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otein engineering

검색결과 2,951건 처리시간 0.041초

돼지 7번 염색체에서 육색 연관 QTL 확인 (Identification of Quantitative Trait Loci(QTL) for Meat Color Trait on Chromosome 7 in Pig)

  • 최봉환;이혜영;김태헌;홍기창;정일정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6권4호
    • /
    • pp.525-536
    • /
    • 2004
  • 본 연구는 돼지의 염색체 7번에 존재하는 주요 경제형질에 관여하는 양적형질 유전자좌위(Quantitative trait loci; QTL)를 밝히기 위해 초성위체 표지인자를 이용하여 유전자지도(연관지도) 작성을 수행하였다. 기준집단의 조성은 이형접합성이 높은 기준집단을 조성하기 위하여 유전적 특성이 현격히 다른 우리나라의 재래돼지와 Landrace를 전형매 교배하여 생산된 $F_2$ 183두를 사용하였으며 기준집단에 대해 도축 24시간 후의 pH, 육색, 육즙손실량, 전단력, 가열감량, 조지방, 조회분, 수분, 조단백질 등 육질형질을 조사 및 분석하였다. 염색체 7번의 연관지도는 총 23개의 표지인자로 작성되었으며 암수평균 연관지도 길이는 154.6 cM 이었으며 수컷과 암컷의 연관지도 길이는 각각 169.2 cM과 141.4 cM로 수컷의 연관지도 길이가 암컷의 것보다 27.8 cM 더 길었다. 표지인자간의 최소간격은 SW175와 S0066 표지인자사이로 1.6 cM이었고, 최대간격은 SW2002와 SWR773표지인자사이로서 15.9 cM이었으며 평균간격은 7.02 cM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9개의 육질관련 형질 중 육색과 연관된 2개의 QTL이 확인되었는데 적색도(CIE-a)와 연관된 QTL은 45 cM 영역에서 1% 수준의 통계적 유의성을 나타내었고(Fig. 2), 이 영역에서 불과 3${\sim}$4 cM 떨어진 위치에서 황색도(CIE-b)와 연관된 QTL이 확인되었다. 향후에 본 연구에서 탐색된 QTL 영역에 대하여 고밀도의 유전자 지도 작성을 통하여 특정 형질과 연관된 부분을 계속해서 추적해 나간다면 육색형질을 조절하는 주유전자의 클로닝 및 특성 구명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되며 궁극적으로는 돼지의 개량에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표지인자(MAS)의 개발 등도 가능 할 것으로 사료된다.

중합도별 gum류 가수분해 올리고당과 urea관련화합물과의 반응혼합물이 항산화능에 미치는 영향 (Antioxidant Action of Reaction Mixtures of Gums Hydrolysates and Urea Derivatives)

  • 김상우;박귀근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7권4호
    • /
    • pp.384-389
    • /
    • 2004
  • $100^{\circ}C$에서 반응시켜 2, 4, 6, 8시간의 갈변도 변화는 ${\beta}-1,4-mannobiose$와 urea의 반응혼합물이 시간의 경과함에 따라 강한 착색도의 증가를 나타냈으나 phenylthiourea, thiourea의 반응액은 착색속도가 늦었다. 같은 조건하에서 $Gal^3Man_4$와 urea 관련화합물의 각 반응혼합물의 갈변도를 나타낸 것으로 urea가 강한 착색도의 중가를 보였고 phenylthiourea, thiourea의 반응액은 비교적 높은 착색도를 보였다. DP 7의 galactosyl mannooligosaccharide와의 각 반응혼합물의 갈변도는 urea의 반응액이 강한 착색을 보였으며 phenylthiourea, thiourea의 반응액의 순으로 착색를 나타내었다. 반응혼합물의 TLC 결과에서 ${\beta}-1,4-mannobiose$와 urea의 반응혼합물 이외에 phenylthiourea, thiourea의 반응액은 새로운 화합물이 생성되었고, $Gal^3Man_4$와 D.P 7 galactosyl manooligosaccharide와의 반응혼합물에서는 모든 반응액에서 새로운 화합물이 출현되었다. 반응혼합물의 환원력은 urea관련화합물 중에서 특히 phenylthiourea, thiourea가 ${\beta}-1,4-mannobiose,\;Gal^3Man_4$, DP 7의 galactosyl manooligosaccharide와의 반응혼합물에서 강한 환원력이 나타났다. Linoleic acid에 대한 반응혼합물의 항산화력 측정에서 ${\beta}-1,4-mannobiose$와 thiourea의 반응혼합물의 항산화력이 Ascorbic acid(AsA)수준의 항산화력을 나타내었고, $Gal^3Man_4$와 thiourea, phenylthiourea의 반응혼합물은 AsA와 유사한 항산화능을 나타내었다. DP 7의 galactosyl manooligosaccharide와 thiourea, phenylthiourea의 반응혼합물의 항산화력은 AsA에 미치지는 못하였다. ${\beta}-1,4-Mannobiose$와 thiourea, phenylthiourea의 반응혼합물이 강한 전자공여능을 나타내고 있고, $Gal^3Man_4$와 phenylthiourea의 반응혼합물 및 D.P 7의 galactosyl manooligosaccharide와 phenylthiourea와의 반응혼합물이 전자공여능을 나타내고 있다.

Bacillus sp.유래 ${\beta}-mannanase$에 의한 $Gal^3Man_4(6^3-mono-{\alpha}-D-galacto-pyranosyl-{\beta}-mannotetraose)$ 조제 및 장내세균에 대한 생육활성 (Preparation of $Gal^3Man_4(6^3-mono-{\alpha}-D-galacto-pyranosyl-{\beta}-mannotetraose)$ by Bacillus sp. ${\beta}-mannanase$ and Growth Activity to Intestinal Bacteria)

  • 김상우;박귀근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7권4호
    • /
    • pp.379-383
    • /
    • 2004
  • Bacillus sp. 유래 ${\beta}-mannanase$의 brown copra meal에 대한 기질 특이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정제효소 150 ml를 0.5% 기질에 $50^{\circ}C$, 24 hrs 가수분해후 TLC, FACE로 비교 검토한 결과 2종류의 galactosyl mannooligosaccharide로 구성되어 1차 activated carbon column chromatography을 이용해 250 ml/hr 유속으로 tube당 50ml씩 ethanol $0{\sim}30%$ linear gradient로 당을 분리하였다. Activated carbon column chromatography에 의한 당용액 0.2 ml와 5% phenol 0.2 ml를 가하여 혼합 후 $Conc.H_2SO_4$ 1 ml를 가하여 혼합한 후 20분간 방치하여 490 nm로 흡광도를 측정하여 TLC로 pattern을 검토한 후 $Gal^3Man_4$ 및 DP 7의 galactosyl manooligosaccharide의 fraction을 회수하여 2차 activated carbon column chromatography를 이용해 1차와 동일한 조전에서 분리 회수하여 중합도 5는 $Gal^3Man_4(63-mono-{\alpha}-D-galactopyranosyl-{\beta}-mannotetraose)$로 동정되었고, 중합도 7은 현재 동정중에 있다. Bifidobacterium속 균주(B. longum, B. bifidum)에 대한 생육활성을 비교 검토하기 위하여 MRS media에서 탄소원을 dextrose대신에 조제된 $Gal^3Man_4$를 첨가후 측정한 결과 $Gal^3Man_4$이 첨가되지 않은 MRS broth에 비해 생육촉진 활성을 보였다. 특히 B. longum에 대해서는 $Gal^3Man_4$를 dextrose대체 탄소원으로 처리시 10배의 생육활성이 증가하였다.

황금(黃芩) 약침(藥鍼)이 급성염증 백서의 면역조절능에 미치는 영향 (Immunomodulatory activity of Scutellaria baicalensis Georgi Pharmacopuncture on Acute Inflammatory Rat Model)

  • 양승희;이향숙;이은;이준무
    • Korean Journal of Acupuncture
    • /
    • 제26권3호
    • /
    • pp.55-68
    • /
    • 2009
  • Objectives : To investigate the anti-inflammatory effects of Scutellaria baicalensis Georgi pharmacopuncture in lipopolysaccharide (LPS)-induced inflammatory rat model. Methods : Sprague-Dawley rats were divided into 4 groups; LPS control (n=6), LPS+Scutellaria baicalensis Georgi pharmacopuncture at BL23 (n=6, BL23), LPS+Scutellaria baicalensis Georgi pharmacopuncture at CV12 (n=6, CV12), and LPS+Scutellaria baicalensis Georgi pharmacopuncture at GV4 (n=6, GV4). Pharmacopuncture was given every two days for 4 weeks followed by inflammation induction by intraperitoneal LPS injection (5mg/kg). Blood, liver tissue, and peritoneal lavage fluid were taken and proinflammatory cytokines and other related factors were analysed. Results : For proinflammatory cytokines, CV12 pharmacopuncture group was significantly different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in plasma IL-$1{\beta}$, IL-6, TNF-$\alpha$, and IL-10 5 h after LPS injection (P<0.05). For plasma IL-$1{\beta}$ and IL-6, CV12 pharmacopuncture group also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at 2 h compared with the control (P<0.05). GV4 pharmacopuncture group was significantly different compared with the control at 5 h in plasma IL-$1{\beta}$, IL-6, and TNF-$\alpha$ and at 2 h in IL-10 (P<0.05). Liver cytokines were analyzed at 5 h after LPS injection; only CV12 pharmacopuncture group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IL-$1{\beta}$ (P<0.05) and others including IL-6, TNF-$\alpha$, and IL-10 had no difference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CD4/CD8 ratio and the phagocytic activities of polymorphonuclear neutrophils were not different from those of control group in all pharmacopuncture groups (P>0.05). Plasma NO3-/NO2- and intracellular adhesion molecule-1 of CV12 pharmacopuncture group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P<0.05). In the plasma concentration of prostaglandin E2, all 3 pharmacopuncture groups had significantly lower values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P<0.05), but there was no difference among pharmacopucnture groups. Monocyte chemoattractant protein-1 and cytokine-induced neutorphil chemoattractant-1 in peritoneal lavage fluid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CV12 pharmacopuncture group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P<0.05). Conclusions : These results indicate that Scutellaria baicalensis Georgi pharmacopuncture at CV12 may have a potent anti-inflammatory effect in an LPS-induced inflammatory rat model.

  • PDF

김치로부터 Lactobacillus plantarum 생육저해 박테리오신 생산균주의 분리 및 박테리오신 생산의 유도효과 (Characterization of the Antagonistic Activity against Lactobacillus plantarum and Induction of Bacteriocin Production)

  • 양은주;장지윤;이형주;김정환;정대균;이종훈;장해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311-318
    • /
    • 2002
  • Lactobacillus plantarum에 대해 항균활성을 지니는 유산균을 김치로부터 분리하였다. 이 균은 Leuconostoc mesenteroides으로 동정되었으며 Leuconostoc mesenteroides B7으로 명명하였다. Leuconostoc mesenteroides B7이 생산하는 박테리오신은(박테리오신 B7) pH 및 열 안정성이 뛰어나 pH $2.5{\sim}9.5$ 그리고 $4^{\circ}C{\sim}120^{\circ}C$ 열처리에서도 항균활성을 안정하게 유지하였다. 박테리오신 B7은 proteinase K, trypsin, ${\alpha}-chymotrypsin$, 그리고 protease 처리에 의해 항균활성이 실활되므로 peptide나 단백질로 이루진 구조임을 알 수 있었다. 정제된 박테리오신 B7은 Tricine-SDS-PAGE를 통하여 분자량이 약 3,500 dalton임을 확인하였다. Leuconostoc mesenteroides B7과 이에 감수성인 균주, Lb. plantarum KFRI 464 혹은 Lb. delbruekii KFRI 347와의 혼합배양에 의하여 박테리오신 B7 생산이 증가됨을 확인하였고, 이는 박테리오신 생산 유도물질이(inducing factor) 감수성균주내에 존재함을 시사한다. 감수성균주의 세포분획을 통하여 inducing factor는 감수성균주의 세포벽과 세포내에 존재함을 알았다. 이 inducing factor가 proteinase K처리로 박테리오신 유도활성을 상실함으로써 이는 단백질성물질임을 시사하였다.

서양 허브식물의 화학성분 (Chemical Composition of Several Herb Plants)

  • 오문헌;황혜정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1-6
    • /
    • 2003
  • 한국에서 재배된 허브식물(로즈마리, 라벤더, 민트, 세이지, 타임)의 일반 성분, 무기질, 총페놀, 유리당, 지방산 및 향기성분을 분석하였다. 허브 잎의 일반성분을 분석한 결과, 수분함량이 $69.92{\sim}82.10%$으로 가장 높았으며, 조섬유와 회분함량이 지방과 단백질함량보다 높았다. 총페놀 함량은 분광광도법(Follin-Dennis법)으로 측정하여 gallic acid 상당량으로 산출하였으며, 로즈마리와 라벤더가 높았으며 세이지, 타임, 민트 순이었다. 무기성분은 ICP-AES방법으로 나트륨, 칼슘, 망간, 인, 마그네슘, 아연 및 철을 분석하였다. 대체적으로 칼슘함량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인, 나트륨, 마그네슘, 철, 아연, 망간의 함량순으로 높았다. 지방산은 GC로 palmitic acid, stearic acid, oleic acid, linoleic acid, linolenic acid, arachidonic acid함량을 측정하였다. 대체적으로 포화 지방산인 palmitic acid와 stearic acid 함량보다 불포화지방산인 linoleic acid와 linolenic acid의 함량이 더 높았다. 유리당은 sucrose, glucoes 및 rhamnose를 HPLC로 분리하였으며, 그 함량은 소량이었다. 향기성분은 27종을 확인하였으며, 주요 성분은 ${\beta}-terpinene,\;{\alpha}-thujone,\;{\beta}-phellandrene$, cis-ocimene, ${\beta}-thujone,\;{\beta}-pinene,\;{\alpha}-terpinene$, 1,8-cineole, ${\gamma}-terpinene$, verbenone 및 ${\beta}-ocimene$이었다.

식물성 식품재료로부터 보체계 활성화 다당의 검색 및 그 활성검토 (Screening of Complement-System Activating Polysaccharide from Edible Plants and Its Action Mode)

  • 신광순;라경수;성하진;양한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197-203
    • /
    • 1993
  • 식물성 식품재료를 대상으로 보체 용혈분석법$(TCH_{50})$ 을 이용하여 보체 활성화능(항보체 활성)에 대한 검색을 실시하였다. 총 38종의 식용 식물추출물 중 5종의 시료에서 대조구에 비해 60% 이상의 $TCH_{50}$ 감소를 일으키는 비교적 높은 활성을 나타냈으며 그 활성의 순서는 $1000{\mu}g/ml$ 시료 농도에서 생강>토란대>냉이>은행잎>달래이었다. 한편 가장 높은 활성을 보였던 생강에서 조제된 ZR-1의 경우 pronase 소화 후에는 활성의 변화가 없는 반면에 과요오드산 산화에 의해서는 급격한 활성의 감소를 나타냄으로써 ZR-1의 단백질 부위가 아닌 다당 부위가 활성에 기여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ZR-1의 항보체 활성은 $Ca^{2+}$ 이온 부재시 부분적인 감소현상을 보였으며, ZR-1을 정상인의 혈청과 반응 후 anti-humanC3를 이용하여 2차원 면역 전기영동을 행한 결과 C3의 분해산물을 관찰할 수 있었다. 또한 이들 획분은 $ACH_{50}$의 저해를 일으켰다. 동 결과로부터 ZR-1의 보체 활성화 양식은 classical pathway 뿐만 아니라 alternative pathway도 경유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새로운 섬유소분해 균주 Trichoderma sp. C-4에서 분리한 Endoglucanase (F-I-III)에 대한 연구 (Characterization of Endoglucanase (F-I-III) Purified from Trichoderma sp. C-4)

  • 설옥주;정대균;한인섭;정춘수
    • 미생물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81-86
    • /
    • 2005
  • 국내에서 분리된 우수섬유소분해 균주인 Trichodema sp. C-4가 생성하는 endoglucanase 중하나를 $(NH_4)_2SO_4$ 침전, Sephacryl S-200 gel filtration, DEAE-Sepharose A-50 ion exchange, Mono-P chromatofocusing (EPLC)의 단계로 정제하고 이를 F-I-III라 명명하였다. 분리된 효소 F-I-III는 분자량 56,000Da, 둥전점 4.9로 측정된 단일 단백질이었다. F-I-III는 $55^{\circ}C$에서 가장 높은 활성을 보였으며, pH 5.0이 반응 최적 조건이었다. $50^{\circ}C$에서 24시간 동안 안정하였으며, pH 4-7의 범위에서 안정하였다. CMC에 대한 비활성은 315.4U/mg 이었으며, PNPG2에 대한 Km 값은 2.69 mM이었다. 이 효소는 같은 균주에서 분리한 다른 endoglucanase와 exoglucanase를 섞었을 때 결정형 섬유소인 Avicel분해에 대한 상승효과를 보였다. $Mg^{2+},\;CO^{2+},\;Fe^{2+},\;Ca^{2+},\;CS^+,\;Li^+$ 등의 이온은 1 mM의 농도에서 효소의 활성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고, 1 mM의 환원제 (cystein, EDIA, \beta-mercaptoethanol, dithiothreitol(DTT), L-ascorbic acid)들은 효소의 활성을 증가시켰다. E-I-III의 N-말단 서열을 분석하여 QPGTSTPEVHPKKLTTYK의 서열을 얻었다. 이는 Trichodema reesei의 endoglucanase인 EGI과 $95\%$의 유사도를나타내었다. 분리된 효소 F-I-III는 높은 비활성을 가지고 있어서 활용가치가 높을 것으로 사료되었다.

붉은 장미꽃잎 에탄올 추출물의 활성 분획물 분석 및 항염증 활성 효과 (The Effects of Anti-Inflammatory Activities and Active Fractions Analysis of Ethanol Extract from Red Rose Petals)

  • 김현경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6권2호
    • /
    • pp.543-551
    • /
    • 2020
  • 붉은 장미꽃잎 에탄올 추출물은 효과가 풍부한 페놀 성분의 공급원이며 전통적으로 식품 보충제 및 약초로 사용되고 있다. 또한 다양한 식물페놀 성분은 항암, 항산화 및 항염증 특성을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붉은 장미꽃잎 에탄올추출물(GRP) 유래 활성 분획물 분석 및 lipopolysaccharide(LPS)로 유도된 마우스 대식세포주인 RAW264.7 세포와 마우스 폐포 대식세포주인 MH-S 세포에서 붉은 장미꽃잎 에탄올추출물의 항염증 활성 효과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GRP(500 ㎍/mL)의 전처리 LPS 자극 세포에서 iNOS 단백질 및 염증성 싸이토카인 mRNA 발현을 크게 억제하였다. 빨간 장미꽃잎 에탄올 추출물에 의한 항균활성 효과는 다음과 같이 관찰되었다. 붉은 장미꽃잎은 IκB-α 인산화의 억제를 통해 시토졸에서 핵으로의 NF-κB의 전좌를 억제하고 또한 LPS로 자극된 NF-κB 전사 활성을 억제 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빨간 장미꽃잎 에탄올 추출물이 항염증 작용을 발휘 하고 빨간 장미꽃잎의 잠재적인 치료 가치성 및 기본 메커니즘을 규명 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붉은 장미꽃잎 에탄올 추출물이 다양한 활성 성분 함유 및 천연 항염증제의 잠재적 공급원으로 활용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 하였다.

Hep3B 간암세포에서 개똥쑥 추출물에 의한 Cell Cycle Arrest 효과 (Cell Cycle Arrest Effects by Artemisia annua Linné in Hep3B Liver Cancer Cell)

  • 김은지;김근태;김보민;임은경;김상용;하성호;김영민;유제근
    • KSBB Journal
    • /
    • 제30권4호
    • /
    • pp.175-181
    • /
    • 2015
  • Cells proliferate via repeating process that growth and division. This process is G1, S, G2 and M four phases consists. Monitoring the progression of the cell cycle is a specific step that to be a continuous process is repeated to adjust the start of the next step. At this time, this process is called a Checkpoint. Currently, there are three known checkpoints that G1-S phase, G2-M phase, and the M phase. In this study, we confirmed that cell cycle arrest effects by ethanol extracts of Artemisia annua Linne (AAE) in Hep3B liver cancer cells. AAE was regulated proteins which involved in cell cycle such as pAkt, pMDM2, p53, p21, pCDK2 (T14/Y15). AAE induced cell cycle arrest in G1 checkpoint through phosphorylation of CDK2. Akt and p53 upstream is inhibited by AAE and p53 activated by non-activated pMDM2, p53 inhibitor. Thereby, activated p53 is transcript to p21 and activated p21 protein is combined with Cyclin E-pCDK2 complex. Therefore, we confirmed that AAE-induced cell cycle arrest was occurred by p21-Cyclin E-pCDK2 complex by inhibition of pAkt signal. Because of this cell cycle can't pass to S phase from G1 pha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