근 개신교사학의 종교교육 공간에서 등장한 종교자유 논쟁의 성격과 의미를 개종주의와 관련하여 탐색하였다. 개신교사학들은 건학이념의 구현과 학교의 정체성, 나아가 종교교육의 자유를 내세워 종교과목과 채플을 필수과정으로 지정, 운영해왔다. 반면 학생들은 학교에 의한 종교교육의 실시 특히 의무채플 제도로 인해 자신들의종교자유가 침해되고 있다고 주장하면서 채플자유화를 요구하였다. 두 종교자유의 충돌은 결국 사법부의 판단을 요청하였다. 숭실대 판결에서는 학교측이 승리하여 대학의 의무채플 제도는 유지할 수 있게 되었지만, 대광고 판결에서는 학교측이 패배하여 고등학교의 의무채플 제도는 유지할 수없게 되었다. 개신교계 대학과 고등학교의 채플은 기본적으로 동일한 성격을 지니고 있지만 상반된 운명을 맞이하였는데 이러한 상이한 판결에는 고등학교의 평준화 제도, 고등학생의 비판적 의식의 미형성, 대학교에 보장되는 고도의 자치성 등이 주요 변수 역할을 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사법부의 판결로 인해 개신교사학에서의 종교자유 문제가 최종 해결된 것은 아니다. 대법원의 판결 이후에도 대학가에서는 다양한 형태의 채플거부 운동이 계속 등장했고, 고등학교에서도 학생들의 종교자유가 실질적으로 보장되지못하고 있다는 목소리가 계속 들려오고 있다. 개신교사학의 종교교육 공간을 둘러싸고 전개되는 종교자유 논쟁에는 학교당국과학생만이 아니라 정부가 개입하고 있다. 이 종교자유 논쟁은 학교당국, 정부, 학생의 삼자가 게임을 벌이는 구도로 되어 있는 것이다. 그리고 학교당국의 배후에는 종교권력, 정부의 배후에는 정치권력, 학생의 배후에는 시민단체가 각각 포진하고 있다. 이러한 삼자구도로 진행되는 게임에서 논쟁의 근본 원인 제공자는 종교권력이다. 종교권력은 미션스쿨의 배후에서 개종주의를 작동시키는 주체이다. 따라서 개종주의에 포획된 미션스쿨의 종교교육은 학생들을 개종의 대상으로 삼아 의무채플과 같은 프로그램을 가동시킨다. 이로 인해 학생의 인권과 종교자유가 억압당하게 된 것이다. 이때 정부는 미션스쿨의 인권침해적 종교교육을 엄격하게 제재하는 대신 형식적인 감독에 그친다. 이는 정부가 개신교라는 거대한 종교의 '눈치'를 보기 때문에 나타나는 현상이다. 선거에 민감한 정치권력은 개신교 종교권력이 지닌 것으로 보이는 거대한 '표'를 의식하면서 방조자 역할에 머물고, 이로 인해 학생들의 인권과 종교자유가 계속 억압되자 시민단체가 나선 것이다. 시민단체들은 사회적 약자인 학생들의 인권과 종교자유를 위해 공익소송을 전개하는 대변자의 역할을 맡게 된 것이다. 이처럼 최근 한국 개신교사학의 종교교육 공간에서 나타나고 있는 종교자유 논쟁에서 종교권력은 가해자, 국가권력은 방조자, 학생은 피해자로 존재하고 있다.

개신교 '자유케 됨'의 영성에 기초한 기독교 영성교육 모형: '자유케 됨'의 실천 (The Practice of 'Liberated-ness': An Education Model for Protestant Spiritual Practice)

  • 황인혜
    • 기독교교육논총
    • /
    • 제68권
    • /
    • pp.375-415
    • /
    • 2021
  • 기독교 영성교육에 대한 관심은 날이 갈수록 증가되는 추세에 있지만, 한국교회 현장의 영성교육은 개신교 전통에 따른 선명한 교육목적의 제시가 없는 가운데 교육내용과 방법이 파편화되어 있는 실정이다. 그러므로 엄밀한 학문적 방법에 의거하여 개신교 영성교육의 목적을 정립하고 그것에 맞는 교육의 내용과 방법을 찾아내는 연구가 필요하다. 이 필요성에 따라 수행된 본 연구는 개신교 영성의 핵심정신을 찾아 교육목적으로 삼고 그 목적을 구현할 수 있는 개신교 교유의 영성교육 내용을 찾아 그것을 오랜 역사를 가진 그리스도교 영성수련들과 유기적으로 통합한 하나의 창의적 영성교육 모형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먼저 교육목적의 설정을 위해서 개신교 대표지도자 루터(Luther), 칼빈(Calvin), 그리고 웨슬리(Wesley)의 '믿음의 삶'에 대한 가르침을 고찰하였다. 그 가르침 안에서 '개신교 영성'의 핵심정신으로서 '자유케 됨'(liberated-ness)의 정신을 발견하여 교육목적으로 삼고, 로마가톨릭교회의 '은혜' 개념과는 다른 개신교 특유의 '은혜의 방편' 전통을 발견해 내어 '자유케 됨'을 구현하는 교육내용으로 삼았다. 그리고 '자유케 됨'이 이루어지는 기전을 다음의 세 개의 창의적 개념으로 설명한다. 신자의 '자유케 됨'은 하나님에게서 나오는 '자유케 하는 의지'(liberating will)로 시작되며, 신자는 '자기를 드리는 의지'(self-giving will)로 이에 응답하게 되는데, 이 두 의지가 만나는 접촉점이 '믿음의 생명막'(the living membrane of faith)이다. 이 기전을 기초로 삼아 구성된 '자유케 됨의 실천' 영성교육 모형의 교육목적은 학습자가 삶 가운데 하나님과의 인격적 '만남'을 가지며 점점 더 '자유케 됨'을 누리는 가운데 더 충성스럽게 이웃을 자유케 하는 사람이 되어가는 것이다. 학습자와 교사의 관계는 쉐릴(Sherrill)의 인격적 '만남'의 관계이며 김현숙의 '공유적 권위'를 갖는 관계이다. 교육내용은 쉐릴의 '만남'의 성경묵상과 다익스트라(Dykstra)의 '실천들', 그리고 개신교 '은혜의 방편'의 다섯 영역과 연계된 그리스도교의 영성수련 다섯 가지를 채택하여 그것을 개신교의 '자유케 됨'의 원리로 변형한 것이다. 이 영성수련들의 새로운 명칭은 '만남의 렉시오 디비나,' '주님향함기도,' '서로-영적방향잡기,' '자유마중섬김,' 그리고 '자유성찰기도'이다. 교수-학습과정은 다익스트라가 학습자 중심의 실천을 돕는 데 사용한 코칭과 멘토링의 과정이다. 교육환경은 무어(Moore)의 '성례전적 공동체'를 지향하는 인적 환경에 중점을 두며, 평가는 학습자 스스로 평가하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본 교육모형은 그리스도교 역사 안의 주요 영성수련 내용들을 명시적으로 개신교의 '자유케 됨'의 영성으로 변형하여 교육하는 길을 제시함으로써 초대교회 때부터 이어지는 그리스도교 영성수련의 맥을 개신교 교회에서 창조적으로 계승하여 나갈 수 있게 해 준다는 의의를 갖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