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oductivity achievement ratio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17초

작업중단이 현장 생산성과 생산성달성율에 미치는 영향 (Impact of Work stopped on Site Productivity and Productivity Achievement Ratio)

  • 김태완;유정호;이현수
    • 한국건설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설관리학회 2003년도 학술대회지
    • /
    • pp.311-314
    • /
    • 2003
  • 작업중단이 다음날의 현장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화하기 위해 본 연구는 통계적 방법을 제안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다음 영가설을 검정하는 절차를 거쳤다. '건설현장에서의 작업중단은 다음날의 현장 생산성과 생산성달성율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이를 검정하기 위해 본 연구는 작업중단을 생산성에 영향을 미치는 더미 변수로 가정하고, 사례 데이터를 바탕으로 회귀분석을 실시, 작업중단이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화하였다. 또한, 이론 바탕으로 작업중단이 다음날의 생산성달성율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바탕으로, 현장에서 작업연속성을 확보하기 위한 노력이 생산성 확보 차원에서 유효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공동주택 마감공사 TACT 기법 생산성 관리 - Productivity Achievement Ratio를 활용한 생산성 관리 - (TACT Productivity Management for Finish Works of Residential Buildings using Productivity Achievement Ratio (PAR))

  • 주선우;박문서;이현수;이광표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6권3호
    • /
    • pp.36-48
    • /
    • 2015
  • 다양한 공종이 혼재하는 공동주택 마감공사의 공기단축과 품질확보를 위해 마감공사의 체계적인 공정관리 필요성이 높아짐에 따라 고층 오피스 빌딩 마감공사에 적용하던 TACT가 도입되었다. 하지만 기존 기법과의 차이, 현장 상황의 차이(오피스 vs 아파트) 등으로 인해 주관사와 협력업체 간의 생산성에 관한 관점차이가 발생하고, 이로 인해 TACT 적용을 통한 기대만큼의 효용성을 얻지 못하고 있다. 또한 이러한 문제점에 대한 인식에도 불구하고 실효성 있는 대책 도출을 위한 참여주체 별 생산성 관점 차이 발생의 근본 원인에 대한 이론적 근거 및 실증적인 데이터와 체계적인 방법론을 통한 분석이 부족하다. 본 연구는 TACT 공정관리기법, 생산성 관리 및 생산성 지표에 대한 기존 문헌고찰과 TACT 적용 현장 설문조사 및 면담을 통해 공동주택 현장 TACT 도입 시 참여주체 간의 생산성에 대한 근본적 관점 차의 원인을 분석한다. 또한 실제 현장 사례의 생산성 제한 요인 도출 및 현재 생산성 측정값을 통해 획득 가능 생산성 값의 회귀식을 구하고, 생산성 달성율(Productivity Achievement Ratio, PAR)을 산출한다. 현 상황에서 최대로 획득 가능한 생산성(Obtainable Productivity, OP), 이를 제한하는 생산성 제한 요인(RF)으로 인해 획득하게 되는 실제 생산성(Actual Productivity, AP)의 비율 (PAR)을 통하여 주관사는 계획 대비 실적율인 기존 PPC(Percent Plan Complete) 측정을 통한 산출량 관리를 실제 현장 생산성 데이터 획득을 통한 생산성 관리 (측정, 평가, 계획, 향상)로 전환 가능하다. 협력업체는 OP 산출을 통해 TACT 적용 현장에서 획득 가능한 이론적 최대 생산성을 추정할 수 있으며, 이를 토대로 생산성 지표인 PAR 측정값을 주관사와의 의사소통 도구 및 의사결정 수단으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PAR 산출 과정 중 도출한 주요 RF 들은 현장 효용성 증대를 위한 생산성 관리 포인트로 활용 가능하다.

금강수계 1단계 수질오염총량관리제의 목표수질 및 할당부하량 달성도 평가 (Evaluation of Water Quality Goal and Load Allocation Achievement Ratio in Guem River Total Maximum Daily Loads for the 1st Phase)

  • 박재홍;오승영;이재관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859-865
    • /
    • 2012
  • It is necessary to evaluate performances hitherto carried out in the management of Total Maximum Daily Loads (TMDLs) and to set up direction so that this system can be improved continuously in the future. This study was investigated load allocation achievement ratio, water quality goal achievement ratio and interrelation between water quality goal and load allocation for the first period (2004~2010). Load allocation achievement and BOD water quality goal achievement ratio were 50% and 73% in Guem River Basin, respectively. The main reason for excess of load allocation and shortfall of water quality goal were unfulfilled reduction plan and pollution sources incremen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enhanced pollution sources prediction method and make a list realizable reduction plan. 63% of the unit watershed was not interrelation between water quality goal and load allocation. The reason why water quality goal and load allocation had not correlation were water quality of upper unit watershed, increment of inflow quantity, effluent water quality of wastewater treatment plant affected the unit watershed, increment of inner productivity by algae, water quality deterioration during the specific period, river management flow, etc.

대학병원 급식업무 개선 사례 연구 (Case Study on Job Flow Improvement of Foodservice at a University Hospital)

  • 김형미;양일선;박은철;임현숙
    • 한국의료질향상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244-261
    • /
    • 2000
  • Background : In order to cope with changes in the management environment at hospitals, increased interests are drawn in patient foodservice system on Continuous Quality Improvement Activity as the method of approaching a quality food service and effective management. Thus, as a part of this activity,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job flow improvement that was already performed and the results of that process at the dietetic department of a university hospital, focusing on improving management. Method : On February 15 of 1998. the dietetic department formed a job flow-improvement to decide on the priority of job flow improvement, and prepared specific action strategies and schedule of the priority: after a 5 month process period, job improvement achieved on June 15. 1998. Also, economic achievement of the task was evaluated through labor productivity analysis and cost-benefit analysis. Results : The patient food service system which was managed decentralized at the present hospital was centralized, some steps of the food service process were integrated, and quality of patient food was improved. Also, as a solution of the problems expected when conducting job flow improvement was made on food service equipments and utensils. The result of evaluating the job flow improvement that labor productivity improved by 18.2% compared to before the improvement and the result of the analysis of cost-benefit showed that Benefit-Cost (B/C) ratio was 2.22. showing financial merit on the investment. Conclusions : Continuous Quality Improvement Activity needs to be initiated and conducted in the future in various areas of hospital foodservice system in order to actively adopt to ever changing hospital management environment.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many researches and more efforts need to be put in by people in charge of hospital food service management, and interests and support are needed from hospital policy makers.

  • PDF

균형성과표(BSC)개념을 적응한 학교급식 운영성과 측정지표 개발 (Development of Performance Indicators Based on Balanced Score Card for School Food Service Facilities)

  • 곽동경;장혜자;송지영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10권6호
    • /
    • pp.905-919
    • /
    • 2005
  • This study raised the necessity of developing performance indicators for measuring the management efficiency and effectiveness of school food service, and as a means of helping its implementation, a balanced score card (BSC) approach developed by Norton and Kaplan was adopted. This study established BSC in seven phases through literature: Phase 1 Defining a school food service and the scope of working activities, Phase 2 Establishing the vision of a school food service, Phase 3 Setting strategic goals, Phase 4 Identifying critical success factors (CSFs), Phase 5 Developing Key Performance Indicators (KPIs), Phase 6 Extracting cause and effect relationship, and Phase 7 Completing a preliminary BSC. The preliminary BSC was fumed into a survey, which was administered to food service related people working at the Office of Education and School Food Service including 16 offices,209 dietitians, 48 school administrators both from self-operated and contract-managed, and 9 experts in areas related to school food service. They were asked questions about strategies from 4 different perspectives,12 CSFs, 39 KPls, and the cause and effect relationships among them. As a result, among the CSFs based on 4 different perspectives, all factors other than ' zero sum on profit/loss ' from the financial perspective turned out to be valid. In terms of KPIs, manufacturing cost percentages, casualty loss count/reduction rates, school foodervice participation rates, and sales goal achievement rates were found to be valid from the financial perspective, while student satisfaction index, faculty satisfaction index, leftover ratio, nutrition educational performance count, index of evaluating nutrition education, customer claim count/reduction rate, handling customer claim count/reduction rate, and parent satisfaction index were found to be valid from the customers' perspective. Besides, nutritional requirement sufficient ratio, nutritional management score, food poisoning outbreak count, employee safety accident count, sanitary inspection assessment index, meals per labor hour (productivity index), computerization ratio, operational management index, and purchase management assessment index were also found to be valid from the perspective of internal business processes. From the perspective of innovation and learning, employee turnover ratio/rate of absenteeism, annual education and training count, employee satisfaction index, human resource management assessment index, annual menu-related customer feedback, food service information index for employees and parents/schools were also found to be valid.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indices for measuring overall performance of school lunch food service operations without putting any limitation on types of school food service management, and to help correctly assess the contribution of the current types of school food service management to schools and students.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10(6) : $905\∼919$, 2005)

한국특산 복사앵도나무(Prunus choreiana H. T. Im)의 분포특성, 개체군구조 및 결실동태 (Distributional Characteristics, Population Structures and Fruition Dynamics of Korean Endemic plant, Prunus choreiana H. T. Im)

  • 김영철;채현희;손성원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177-201
    • /
    • 2022
  • 생물다양성보전 당사국 총회에서 지구식물보전전략의 채택에 따라 각각의 목표 달성을 위한 활동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GSPC-2020의 목표 2와 7의 달성을 위한 보전생태학적인 연구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GSPC-2020의 목표 달성을 위해 우선순위를 가지는 종은 희귀식물과 특산식물이다. 특히 특정한 지역에 제한적인 분포를 나타내는 특산식물은 멸종위협 또한 높다고 평가된다. 이러한 필요성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한국특산식물인 복사앵도나무를 대상으로 먼저 분포현황을 평가하였다. 다음으로 생육지의 식생환경을 조사하였고 각 개체군의 구조를 평가하였다. 또한 열매의 생산성을 평가하였고 열매의 생산에 있어서 화분매개곤충의 영향을 평가하였다. 이와 더불어 생산한 꽃의 수에 따른 열매의 결실 비율을 평가하였다. 마지막으로 연간생장특성을 관찰하였다. 복사앵도나무의 분포지는 특정한 식생유형을 나타내지 않았다. 모든 분포지는 한반도 중부에 위치한 강원도의 석회암지대에 위치하였고 교목과 아교목의 피복도가 높지 않거나 존재하지 않는 공간을 점유하였다. 개체군의 구조는 열매를 생산할 수 있는 성숙단계에 속하는 개체의 비율이 높았고 유묘와 어린단계의 개체 비율이 낮았다. 열매의 생산에는 화분매개곤충에 의한 수분이 필요하였고 각 개체의 활력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량의 꽃을 생산하지만 관찰되는 열매는 최대 20%, 평균적으로는 2~6%에 불과하였다. 이러한 개화특성은 열매의 생산에 화분매개곤충이 필요하지만 개화기에 해당하는 3월 중순에서 4월 초순은 화분매개곤충의 종류가 적고 활동 또한 활발하지 않음에 따라 다량의 꽃을 이용한 곤충의 유인이 필요하기 때문으로 판단되었다. 복사앵도나무 분포지에서 종자에 의한 재정착은 드물게 관찰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오랜 수명을 소유하고 있고 주기적으로 다량의 열매를 생산하는 특성에 따라 개체군의 지속은 가능할 것으로 예상되었다. 다만 복사앵도나무는 경쟁관계에 있는 교목 및 아교목에 의한 울폐도가 증가할 경우 생장의 저해 및 소멸에 이를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현재와 같이 분포지의 식생환경이 변화할 경우 장기적으로 개체수의 감소와 분포지의 축소가 예상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IUCN의 국가 적색목록평가의 기초 정보가 될 수 있음은 물론 GSPC-2020의 달성에 필요한 중요한 자료가 될 것으로 판단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