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obiotics

검색결과 1,008건 처리시간 0.024초

Probiotics-Mediated Bioconversion and Periodontitis

  • Lee, Yewon;Yoon, Yohan;Choi, Kyoung-hee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41권6호
    • /
    • pp.905-922
    • /
    • 2021
  • Novel bioactive metabolites have been developed through a bioconversion of dairy products or other foods using probiotics isolated from dairy products or other fermented foods. These probiotics-mediated bioconversion (PMB) metabolites show antioxidant, anti-inflammatory, antimicrobial, epithelial barrier, and anticancer activities. In addition, the effect of PMB metabolites in periodontitis is recently reported in several studies. Periodontitis is a chronic inflammatory disease caused by infections, and the tooth support tissue is destroyed. Common treatments for periodontitis include scaling and root planning with systemic antibiotics. However, the overuse of antibiotics has led to the emergence of drug-resistant microorganisms and disturbs the beneficial bacteria, including lactobacilli in the oral cavity. For this reason, PMB metabolites, such as fermented milk, have been suggested as substitutes for antibiotics to reduce periodontitis. This paper reviews the recent studies on the correlation between periodontitis and PMB metabolites and classifies the efficacy of major PMB metabolites for periodontitis. The review suggests that PMB is effective for periodontitis, and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confirm the therapeutic effect of PMB metabolites on periodontitis.

Evaluating the effects of probiotics in pediatrics with recurrent abdominal pain

  • Rahmani, Parisa;Ghouran-Orimi, Azin;Motamed, Farzaneh;Moradzadeh, Alireza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63권12호
    • /
    • pp.485-490
    • /
    • 2020
  • Background: Recurrent abdominal pain (RAP) is one of the frequent complaints in general practice, particularly in pediatrics and is among the common cause of referral to gastroenterology clinics. Purpose: This study i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robiotics for the treatment of RAP and desired therapeutic outcomes. Methods: One hundred twenty-five children with the diagnosis of RAP according to Rome III criteria for irritable bowel syndrome (IBS), functional abdominal pain (FAP), functional dyspepsia (FD), and abdominal migraine (AM), were enrolled in this double-blind randomized controlled trial. Results: Sixty-five subjects received probiotics, and others received placebo treatment for 4 weeks. Lactobacillus reuteri was therapeutically effective in 32 patients compared to 8 patients, responding to the placebo treatment. Compared to baseline, all pain-related variables showed a significant reduction for the IBS and FD at the end of the 4th week. However, it did not respond well in FAP and AM groups. Pain-related outcomes such as, frequency of the pain, severity, and duration of the pain were decreased following the probiotic treatment. No therapeutic response was seen in AM group after the administration of probiotics. L. reuteri significantly led to pain relief in the overall population, and also in FAP, FD, and IBS subgroups. Conclusion: L. reuteri probiotics are likely to lead to RAP relief and can be recommended for the treatment of functional gastrointestinal disorders.

Gut microbiome-produced metabolites in pigs: a review on their biological functions and the influence of probiotics

  • Robie, Vasquez;Ju Kyoung, Oh;Ji Hoon, Song;Dae-Kyung, Kang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64권4호
    • /
    • pp.671-695
    • /
    • 2022
  • The gastrointestinal tract is a complex ecosystem that contains a large number of microorganisms with different metabolic capacities. Modulation of the gut microbiome can improve the growth and promote health in pigs. Crosstalk between the host, diet, and the gut microbiome can influence the health of the host, potentially through the production of several metabolites with various functions. Short-chain and branched-chain fatty acids, secondary bile acids, polyamines, indoles, and phenolic compounds are metabolites produced by the gut microbiome. The gut microbiome can also produce neurotransmitters (such as γ-aminobutyric acid, catecholamines, and serotonin), their precursors, and vitamins. Several studies in pigs have demonstrated the importance of the gut microbiome and its metabolites in improving growth performance and feed efficiency, alleviating stress, and providing protection from pathogens. The use of probiotics is one of the strategies employed to target the gut microbiome of pigs. Promising results have been published on the use of probiotics in optimizing pig production. This review focuses on the role of gut microbiome-derived metabolites in the performance of pigs and the effects of probiotics on altering the levels of these metabolites.

프로바이오틱스와 코코넛 오일 기반 양치의 구강건강 개선 효과 (Efficacy of probiotics and coconut oil-based mouthrinses to improve oral health)

  • 김윤정;양진주;이현아;김선영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1-7
    • /
    • 2024
  • Objectives: We analyzed the relative beneficial impacts of probiotics and coconut oil-based mouth rinses on oral health. Methods : A total of 33 subjects were enrolled and randomly assigned to three groups. Coconut oil and probiotics were given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distilled water to the control group. We evaluated the possession site of Gingival index, CPITN index, BOP, Pocket depth, and PHP index. Results: In the coconut oil and probiotic groups, Gingival index significantly decreased on both days 15 and 30. CPITN significantly decreased on days 15 and 30 in the coconut oil group (p<0.01), and on day 30 in the probiotic group (p=0.002). There was a significant interaction between group and time for BOP and PHP index (p<0.001), and the coconut oil group was more effective in improving BOP and PHP index. Conclusions: The above results showed that the mediation effect of coconut oil and probiotics was more effective with coconut oil.

효모변이균주 유래 β-글루칸과 복합균종 생균제의 혼합급여가 육계의 생산성 및 장내 균총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e Combination Feeding of β-glucan and Multi-species Probiotics on Growth Performance and Microflora in Broiler Chickens)

  • 조병임;유선종;김은집;안병기;백현동;윤철원;장효일;김승욱;강창원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0권1호
    • /
    • pp.89-98
    • /
    • 2008
  • 본 실험에서는 복합균종 생균제를 단일급여하거나 효모변이균주에서 추출한 β-글루칸과 혼합급여했을 때 성장 성적, 혈액 내 지질 분획 농도, 항체생산 반응 및 장내 균총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모두 5개 처리구에 4반복 반복당 30수 씩, 총 600수의 1일령 Ross 수평아리를 공시하여 35일간 사양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사료는 옥수수와 대두박을 위주로한 항생제 무첨가 시판사료를 급여하는 대조구와 T1 처리구에는 복합균종 생균제만을 0.15%, T2 처리구에는 β-글루칸 0.10%+복합균종 생균제 0.15%, T3 처리구에는 복합균종 생균제만을 0.30%, T4 처리구에는 β-글루칸 0.10%+복합균종 생균제 0.30%를 혼합급여하였다. 실험 기간 중의 증체량, 사료 섭취량 및 사료요구율을 평가하였고, 실험 4주째에 ND 및 IB를 분무백신한 후 항체 생성량을 조사하였다. 맹장 내용물을 채취하여 장내 균총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사료 섭취량에서는 처리간에 큰 차이가 없었으나 실험후기에서는 증체량 및 사료요구율은 대조구에 비해 모든 처리구에서 유의하게 개선되거나(P<0.05) 개선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간, 비장, F낭, 가슴근육 및 다리부위의 상대적 중량에서는 처리간에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혈중 콜레스테롤 에스터 농도는 대조구에 비해 모든 복합균종 생균제 0.3% 첨가구(T3 및 T4)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고(P<0.05), 유리형 콜레스테롤 농도 역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ND 및 IB 항체 생산량은 대조구에 비해 유의한 차이 없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총 균 및 coliform bacteria 수에서는 처리간에 큰 차이가 없었으나, lactic acid bacteria 수는 대조구에 비해 모든 처리구에서 유의하게 증가하는 결과가 관찰되었다(P<0.05). 본 실험에서는 육계사료 내 복합균종 생균제의 단일급여 또는 β-글루칸과의 혼합급여가 증체 및 사료요구율을 개선시키는 효과를 나타내었다. 특히 복합균종 생균제 급여에 의해 혈중 콜레스테롤 농도가 유의하게 감소하고, 맹장 내 lactic acid bacteria 수가 유의하게 증가하는 효과를 나타났다.

사료 내 조농비율에 따른 생균제의 첨가가 흑염소의 사료섭취량, 영양소 소화율 및 질소축적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Probiotics on Feed Intakes, Nutrient Digestibility and Nitrogen Retention in Korean Black Goats Fed Two Diets Differing in Forage to Concentrate Ratios)

  • 황보순;조익환;송기준;이성훈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95-205
    • /
    • 2007
  • 본 연구는 흑염소의 보다 효율적인 사양관리 체계의 확립에 기여하기 위하여, 조사료와 농후사료의 비율을 각각 70:30과 30:70으로 달리 하여,이들 배합비율에 생균제를 첨가하였을 때, 흑염소의 사료 섭취량, 영양소 소화율 및 질소 축적율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생균제는 Lactobacillus case, Bacillus subtilis, Saccharomyces cerevisiae, Aspergillus oryzae 및 Streptomyces griseus의 균종을 함유하는 혼합된 형태였고, 사료 내 첨가비율은 0.2%이었다. 12두의 흑염소(male)를 네 처리구로 나누어 처리구당 3두씩 완전 임의 배치하여 개별 대사케이지에 수용하였고, 실험기간은 21일간 지속되었다. 결과를 살펴보면 1일 두당 건물 섭취량은 조농비율 및 생균제의 첨가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 않았다. 가소화 건물 섭취량은 사료 내 조사료 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p<0.05), 생균제 첨가에 의한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대사체중당 건물 섭취량과 체중에 대한 건물 섭취비율은 건물 섭취량과 유사한 양상을 나타내어 조농비율 및 생균제 첨가에 의한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고, 이에 따라 처리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영양소 소화율은 조사료 비율이 낮을수록 유의하게 높은 소화율을 나타내었고(p<0.05), 생균제 첨가에 의한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뇨를 통한 질소 배설은 조사료 비율이 낮을수록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나, 생균제 첨가 효과는 두 사료에서 공히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질소 축적은 조사료 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고, 두 사료 내 생균제의 첨가는 질소 축적을 다소 증가시키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사료 내 조농비율이 다른 두 사료에 생균제의 급여는 사료 섭취량, 영양소 소화율 및 질소 축적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고, 흑염소에 대한 이들 변수는 생균제에 의한 결과라기보다는 조농비율에 의하여 지배적으로 나타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복합생균제의 급여가 육계의 생산성, 육의 이화학적 특성 및 장내 미생물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upplementation of Complex Probiotics on Performances, Physio-chemical Properties of Meat and Intestinal Microflora in Broiler)

  • 유동조;나재천;김태호;김상호;이상진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6권4호
    • /
    • pp.593-602
    • /
    • 2004
  • 본 연구는 복합생균제의 급여가 육계의 생산성, 육의 이화학적 특성 및 장내미생물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 실시하였다. 공시계는 육계초생추 Cobb 480수를 이용하였으며 평사에서 7주간 사용하였다. 시험사료에 첨가된 복합생균제의 첨가수준은 0.1%, 0.1%, 0.4%였으며 기초사료 영양소 함량은 사육전기(0${\sim}$3주)에 ME 3,100kcal/kg, CP 22.0%, 후기(4${\sim}$7주)에는 각각 3,100kcal/kg, 20.0%로 하였다. 복합생균ㄹ제의 급여에 의한 육계의 주령별 체중변화는 4주령까지는 첨가구와 대조가간에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는데, 5주령에서는 0.2% 첨가구만 대조구와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으나(P<0.05), 6주령에서는 모든 첨가구가 대조구보다 유의적으로 무거웠다.(P<0.05). 사료섭취량은 전기간에서는 통계적인 유의성은 없었으나 6${\sim}$7주령에 0.4% 첨가구가 대조구보다 유의적으로 적게 섭취하였으며(P<0.05), 사료요구율은 4${\sim}$5주령에 0.2% 첨가구가 대조구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개선되었으나(P<0.05), 전 시험기간 동안에는 복합생균제의 첨가에 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7주령시 도체율은 암. 수 전체평균에서 0.4% 첨가구가 무첨가구에 비해 2.80% 증가하였으며(P<0.05), 보강지방축적율은 암.수 전체평균에서 0.2% 첨가구가 무첨가구에 비하여 상당히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계육의 가열 감량은 0.4% 첨가구를 제외한 나머지 첨가구가 대조구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낮았으며(P<0.05), 전단력은 0.4% 첨가구가 가열 감량과는 반대로 오히려 높았다(P<0.05). 회장과 맹장내의 매생물의 변화는 전체적으로 처리간 통계적 유의성은 보이지 않았으나, 회장과 맹장내의 유산균 수에 있어서는 첨가구가 무첨가구에 비하여 다소 증가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육계초길부터 급여된 복합생균제가 육계후기에 그 균총이 장내에 정착하게 됨으로 장내 유해세균의 수를 감소시키고, 영양소 흡수에 최적의 조건을 조성하여 생산성 향상을 가져올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복합생균제와 항생제 급여가 육계의 생산성 및 육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omplex Probiotics and Antibiotics on Growth Performance and Meat Quality in Broilers)

  • 박성현;최정석;정동순;어중혁;최양일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504-511
    • /
    • 2010
  • 본 연구는 복합생균제(Lactobacillus casei, Bacillus subtilis, Saccharomyces cerevisiae, Aspergillus oryzae, Streptomyces griseus)와 항생제 급여가 육계의 생산성 및 육질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수행하였다. 사양시험 1에서, 생균제 첨가수준은 0.1, 0.3, 0.5% 첨가구중에서 0.3% 첨가구가 일당증체량, 사료요구율, 도계율에서 가장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어 적정첨가수준으로 판단되었다. 생균제와 항생제 첨가수준을 달리한 사양시험 2에서는 항생제(oxytetracycline) 100%만을 첨가한 처리구에서 일당증체량과 사료요구율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복합생균제 0.3%를 첨가한 대신 항생제 수준을 50%로 낮춘처리구에서도 타 처리구에 비해 우수한 일당증체량과 사료요구율을 나타내었고, 도계율은 가장 높은 경향이었다. 복합생균제 0.3%와 항생제 50%를 혼합첨가한 처리구의 육질특성에서도 전단력이 다소 높은 것을 제외하고는 일반성분, pH, 보수력과 육색에서는 큰 차이가 없었다. 그 외 항생제 100%만을 첨가한 처리구에 비해 복합생균제 0.3%와 항생제수준을 50%로 낮춰 첨가한 처리구에서 맹장 내 E. coli와 Salmonella균의 성장억제경향이 관찰되었으며, 혈액 내 총 콜레스테롤 수치와 고밀도 콜레스테롤 수치의 감소경향도 나타나 저항생제 수준의 고품질 닭고기 생산에 적합한 사양방법으로 사료되었다. 그 외 계육내 잔류 항생물질 분석에서 항생제 100% 처리구에서는 0.1 ppm 수준을 보였으나, 생균제 0.3%와 항생제 50% 복합처리구에서는 잔류항생물질을 40% 수준으로 낮출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Selection of Human-Originated Lactobacillus acidophilus For Production of Probiotics

  • Kim, Wang-June;Hong, Seok-San;Cha, Seong-Kwa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4권2호
    • /
    • pp.151-154
    • /
    • 1994
  • Lactobacillus acidophilus KFRI 233, a strain isolated from human, was selected as a candidate for probiotics due to its excellent growth in MRS broth where no special anaerobic condition is required. Both simultaneous and deferred agar diffusion assays exhibited Lb. acidophilus KFRI 233 to possess an antagonistic effect against Clostridium perfringens. Its antagonistic effect was pH dependent Associative culture of KFRI 233 and Cl. perfringens in broth resulted in maximum 94.04% inhibition of Cl. perfringens. $\beta$-Galactosidase activity of KFRI 233 was higher than other tested strains that are sold as commercial probiotics. Survival of KFRI 233 in pasteurized skim milk (4$^{\circ}C$) and Sherbet mix (-15$^{\circ}C$) after 7 days of storage were 71.9 and 105.5%, respectively.

  • PDF

The Development and Characterization of a pH Dependent Matrix Tablet Containing Probiotics

  • Cho, Seong-Wan;Kim, Young-Kwon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184-188
    • /
    • 2016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pH dependent oral matrix tablet containing probiotics. In this study, hydroxyl-propyl-methyl-cellulose (HPMC) and polyvinyl pyrrolidone K30 (PVP K-30) was utilized as a binder, sodium starch glycolate (SSG) was used as a disintegrant material for the tablet formulation. The disintegration test, hardness test, angle of response were performed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prepared tablet. Lactobacillus vitality test was applied to analyze the total Lactobacillus viable count.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the pH dependent matrix tablet was prepared successfully and can thus be industrialized instead of the current methodologies used for preparation of conventional probiotic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