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ocessed foods

검색결과 686건 처리시간 0.025초

시장성이 없는 품질의 갈변 표고버섯(Lentinus edodes)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Antioxidative Activity of the Extracts from Browned Oak Mushroom (Lentinus edodes) with Unmarketable Quality)

  • 강미영;김설이;윤혜정;남석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648-654
    • /
    • 2004
  • 갈변된 표고버섯을 건강기능성 식품산업의 소재로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탐색하는 일환으로서 갈변된 표고버섯의 생리활성을 항산화 활성을 지표로 평가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DPPH 라디칼에 대한 전자공여능과 superoxide radical 및 hydroxyl radical에 대한 소거활성, 그리고 linoleic arid 자동산화반응에 대한 억제활성을 조사하여 각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갈변 표고버섯의 전자공여능은 생 표고버섯보다 추출방법에 따라 2-4배 정도 높았지만, 건조 표고버섯보다는 높거나 비슷한 수준을 보였다. Superoxide radical에 대한 소거활성도 DPPH에 대한 전자공여능과 유사한 경향을 보였는데, 갈변 표고버섯의 소거활성은 생 표고버섯보다 2배 정도 높았다. 또한 이와 같은 갈변화에 따른 superoxide radical 소거활성의 증가는 직접적인 radical 소거작용의 결과일 가능성이 제시되었다. Hydroxyl radical 소거활성의 경우, 추출방법에 관계없이 소거활성은 갈변 표고버섯 > 건조 표고버섯 > 생 표고버섯의 순서로 낮아졌으며, superoxide radical 소거작용과 마찬가지로 시료가 직접적으로 hydroxyl radical을 소거했을 가능성이 암시되었다. Linoleic acid 자동산화반응을 이용한 지질과산화에 대한 억제활성을 측정한 결과, 전반적으로 70% 에탄올추출물의 활성이 열수추출물보다 높았고, 억제활성도 갈변 표고버섯 > 건조 표고버섯 > 생 표고버섯의 순서로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는 상품성을 상실한 갈변 표고버섯이 건강기능성을 지향한 다양한 가공식품의 개발을 위한 적절한 소재임을 보여주었다.

덖음처리에 의한 민들레 잎의 이화학적 및 관능적 특성 변화 (Changes in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Dandelion (Taraxacum officinale) Leaves by Roasting Treatment)

  • 최희돈;고윤정;김윤숙;최인욱;차동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9권5호
    • /
    • pp.515-520
    • /
    • 2007
  • 민들레 음료와 차 등의 가공제품 제조에 적합한 민들레 잎의 덖음조건을 확립하기 위하여 덖음처리에 의한 민들레 잎의 이화학적 성분 변화와 열수추출액의 이화학적 및 관능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덖음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민들레 잎의 유리당 함량이 감소하였고 특히 유리 아미노산과 총 폴리페놀 함량은 1회의 덖음처리에 의해서도 크게 감소하였다. 민들레 잎의 열수추출액의 아미노태질소, 총폴리페놀 등이 덖음처리에 의해 크게 감소하였고, 색도도 L, a, b 값이 생잎의 추출액에 비해 크게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반면 환원당의 경우에는 생잎에 비해 더 많은 양이 추출되는 것으로 나타나 덖음처리가 환원당 등 유용성분의 추출을 수월하게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열수추출액의 향미묘사분석에 의해 떫은맛, 쓴맛, 풀냄새, 탄맛, 단내 등 5가지 관능적 특성이 도출되었고, 이중 떫은맛, 쓴맛, 풀냄새가 처리구간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었으며, 관능적 기호도 측정 결과 덖음횟수가 증가할수록 색과 맛에 대한 기호도가 증가하여 종합적인 기호도도 크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덕(沙蔘)의 년근별(年根別) 화학성분(化學成分)에 관(關)한 연구(硏究) -제1보(第1報) : 일반성분(一般成分), 무기질(無機質) 및 단백질(蛋白質) 분획(分劃)- (Chemical Composition of Cultured and Wild Codonopsis lanceolata Roots of Different Age Groups -I. Proximate Composition, Minerals and Protein Fractions-)

  • 박부덕;박용곤;최광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274-279
    • /
    • 1985
  • 년근별(年根別)에 따른 더덕의 일반성분(一般成分), 무기질(無機質) 및 단백질(蛋白質) 성분(成分)을 atomic absorption spectro-photometer, spectrophotometer 및 disc gel electrophoresis에 의한 분석(分析)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았다. 일반성분(一般成分)은 재배더덕이나 야생더덕에 관계없이 총당(건물중)이 가장 많이 함유된 성분이고 1년근이 68.76%, 5년근이 66.54%로써 재배 년령이 높아짐에 따라 다소 함량이 감소되는 경향이었다. 그 다음 조단백질, 조섬유, 조지방, 회분의 순으로 함유되었고 조섬유를 재외하고는 재배더덕이 야생더덕 보다 그 성분함량이 다소 높았고 재배 년령이 높아짐에 따라 함량이 높아졌으나 조섬유는 별로 증가가 없었다. 무기성분은 K의 함량이 $208.7{\sim}327.9ppm$으로 가장 높았고 Mg, Ca가 그 다음으로 비슷한 함량을 보여 주었고 전반적으로 재배더덕이 야생더덕보다 무기질 함량이 높았으며 Fe를 제외하고는 대체적으로 재배 년근(年根)의 년령이 높아짐에 따라 무기성분 함량이 높아졌다. 그리고 중금속(重金屬)인 Pb와 Cd의 함량은 허용기준량보다 낮게 함유되어 있었다. P는 재배더덕이 야생더덕보다 함량이 3배 정도 높았다. 더덕의 단백질 분획중 가장 많이 함유된 것은 재배와 야생더덕에 상관없이 albumin이 었고 재배년령이 높아질수록 다소 함량이 감소되는 경향이었다. 그 다음 globulin, prolamin 및 glutelin의 순서로 함유되었고 대체로 년근(年根)의 년령이 높아감에 따라 그 함량이 증가되는 경향을 보여주었고 prolamin함량이 $19.74{\sim}22.90%$로 비교적 함량이 높았다. 더덕 단백질의 용해도는 pH 4에서 최소, pH 10에서 최대를 나타냈으며 disc gel 전기영동 패턴은 재배년령이나 재배와 야생더덕에 관계 없이 band의 형태와 수에 별 차이를 인지할 수 없었고 7개의 band로 나타났으며 이들의 주단백질(主蛋白質)의 분자량(分子量)은 약 90,000이었다.

  • PDF

국내 제조업종별 전력소비와 경제산출간 인과관계 분석 (A Study on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Electricity Consumption and Output in Manufacturing Sectors of Korea)

  • 박민혁
    • KEPCO Journal on Electric Power and Energy
    • /
    • 제3권1호
    • /
    • pp.65-72
    • /
    • 2017
  • 단위근검정, 공적분검정, 오차수정모형을 이용하여 2001년~2014년 기간 중 한국의 11개 제조업종별 분기별 전력소비량과 산출(GDP)간 인과관계를 분석하였다. 단위근 검정 결과 전업종에서 단위근이 존재하다는 귀무가설을 기각하지 못하여 불안정한 시계열들임을 확인 하였다. 공적분 검정에 있어서 식료품, 목재종이 인쇄, 전기전자, 정밀기기 등 4개 업종에서 공적분 관계가 존재함을 확인하였으며, 공적분 관계가 있는 4개 업종은 장기 인과관계가 있다는 의미이므로 오차수정모형(VECM)을 통해 장기 인과관계를 검정하고 나머지 7개 업종은 표준 그랜저 인과관계 검정을 통한 단기인과관계를 검정하였다. 오차수정 모형을 통한 인과관계 검정결과 전기전자는 보존가설을, 식료품은 성장가설을, 정밀기기는 장호의존 가설을 그리고 목재 종이 인쇄는 독립 가설을 지지하는 것으로 각각 나타났다. 표준 Granger 인과관계 검정결과 보존가설은 1차 금속 등 3개 업종이, 성장가설은 식료품, 섬유의복 업종이, 상호의존 가설은 석유화학, 전기전자 업종이, 독립가설은 목재 종이 인쇄, 비금속광물, 정밀기기, 운송장비에서 각각 지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제조업 전체적으로 경제성장이 전력소비를 이끄는 보존가설을 지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가 제시하는 시사점은 요금 현실화, 효율향상 투자 등을 통한 전력수요관리정책이 에너지 생산성 향상과 기후변화 대응 측면에서 중요하나, 제조업종별 특성을 반영하여 부정적 영향을 최소화하고 신중한 추진도 고려해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국내 육성 쌀귀리 품종의 이화학 특성 및 베타글루칸 함량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β-glucan contents of Korean naked oat (Avena sativa L.) cultivars)

  • 이미자;박송이;김양길;김형순;박형호;이윤정;정헌상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9권1호
    • /
    • pp.97-103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소비가 증가되고 있는 귀리 관련 식품 및 가공식품 수요에 대처하기 위해 국내 육성 품종의 이화학적 특성 및 기능성분인 베타글루칸과 항산화활성을 분석하였다. 국내에서 현재까지 개발된 쌀귀리는 5개 품종으로 이들 품종에 대한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귀리 종실의 외관특성은 선양을 제외한 모든 품종이 장립종이었으며, 귀리 종실 및 가루의 백도 및 L값은 조양이 비교적 높은 값을 보였고, 단백질, 전분, 조지방 등 주요 구성성분은 품종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총베타글루칸 함량은 3.78-4.60% 수준으로 대양이 가장 높았으며, 총베타글루칸 함량에 대한 수용성베타글루칸 함량비율은 71-83%이었다. 쌀귀리의 지방산 조성은 C18:1, C18:2, C16:0, C18:0, C18:3 순이었으며, 불포화지방산 함량은 75.4-81.2%이었으며 대양이 가장 높았다. DPPH 라디칼 소거 활성과 ABTS 라디칼 소거 활성은 품종마다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으며, 대양이 가장 높은 항산화활성을 보였다. 전분함량과 단백질 함량은 부의 상관관계(r= -0.775)를 보였으며, DPPH 라디칼 소거활성은 총페놀함량과 정의 상관관계(r=0.760)를 나타내었고,회분함량과 분말백도도 정의 상관관계(r=0.732)를 나타내었다.

충남지역 남녀 대학생의 식품위생안전인식, 식품위생태도, 개인위생관리에 대한 실태조사 연구 (A Study on the Actual Condition of Food Hygiene Safety Awareness, Food Hygiene Attitude, and Personal Hygiene Control of Male and Female college students in South Chungcheong Province)

  • 김숙희;채병숙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8호
    • /
    • pp.546-556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충남지역 남녀대학생의 식품위생안전인식, 식품위생태도, 개인위생관리에 관한 실태를 조사하여 식품위생안전교육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2019년 5월 16일부터 6월 30일 까지 충남지역 H 대학교의 학생을 대상으로 수집한 총 1,048부를, SPSS 23.0을 이용하여 통계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 식품위생안전인식부분에서, 남학생은 여학생보다 유의하게, 우리나라에서 판매 유통되는 농축수산물(남, 여)(3.37, 3.08)과 가공식품(3.40, 3.00)이 더 안전하다고 생각하고, 식품안전에 대한 정보를 얻기가 더 쉽고(3.33, 2.98), 안전한 식품을 고를 자신이 더 있다(3.30, 2.97)고 응답하여,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식품위생안전인식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식품위생태도 부분에서는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더 식품구입 시 유통기한을 확인하여야 한다(남, 여)(4.11, 4.40), 식품의 특성에 맞게 냉장 냉동보관 저장하여야 한다(4.08, 4.30)고 응답하였고, 개인위생관리부분에서도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화장실을 사용한 후 손을 씻어야 한다(4.23, 4.53)에 더 높게 응답하여,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식품위생태도와 개인위생관리에 대한 인식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 충남지역 대학생들의 식품위생안전, 식품위생태도, 개인위생관리에 대한 인식은 성별 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식품위생안전인식은 더 높은 반면, 식품위생태도와 개인위생관리에 대한 인식은 오히려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나, 이러한 성별 간 차이를 고려한 차별화된 식품위생안전교육이 필요함을 제언한다.

삼육대 및 서울여대 재학 중인 일부 여대생의 거주형태에 따른 영양섭취상태 및 신체계측 비교 연구 (Comparison of Nutritional and Physical Status according to the Residental Type among College Women in Seoul Women's University and Sahmyook University)

  • 최경순;신경옥;허선민;정근희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3권1호
    • /
    • pp.86-96
    • /
    • 2010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residence types ((1) parent house, (2) dormitory or boarding home, (3) boarding home w/o food) on the dietary habits and health status of college women (20-23 y). Overall, 46.1% of college women reported that they were economically middle class and spent 200,000-390,000 won. Additionally, 17.4% of college women considered themselves healthy, while 33.8% reported that they were not healthy. Furthermore, 32.0% of college women had experience to control their weight and 39.8% reported that they exercised to control their weigh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height and weight of the subjects according to residential type, but the amount of skeletal muscles mass ($21.0\;{\pm}\;2.6\;kg$) of the subjects that lived in dormitory or boarding home was significantly higher (p < 0.05) than that of women who lived at home. Additionally, 30.8% of students that lived in private residences, 25.0% of students that dwelled in dormitory or boarding homes and 27.7% of students that boarding home w/o food had three regular meals every day (p < 0.05). It has been reported that 18.3% of college students eat processed and instant foods due to their convenience. In the present study, intakes of energy, protein, fat, vitamin A, vitamin $B_1$, vitamin $B_2$, vitamin $B_6$, niacin, vitamin C, vitamin E and folic acid for the subjects who lived in dormitory or boarding home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students who lived in private residences (p < 0.05). Additionally, intakes of iron, calcium, and zinc were lower in the subjects that boarding home w/o food (p < 0.05). Finally, the blood glucose level was $84.7\;{\pm}\;13.0\;mg/dL$, and differed significantly by residential types (p < 0.05); however, the average glucose levels of all subjects were within the normal range (90-110 mg/dL).

보건소 고혈압 영양교육 참여자의 식생활 요인 분석 (Analysis of Dietary Characteristics of Participants Attending the Nutrition Education Program for Hypertensive Patients at a Public Health Center)

  • 임경숙;한문화;강용화;박혜련;김찬호
    • 대한영양사협회학술지
    • /
    • 제6권2호
    • /
    • pp.125-135
    • /
    • 2000
  • Hypertension is a well-known degenerative disease whose prevalence rate increases with age. Management of high blood pressure is a critical concern in preventive strategies to reduce the morbidity and mortality for cardiovascular disea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ietary characteristics of hypertensive program participants, and to establish strategies based on their nutritional needs. Hypertensive patients were enrolled in the program in a public health center or in a local elderly center, at Suwon, in 1999-2000. Trained dietitians interviewed 62 enrollees(24-hour recall) and related variables. Mean body mass index of the subjects was 25.0kg/m². 30.7% of the subjects had a family history of hypertension. The majority of them ate regularly and partook of all available side dishes. They consumed grains and vegetables regularly, but seldom ate dairy products or food prepared with oil. Male enrollees frequently consumed more processed food and animal fat than did female enrollees(p<0.05). An analysis of the percentage of RDA(Recommended Dietary Allowances of Korea 1995) showed that but for ascorbic acid, enrollees consumed nutrients below the RDA. The food group intake pattern was not diverse, thus only 8.1% of enrollees consumed all food groups in a day. An analysis of eating attitude showed that 64.5% of enrollees always added salt to beef soup. Male enrollees showed low food-related self-efficacy compared to female enrollees, especially with reference to reduction of instant food intake(p<0.01), increase in vegetable intake(p<0.01), reduction of monosodium glutamate(MSG) intake(p<0.01). and not overeating(p<0.05). Their perceived barriers for participating in hypertension nutrition programs included lack of time, program necessity non-recognition, and program comprehension difficulty. These results suggest that nutrition education program necessity non-recognition, and program comprehension difficulty. These results suggest that nutrition education programs for community hypertensive patients should focus on increasing participant consumption of foods, expecially dairy products, and desirable eating attitudes. It also suggests that the program should consider should consider encouraging self-efficacy in changing eating behavior.

  • PDF

왕고들빼기 선향과 야생종의 수확시기별 일반성분 및 생리활성 (Proximate Compositions and Biological Activities of Lactuca indica L. Seonhyang and Wild Species Depending on Harvesting Time)

  • 권혜정;정은경;정혜정;김시창;허남기;노희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363-369
    • /
    • 2015
  • 왕고들빼기 신품종 선향과 야생종의 수확시기별 일반성분, 무기질, 항산화, 항당뇨, 항염 효과를 측정하였다. 수분 함량은 6월 수확된 선향 잎이 90.5%로 가장 높았으며, 8월 수확된 야생종에서 단백질은 4.8%, 조섬유는 2.7%로 가장 높았다. 칼륨은 선향과 야생종 잎에서 626~684 mg/100 g으로 수확시기별 큰 차이가 없었다. 칼슘은 8월 수확 선향 잎에서 350 mg/100 g으로 가장 높았다. 인은 8월 수확 야생종에서 123 mg/100 g으로 가장 높았다. 6월 수확된 야생종 잎에서 총 폴리페놀은 59.8 mg/g, 총 플라보노이드는 125.8 mg/g으로 가장 높았다. DPPH radical 소거 활성은 6월 수확된 선향과 야생종 잎의 에탄올 추출물에서 약 94%로 가장 높았다. ${\alpha}$-Amylase 저해 활성은 7월에 수확된 선향 잎의 물 추출물에서 94.8%로 가장 높았다. NO 생성 저해 활성은 6월 수확된 선향과 야생종 잎의 에탄올 추출물에서 각각 14.3, $16.8{\mu}M$로 LPS 단독처리에 비해 NO 생성 저해 효과를 보였다. 따라서 선향 잎은 야생종에 비해 칼슘 함량과 ${\alpha}$-amylase 저해 활성이 높았으며, 이러한 선향 잎의 영양 기능성을 활용한 다양한 가공품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경기 일부 초등학교 고학년생과 교사의 영양교육에 대한 인식조사 (The Condition of Nutrition Education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5^{th}&6^{th}$ Grades Students in a Part of Gyeonggi Area)

  • 전지혜;이승교;원향례;정은희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335-348
    • /
    • 2007
  •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how the current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ink about nutrition education, how they are teaching, and what kind of problems have occurred. And this study was made to provide basic materials to be used for the effective nutrition education in the elementary school. The survey was done on 60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570 elementary school students of the 5th and 6th grade in Gyeonggi Province by questionnaire and analyzed for the perception of nutrition education, current status of nutrition education, nutrition knowledge and cooking knowledge. The average scores of nutrition knowledge were 2.72 for male and 3.75 for female students out of full score of 5. The fifth grade students learned more nutrition education than the sixth grade ones in accordance with the different curricula. Nutrition education was taught as apart of other subjects(87%) and mainly done by lectures. For most of the students, information source of the nutrition education was the meal service(47.4%) and the most common one was the Internet that 38.1 % of the teachers used. Most of the students responded that nutrition education was necessary in the curriculum of elementary school for proper growth(36.2%), intelligence(25.9%), health(21.5%), and dieting(16.4%). The perception for the suitable teacher was in the order of nutrition specialist and dietician. And the right time of the related class was in the order of spare time everyday, a special activity time, and the meal service time. The important contents of nutrition education were in the order of proper eating habits, growth & nutrition, food hygiene and diseases. Nutrition problems of the elementary students were in the order of unbalanced diet, too much ingestion of processed and instant foods, lack of table manners, and child fatness and weakness. 80.0% of the teachers supported the early nutrition education and demanded it should begin when children are in kindergarten. The analysis showed that nutrition education should be taught by parents(29.4%), teachers(29.2%), and nutritionists(25.9%) and that family and school should cooperate closely. Main responses of the teachers to the children's problems were that they had too much instant food, did not eat in a variety, and had no manners in eating. Ironically, they thought malnutrition, fainting and growth stunt were not important nutrition related problem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