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iority Derivation

검색결과 26건 처리시간 0.027초

그린에너지기술 사업화를 위한 우선순위 평가 (An Evaluation of Priority for the Green Energy Technologies Business)

  • 이덕기;홍종철;박수억;백금희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11년도 춘계학술대회 초록집
    • /
    • pp.135.2-135.2
    • /
    • 2011
  • The goal of this study is the derivation of priority for business in the areas of green energy technologies. In this paper, we calculated the importance weights of impact factors using the AHP (Analytic Hierarchy Process) method in order to derivation of priority to the green energy technologies business. AHP is a useful method for evaluating multi-criteria decision making problems. To apply the AHP method, specialists for the assessment have been identified by using the concept of 'plan, do, see' and the decision-making hierarchy was established. We selected 5 criteria and 16 sub-criteria for impact factors by brainstorming. According to the result in this study, the most important impact factor is the possibility of commercialization, the second is the possibility of developing the fundamental technology, and the third is the possibility of convergence technology.

  • PDF

시공사례 분석을 통한 모듈러 주택 원가절감 우선순위 항목 도출 (Priority Derivation of Modular House Cost Reduction Factors through Case Analysis)

  • 류국무;문예지;조병후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16년도 춘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66-67
    • /
    • 2016
  • Modular construction is attracting attention as the solution of recent problems in construction site. Such as lack of construction workforce, increasing labor costs, work delay due to extreme weather events and strengthening government regulations. However, despite the many advantages, Modular construction has not been activated dueto high construction costs compared to other construction methods. Accordingly, the object of this study is priority derivation of prefabricated house cost reduction factors and use as basic research data. For research performance, we have analyzed the blueprint and bill of quantities of a modular construction based public dormitory which was built in 2013. In result, the proportion of modular construction and on-site construction is 66% and 34%, and the construction cost proportion by activity was devided in to construction(79%), machinery(7%), electricity(5%) and civil(9%). Among these results in order to reduce costs, interior finishing(19.4) steel-frame(16.9%), metal works(13.5%), RC(11.8%), joinery(7.3%) is the order requires focused management.

  • PDF

계층분석법을 이용한 강의평가 요인도출과 우선순위분석 (Factor Derivation of Course Evaluation and Priority Analysis Using Analytic Hierarchy Process)

  • 안수현;이상준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14권3호
    • /
    • pp.513-522
    • /
    • 2022
  • 강의평가는 대학교육의 질을 향상시키고 수업을 개선하는데 유용한 정보로 활용된다. 본 연구는 강의평가를 구성하는 요인을 탐색하고자 선행연구와 FGI를 통해 구성요인을 도출하고 계층분석법(AHP: Analytic Hierarchy Process)을 통해 요인간 상대적 중요도 및 우선순위를 파악하였다. 이를 위해 5개의 구성요인과 15개의 평가항목을 도출하였다. 강의평가 요인개발의 전문성과 공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학생과 교원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총 20부의 유효한 자료를 수집하였고, 일치도 검증을 완료한 자료를 토대로 각 평가항목의 가중치를 산출하였다. 분석 결과 강의평가 요인구성에 있어서 학생은 수업 내용, 수업 방법, 수업 운영, 수업 평가, 수업 계획 순으로, 교원은 수업 내용, 수업 운영, 수업 방법, 수업 평가, 수업 계획 순으로 중요하다고 평가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대학교육의 질 관리 차원에서 강의평가의 효율성과 신뢰성 향상을 위해 다양한 분석과 연구가 있기를 기대한다.

지역 관광자원을 활용한 권역단위종합정비사업 기본계획 수립 -청도군 남성현감꽃권역을 대상으로- (Rural Village Development Project based on Local Tourism Resources -Focused on Namsunghyun area, Cheongdo-gun-)

  • 박진욱;엄붕훈
    • 농촌계획
    • /
    • 제18권3호
    • /
    • pp.187-200
    • /
    • 2012
  • This article deals with rural village development project of Namsunghyun 'Gamggot(persimmon flower)' area, based on local tourism resources. For more efficient use of local tourism resources, questionnaire surveys for local residents and visitors were conducted. On the base of the results, the vision and objectives were established. And each items of project by division were also considered by the results of such surveys. Finally, priority scores of each items of project, based on importances and weighted value, were derived for more efficient propulsion of project and to construct sustainable rural community.

녹색인재양성을 위한 국가정책과제 우선순위 도출 (Derivation of priority to National HRD Projects for Green Human Resources)

  • 이중만;신성훈;이정호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1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133-134
    • /
    • 2011
  • 고용없는 성장이 이루어지고 있는 가운데 청년실업과 기후변화, 세계경제의 극심한 불안은 새로운 경제성장 패러다임을 요구하고 있다. 이에 세계 각국은 녹색성장을 신성장 동력으로 주목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저탄소 녹색성장을 목표로 녹색인재양성을 통한 국가경쟁력 확보와 청년실업해소 및 일자리 창출을 도모하고 있다. 본 논문은 AHP 방법론을 통하여 녹색인재양성을 위한 국가정책과제의 우선순위를 도출하여, 효율적인 투자와 인재양성계획을 수립하도록 돕는다.

  • PDF

식수품질 저해요인 중 관리 우선순위 도출에 관한 연구 (Managerial Priority Derivation for Pollutants in Drinking Water)

  • 오희균;이희찬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80-88
    • /
    • 2016
  •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rive managerial priority for pollutants in drinking water using the Delphi technique and 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 method. We collected fundamental existing items based on a literature review for water pollutants, and deduced a total of 36 sub-items from nine core sectors, as follows: organic matter; inorganic substances; pathogenic organisms; chemicals; heavy metals; radioactive substances; sediment deposits; heat; and oil, and then conducted the first round of an expert study to ensure that objective indicators properly evaluate major issues for management of for drinking water quality. In the following round, the necessity and importance assessments of adjusted items were implemented using a content validity ratio index. Finally, items modified by Delphi surveys were applied to AHP. We computed weighted values by pair-wise comparison of sub-items and each of five sectors modified by the second roun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AHP, the managerial priority for pollutants in drinking water was as follows; while heavy metal placed first in importance, pathogenic organisms came second, followed by inorganic substances, organic matter and chemical substances from the sector perspective.

우포늪 습지보호지역 보전계획 개선방안 (The Improvement of Wetland Conservation Plan for Upo Wetland Protected Area)

  • 김수련;송원경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65-80
    • /
    • 2019
  • The Wetland Conservation Plan is used as a tool to set the management direction of wetland protected areas, and which is establishing a plan for the conservation, wise-use, and management based on wetland's condition.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stablish a conservation plan considering the functions and management conditions of Upo wetland protected area. To this end, there are analyzed the current issues, plans and implementation status of Upo Wetland Conservation Plans in the past. The management elements to be considered in establishing the Wetland Conservation Plan were selected through prior research analysis and the priority of those elements was identified through the AHP.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lack of considering the changes and performance evaluation of the existing plans in wetlands, conducting short-term projects related to maintenance original function of wetland, different management methods for wetland protected areas and other adjacent areas, lack of understanding and cooperation by stakeholders, inconsistencies in timing of the Conservation Plan and survey of wetland protected areas. In order to improve the problem, it needs to include the performance evaluation stage of establishing the conservation plan, strengthen cooperation of stakeholders and expertise, continuing of projects for wetlands' maintenance, priority of the project considering the management side, and to adjust the timing of plans to improve data availability.

포용적 생활 SOC 정책 추진을 위한 공원결핍지수 개발 연구 (Development of Index of Park Derivation to Promote Inclusive Living SOC Policy)

  • 김용국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7권5호
    • /
    • pp.28-40
    • /
    • 2019
  • 지역 및 인구집단의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른 생활 SOC 공급의 불균형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포용도시 정책에 대한 논의가 확장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포용적 도시공원 정책 추진을 위한 대안적 지표로 공원결핍지수(Index of Park Derivation, IPD)를 제안하고, 이를 7대 광역시에 적용해 공원 정책 필요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지역을 선정하는 것이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포용도시와 공원기능에 대한 관련 이론 및 선행연구 검토를 통해 포용적 도시공원 정책 개념을 "노인, 어린이, 저소득층, 폭염 미세먼지 등의 환경 재난 재해 취약계층 등 사회경제 및 환경적 지위가 낮은 지역 및 인구집단을 우선적으로 고려해 양질의 공원서비스를 공급 관리하는 정책"이라고 조작적으로 정의했다. 둘째, 공원서비스 수준, 인구구조 특성, 경제 및 교육 수준, 건강 수준, 환경적 취약성 등 5개 부문의 17개 변수를 종합하여 공원결핍지수(Index of Park Derivation, IPD)를 개발했다. 공원결핍지수를 구성하는 변수들은 체육시설, 어린이집, 유치원, 공공도서관 등 공원 외의 생활 SOC 정책에도 적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7대 광역시 1,148개 읍면동 지역에 공원결핍지수를 적용한 결과 광역시별 공원서비스 필요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지역들이 도출되었다. 서울특별시 강북구 삼각산동, 부산광역시 강서구 대저1동, 대구광역시 동구 안심1동, 인천광역시 부평구 삼산1동, 광주광역시 광산구 신창동, 대전광역시 대덕구 회덕동, 울산광역시 북구 농소3동이 지역별 공원 정책필요도 1순위로 도출되었다. 본 연구는 정부 및 지자체가 쉽게 접근 활용할 수 있는 통계 및 지리정보 데이터에 기반해 포용적 도시 공원 정책을 추진할 수 있는 대안적 지표를 제안했다는 의의를 갖는다.

기술이전·사업화 전담조직(TLO) 활동의 중요도 평가 및 우선순위 도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ssessment of Importance and Priority Derivation from Activities of Technology Transfer & Licensing Organization Using AHP Method)

  • 한경진;곽나연;이중정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8호
    • /
    • pp.37-46
    • /
    • 2016
  • 과학기술 경쟁력 확보를 위한 R&D 투자 확대로 국내 공공연구기관의 특허출원 성과는 양적으로 증가했지만, 연구 성과의 활용수준은 아직 미비하다. 이로 인해 공공연구기관의 성과 활용을 위한 기술이전사업화의 원활한 추진 및 관련 사업의 성공적 수행을 위해, 전문성을 바탕으로 한 기술이전 사업화 전담조직(Technology Transfer&Licensing Organization)의 운영이 중요해지고 있다. TLO 조직의 효율적인 업무 수행 및 연구개발 성과물의 활용 개선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TLO조직의 업무 영역별 활동을 도출하여 업무 체계를 정립하고 업무 활동에 따른 활동 우선순위를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선행 연구와 전문가 인터뷰를 통해 업무 활동 체계를 정립하고, 6개 업무영역과 21개의 업무 활동을 도출하였다. 도출된 TLO의 업무 영역별 활동을 AHP 분석으로 각 업무 영역별 활동에 대한 상대적 중요도를 계산한 후에 업무 우선순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가 기술이전 사업화 업무 활동을 정립하고 업무 활동별 주요 업무의 우선순위를 파악하여 대학 및 출연연구기관의 기술이전 사업화 조직의 업무 효율성과 기술이전 성과를 높이는 데 시사점을 제공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지능형 지하시설물관리를 위한 상수도 모니터링 기술개발의 우선순위 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iority Order Evaluation of the Water Supply Monitoring Technology Development for the Intelligent Underground Facility Management)

  • 김정훈;이미숙;한재일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16권2호
    • /
    • pp.263-278
    • /
    • 2008
  • 최근 지방자치단체들은 u-City 사업구상을 통해 지능형 지하시설물 관리를 계획하고 있지만, 지하시설물의 지능화를 위해서는 막대한 재원이 소요되므로 단계적 접근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표는 센싱기술 개발의 우선순위가 높은 상수도 모니터링 항목을 도출하여 기술적 실현가능성과 경제적 파급효과가 높은 킬러어플리케이션을 발굴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상수도 업무분석, 심층면담조사, 지자체 설문조사, 전문가의견조사 등을 통해 최종 모니터링 항목을 도출하였다. 분석 결과 유량계 유량, 상수관로 누수 균열, 상수관로 압력, 정수장 유량에 대한 모니터링 기술개발의 우선순위가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상수도 시설물 관리의 실제적인 수요와 우선순위를 도출하고 평가하였다는데 의의가 있으며, 향후 지하시설물 지능화 관련 기술개발의 방향성 제시에 기여할 것이라 기대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