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ivate Brand Product

검색결과 65건 처리시간 0.029초

제조업체 Private Labels 도입의 선행요인 : 전략적 시장관리 관점을 중심으로 (Antecedents of Manufacturer's Private Label Program Engagement : A Focus on Strategic Market Management Perspective)

  • 임채운;이호택
    • 한국유통학회지:유통연구
    • /
    • 제17권1호
    • /
    • pp.65-86
    • /
    • 2012
  • 우리나라에 유통업체상표(Private Label)가 도입된 지 10년이 넘었음에도 불구하고 유통업체 상표에 대한 대부분의 연구는 소비자 관점에서 진행되어져 왔다. 본 연구는 유통업체상표를 소비자 관점이 아닌 제조업체의 관점에서 바라본 연구로, 제조업체의 유통업체상표 생산에 영향을 미치는 내외부적 요인들에 대해서 자원기반이론과 S-C-P Paradigm의 통합적인 연구모형인 전략적 시장관리 관점을 제시하였다. 연구결과를 보면, 제조업체의 마케팅 역량이 높을수록 전체 매출에서 유통업체상표가 차지하는 매출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마케팅 역량에는 제조업체 브랜드명성, 마케팅 투자, 제품포트폴리오 등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제조업체의 마케팅 역량과 유통업체 상표 생산 간의 관계에는 제조업체의 경쟁강도가 조절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일반적으로 마케팅 역량이 높은(낮은) 기업일수록 전체 매출에서 유통업체상표가 차지하는 비율이 낮지만(높지만), 이러한 기업들 중 경쟁강도를 낮게 지각하는 제조업체의 전체매출 중 유통업체상표가 차지하는 매출은 경쟁강도를 높게 지각하는 제조업체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유통업체상표 생산에 대한 이론 및 실무적인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다.

  • PDF

산업여대학학생단대지간적령수산품개발화품패관리협작(产业与大学学生团队之间的零售产品开发和品牌管理协作) (Retail Product Development and Brand Management Collaboration between Industry and University Student Teams)

  • Carroll, Katherine Emma
    • 마케팅과학연구
    • /
    • 제20권3호
    • /
    • pp.239-248
    • /
    • 2010
  • 本文阐述了产业和学术之间的合作项目. 这个合作项目关注美国东北部的一家大型地区连锁百货商店的两个自有品牌服装的营销和产品开发战略发展. 这个项目的目标是通过和学生的想法的合作来振兴产品线. 从而给学生提供真实产业环境中的实践经验. 这个项目中有很多关键者. 在美国东北部的一家私有连锁百货商店为已有的两个自有服装品牌寻求一个学术伙伴. 他们的目标客户是追求休闲, 适中价格的中年消费者. 这个公司想要改变包装和展示的方向, 甚至是产品的设计. 公司的品牌和产品开发部门联系东北一个州立大学的学术部门的教授. 有两位教授认为这个项目非常适合他们的课程-一个是初级的媒介品牌管理课程; 一个是高级的时装产品开发课程. 这些教授认为通过合作项目, 学生在安全的学术学习环境中能进入一个真实的工作场景中在一个多学科协作团队, 提供超出一个学生的能力, 经验和资源优势, 并增加了解决问题的过程中的 "智囊" (Lowman 2000). 这种提高学生的能力目标的方向让每班教师去组织品牌和产品开发类的跨学科团队. 此外, 许多大学都聘请科研和教学的产业伙伴关系, 协作的时间(学期)和环境(教室/实验室)的约束有助于提高学生的知识和对现实世界的经验. 在田纳西大学, 产业服务中心和UT-Knoxville's 工学院和一家公司合作来发展它们美国公司的的设计进步. 本研究中, 因为是和一个自有商标零售品牌, Wickett, Gaskill 和Damhorst's (1999) 指出产品开发和品牌管理团队使用的零售服装产品开发模型. 之所以选择这个框架是因为它从零售这个角度强调了服饰产品开发. 两个班级参与了这个项目: 一个初级品牌管理班级和一个高级时装产品开发班级. 7个团队包括四名学习品牌管理的学生和两名学习产品开发的学生. 这两个课程在同一个学期但是不同的时间. 在学期开始的时候, 每个班级都被介绍给了产业合作伙伴并接受了问题. 一半的团队指定为男士品牌, 另一半是女士品牌. 这些小组负责制定解决问题的方法, 制定自己的工作时间表, 在与业界代表保持接触, 并确保每个小组成员以积极的方式负责任. 这些小组的目标是通过用销售规划进程来计划, 发展和展示一条产品线(遵循Wickett, Gaskill和Damhorst 模型) 并为这条产品线发展新的品牌战略. 这些小组展示了趋势, 色彩, 面料和目标市场调查; 制定一个产品线的草图;编辑了草图, 介绍他们的执行计划书写说明书, 配上合适的模型并最终开发生产样品. 品牌班的学生完成了SWOT分析, 品牌测量研究报告, 品牌心智图和完整综合的营销报告. 这些报告在介绍新产品线时同时发表. 将来如果有更多这样的协作机会而且公司希望同时考虑品牌和产品开发战略, 那么课程应该定在相同的时间, 这样学生有更多的时间在一起讨论时间表和被分配的任务. 像上面的任务, 学生不得不每堂课之外的时间见面. 这使得团队工作变得具有挑战性(Pfaff和Huddleston, 2003). 虽然这项工作的后勤是费时设立和管理, 但教授认为对学生的好处是多种多样的. 根据两堂课的学生的回复, 最重要的好处是和产业专业人士一起工作的机会, 跟进他们的进程, 并看到公司里做决定级别的高层对他们作品的评估. 教员们都感激有一个 "真实的世界" 的案例. 制定的创意和战略扩大和加强了品牌和产品开发两个部门的联系. 通过和来自不同知识领域的学生一起工作并且和产业伙伴联系, 遵守产业活动的框架和时间表, 学生小组在新的环境中完成优秀创新的作品是具有挑战性的. 在产品开发和为 "现实生活" 品牌的品牌工作, 这些品牌都在努力给学生一个机会, 看看他们的课程是如何紧密的与现实世界联系, 以及公司运营中设计和商业方面如何需要创造性, 协作和灵活性. 行业人员对(a)学生的知识水平和深度以及执行力, (b)品牌的新思路的创造性产生了深刻的印象.

유통업자 브랜드와 제조업자 브랜드 제휴에 대한 소비자 반응연구 -소재 브랜딩을 중심으로- (Consumer Responses to the Alliance between Private Brands and National Brands -Focused on Ingredient Branding-)

  • 조성도;정강옥;박진용
    • Asia Marketing Journal
    • /
    • 제6권2호
    • /
    • pp.3-22
    • /
    • 2004
  • 기존 연구에서는 주로 유통업자 브랜드와 제조업자 브랜드는 경쟁관계로 보았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유통업자 브랜드가 제조업자 브랜드를 소재 브랜드로 사용하면 유통업자 브랜드에 대한 소비자들의 저품질 인식을 변화시킬 수 있다는 측면을 이론적, 실증적으로 밝히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유통업자 브랜드가 제조업자 브랜드를 소재 브랜드로 사용하면 지각된 품질과 구매의도가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제조업자 브랜드와 제품의 일치 정도가 중간일 때 소비자가 가장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관계에서 기능적 위험이 조절변수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기능적 위험이 높을 때는 소비자들이 유통업자 브랜드와 제조업자 브랜드의 높은 일치성의 경우에 더 좋은 반응을 나타냈으며, 기능적 위험이 낮을 때는 중간정도 일치할 때 더 좋은 반응을 나타냈다.

  • PDF

대형할인점의 점포속성과 PB 의류 제품속성이 만족도 및 재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both store and private brand apparel product attributes on satisfaction and repurchase intention at large discount stores)

  • 주성래;정명선
    • 복식문화연구
    • /
    • 제22권1호
    • /
    • pp.143-157
    • /
    • 2014
  •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identify the dimensions of both store and PB apparel product attributes at large discount stores, and to empirically examine the effects of each dimension of store and PB apparel product attributes on satisfaction with PB apparel products and on repurchase intension. Questionnaires were given to 264 large discount store customers, who have experienced buying PB apparel products at large discount stor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purchased PB items and image, improvement of PB apparel products showed differences by gender. Second, the dimensions for store attributes were categorized as convenient of shopping environment, product quality, customer service, advertising reach, convenient location, and reasonable prices. The PB apparel product attributes were categorized as material handling management, quality, fashion ability, and brand power. Third, generally, both store and PB apparel product attributes at large discount stores are significantly related to PB apparel satisfaction and repurchase intention. PB satisfaction and repurchase intention of males were partly affected by store attributes and PB apparel product attributes. PB satisfaction and repurchasing intention of females, however, were partly affected by only PB apparel product attributes, not store attributes.

PL의 브랜드확장이 소비자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모브랜드 적합도 인식 차이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Brand Extension of Private Label on Consumer Attitude - a focus on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perceived fit difference between parent brands and an extended brand -)

  • 김종근;김향미;이종호
    • 한국유통학회지:유통연구
    • /
    • 제16권4호
    • /
    • pp.1-27
    • /
    • 2011
  • 브랜드확장은 다양한 마케팅 영역 중에서도 전통적으로 활발하게 연구가 진행되어 왔던 영역으로서, 본 연구는 최근 그 중요성이나 활용도가 급증하고 있는 PL(Private Label)제품에 대해 브랜드확장의 개념을 활용하여 차별적으로 접근하고자 하였다. 최근 PL제품에 관한 마케팅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나, 대부분 기존 틀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한 채 단순한 적용에 그치고 있으며, 특히 브랜드확장에 관련된 연구들에서도 PL시장의 특성을 제대로 반영하고 있다고 볼 수 없다. 특히 PL제품의 확장에 있어서는 두 가지 모브랜드가 존재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한 연구는 부재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확장 PL제품의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서 두 가지 모브랜드인 유통업체와 기존 PL제품에 대한 태도를 제시하였다. 또한 개별 모브랜드가 PL제품의 태도에 미치는 영향은 개별 모브랜드와 확장 PL제품간 유사성에 의해 상이할 것이라고 제안하였으며, 유통업체와 기존 PL제품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서 신뢰와 만족을 제시하였다. 분석결과 유통업체와 기존 PL제품에 대한 태도 모두 확장 PL제품의 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동시에 적합도 정도에 따라 그 영향력이 상이함도 실제 데이터를 통해 검증하였다. 즉 확장 PL제품의 태도는 모브랜드의 적합도가 보다 강하게 형성된 모브랜드의 영향을 더 크게 받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토대로 향후 PL제품을 확장할 경우 소비자가 보다 긍정적인 태도를 갖고 있는 모브랜드에 기초하여 해당 모브랜드와의 연상이 강하게 나타날 수 마케팅 전략을 구사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 PDF

상표유형이 유통업체 의류상표에 더한 소비자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할인점 점포상표와 홈쇼핑 프리미엄상표의 비교- (The Influence of Brand Type on Consumer Attitude Formation of Private Apparel Brand -A Comparison between Discount Store PB and Home-shopping Premium PB-)

  • 최미영;이은영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0권9_10호
    • /
    • pp.1400-1412
    • /
    • 2006
  • As PB market segments into premium market, PBs were drawing attentions in terms of creating profits as well as a means to differentiate building up store ident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makes a comparative study on the difference of consumer attitude formation process in discount store and home-shopping distribution channel which are recently on the upswing. This paper investigated the consumer's attitude formation on the private apparel brand. Subjects of this study were consumers in their $20s{\sim}40s$ who are main customer groups of PBs. The data were analyzed by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d Multi-Group Analysis of Amos 5.0 to verify the difference of the path between store PB and premium PB. Following are the results of the study. Consumer attitude formation path on PB grades showed statistically noticeable difference. In discount store PB, store evaluation didn't directly influence on consumer attitude formation but showed indirect effect. On the other hand, in home shopping premium PB case, product evaluation directly influenced on consumer attitudes with store evaluation. Hedonic attitude dimension connected with behavioral attitude(purchase intention) revealed difference in path. Also consumer's evaluation on variables in model turned out to be different according to brand grade.

소비자의 브랜드 진정성 지각과 관련된 브랜드 속성 (Brand Attributes Related to the Perceived Brand Authenticity)

  • 김상훈;박현정;이은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11호
    • /
    • pp.398-410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진정성 지각 관련 변수들을 종합적으로 제시하고, 이러한 브랜드 속성들이 실제로 진정성 지각에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였다. 제품 유형에 따라서 어떠한 속성들이 소비자의 진정성 지각 형성에 더욱 중요한 역할을 하는지도 살펴보고, 진정성 지각이 브랜드 성과와 연결되는지, 즉 소비자의 브랜드 태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였고, 브랜드 속성들이 진정성 지각을 형성한 후에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인지도 추가적으로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 진정성 지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브랜드 속성은 우수성, 자연성, 유행 반영성, 일관성, 지역 관련성, 윤리성의 여섯 가지 차원으로 구성되었으며, 자연성은 사적제품에서, 유행 반영성이나 지역관련성은 공적제품에서 더욱 진정성 지각을 높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진정성 지각은 브랜드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매개회귀분석 결과 진정성 지각은 우수성과 유행 반영성 차원에서 부분매개 역할을, 자연성, 일관성, 윤리성 차원에서 완전매개 역할을 함을 파악하였다.

광고 모델의 인종이 광고와 브랜드 태도형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고찰 (Revisiting Effects of Endorsers' Race on Attitudes Toward Ad and Brand)

  • 이은선;김여정;안정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8호
    • /
    • pp.110-121
    • /
    • 2014
  • 외국인의 유입이 가속화되고 있는 한국 시장에서 인종별 소비자 특성에 대한 이해가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미국이 대표적인 다인종 사회임을 고려하여, 미국에 거주하는 백인 피험자를 대상으로 광고모델의 인종, 상황적 맥락, 제품 유형이 광고와 브랜드 태도 형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2(모델 인종: 흑인/백인) X 2(실험상황: 사적/공적) X 2(제품유형: 고관여 이성/저관여 감성) 혼합요인 설계를 이용하였고, 인상 관리를 공변인으로 하여 공변량 분산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백인 피험자들은 자동차 광고 모델이 백인일 때 공적인 조건에서보다 사적인 조건에서 광고에 대한 태도를 더 긍정적으로 보고한 반면에, 모델이 흑인일 때는 실험 상황에 따른 태도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는 한국 시장에서 한국 소비자를 대상으로 다양한 인종과 국적의 모델을 사용했을 때 광고와 브랜드에 대한 태도가 어떻게 달라질 수 있는지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줄 것이다.

The Effects of Consumer Value Perception of PB on Product Loyalty and Repurchase Intention

  • Yang, Hoe-Chang;Kim, Young-Ei
    • 유통과학연구
    • /
    • 제16권1호
    • /
    • pp.7-15
    • /
    • 2018
  • Purpose -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impact of consumers' perception of the value of discount store PB products on brand loyalty and repurchase intention and simultaneously check whether consumers showed a different position depending on gender difference and age.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For data collection, total of 174 valid copies of questionnaire were obtained for analysis. And simple regression, multiple regression and hierarchical moderated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for hypothesis verification and implication Results - It was found that functional, social and emotional value perceived by consumers had a positive impact on brand loyalty and repurchase intention. And it was found that consumers who were in a relatively lower age group were positive, in the relation between emotional value and repurchase intention only. Conclusions - It was suggested that consumers accept discount store PB products positively overall. Therefore, discount stores must not only need to develop their strengths in various parts of PB product beyond consumer's positive perception but also make efforts to raise the social awareness of the use of PB products. And they have to promote consumer decision making by concentrating on emotional factors take a different approach to consumers in a higher age group.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Perceived Value of PB, Retailer Credibility and PB Purchase Intention

  • Min-Jung, KANG
    • 유통과학연구
    • /
    • 제21권2호
    • /
    • pp.103-110
    • /
    • 2023
  • Purpose: The high-end and variety of recently released items are driving the growth of the distribution industry, which is the purpose of private brand (PB) products. Because PB shortens the distribution process and lowers marketing expenses, such as those associated with various commercials, more people will buy PB while paying lower retail prices.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make the case that PB can be positioned successfully by determining the influence and direction of each individual constituent concept on how product and store attributes (perceived price, image of retail store) affect the perceived value of PB and the legitimacy of retailers.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The gathered data were examined using PLS-SEM using Smart PLS 3.0 in order to analyze the research model of this study. Internal consistency was verified to demonstrate the measurement model's dependability, and extensive validity analysis, discriminant validity, and analysis were performed to verify the validity. Conclusion: This researcher attempted to gather diverse understandings and viewpoints on PB trends in addition to understanding the existing state of PB products. It is meant to be a unique and successful plan in the PB Brands' marketing strategy. By understanding the brand's value proposition aspects, it is hoped to determine how PB influences brand attitudes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