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opionaldehyde

검색결과 34건 처리시간 0.024초

망간산화물 촉매를 이용한 악취제거 (Odors Removal by using Manganese Oxide Catalysts)

  • 서성규;윤형선;마충곤;류의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443-448
    • /
    • 2010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catalytic activities of manganese oxide (MnO, $MnO_2$, $Mn_2O_3$, and $Mn_3O_4$) catalysts for odors (acetaldehyde and propionaldehyde) removal. We used a fixed bed reactor as the experimental apparatus and the catalytic performance were carried out over the temperature range of $200{\sim}470^{\circ}C$. The properties and performance of catalysts were characterized by the X-ray diffraction (XRD) and Brunauer Emmett Teller (BET). The catalytic activities of manganese oxide catalysts for acetaldehyde combustion were in the order of MnO < $MnO_2$ < $Mn_2O_3$ < $Mn_3O_4$, and it is similar to that of propionaldehyde combustion. We also confirmed that the reactions have well followed the kinetic model of Power-Rate Law and the reaction order (n) is 1 for both of the acetaldehyde and propionaldehyde combustion. In addition, the reaction activation energy of acetaldehyde and propionaldehyde combustion over $Mn_3O_4$ were found to be $72.42\;kJmol^{-1}$ for 487~503 K and $51.14\;kJmol^{-1}$ for 473~533 K, respectively.

백합나무 판재의 VOCs 및 Aldehydes 방출특성 (Characteristics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and Aldehydes Emission from Yellow poplar (Liriodendron tulipifera L.))

  • 이민;박상범;이상민;손동원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2권4호
    • /
    • pp.357-366
    • /
    • 2014
  • 백합나무 판재를 벽판재로 이용하기 위해 백합나무의 생재와 건조재에 대한 휘발성유기화합물(VOCs)과 알데히드류 방출 특성을 검토하였다. VOCs 및 formaldehyde를 포함한 aldehyde류의 방출량 측정은 다중이용시설 등의 실내공기질 관리법에 공시된 20 ${\ell}$ Chamber법에 따라 실시하였다. 백합나무의 생재 및 건조재에서는 30여 가지 이상의 VOCs가 검출되었다. 백합나무의 Total VOC 구성 비율 가운데 천연VOC (NVOC)의 비율은 11.1%로 다른 침엽수종과 비교하여 낮게 나타났다. 백합나무의 aldehyde류 분석 결과, 심재 및 변재에서 같은 3종(acetaldehyde, ketone, propionaldehyde)이 검출되었으며, formaldehyde의 방출량은 $4.01{\mu}g/m^3$ 이하로 나타났다. m-Tolualdehyde의 경우 백합나무 건조재의 심재에서만 $33.6{\mu}g/m^3$의 방출량을 보였으며, 심재와 변재 모두 ketone의 방출량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백합나무 특유의 역한 냄새는 acetaldehyde와 propionaldehyde와 기타 VOCs에 의한 것으로 추정된다. 건조한 백합나무에서는 휘발성이 강한 ketone의 방출량이 증가하였다.

수용액중 초음파조사에 의한 Aldehyde류의 초음파분해 (Sonochemical Destruction of Aliphatic Aldehydes in an Aqueous Solution)

  • Yoo, Young-Eok;Howang, Kyu-Tak;Maeda, Yasuaki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39-44
    • /
    • 1997
  • Propionaldehyde, n-Butyraldehyde, n-Valeraldehyde 수용액에 주파수 200 kHz, 출력 6.0 W/cm$^2$의 초음파조사후 그 분해반응에 관해 고찰했다. Aldehyde류는 초음파 조사에 의해 빠르게 분해되었고, 분해형태는 유사1차 반응을 나타내었다. 이들의 분해 속도는 Propionaldehyde

  • PDF

인삼사포닌 분획이 에탄올을 투여한 쥐의 뇌에서 분리한 신경세포와 Astrocyte의 Aldehyde Dehydrogenase 활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i Saponin Fraction of Panax Ginsen C.A. Meyer on Aldehyde Dehydrogenase Activity in Neurons and Astrocytes Isolated from Ethanol Administered Rat Brain)

  • 이명돈;황우섭;서해영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21권1호
    • /
    • pp.53-60
    • /
    • 1997
  • The changes in aldehyde dehydrogenase(ALDH, E.C. 1.2.1.3.) activity in neurons and astrocytes isolated from rat brains were investigated after administration of ethanol and Korean red ginseng(Panax ginseng C.A. Meyer) saponln. The cerebral ALDH activity with acetaldehyde and Propionaldehyde was higher in the white matter than in the gray matter. However, using indole-3-a-cetaldehyde and 3,4-dihydroxyphenylacetaldehyde as substrate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ctivity between two regions in cerebrum. In ethanol treated group, ALDH activity with all the substrates in the gray and white matter was lower than in normal group. In ethanol-saponin treated group, the enzyme activity in the white matter remarkably Increased. The ALDH activity in neurons isolated from cerebral cortex in ethanol-treated group was lower than in normal group. In ethanol-saponin treated group, neuronal ALDH activity with propionaldehyde was significantly recovered but not with Indole-3-acetaldehyde. In astrocytes, although the ALDH activity with propionaldehyde in the ethanol-treated group was not changed as compared with normal group, considerable increase in activity was found in ethanol-saponin treated group. These results suggest that Korean red ginseng saponin may protect the neuronal functions from the toxic effects of acetaldehyde derived from ethanol by stimulation of ALDH activity in astrocytes surrounding nerve cells.

  • PDF

VOCs 연소용 Mn-PC 촉매 특성 (Catalytic Characteristics of Mn-PC for VOCs Combustion)

  • 서성규;마충곤;류의;윤형선;김상채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237-242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Mn-PC 촉매와 상압유통식 반응장치를 이용하여 $200{\sim}380^{\circ}C$ 범위에서 VOCs(아세트알데히드, 프로피온알데히드, 톨루엔) 연소반응을 수행하였다. 촉매 전처리(air, $450^{\circ}C$, 1 hr, 60 cc/min) 전 후의 물리화학적 특성변화 조사는 TGA (Thermogravimetric Analyzer), BET (Brunauer Emmett Teller), EA (Elemental Analyzer), XRD (X-ray Diffractometer) 및 SEM (Scanning Electronic Microscope)을 이용하여 파악하였다. TGA 분석결과 Mn-PC의 열중량(공기 분위기) 감소는 $419^{\circ}C$에서 88 wt.%를 나타내었으며, 전처리 후 비표면적은 크게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EA 분석결과 전처리를 통해서 유기물 성분은 분해 또는 연소되어 거의 관찰되지 않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XRD분석을 통해 Mn-PC 촉매가 전처리 후 새로운 형태의 산화물인 $Mn_3O_4$로 전이됨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SEM 분석결과 전처리 과정에서 많은 micropore가 생성된 것으로 관찰되었다. 프로피온알데히드 연소의 경우 전처리한 Mn-PC는 $Mn_3O_4$와 fresh한 Mn-PC 보다 우수한 촉매활성을 나타내었다. 전처리된 Mn-PC상에서 VOCs 연소 효과는 톨루엔 < 아세트알데히드 < 프로피온알데히드 순서로 나타났다.

매립지 악취가 주변 대기질에 미치는 영향 예측 - 청주청원 광역매립지 사례연구 - (Prediction of Malodorous Landfill Substances Effect on Ambient Air Quality - A Case Study on Cheongju·Cheongwon Metropolitan Landfill -)

  • 이상우
    • 환경영향평가
    • /
    • 제21권5호
    • /
    • pp.695-705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concentration level and characteristics of malodour substances generated from landfill site in C city. Also, it is tried to predict distribution of concentration level using ISCST3 model around landfill site. From the results, it can be confirmed that twelfth-class malodour substances such as ammonia, methyl mercaptan, hydrogen sulfide, dimethyl sulfate, dimethyl disulfate, toluene, acetaldehyde, styrene, propionaldehyde, butylaldehyde, n-Valeraldehyde, xylene were generated from landfill site. The levels of the malodour substances were lower than that of permeable concentration regulated by odor control law in Korea. However, the concentration of malodour substances including methyl mercaptan, hydrogen sulfide, acetaldehyde, and propionaldehyde exceeded threshold limit value(TLV). It was seemed that these substances caused the problem of offensive odor around circumstance of landfill. The concentration of malodour substances was higher in slant than in upper part of landfill. The concentrations of malodour substances measured at night time were shown higher level than those at night time because atmospheric condition was stable at night time. It showed that the concentration of malodour substances were higher in spring. The results of atmospheric diffusion model predicted that tolerance limit level of hydrogen sulfide and methyl mercaptan was detected within nearly 5km from the boundary of landfill.

GC에 의한 대기중 Aldehyde 화합물의 분석 (Analysis of Aldehyde Compounds in Air by GC)

  • 유혜경;허귀석;김대원;신호상
    • 한국대기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대기환경학회 2001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336-337
    • /
    • 2001
  • 악취는 산업이 발전함에 따라 급격히 늘어나는 환경 공해 중의 하나이다. 이 중 알데히드 화합물은 여러 가지 악취물질중의 하나로서 공기 중에 미량으로 존재하면서 냄새를 일으키며, 건강 위해성도 큰 물질이다. 본 연구에서는 휘발성이 강하면서 건강에 유해하여 문제가 되고 있는 이러한 알데히드 화합물 (formaldehyde, acetaldehyde, propionaldehyde, butyraldehyde, benzaldehyde)을 간편하고 신속, 정확하게 분석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중략)

  • PDF

DNPH Cartridge를 이용한 악취성 카르보닐화합물의 분석회수율 비교 (Comparison of recovery rates of DNPH-Cartridge sampler in the analysis of odorous carbonyl compounds)

  • 홍원필;임승민;김기현
    • 분석과학
    • /
    • 제23권5호
    • /
    • pp.446-456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악취성 카르보닐화합물(CC)의 채취에 많이 사용하는 DNPH cartridge의 분석 회수율을 다양한 방법으로 평가하였다. 이를 위해, 각기 다른 3종류의 DNPH cartridge (A =Waters, B = Top trading, C = Supelco) 제품을 대상으로 5가지 CC 성분들에 대하여 총 9 가지 농도단계(33~2600 nmol)의 작업용 표준시료를 제조하였다. 그리고 이들 제품들을 이용하여, 카트리지 분석 방식별, 제품별 성능을 평가하였다. 본 실험의 결과, cartridge 제품에서 acetaldehyde와 propionaldehyde 성분의 blank를 일반적으로 검출하였다. 검량 기울기 값을 비교하는 방식으로 5 가지 CC성분에 대한 제품별 회수율 비교하였다. 그 결과, 3 가지 제품 모두 CC 성분의 분자량이 증가할 경우 회수능이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다. 그리고 회수율의 변화추이를 percent error(%)와 같은 변수로 살펴본 결과, 263 nmol 부터 1312 nmol 농도 범위에서 가장 안정적인 경향을 나타냈다. 이러한 점을 감안할 때, 분석 대상 CC에 대한 이상적인 농도범위와 cartridge의 선택이 정확한 분석자료를 확보하는데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