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opionic Anhydride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22초

Propionic Anhydride의 연소특성치의 측정 및 예측 (Measurement and Prediction of the Combustible Properties of Propionic Anhydride)

  • 하동명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66-72
    • /
    • 2016
  • 화학산업에서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는 propionic anhydride의 안전한 취급을 위해서 인화점과 최소자연발화온도를 측정하였다. Propionic anhydride의 폭발하한계는 실험에서 얻어진 하부인화점을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Propionic anhydride의 인화점 측정에서 Setaflash 밀폐식은 $40^{\circ}C$, Pensky-Martens 밀폐식은 $44^{\circ}C$ 그리고 Tag 개방식은 $49^{\circ}C$, Cleveland 개방식에서는 $47^{\circ}C$로 측정되었다. ASTM E659 장치에 의한 최소자연발화온도는 $335^{\circ}C$로 측정되었다. 측정된 하부인화점 $40^{\circ}C$에 의한 폭발하한계는 1.30 Vol.%로 계산되었다. 폭발한계는 측정된 인화점이나 문헌에 제시된 인화점을 이용하여 예측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Propionyl Chitosan의 여러 가지 수용액에 대한 흡수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Water Absorption Ability of Propionyl Chitosan to the Various Aqueous Solutions)

  • 구현철;장병권;최규석
    • 공업화학
    • /
    • 제4권2호
    • /
    • pp.324-334
    • /
    • 1993
  • 천연고분자인 chitin은 인체에 무해무독하며 생분해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chitin을 탈아세틸화시켜 얻은 chitosan에 propionyl group을 도입하여 porous bead의 형태로 제조하고 이들의 흡수성수지로서의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propionyl chitosan porous bead의 합성은 chitosan을 acetic acid 수용액에 녹인 후 emulsion을 이용한 방법으로 아실화 반응을 일으켜 제조하였으며, crosslinked propionyl chitosan porous bead는 ethyleneglycol diglycidyl ether로 부분가교시킨 chitosan을 사용하여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이때 propionic anhydride의 몰수와 반응시간 그리고 반응온도를 변화시킨 결과, propionyl chitosan의 합성조건은 propionic anhydride 5 moles, 반응시간 10시간 그리고 반응온도가 $22^{\circ}C$일 때 흡수능이 가장 좋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제조된 porous bead에 대하여 증류수 및 생리식염수, 각종 염용액, 인공뇨 및 인공혈액에 대한 흡수도를 검토하였고, 흡수속도 및 보수력에 대한 교환 사항을 검토하였으며, 나아가 가교에 따른 기계적 강도의 변화를 고찰하였다.

  • PDF

Pyrimidines과 pyrimidine의 헤테로고리의 합성 (Synthesis of Pyrimidines and Heteroannulated Pyrimidine Ring Systems)

  • Mohammed, F.K.;Badrey, M.G.
    • 대한화학회지
    • /
    • 제55권2호
    • /
    • pp.218-229
    • /
    • 2011
  • Imine 화합물 1을 hydrazine hydrate와 같은 nitrogenous 시약과 반응시켜서 치환된 pyrimidines 화합물을 합성하였다. 얻어진 화합물 2를 다양한 반응조건, 즉 propionic acid, formic acid, ethyl chloroformate, acdetic anhydride, carbon disulphide, cyanogene bromide, triflauroacetic acid 및 ethyl chloroacetate와 반응시켜서 대응하는 화합물을 좋은 수율로 얻었으며, 반응은 Dimroth-type 자리옮김 반응을 통하여 진행되었다.

Development of a Method to Quantify Lysine in Small Amount of Rice Grain

  • Kim, Joo-Shin;Kim, Kwang-Jin;Ma, Wing Chi Joyce;Chung, Hau-Yin
    • 환경위생공학
    • /
    • 제22권2호
    • /
    • pp.75-84
    • /
    • 2007
  • A lysine determination method for low quantity of rice was modified from the original Dye-Binding Lysine (DBL) method used in the national standard in China [GB 4801-84, 1984]. By making use of the property that lysine does not bind to the crocein orange G dye after treated with propionic anhydride, the amount of lysine in rice samples could be determined directly by calculat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absorbances of the treated and the untreated samples. Various commercial rice samples were purchased from market and evaluated. Several methods were tested by varying both the sizes of the samples and the concentrations of the dye solutions. Results showed that when using 1.284 mM of crocein orange G dye solution and 15.5 mg of sample, the results were most reproducible. The corresponding lysine content in sample were $3.36\;{\pm}\;0.09\;mg/g$ and $3.35\;{\pm}\;0.19\;mg/g$ by traditional method and modified method, respectively. Statisticall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results (p>0.05).

Catalytic Conversion of Cellulose to Cellulose Acetate Propionate (CAP) Over SO42-/ZrO2 Solid Acid Catalyst

  • Leng, Yixin;Zhang, Yun;Huang, Chunxiang;Liu, Xiaocheng;Wu, Yuzhen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34권4호
    • /
    • pp.1160-1164
    • /
    • 2013
  • The solid super acid catalyst $SO{_4}^{2-}$/$ZrO_2$ was prepared by impregnation method using $ZrO_2$ as the catalyst support. Catalyst forming was taken into consideration in order to separate catalyst from the mixture of cellulose acetate propionate (CAP). $Al_2O_3$ and sesbania gum powder were selected as binding agent and auxiliary agent respectively. The catalytic properties were evaluated through esterification of cellulose with acetic anhydride, propionic anhydride and characterized by XRD, FTIR and $NH_3$-TPD. In this paper, the effects of concentration of $H_2SO_4$ impregnated, calcination temperature, esterification temperature and esterification time on the yield, acyl content and viscosity of CAP were investigated. The results showed that $SO{_4}^{2-}/ZrO_2$ successfully catalyzed CAP synthesis over catalysts impregnated in 0.75 mol/L $H_2SO_4$ and calcined at $500^{\circ}C$. The yield, acetyl content and propionyl content of CAP reached the maximum value of 105.3%, 29.9% and 25.8% reacted at $50^{\circ}C$ for 8 h.

생체적합성과 생분해성을 갖는 키틴유도체의 합성 및 물성 III -에스테르 키틴 유도체의 합성과 용해 특성- (Synthesis and Physical Properties of Biocompatible and Biodegradable Chitin Derivatives III. -Synthesis and Solubility of Ester Chitin Derivatives-)

  • 김선정;이영무;성용길;강인규;박영훈
    • 공업화학
    • /
    • 제4권4호
    • /
    • pp.785-790
    • /
    • 1993
  • 키틴의 글루코오스 단위에 메탄술폰산 존재하에서 아세트산 무수물, 프로피온산 무수물과 n-부틸산 무수물을 반응시켜 아세틸 키틴(AC), 프로피오닐 키틴(PC) 그리고 n-부티릴 키틴(BC) 등의 에스테르 형태를 갖는 개질화 키틴을 합성하였고 이들의 구조를 FT-IR과 solid state CP/MAS $^{13}C-NMR$ spectra로 확인하였다. 에스테르 형태의 키틴유도체는 대체로 키틴의 글루코오스 단위의 6번 탄소위치에 치환되었다. 유도체를 유기용매와 수용성 약산 유기용매에서 용해성을 검토하여 포름산에서 세 가지 유도체 모두 좋은 용해성을 나타냈고, 수용성 약산에서는 대부분의 유도체는 팽윤되는 것을 고찰할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