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ogression of disc displacement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21초

외측 익돌근의 수평적 형태와 측두하악관절장애 간의 상관성 (Relationship between Temporomandibular Joint Disorders and Horizontal Morphology of Lateral Pterygoid Muscle)

  • 정재광;권춘익;변진석;최재갑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8권2호
    • /
    • pp.149-159
    • /
    • 2013
  • 이 연구의 목적은 측두하악관절장애와 외측 익돌근의 수평적 형태 간의 연관성을 조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10대에서 50대까지 연령군별로 각 남녀 15명씩 임의로 선정한 총 150명의 측두하악관절장애 환자에서 자기공명영상의 수평면 및 시상면상에서 나타난 외측 익돌근 및 측두하악관절의 형태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조사한 해부학적 특성은 외측 익돌근의 최대폭경, 수평 부착각도, 관절원판의 위치, 과두의 변형여부, 관절 삼출액 여부 등이며, 또한 전이부의 통증여부, 과두 주변의 압통 유무와 같은 임상적 소견이 포함되었다. 이들 해부학적 특성 및 임상적 소견의 상호 간 관련성을 분석한 결과, 비정복성 관절원판 변위를 가진 경우 외측 익돌근의 부착각도가 유의하게 높았으며 전이부에 통증이 있는 경우에는 최대 폭경이 유의하게 큰 것으로 나타났다. 뿐만 아니라 연령이 낮을수록 부착각도가 유의하게 높았으며 남성에서 최대 폭경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위의 결과를 통해 외측 익돌근 수평 부착각도가 관절원판 변위와 유의한 관련성이 있으며 전이부의 통증이 최대 폭경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생각된다. 결론적으로 외측 익돌근의 높은 수평 부착각도가 관절원판 변위 발생의 중요한 해부학적 기여요인이 될 수 있으며, 측두하악관절의 통증은 외측 익돌근의 활성에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Expression of collagenases (matrix metalloproteinase-1, 8, 13) and tissue inhibitor of metalloproteinase-1 of retrodiscal tissue in temporomandibular joint disorder patients

  • Gho, Won Gyung;Choi, Yuri;Park, Kwang-Ho;Huh, Jong-Ki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44권3호
    • /
    • pp.120-127
    • /
    • 2018
  • Objectiv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reveal how collagenases (matrix metalloproteinase [MMP]-1, 8, 13) and tissue inhibitor of metalloproteinase 1 (TIMP-1) are expressed in immunohistochemistry of retrodiscal tissue in temporomandibular joint disorder patients. Materials and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on 39 patients who underwent discoplasty or discectomy.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was undertaken and expression levels of MMP-1, 8, 13, and TIMP-1 were evaluated. The status of internal derangement of disc, osteoarthritis, and joint effusion were analyzed using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Disc status observed during operation was also categorized. Results: The more severe disc derangement was observed on MRI, the more increased expression of MMPs and TIMP-1 appeared. Regarding MMP-13 expression, 86.7% of late-stage disc displacement patients showed grade II or III. Expression level of MMPs or TIMP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associated with joint effusion level. In perforation and/or adhesion groups, all patients showed grade II or III expression of MMP-13. Once perforation occurred, MMP-13 showed increased expression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Conclusion: MMP-1 and MMP-13 expression seem to be related to progression of osteoarthritis whereas MMP-8 does not seem to have a specific role with regard to temporomandibular joint disorders. TIMP-1 is considered to be partly related to internal derangement rather than osteoarthritis, but it is not signific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