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oduct-User Interaction

검색결과 109건 처리시간 0.026초

색면추상 기법을 통한 AI 스피커의 상태 시각화 디자인 연구 (State Visualization Design of AI Speakers using Color Field Painting)

  • 홍승윤;최종훈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2호
    • /
    • pp.572-580
    • /
    • 2020
  • 최근 출시된 AI스피커들은 사용자와의 인터랙션에 있어 주로 음성으로 상호작용하면서 상태 표시LED를 통해 단순하고 정형화된 시각 피드백을 하는 패턴을 보이고 있다. 이는 스피커라는 제품 특성상 인터랙션의 제약이 많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이러한 시각적 피드백마저 제품마다 통일되어 있지 않아 사용자에게 일관된 경험을 주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LED 표시등으로 표현할 수 있는 시각 요소를 극대화하여 색과 추상적 움직임을 통해 음성 피드백을 보조한다면 사용자에게 기능성의 충족을 넘어 감성적 만족까지 포함하는 확장된 사용 경험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AI스피커들의 인터랙션 방식 분석 후, 시각 피드백 효과 확장을 위해 색채 커뮤니케이션 이론에 대해 고찰하고, 색채만으로 감성적 경험을 극대화한 미술 장르인 색면추상의 의미와 표현 기법을 조사하였다. 이를 통해 LED를 이용하여 커뮤니케이션 상태를 피드백하는 방식을 디자인함으로써 AI스피커의 시각 커뮤니케이션 기능성을 확장하고자 하였다.

인터넷 쇼핑몰의 패션 제품 분류 방식의 효과 (The Effect of the Fashion Product Classification Method in Online Shopping Sites)

  • 한서영;조윤진;이유리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287-304
    • /
    • 2016
  • This study examines the influence of product classification standards and structure on user perception as well as their attitude towards online shopping sites. The causal relationships of variables are also examined. The analysis was based on an online survey with 247 responses. Four types of internet shopping sites were developed and used as a stimulus. The results of the mean comparison analysis indicated that perceived variety, information overload, perceived shopping value and attitude towards the site varies significantly with product classification standards and structure. There was also of a marginally significant interaction between the classification standard and structure on perceived variety and information overload. The causal relationship analysis revealed that perceived variety positively influenced hedonic and utilitarian shopping value. However, information overload had a negative effect on hedonic and utilitarian shopping value. Both the hedonic and utilitarian shopping value positively influenced attitudes towards the sites.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classification method influences customer perception and attitude. It offers interesting insights on a product classification method as a strategic tool for online shopping.

Comparison between Overview Menu and Text Menu in Smartphone

  • Kim, Kyungdoh
    • 대한인간공학회지
    • /
    • 제32권6호
    • /
    • pp.529-534
    • /
    • 2013
  • Objective: This study determines which of two types of 2D menu is better on iPhone. Background: Menu systems have been important components in modern graphical user interfaces. Review of menu design studies for human-computer interaction suggests that menu design guidelines for smartphones need to be reappraised. Method: A nested factorial design was used. Twenty-four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The subjects were nested within the menu type. Two types of menus are an overview menu and a text menu. Two different breadth levels are 16 and 64. The participants performed five tasks in each breadth level. A task is defined as locating a product or product class on the deepest level of the hierarchy. An Apple iPhone 2G was used. Results: The results for ANOVA indicated a lack of a significant difference for time to respond between the two types of 2D menus. The overview menu showed the better satisfaction score between the two menu types. Conclusion: Even though the differences were not significant, an overview menu tended to show better performance and preference scores than a text menu that required scrolling. Application: This study can provide menu design guidelines when 2D menus are considered for small displays in a high breadth level.

운전시의 사용자와 제품간의 인터랙션 사용성 평가에 관한 연구 -Car AV 비교 사용성 평가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Interaction usability test between user and product in driving)

  • 권용;김충효;이동규;이건표
    • 한국디자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디자인학회 2000년도 추계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126-127
    • /
    • 2000
  • 전통적으로 기존의 제품은 정적인 환경에서의 학습과 언어적인지가 주요시되며, 제품 조작 시에도 커뮤니케이션의 많은 부분을 시각적 인터페이스에 주로 의존한다. 그러나 운전시 동적인 환경에서의 제품 Interface는 기존의 사용성 평가와는 달리 운전시의 동적인 상황을 많은 부분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중략)

  • PDF

전자제품 휴먼인터페이스의 객체지향적 모델링 (Human Interface Modeling of Consumer Electronic Products by Using the Object-Oriented Technique)

  • 홍상우;한성호;곽지영
    • 대한인간공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83-96
    • /
    • 1998
  • This paper suggests a data modeling scheme of human interface elements and their properties for consumer electronic products. The human interface elements were classified into three categories: individual, interaction and integration interface. The representative properties of each interface element were identified, and modeled by using the object-oriented techniqu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d for expressing the user interface of consumer electronic products. They are also expected to help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usability and the user interface elements of a product.

  • PDF

빅데이터 분석을 활용한 사용자 경험 평가 방법론 탐색 : 아마존 에코에 대한 온라인 리뷰 분석을 중심으로 (Exploration of User Experience Research Method with Big Data Analysis : Focusing on the Online Review Analysis of Echo)

  • 황해정;심혜린;최준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8호
    • /
    • pp.517-528
    • /
    • 2016
  • 이 연구는 이미 실생활에서 사용되고 있으나 이에 대한 실증적 사용자 경험 조사가 부족한 사물인터넷 기반 제품에 대한 새로운 사용자 경험 방법론을 탐색해보고자 진행되었다. 지금까지의 사용자 경험에 대한 연구가 주로 설문이나 관찰 방법 등을 통해 이루어져 온 것과 달리 본 연구에서는 사물인터넷 기반 제품 중 지능형 에이전트인 아마존 에코(Echo)를 대상으로 사용자들의 온라인 리뷰를 분석하는 빅데이터 분석 기법을 활용하여 사용자 경험을 살펴보았다. 토픽 모델링 분석 결과, 에코의 기능, 음성 인터랙션, 지속적인 기능 개선과 관련된 사용 경험 요인들이 도출되었다. 또한 회귀분석결과 지속적인 기능 개선이 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의 의의는 사용자 경험을 제고할 수 있는 지능형 사물인터넷 제품 연구방법으로서 빅데이터 분석방법론 활용 가능성을 제시한 점이다.

사용자 경험 기반 스토리두잉의 작동원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User Experience Based Storydoing Operating Principles)

  • 신동희;김희경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6권3호
    • /
    • pp.425-436
    • /
    • 2015
  • 스토리텔링에 이어 최근 화제가 되고 있는 것은 스토리두잉이다. 스토리텔링의'이야기하기'에서 스토리두잉의'이야기행하기'기법이 여러 분야에서 다양한 방법으로 활용되고 있다. 생산자가 가치로 여기는 메시지가 있고, 이것을 뒷받침하기 위한 이야기, 사용자의 행동을 유도하는 어포던스를 수용자는 지각하고, 직접 체험을 통해 메시지를 확인하며, 다시 생산자는 사용자의 체험과정을 평가하는 순환구조를 통해 기업의 제품홍보, 브랜드이미지 강화, 메시지와 가치를 전달한다. 결국, 스토리두잉은 사용자 경험을 기반으로 하여 움직인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존 듀이의 경험이론을 바탕으로 사용자 경험의 주요 특징인 상호작용성과 연속성이 스토리두잉을 어떻게 작동시키는지를 파악하기 위해 스토리두잉의 개념, 스토리두잉의 국내외 현황, 스토리텔링과 스토리두잉의 차이, 스토리두잉의 구성요소와 사용자 경험의 관계, 그리고 스토리두잉의 작동원리의 순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스토리두잉은 메시지, 이야기, 등장인물, 행동, 확인의 5가지 구성요소를 가지고, 생산자와 수용자 사이의 상호작용과 연속성으로 작동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의 스토리두잉 본질 파악을 통해, 새로운 문화산업 트렌드를 밝혔고, 현재 기업과 브랜드 이미지 홍보를 주목적으로 하는 스토리두잉을 적용 범위를 확대하여 콘텐츠 분야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모색하였고, 스토리텔링과 스토리두잉의 이론적 차이를 제시했다는 점에서 본고가 사회문화적, 산업적, 학술적으로 의의가 있다.

쾌락적 지능형제품의 입력 제어 방식에 따른 사용자 인식 - 지능형 바람개비 사례를 중심으로 - (Users' Perception based on Input Control Method of Hedonic Intelligent Products - Focused on an Intelligent Pinwheel -)

  • 이보람;곽소나
    • 디자인융복합연구
    • /
    • 제16권4호
    • /
    • pp.115-126
    • /
    • 2017
  • 지능형제품은 모체제품이라고 불리는 기존 제품에 상호작용성이 더해진 제품으로, 제품 속성에 따라 유희, 즐거움 등의 쾌락적 속성을 모체제품에 추가한 쾌락적 지능형제품과 모체제품의 기능 수행에서 요구되는 사용 행위를 자동화함으로써 실용적 속성을 부여하는 실용적 지능형제품으로 구분될 수 있다. 실용적 지능형제품의 경우, 모체제품을 사용하는 과정에서 지능화를 통해 지원되어야 하는 사용행위를 발굴하여, 이를 자동화하면 되는 반면, 쾌락적 지능형제품은 쾌락적 속성을 부여할 수 있는 다양한 감성적 가치를 발굴하여 사용자 경험을 디자인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쾌락적 지능형 제품의 인터랙션디자인에 초점을 두어, 쾌락적 지능형제품의 효과적인 입력 제어 방식에 대해 탐구하였다. 입력 제어 방식은 모체제품의 기존 사용자 행위가 적용된 모방 입력 방식과 사용자 행위를 변형하여 적용한 응용 입력 방식으로 구분된다. 입력 제어 방식에 따른 사용자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실험을 실시하였고 소비자 수용도를 평가하였다. 그 결과, 응용 입력 방식이 모방 입력 방식에 비해 신규성과 흥미도에서 더 높은 평가를 받았다. 또한, 응용 입력 방식이 모방 입력 방식에 비해 높은 제품선호도를 나타냈다.

박물관 문화상품을 위한 플랫폼의 상호경험디자인에 대한연구 -선양고궁박물관을 중심으로 (Research on the Interactive Experience Design of Museum Cultural Product Customization Platform -Focusing on Shenyang Palace Museum)

  • 임시뢰;반영환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3권2호
    • /
    • pp.185-200
    • /
    • 2022
  • 박물관 문화 콘텐츠의 혁신적 개발은 박물관이 소장품을 이용하여 문화의 전파 기능을 강화하는 중요한 방법이다. 사람들의 소비 수준이 늘어나고 업그레이드화됨에 따라 전통적인 문화 콘텐츠 디자인과 판매 방식은 날로 늘어나는 소비자들의 욕구를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다. 본고는 박물관 문화 콘텐츠의 맞춤형 체험 플랫폼 구축을 제안하여 박물관 문화 콘텐츠의 개발을 촉진하고 박물관 문화의 전승과 보호를 도모하려 한다. 본고의 연구방법은 선행연구를 정리하고 분석하여 기존의 플랫폼 모델과 특징을 분석하고 설문지 159부를 배포하여 문화 콘텐츠 소비자들의 욕구를 조사하였다. 마지막으로 사용자 요구에 따른 맞춤형 체험과 현존하는 인터넷 소매 플랫폼과 결합하여 이론적 틀을 만들었으며 선양 고궁박물관을 중심으로 실험을 설계하고 가용성 테스트를 진행했다. 연구결과를 보면 문화 콘텐츠 플랫폼에 대한 사용자의 수요도가 비교적 높았다. 맞품형 플랫폼을 이용한 디자인은 박물관 문화 콘텐츠의 확산과 확대를 촉진하며 사용자의 경험을 최적화하여 박물관의 콘텐츠 개발과 디자인, 소매 등에 새로운 생각을 부여한다. 따라서 본고는 박물관의 문화 콘텐츠 개발은 맞춤형 플랫폼에 따라 소비자들의 특성에 맞춰 소비자들의 서비스 경험을 더욱 향상할 것으로 기대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자인을 위한 사용성평가 비디오정보 분석방법 개발에 관한 연구 (Development of a video-protocol analysis system for the user interface design.)

  • 김병욱
    • 디자인학연구
    • /
    • 제11권1호
    • /
    • pp.109-118
    • /
    • 1998
  • 최근의 전자와 반도체기술의 발달에 따른 지능형 제품의 등장은 인터페이스 디자인의 중요성을 더욱더 증대시키게 되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사용자의 실제 제품 사용을 비디오로 기록하고 이를 분석하는 방법에 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사용자에 대한 실제 제품 사용상에서의 분석과 이러한 다양한 측면간의 상호관계에 대한 분석이 가능한 방법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사용 성 평가에서의 비디오 정보 분석 방법개발의 일환으로 컴퓨터를 활용한 비디오 정보 분석방법을 제안한다. 본 연구는 우선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다양한 측면을 살펴봄으로써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본질을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제품의 실제적 사용에서 나타나는 사용자들의 제품 사용행위의 특성을 분석할 수 있는 방법의 구조를 설정한다. 이어서 이 구조를 근거로 하여 사용 성 실험의 비디오 정보를 분석할 수 있는 컴퓨터 분석도구를 개발하였다. 이는 사용 성 평가 직전에 이루어진 설문을 통한 사용자 정보를 조사하는 모듈, 사용자의 실제 제품 사용 비디오 정보를 통한 정보추출 모듈, 이를 토대로 한 사용자 특성파악 모듈, 마지막으로 제품의 인터페이스 개선 안을 제안하는 모듈 등으로 나뉘어 구성되었다. 끝으로 본 연구의 한계를 지적하고 이의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