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oteobacteria

검색결과 387건 처리시간 0.022초

Taxonomic hierarchy of the phylum Proteobacteria and Korean indigenous novel Proteobacteria species

  • Seong, Chi Nam;Kim, Mi Sun;Kang, Joo Won;Park, Hee-Moon
    • Journal of Species Research
    • /
    • 제8권2호
    • /
    • pp.197-214
    • /
    • 2019
  • The taxonomic hierarchy of the phylum Proteobacteria was assessed, after which the isolation and classification state of Proteobacteria species with valid names for Korean indigenous isolates were studied. The hierarchical taxonomic system of the phylum Proteobacteria began in 1809 when the genus Polyangium was first reported and has been generally adopted from 2001 based on the road map of Bergey's Manual of Systematic Bacteriology. Until February 2018, the phylum Proteobacteria consisted of eight classes, 44 orders, 120 families, and more than 1,000 genera. Proteobacteria species isolated from various environments in Korea have been reported since 1999, and 644 species have been approved as of February 2018. In this study, all novel Proteobacteria species from Korean environments were affiliated with four classes, 25 orders, 65 families, and 261 genera. A total of 304 species belonged to the class Alphaproteobacteria, 257 species to the class Gammaproteobacteria, 82 species to the class Betaproteobacteria, and one species to the class Epsilonproteobacteria. The predominant orders were Rhodobacterales, Sphingomonadales, Burkholderiales, Lysobacterales and Alteromonadales. The most diverse and greatest number of novel Proteobacteria species were isolated from marine environments. Proteobacteria species were isolated from the whole territory of Korea, with especially large numbers from the regions of Chungnam/Daejeon, Gyeonggi/Seoul/Incheon, and Jeonnam/Gwangju. Most Halomonadaceae species isolated from Korean fermented foods and solar salterns were halophilic or halotolerant. Air-borne members of the genera Microvirga, Methylobacterium, and Massilia had common characteristics in terms of G+C content, major respiratory quinones, and major polar lipids.

COG 알고리즘을 통한 Proteobacteria의 보존적 유전자 파악 (Detection of Conserved Genes in Proteobacteria by using a COG Algorithm)

  • 이동근;강호영;이재화;김철민
    • KSBB Journal
    • /
    • 제17권6호
    • /
    • pp.560-565
    • /
    • 2002
  • 생태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단백세균(Proteobacteria)의 보존적유전자(conserved gene)를 파악하고 서로간의 유연 관계를 밝히고자 clusters of orthologous groups of proteins(COG) 알고리즘을 이용한 접근법을 시도하였다. 42종의 원핵생물과 33종의 진정세균, 16종의 단백세균으로 가면서 보존적유전자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분석대상 원핵생물 모두에서 75종의 COG 즉 보존적 유전자가 관찰되었다. COG0195, COG0358 그리고 COG0528은 원핵생물에서만 관찰되어 새로운 분류의 parameter로 이용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추측되었다. 64종류의 보존적 유전자가 33종의 진정세균(eubacteria)에서 관찰되었다. 이는 각 분류단계를 특징짓는 새로운 COG의 추가에 의한 결과로 사료되었다. 각 단백세균 그룹은 독자적인 COG 레퍼토리를 소유하였으며 물질대사에 관련된 보존적 유전자는 beta 그룹이 다른 그룹에 비해 다양한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단백세균의 기원과 진화적 유연관계를 파악하는데 도움을 줄뿐만 아니라 향후 세균분류학과 생명공학에 필수적인 유용유전자 탐색 등에서도 충분한 연구가치가 있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구멍갈파래(Ulva pertusa)에 서식하는 해양세균의 계통학적 다양성 및 군집구조 분석 (Phylogenetic Diversity and Community Analysis of Marine Bacteria Associated with Ulva pertusa)

  • 최하리;박소현;김동휘;김지영;허문수
    • 생명과학회지
    • /
    • 제26권7호
    • /
    • pp.819-825
    • /
    • 2016
  • 이 논문은 제주도에서 채집한 구멍갈파래(Ulva pertusa)를 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RFLP)를 이용하여 세균군집을 조사하였다. RFLP 분석을 위해 Marine agar배지와 R2A배지를 사용하여 145개의 균주가 분리되었으며, 제한효소 HaeⅢ와 RsaⅠ을 이용하여 서로 다른 RFLP 패턴을 구분하였다. RFLP 패턴 결과로부터 균주를 선별하여 16S rRNA 유전자 염기서열 분석 결과, 알려진 균주의 염기서열과 91% 이상의 유사도를 보였다. 주요 계통군은 Proteobacteria (Alpha-proteobacteria, Beta-proteobacteria, Gamma-proteobacteria) (63%), Bacteroidetes (22%), Firmicutes (11%), Actinobacteria (4%)로 4개의 문이 관찰되었고, 7개의 강, 13개의 목, 18개의 과, 27개의 속으로 관찰되었다. 계통학적 분석 결과, 상동성이 97% 미만으로 나타난 10균주가 새로운 속이나 종으로 분류될 가능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신종 후보 균주에 대한 형태학적, 생리학적, 생화학적 등 분류·동정을 위한 추가적인 실험을 수행해야 할 것이다.

16S rRNA 분석을 통한 인도네시아의 Cisolok, Kamojang, Likupang 지열지대 내 미생물 다양성 분석 (16S rRNA Gene Sequence-based Microbial Diversity Analyses of the Geothermal Areas of Cisolok, Kamojang, and Likupang in Indonesia)

  • 서명지;김정녀;변유량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268-273
    • /
    • 2012
  • 인도네시아 지열지대의 미생물 다양성을 16S rRNA 염기서열 분석을 통해 조사하였다. 전체적으로 어떠한 phylum 계통군에도 포함되지 않는 unclassified bacteria가 20.0-26.5% 존재하였으며 sampling 지역에 상관없이 Proteobacteria가 우점 phylum 계통군으로 나타났다. Cisolok 주변의 지열 지역을 조사한 결과 ${\beta}$-Proteobacteria (27.1%)와 Cyanobacteria (11.0%)가 높은 비율을 차지한 반면 Kamojang의 화산 주변 지역의 경우에는 ${\gamma}$-Proteobacteria (51.5%) 그리고 Aquificales (12.9%)가 우점 계통군으로 나타났다. 또한 Likupang 열수구의 경우에는 ${\gamma}$-Proteobacteria (33.3%)와 Bacteroidetes (27.6%)가 높은 비율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인도네시아 각 지열지대에 분포하는 미생물 군집은 각 지역의 환경적인 특징 (극한 지열 및 해양 서식지)과 밀접한 연관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Diversity and cluster analysis of pine mushroom's endophytes using metagenome analysis

  • Seo, Jong Beom;Choi, Ah Hyeon;Rusaati, Butoto Imani wa;Kang, Jun Won
    • 농업과학연구
    • /
    • 제48권3호
    • /
    • pp.493-503
    • /
    • 2021
  • Tricholoma matsutake (Pinus mushroom, PM) is one of the most valued ectomycorrhizal fungi in Asia because it is an expensive forest product with a unique flavor and taste. Therefore, many studies have tried to successfully cultivate Tricholoma matsutake artificially in Korea and other countries. However, its physiological and ecological characteristics are still unknown. Thus, we need to understand the diversity and clusters of microorganisms related to Tricholoma matsutake and to identify their core microorganisms related to their growth and production. In this study, we obtained an average of 11,661 fragments from three pine mushrooms with metagenome (an assemblage of genes of all microorganisms in the natural world) analysis from a pine forest located in Pohang, Gyeongsang-Bukdo. Of these, the valid reads were on average 5,073 per sample available for analysis, and the average length of a read was 456 bp. There were an average of 33.3 phyla in the metagenome analysis. Firmicutes phylum made up on an average 46% of the phyla and was dominant among the phyla. The next dominant phylum was Proteobacteria at 27% followed by Bacteroidetes at 17%, Actinobacteria at 5% and Verrucomicrobia at 2%. The Proteobacteria phylum consisted of the γ-proteobacteria class at 54% followed by β-proteobacteria at 37%, α-proteobacteria at 6%, δ-proteobacteria at 2% and ζ-proteobacteria at 0%. The metagenome consisted of the Ruminococcaceae family at 17% followed by Pseudomonadaceae at 13%, Burkholderiaceae at 7%, Bacteroidaceae at 7%, Lachnospiraceae at 7% and Clostridiaceae at 6%.

Bioinformatics Analysis of Hsp20 Sequences in Proteobacteria

  • Heine, Michelle;Chandra, Sathees B.C.
    • Genomics & Informatics
    • /
    • 제7권1호
    • /
    • pp.26-31
    • /
    • 2009
  • Heat shock proteins are a class of molecular chaperones that can be found in nearly all organisms from Bacteria, Archaea and Eukarya domains. Heat shock proteins experience increased transcription during periods of heat induced osmotic stress and are involved in protein disaggregation and refolding as part of a cell's danger signaling cascade. Heat shock protein, Hsp20 is a small molecular chaperone that is approximately 20kDa in weight and is hypothesized to prevent aggregation and denaturation. Hsp20 can be found in several strains of Proteobacteria, which comprises the largest phyla of the Bacteria domain and also contains several medically significant bacterial strains. Genomic analyses were performed to determine a common evolutionary pattern among Hsp20 sequences in Proteobacteria. It was found that Hsp20 shared a common ancestor within and among the five subclasses of Proteobacteria. This is readily apparent from the amount of sequence similarities within and between Hsp20 protein sequences as well as phylogenetic analysis of sequences from proteobacterial and non-proteobacterial species.

빨강불가사리(Certonardoa semiregularis)에서 분리된 세균의 군집구조 분석 (Microbial Community Analysis Isolated from Red Starfish (Certonardoa semiregularis) Gut)

  • 이해리;박소현;김동휘;문경미;허문수
    • 생명과학회지
    • /
    • 제28권8호
    • /
    • pp.955-961
    • /
    • 2018
  • 불가사리를 이용하여 다양한 생리활성에 대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었지만, 다른 천연물 연구에 비해 불가사리로 부터 분리한 미생물에 대한 연구는 부족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제주도에서 채집한 극피동물인 빨강불가사리(Certonardoa semiregularis)의 내장으로부터 Marine Agar와 R2A를 이용하여 총 103개의 균주를 분리하여 세균군집에 대해 조사하였다. 분리된 균주들은 16S rRNA유전자를 이용하여 염기서열을 분석 및 동정하였다. 그 결과 주요 계통군은 Proteobacteria (Alpha-proteobacteria 24%, Beta-proteobacteria 4%, Gamma-proteobacteria 65%) 93%, Bacteroidetes 4%, Actinobacteria 2%, Firmicutes 1%로 4개의 문이 확인되었고, 7개의 강(Actinobacteria, Flavobacteria, Bacilli, Sphingobacteria, Alpha-proteobacteria, Beta-proteobacteria, Gamma-proteobacteria), 15개의 목, 19개의 과, 24속이 관찰되었다. 또한 계통 분석 결과 2개의 균주(Lysobacter sp., Pedobacter sp.)가 각각 97.55%, 97.58%로 상동성이 98% 이하로 나타나 새로운 속 또는 종으로 분류될 가능성이 있다고 여겨지며, 표준 균주와 함께 신종 후보 균주에 대한 생화학적, 형태학적 등의 추가적인 신종실험을 향후 진행해야 할 것으로 사료 된다.

광양만 해수의 세균 군집의 계절적 변화 (Seasonal Variations in the Bacterial Community of Gwangyang Bay Seawater)

  • 박성찬;이지희;강주원;백근식;성치남
    • 생명과학회지
    • /
    • 제24권5호
    • /
    • pp.522-531
    • /
    • 2014
  • 광양만 해수의 세균 군집의 계절적 변화를 배양법과 비배양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200개의 분리 균주에 대해 Amplified rDNA restriction 방법을 적용한 경우 분리 균은 Firmicutes, Proteobacteria, Actinobacteria, Bacteroidetes의 4개의 문에 속함을 확인하였다. 비 배양방법으로는 해수로부터 직접 추출한 DNA를 사용하여 pyrosequencing과 변성 농도구배 전기영동(DGGE)을 실시하였다. Pyrosequencing에 의한 16S rRNA 유전자의 염기서열 분석 결과 세균 군집은 춘계와 하계에 각각 24개, 추계에 39개 그리고 동계에 32개의 문으로 구성되었다. 다양도 지수는 추계에 높았으며 춘계에는 우점도 지수가 높았다. Firmicutes 문의 세균이 춘계에 예외적으로 많은 비율을 차지하였으며 나머지 계절에는 Proteobacteria 문의 세균이 우점하였다. 차 우점 분류군은 춘계에는 Proteobacteria 문의 세균인 반면 하계에는 Firmicutes 문, 추계와 동계에는 Bacteroidetes 문의 세균이 차지하였다. 과 수준에서의 우점 분류군은 Bacilliaceae가 춘계에, Rhodobacteraceae와 Bacilliaceae가 하계에, Rhodobacteraceae가 동계에 나타났으나 추계에는 우점 분류군이 없었다. DGGE 에서 확인된 27개의 DNA 절편을 추출하여 계통분석을 실시한 결과 춘계에는 Firmicutes 문에 이어 Proteobacteria 문이 우점하였으며 다른 계절에는 Proteobacteria 문이 우점하였다. 두 가지의 비배양법에 의한 군집 분석 결과 문 수준에서의 세균 군집의 계절적 변화는 유사한 경향이 나타났다.

Sediment에서의 전기활성 박테리아 분포 특성 (Distribution of Electrochemically Active Bacteria in the Sediment)

  • 손형식;손희종;김미아;이상준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2권12호
    • /
    • pp.1094-1101
    • /
    • 2010
  • 낙동강, 회동 및 기장에서 채집한 sediment의 미생물 군집을 FISH 분석을 통하여 조사한 결과, ${\alpha}$ 그룹, Acidobacter 그룹 및 Cyanobacter 그룹의 분포비율이 가장 높았으며 전체적으로 서로 유사한 분포 특성을 나타내었다. 각각의 sediment를 접종한 MFC 농화배양 이후의 coulombic yield는 낙동강, 회동 및 기장의 경우 각각 0.64 C, 0.50 C, 0.61 C로 나타났으며, 농화배양 완료 후의 미생물 군집분포는 ${\beta}$-Proteobacteria, ${\gamma}$-Proteobacteria, Acidobacter 그룹 및 Firmicutes 그룹이 농화배양 전보다 각각 45~90%, 50~90%, 40~80% 및 45~125% 정도 생체량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농화배양이 끝난 후 16S rDNA를 이용한 미생물 동정결과에서, 낙동강 sediment를 주입한 MFC의 경우는 ${\alpha}$-Proteobacteria의 속하는 Roseomonas sp., Azospillum sp.와 ${\gamma}$-Proteobacteria의 Frateuria sp., Dyella sp., Enterobacter sp.와 Deinococci 그룹의 Deinococcus sp.가 동정되었고, 기장 sediment는 ${\alpha}$-Proteobacteria의 Azospillum sp.와 ${\beta}$-Proteobacteria의 Delftia sp., Ralstonia sp.와 ${\gamma}$-Proteobacteria의 Klebsiella sp. 와 Deinococci 그룹의 Deinococcus sp.가 동정되었으며, 회동 sediment는 ${\gamma}$-Proteobacteria의 Pseudomonas sp., Klebsiella sp.와 Deinococci 그룹의 Deinococci sp.와 Actinobacteria 그룹의 Leifsonia sp.와 Bacilli 그룹의 Bacillus sp.가 동정되었다.

DNA 직접추출법에 따른 산림토양 부식층 내 세균군집의 계통학적 다양성 비교 (Comparison of the Phylogenetic Diversity of Humus Forest Soil Bacterial Populations via Different Direct DNA Extyaction Methods)

  • 손희성;한송이;황경숙
    • 미생물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210-216
    • /
    • 2007
  • 개량된 manual법과 ISOIL kit를 이용하여 산림토양의 부식층 토양시료로부터 추출한 DNA를 대상으로 16S rDNA PCR 증폭산물을 cloning하고 구축된 clone에 대해 ARDRA cluster분식을 수행한 결과, 개량된 manual법에 의해 구축된 136 clones은 45개 ARDRA cluster로, ISOIL kit를 이용한 경우 충 76 clones은 44개 ARDRA cluster로 분류되었다. 각clone cluster로부터 대표 clone을 선발하여 16S rDNA염기서열을 결정한 결과, ISOIL kit의 경우 44개 대표clone은 ${\alpha}-,\;{\beta}-,\;{\gamma}-,\;{\delta}-Proteobacteria$, Acidobacteria 및 Actinobacteria의 3개 phylum계통군이 확인되었으며, 개량된 manual법에 의한 45개 대표 clone은 ${\alpha}-,\;{\beta}-,\;{\gamma}-,\;{\delta}-Proteobacteria$, Acidobacteria, Bacteroides, Verrucomicrobia, Planctomycetes, 그리고 Gemmatomonadetes의 충 6개 phylum의 다양한 계통군이 검출되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개량된 manual법에 의래 추출된 DNA를 대상으로 계통학적 군집해석을 수행한 결과가 보다 더 다양한 계통군을 검출할 수 있음이 밝혀졌다. 한편, ISOIL kit를 이용하여 구축된 총clone중 약40%가${\alpha}-proteobacteria$ 계통군에 속하였으며, 약 30%가 ${\gamma}-Proteobacteria$ 계통군에 속하여 우점 계통군으로 확인된 반면, manual법에 의해 구축된 clone의 41%가 Acidobacteria 계통군에 속하였고 ${\alpha}-proteobacteria$(28%)가 우점 계통군으로 분포하는 계통학적 특징을 나타내어 DNA추출법에 따라 토양 세균군집 구조의 계통학적 특성 이 상이하게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