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ogeny test

검색결과 89건 처리시간 0.025초

Genetic Parameters for Traits in Performance and Progeny Tests and Their Genetic Relationships in Japanese Black Cattle

  • Oikawa, T.;Hoque, M.A.;Hitomi, T.;Suzuki, K.;Uchida, H.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9권5호
    • /
    • pp.611-616
    • /
    • 2006
  • Genetic parameters for performance traits on 409 bulls and growth and carcass traits on 591 of their steer progeny were estimated in Japanese Black cattle with Gibbs sampling. Traits of bulls included body weight at the start (BWS) and finish (BWF) of test, daily gain (DG), concentrate, roughage and TDN intake, and TDN conversion ratio. Progeny traits were BWS, BWF, DG, rib eye area, marbling score (MSR), dressing percentage and subcutaneous fat thickness (SFT). In bulls, heritabilities were high for BWS (0.50) and BWF (0.63) and moderate for concentrate (0.48) and TDN intake (0.45), while in progeny, the heritability for all the studied traits was moderate to high (ranging from 0.30 to 0.73), highlighting the potential for genetic improvement of these traits. Genetic correlations between TDN intake and growth traits (BWS, BWF and DG) in bulls were highly positive (ranging from 0.77 to 0.94). The weak but negative genetic correlation (-0.20) between MSR and SFT in progeny indicated that improvement of beef marbling without increasing subcutaneous fat deposition could be possible. The estimated genetic correlations of roughage intake of bulls with body weights (BWS and BWF) and MSR of their progeny were moderate (ranging from 0.35 to 0.52). On the basis of the selection for bulls, growth traits and TDN intake correlated positively with SFT (ranging from 0.43 to 0.53) of their progeny, suggesting the necessity of controlling the increase of SFT in selection programs.

Bootstrap Analysis of ILSTS035 Microsatellite Locus in Hanwoo Chromosome 6

  • Lee, Jea-Young;Lee, Yong-Won;Kim, Mun-Jung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15권1호
    • /
    • pp.75-81
    • /
    • 2004
  • We selected, in previous research, a major DNA Marker 235bp of ILSTS035 microsatellite locus in progeny test Hanwoo chromosome 6. We apply a major DNA Marker 235bp to perormance valuation Hanwoo chomosome 6. We use bootstrap BCa method and calculate confidence interval. A major DNA Marker 235bp is verified that it does not have environmental effect but affects primely economic trait factor.

  • PDF

The effect of progeny numbers and pedigree depth on the accuracy of the EBV with the BLUP method

  • Jang, Sungbong;Kim, So Yeon;Lee, Soo-Hyun;Shin, Min Gwang;Kang, Jimin;Lee, Dooho;Kim, Sidong;Noh, Seung Hee;Lee, Seung Hwan;Choi, Tae Jeong
    • 농업과학연구
    • /
    • 제46권2호
    • /
    • pp.293-301
    • /
    • 2019
  • This study was done to estimate the effect of progeny numbers and pedigree depth on the accuracy of the estimated breeding value (EBV) using best linear unbiased prediction (BLUP) method in Hanwoo. The experiment groups (sire = 100, 200, and 300; progeny = 4 and 8) were made by random sampling and by genetic evaluation of the following traits: Body weight (BW), carcass weight (CW), eye muscle area (EMA), back fat thickness (BFT) and marbling score (MS9). As a result of the genetic evaluation, the accuracy of the EBV was roughly 30 - 60% with 4 progenies, and the accuracy of the EBV increased by about 50 - 75% with 8 progenies. In the other words, when the number of progenies increased from 4 to 8, the accuracy of the EBV simultaneously increased by about 15 - 20%. Moreover, when the number of sires was higher, variations in the accuracy of the EBV within the groups for each trait decreased. Therefore, this result indicates that not only the number of progeny but also the number of sires can affect the accuracy of the EBV. Consequently, collecting information on the progeny and careful management of that information are very important things in the Hanwoo breeding system. Therefore, the EBV can show more precise results when conducting genetic evaluations.

국지기후가 잣나무 차대검정림의 년도별 구과 결실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Local Climatic Conditions on the Yearly Cone Production in Progeny Test Stands of Korean White Pine)

  • 신만용;장용석;한상억;김영채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4권3호
    • /
    • pp.141-150
    • /
    • 2002
  • 본 연구는 경기도 가평과 관주 그리고 충청북도 영동에 조성된 잣나무 차대검정림을 대상으로 20년생까지의 연도별 구과 결실량에 미치는 미기후의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지역별ㆍ연도별 구과 결실량을 측정하여 분석하였으며, 지형기후학적 방법과 공간통계기법을 사용하여 차대검정림의 연도별 미기후 조건을 추정하여 구과 결실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착과수 및 착과 본수를 조사한 결과 가평 지역은 9년생부터, 광주 지역은 10년 생부터 그리고 영동 지역은 이보다 훨씬 늦은 14년생부터 착과가 이루어지기 시작하여 지역별 편차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지역별 총 착과수와 가계별 착과수에서도 큰 변이를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구과 결실량과 지역별 미기후간의 상관분석 결과를 보면 가평 지역의 경우 개화수분 당년의 11월부터 익년 3월까지 5개월 간의 흐린 날수 합계가 높은 부의 상관을 나타내었으며, 광주 지역의 경우 개화수분 당년 6월부터 결실년도 8월까지 15개월 동안의 일조시수 합계가 유의성이 높은 부의 상관을 나타내었다. 한편, 영동 지역의 경우는 개화수분 당년의 11월부터 익년 3월까지의 평균기온 평균치와 개화수분 당년의 5월 평균기온 등에서 부의 상관관계를 인정할 수 있었다. 한편 구과 결실량을 기후지수에 의해 추정하기 위한 최적 회귀식은 지역별로 다양한 기후변수가 채택되었으나 비교적 설명력이 높아 여러 가지 환경 요인 중에서 미기후 조건이 구과 결실량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본 연구로부터 얻어진 결과는 잣나무 우량 종자생산에 적합한 입지선정에 필요한 정보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한우 당대검정우와 후대검정우의 성장형질에 관한 유전모수 추정 (Estimation of Genetic Parameters for The Growth Traits of Performance and Progeny Test in Hanwoo(Bos taurus Coreanae))

  • 기근서;최태정;김시동;최호성;백동훈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9권6호
    • /
    • pp.699-710
    • /
    • 2007
  • 본 연구는 1989년 8월부터 2005년 9월까지 농협중앙회 가축개량사업소에서 당대 검정을 실시한 비거세우 3,904두의 검정 자료와 1996년 8월부터 2004년 6월까지 축산연구소 한우시험장(대관령지소), 유전자원시험장(남원지소), 농협중앙회 가축개량사업소에서 출생한 후대검정 거세우 2,424두의 검정 자료를 조사 분석하였다. 분석 형질은 당대검정 비거세우(후보우)의 6개월령, 12개월령 체중 및 12개월령 일당증체량과 후대검정 거세우의 6, 12, 24개월령 체중 및 12개월령 일당증체량으로 DFREML 패키지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측정된 당대검정우의 6개월령, 12개월령 체중 그리고 일당증체량은 각각 181.72±30.22kg, 351.48±40.24kg 그리고 998.07±153.84g으로 나타났으며 후대검정우의 6개월령, 12개월령, 24개월령 체중 그리고 일당증체량은 각각 169.18±32.82kg, 229.37±44.57kg, 570.45±64.36kg 그리고 739.41±172.14g으로 나타났다. 당대검정 비거세우(후보우)의 6개월령 체중, 12개월령 체중 및 일당증체의 유전력은 각각 0.54±0.06, 0.60±0.06 및 0.23±0.04 추정되었다. 후대검정 거세우의 6개월령, 12개월령 및 24개월령 체중에 대한 유전력은 0.80±0.08, 0.50±0.07 및 0.46±0.07로 나타났으며 일당증체에 대한 유전력은 0.07±0.03으로 추정되었다. 한우의 당대 검정에 있어서도 기존의 초기성장형질에 대한 조사뿐만 아니라 12개월 이후의 체중에 대한 조사도 고려해봐야 할 것이며 차후 후대 검정우의 체중과 도체형질간의 유전모수 추정 연구 또한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이는 곧 당대와 후대간 체중의 간접적인 비교와 후대의 체중과 도체형질간의 간접적인 비교를 가져올 것이라 사료된다.

Ustilago maydis의 Mating 과정에 따른 Virus 유전자의 변이에 관한 연구 (Genomic Variation and Toxin Specificity of Ustilago maydis Viruses from Progeny Strains as a Result of Artificial Mating)

  • 강인식;이세원
    • 미생물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105-110
    • /
    • 1997
  • 한국에서 분리한 U. maydis에서 바이러스 혹은 dsRNA를 가지고 있는 A series와 SH series를 조합하여 옥수수에서 인위적으로 mating시켜 A45, A23, A211, A310, SH614, SH24의 6개 교배형 균주를 분리하였다. 새로운 교배형 균주에서 바이러스 dsRNA를 비교 분석하여 본 결과, mating전 양친형 균주에서 보이고 있는 H, M, L strand의 dsRNA 양상을 모두 가지고 있고 균주간 특별한 molecular exclusion 현상은 보이지 않았다. 교배형 6개으 균주에서 바이러스를 분리하였다. 분리된 바이러스로부터 dsRNA를 분석한 결과 균주간 mating시 dsRNA 재조합을 통한 새로운 encapsidation은 발생하지 않는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Toxin test 결과, SH614는 SH9, SH10, SH11 균주에 대해서, A310과 SH24의 2종은 SH11 균주에 대해 특이적 성장억제 현상을 보였다. 이는 mating에 따른 dsRNA의 재조합이 toxin gene의 발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것을 시사한다.

  • PDF

Investigation of the effects on maternal parity on carcass traits of progeny in swine using on-farm test records

  • Kang, Tae-Hun;Yang, Sung-Jae;Kim, Ki-Hwan;Eum, Seung-Hoon;Park, Hu-Rak;Seo, Ja-Kyeom;Cho, Seong-Keun;Shin, Teak-Soon;Kim, Byeong-Woo
    • 농업과학연구
    • /
    • 제43권4호
    • /
    • pp.612-622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sex, birth year, birth season, and parity of sows on their progeny using the following on-farm test records: Backfat Thickness (BF), Fresh Meat Percent (FMP), Loin depth (LD), Age at 90kg (90D), and Average Daily Gain (ADG).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data collected from 1,178 Yorkshire and 13,395 Landrace progenies, which were born from 119 Yorkshire and 1,191 Landrace sows, respectively between 2011 and 2015. All results of the analysi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P < 0.05) except the birth season effect on LD. For Landrace, the highest ratings were found to be at the $5^{th}$ parity (BF), at the $3^{rd}$ parity (FMP and LD), at the $2^{nd}$ parity (90D and ADG). For Yorkshire, the highest ratings were at the $2^{nd}$ parity (BF and FMP), at the $3^{rd}$ parity (LD), and at the $4^{th}$ parity (90D and ADG). Although the ratings of carcass traits of progeny appear to be higher between the maternal sow's $2^{nd}$ and $4^{th}$ progenitor, no significant relations to parity were found. Based on these results, we concluded that maternal parity is not significantly affect carcass traits of progeny and thus that the best slaughtering age of sows should not be determined solely based on maternal parity but also in consideration of other factors such as unit costs of produc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ould provide fundamental information to future studies on the effect of economical parity on sows and swine breeding.

A Major DNA Marker of BM4311 Microsatellite Locus in Hanwoo Chromosome 6 using the Bootstrap BCa Method

  • Lee, Jea-Young;Kim, Mun-Jung;Lee, Young-Won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15권1호
    • /
    • pp.41-47
    • /
    • 2004
  • DNA marker 95bp and 100bp are selected as major DNA markers of the BM4311 microsatellite locus in progeny test Hanwoo chromosome 6 linkage map. This document is tried to know whether DNA marker 95bp and 100bp are also major DNA markers in Hanwoo performance valuation in chromosome 6 linkage map. The bootstrap BCa method will be used to calculate confidence interval for DNA markers.

  • PDF

동기생육형(冬期生育型) 톨페스큐의 합성품종세대(合成品種世代)와 다계교배(多系交配) 후대검정(後代檢定)에 관(關)한 연구(硏究) (An Evaluation of Various Synthetic Generations and Polycross Progenies in Winter Active Tall Fescue (Festuca arundinacea Schreb) - I. Summer Forage Phase)

  • 김달웅
    • 농업과학연구
    • /
    • 제2권2호
    • /
    • pp.341-356
    • /
    • 1975
  • 본 연구는 육성후대의 3개 동기생육형 합성품종과 서부 oregon의 저온다습한 기후 하에 선발된 7개인자형의 다계교배 파생계통들의 능력을 검정하기 위하여 대비품종으로 다수성품종 Fawn을 공시하여 대전의 충남대학교 공과대학 실험포장에서 수행하였다. 특히 광합성과 관련이 깊은 식물체 및 잎의 주요형질과 아울러 재식후 첫여름의 조사로 생산량을 조사 분석하였던바 주요한 결론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파생계통 및 합성품종군과 대비품종 상호간에는 생엽중의 유전적인 차이를 나타내었던바 다계교배 파생계통군의 평균 생엽중이 가장 무거웠고 다음이 합성품종군 이었으며 대비품종 Fawn이 가장 가벼웠다. 한편 다계교배 파생계통군 대에서는 인자형들간에 건엽중의 유전적 차이를 나타내고 있었다. 2) 엽면적 역시 파생계통 군합성품종군 및 대비품종간에 유전적 차이를 보였는데 동기생육형 합성품종군의 평균 엽면적이 대비품종 Fawn에 비해 현저히 넓었으며 다계교배 파생계통군이 가장 넓은 평균 엽면적을 보았다. 3) 합성품종군 파생계통군 및 대비품종간에 특정엽중(단위엽면적당엽중)의 차이는 인정되지 않았는데 앞으로 이특저엽중의 중간변이에 관한 연구가 요망된다. 4) 엽폭은 파생계통군, 합성품종군 및 대비품종간에 현저한 유전적인 차이가 인정되었던바 다계교배 파생계통군의 평균엽폭이 가장 넓었고 다음에 동기새육형 합성품종군 이었으며 대비품종 Fawn이 가장 좁았다. 5) 제1회 예취전 초장은 대비품종 Fawn이 동계생육형 합성품종이나 파생계통에 대해 현저히 길었으며 한편7개인자형의 다계교배 파생계통간에서는 초장의 편차가 크게 나타났으나 초장의 재생력은 품종 파생계통간 혹은 내에서 유의차가 인정되지 않았다. 6) 일차 예취전의 주폭(株幅) 즉 포장피복능력은 동기생육형 합성품종에서 컷고 한편 1차예취후의 주폭은 다계교배파생계통들간에 상당한 차이를 나타내었던바 유전적인 차이가 충분히 인정되었다. 8) 제1차예취시의 청예수량은 합성품종의 후기세대에서 상당한 개선을 보았으며 다계교배 파생계통의 7개 인형들간에는 상당한 유전적인 차이를 보였다. 다계교배 파생계통군의 평균수량은 대비 품종이나 동기생육형 합성품종의 수량보다 현저히 높았던바 이로서 보다 수량성이 높은 품종의 개량이 앞으로 가능할 것이라고 추측된다. 9) 여름동안의 청예수량 및 초장 재생력으로 보면 동기생육형 품종군 및 파생계통들간의 재생력에는 대체로 차이가 없었다. 10) 전체적으로 볼때 특정엽중 및 제1회 예취전초장을 제외한 전형질에서 모두 유의성은 인정되는 것은 아니라 하더라도 다계교배 파생계통군이 가장 우수하였고 다음이 합성품종군이었으며 대비품종 Fawn이 가장 떨어졌다. 그리고 다계교배 파생계통의 7개 인자형 간에는 유전적인 차이가 인정되었다. 11) 통계적인 유의성이 모두 인정되는것은 아니나 모두 형질에서 품종 1002가 1001 및 1000두품종보다 우수 하였다. 12) 여러형질간의 상관연구의 결과는 잘일치되고 있는바 보다나은 품종의 개량을 위한 바람직한 인자형의 선발에 기여 할수 있을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