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inting, Three-dimensional

검색결과 271건 처리시간 0.024초

세척 용액 및 세척 방법이 3D 프린팅 임시수복용 레진의 굴곡강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Washing Solvent and Washing Method on Flexural Strength of 3D-Printed Temporary Resin Material)

  • 김해봄;최재원
    • 한국산업융합학회 논문집
    • /
    • 제27권2_2호
    • /
    • pp.389-395
    • /
    • 202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different washing solvents and washing methods on the flexural strength of 3D printed temporary resin. A bar(25 × 2 × 2 mm) was produced with a layer thickness of 50 ㎛ using an LCD-type 3D printer and divided into 15 groups(n = 10, each) according to washing solution(IPA; 99% isopropyl alcohol, TPM; 93% Tripropylene glycol monomethylether, ETL; Ethanol, TWC; Twin 3D Cleaner, and DNC; DIO navi Cleaner) and washing method(Dip; Dip washing, Ultra; Ultrasonic washing, and Auto; Automated washing). All groups were washed for 5 minutes, and post-cured for 5 minutes using a UV LED light curing machine. The Flexural strength was measured using a three-point bending test using a universal testing machine. For statistical analysis, one-way ANOVA, Tukey HSD post hoc test, Kruskal-Wallis test and post-hoc by Bonferroni-Dunn test(𝛼=.05) were performed depending on whether the normality test was satisfied. In all washing solvents except TPM and DNC, the Dip group showed the lowest flexural strength values, while the Auto group showed the highest flexural strength values except for DNC. Additionally, the washing solution showed completely different flexural strength values depending on the washing method.

연마 방법에 따른 3D 프린팅 레진의 색조 안정성과 표면 조도의 비교 (Comparison of Color Stability and Surface Roughness of 3D Printing Resin by Polishing Methods)

  • 김희주;김유진;김종수;이준행;한미란;신지선;김종빈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50권2호
    • /
    • pp.205-216
    • /
    • 2023
  • 이 연구의 목적은 3D 프린팅 레진의 연마 방법에 따른 색조 안정성과 표면 조도를 시간에 따라 비교하는 것이다. 3D 프린터와 TC-80DP 레진을 이용하여 3D 프린팅 레진 시편을 제작하였고, 각 시편은 연마하지 않은 군, Enhance®군, Sof-LexTM군으로 분류되었다. 각 군은 연마 직후 기준점을 측정하고, 다시 인공 타액과 오렌지 주스에 나누어 침전시킨 뒤, 침전 1, 7, 30, 60일에 CIE L*a*b* 값의 색차(ΔE*)와 각 시점의 표면 조도가 측정되었다. 연구 결과, 60일 침전 후 인공 타액에서는 육안으로 확인 가능한 정도의 색조 변화는 일어나지 않았으나 오렌지 주스에서는 육안으로 확인 가능한 색조 변화가 나타났고, 용액에 따른 차이는 유의미했다. 표면 조도는 Sof-LexTM군에서만 오렌지 주스가 인공 타액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연마 방법에 따른 색조 변화의 차이는 없었으나 표면 조도는 Sof-LexTM군이 연마하지 않은 군과 Enhance®군보다 유의하게 낮았으며, 모든 군에서 치태 침착 임계 조도보다는 높았지만, 임상적으로 허용 가능한 정도였다. 이번 연구 결과, 유전치 전장관 수복을 위해 영구 수복용 3D 프린팅 레진 사용 시 착색제 섭취에 유의해야 하며, SofLexTM를 이용하여 연마하는 것이 권장된다.

CT 데이터와 3D 프린팅 기술을 이용한 뼈 모형 X선 팬텀 제작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abrication of bone Model X-ray Phantom Using CT Data and 3D Printing Technology)

  • 윤명성;한동균;김연민;윤준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2권7호
    • /
    • pp.879-886
    • /
    • 2018
  • 3-dimensional(D) 프린터는 컴퓨터로 모델링 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3차원의 입체 물체를 출력할 수 있는 장비이다. 이러한 특징을 방사선과학 분야와 융합하여, CT 데이터를 이용한 뼈 모형 X선 팬텀제작 등에 활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기존의 Pelvis팬텀을 CT 스캔하고 얻어진 데이터로 Fused Filament Fabrication(FFF) 3D 프린터의 소재인 PLA, Wood, XT-CF20, Glow fill, Steel 필라멘트를 이용하여, 뼈 모형 팬텀을 제작하였다. 기존의 Pelvis 팬텀과 3D 프린터로 제작된 5가지 재질의 팬텀을 동일한 조건으로 CT 스캔 하고 얻어진 영상에서 Hounsfield Unit(HU)을 측정하였으며, 진단용X선 발생장치를 이용하여 SI, SNR을 측정하여 각 팬텀을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사지 X선 검사 조건 내에서 X선 팬텀은 glow fill 필라멘트가 가장 적합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기반으로 필라멘트의 특성들을 알 수 있었으며, X선 팬텀 제작에 대한 실용성을 확인하였다.

3D 콘크리트 프린터 분류체계 비교연구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Classification System for Three-Dimensional Concrete Printers)

  • 정지훈;이강;김정훈;최재진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21권2호
    • /
    • pp.3-14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기존의 3D 콘크리트 프린터의 분류체계를 검토하고 비교분석하여 3D 콘크리트 프린터의 분류체계를 제안하는 것이다. 기존의 3D 프린터에 대하여 여러 분류체계가 제안되어 왔고, 관련 시장에서는 이를 사용하기도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상당히 많은 종류의 프린터가 FDM(Fused Deposition Modeling)이나 SLM(Selective Laser Melting)처럼 3D 콘크리트 프린터를 특징짓는데 적절하지 않다. 3D 콘크리트 프린터 간에 구분 짓는 특징을 밝히기 위해서, 본 연구는 기존의 3D 콘크리트 프린터를 검토하고 기존 연구에서 확인된 3D 콘크리트 프린터의 특징을 비교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기존의 분류체계는 최신 3D 콘크리트 프린터를 반영하지 못하였고, 분류 용어들은 모호하며, 전체 출력과정은 고려되지 않았음을 알 수 있었다. 기존 연구 분석을 통하여 3D 콘크리트 프린터의 필수적인 특징들을 도출함으로써, 새 분류체계를 제안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3D 콘크리트 프린터 관련 연구들뿐만 아니라, 상업용 3D 콘크리트 프린터들을 분류하는데 기초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스테인리스강을 사용한 분말 적층 용융 방식의 금속 3차원 프린터에서 제작된 물체의 최소 선폭 측정 (Measurement of minimum line width of an object fabricated by metal 3D printer using powder bed fusion type with stainless steal powder)

  • 손봉국;정연홍;조재흥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10호
    • /
    • pp.346-351
    • /
    • 2018
  • 금속 3D 프린팅 기술은 레이저 빔의 초점에 금속분말을 주입하는 방식에 따라 대표적으로 PBF(Powder Bed Fusion)방식과 DED(Direct Energy Deposition)방식으로 나뉜다. DED 방식은 금속 분말 도포와 동시에 레이저를 조사하여 3차원 구조물을 제작하는 금속 3D 프린팅 기술이고, PBF 방식은 일정 높이로 3차원 그래픽을 슬라이싱 한 후 한 층씩 금속 분말을 적층하여 레이저를 이용해 3차원 구조물을 제조하는 방식이다. DED 방식을 사용하면 레이저 클래딩, 금속 용접 등에는 강점을 가지지만 3D 형상을 제작할 경우 밀도가 낮아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DED 방식에서의 구조체 밀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PBF 방식을 도입하면 상대적으로 밀도가 높은 3차원 구조물을 제작하는데 용이하다. 본 논문에서는 갈바노 스캐너와 광섬유로 전송되는 Nd:YAG 레이저 빔을 이용한 약 $30{\mu}m$ 크기의 스테인리스 강 분말을 이용하는 PBF 방식의 3차원 프린터를 제작하고, 이를 이용하여 얇은 금속 구조물을 제작하였다. 또한 레이저의 조사 횟수, 출력, 초점 크기, 스캐닝 속도에 따른 선폭의 최적조건을 찾았으며, 그 결과 최적 조건은 레이저 조사 횟수 2회, 출력 30 W, 초점 크기 $28.7{\mu}m$, 스캐닝 속도 200 mm/s에서 최소 선폭은 약 $85.3{\mu}m$로 측정되었다.

풀 컬러 3D 프린팅을 이용한 도자기 복원 방법 연구 (A Study on Ceramic Restoration Methods with Full Color 3D Printing)

  • 신우철;위광철
    • 보존과학회지
    • /
    • 제36권5호
    • /
    • pp.306-314
    • /
    • 2020
  • 도자기 복원에 사용되는 합성수지는 노화 현상과 유물 손상 가능성 등의 이유로 새로운 재료 및 복원 방식 연구의 필요성이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 연구되고 있는 3차원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복원 방식에 추가로 풀 컬러 3D 프린터를 접목하여 색상 정보를 지닌 결실 부를 출력하고자 하였다. 물성 실험을 통해 물성을 알아보고, 백자발과 분청사기접시를 대상으로 결실부를 출력하여 색도 및 광택도를 비교하였다. 실험 결과, 출력물은 기존 복원 재료와 인장강도는 유사했으며 압축강도는 약 1.4~2배 높게 측정되었다. NIST에 의한 색차 값 평가표에 의하면, 백자발은 ΔE*ab 1.55로 눈에 띄는 정도, 분청사기접시는 3.34로 감지할 정도로 나타났다. 프린터의 한계로 정확한 색상 표현은 불가능하였지만 비접촉식 방식으로 손상 가능성을 최소화할 수 있었다. 손상 가능성이 높은 대상물에 적용하거나 결실부의 의도적인 색상 구별을 통해 전시효과의 목적 등으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Evaluation of functional suitable digital complete denture system based on 3D printing technology

  • Deng, Kehui;Chen, Hu;Wang, Yong;Zhou, Yongsheng;Sun, Yuchun
    • The Journal of Advanced Prosthodontics
    • /
    • 제13권6호
    • /
    • pp.361-372
    • /
    • 2021
  • PURPOSE. To improve the clinical effects of complete denture use and simplify its clinical application, a digital complete denture restoration workflow (Functional Suitable Digital Complete Denture System, FSD) was proposed and preliminary clinical evaluation was done. MATERIALS AND METHODS. Forty edentulous patients were enrolled, of which half were treated by a prosthodontic chief physician, and the others were treated by a postgraduate student. Based on the primary impression and jaw relation obtained at the first visit, diagnostic denture was designed and printed to create a definitive impression, jaw relation, and esthetic confirmation at the second visit. A redesigned complete denture was printed as a mold to fabricate final denture that was delivered at the third visit. To evaluate accuracy of impression made by diagnostic denture, the final denture was used as a tray to make impression, and 3D comparison was used to analyze their difference. To evaluate the clinical effect of FSD, visual analogue scores (VAS) were determined by both dentists and patients. RESULTS. Two visits were reduced before denture delivery. The RMS values of 3D comparison between the impression made via diagnostic dentures and the final dentures were 0.165 ± 0.033 mm in the upper jaw and 0.139 ± 0.031 mm in the lower jaw. VAS ratings were between 8.5 and 9.6 in the chief physician group, while 7.7 and 9.5 in the student group;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CONCLUSION. FSD can simplify the complete denture restoration process and reduce the number of visits. The accuracy of impressions made by diagnostic dentures was acceptable in clinic. The VASs of both dentists and patients were satisfied.

시간 분해 직렬 펨토초 결정학을 위한 3차원 프린팅 기반의 초고속 믹싱 및 인젝팅 시스템 (3D Printing-Based Ultrafast Mixing and Injecting Systems for Time-Resolved Serial Femtosecond Crystallography)

  • 지인서;강전웅;김태영;강민서;권순범;홍지우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60권2호
    • /
    • pp.300-307
    • /
    • 2022
  • 매우 짧은 펄스 폭의 X선 자유전자 레이저(XFEL)를 이용한 시간 분해능 연속 펨토초 결정학(time-resolved serial femtosecond crystallography, TR-SFX)기법에서 반응 물질과 생체분자 결정 샘플간의 혼합률(mixing rate)과 결정 샘플과 X선 레이저 간의 충돌률(hit rate)은 생체분자의 시분해 구조 변화에 대한 정확한 이미지 획득 및 효율적인 샘플소비와 같은 TR-SFX의 분석 성능을 결정짓는 핵심인자이다. 본 연구에서는 극초단 내 일어나는 생체분자의 시분해 구조 변화 해석을 위해 초고속 믹싱 기능을 가짐과 동시에 공압 기반의 주문형 액적 젯팅이 가능한 두 가지 다른 방식의 샘플 전달시스템을 고안하였다. 한 방식은 이중 노즐을 통해 토출된 액적의 고속 충돌에 유발된 관성 믹싱을 기반으로 하고 있으며, 다른 방식은 마이크로믹서가 내장된 공압 젯팅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 먼저, 이중 노즐을 통해 토출된 액적의 충돌에 대한 동적 거동 및 액적 내부 관성 유동에 대한 믹싱에 대한 실험 및 수치해석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다음으로 마이크로믹서가 내장된 공압 젯팅 시스템의 성능을 유사한 방법을 통해 평가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샘플 전달시스템은 질환을 유발하는 특정 단백질들의 기작을 규명하거나, 항체 의약품과 신약 후보 물질 탐색하는 데 있어 필수적인 3차원 생체 분자 구조분석 연구에 매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현대 패션컬렉션에 표현된 나비모티브 디자인 분석 -2019년~2023년 VOGUE를 중심으로- (Butterfly Motif Design in Contemporary Fashion Collection - Focusing on VOGUE from 2019 to 2023 -)

  • 신재영;허정선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10권1호
    • /
    • pp.379-386
    • /
    • 2024
  • 연구의 목적은 자연의 소중함을 깨닫게 된 코로나 시대를 거치면서 자연의 다양한 모티브 중에서 개체 수의감소가 환경오염의 척도로 상징되는 나비, 곤충 등의 표현 빈도가 증가하는 것에 주목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범위는 2019년부터 2023년까지의 패션컬렉션을 대상으로 온라인 <보그>지(www.vogue.com)의 시즌별 패션컬렉션 패션쇼 사진과 인터뷰 기사로 한정하였다. 연구 결과 185개의 나비모티브 의상이 나타났으며 평면적 표현방식의 유형으로는 디지털 프린팅 기법이 가장 많이 활용되었다. 이와 함께 퀼팅, 자수, 비딩 등의 기법들이 나비의 평면적 모티브를 표현하는 기법으로 많이 등장하였다. 입체적 표현 유형으로는 3D 프린팅, 레이저 컷팅, 코사지 기법, 드레이핑 기법을 사용한 유형들이 비슷한 비중으로 나타났다. 표현된 나비 모티브는 추상적인 표현보다는 나비의 형태를 그대로 묘사한 사실적인 디자인이 더 많았음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최근 5년간의 나비모티브 패션디자인은 과거의 나비모티브 패션에 비해 환경에 대한 메시지를 강하게 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단순히 나비의 형태적 아름다움과 화려한 디자인 요소를 넘어서 친환경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는 상징적 의미가 큰 모티브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Comparison of time and cost between conventional surgical planning and virtual surgical planning in orthognathic surgery in Korea

  • Park, Si-Yeon;Hwang, Dae-Seok;Song, Jae-Min;Kim, Uk-Kyu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41권
    • /
    • pp.35.1-35.7
    • /
    • 2019
  • Backgroun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easure the time of the conventional surgical planning (CSP) and virtual surgical planning (VSP) in orthognathic surgery and to compare them in terms of cost. Material and method: This is a retrospective study of the patients who underwent orthognathic surgery at the Pusan National University Dental Hospital from December 2017 to August 2018. All the patients were analyzed through both CSP and VSP, and all the surgical stents were fabricated through manual and three-dimensional (3D) printing. The predictor variables were the planning method (CSP vs. VSP) and the surgery type (group I: Le Fort I osteotomy + bilateral sagittal split osteotomy [LFI+BSSO] or group II: only bilateral sagittal split osteotomy [BSSO]), and the outcomes were the time and cost. The results were analyzed using the paired t test. Results: Thirty patients (12 females, 18 males) met the inclusion criteria, and 17 patients were excluded from the study due to missing or incomplete data. There were 20 group I patients (LFI+BSSO regardless of genioplasty) and 10 group II patients (BSSO regardless of genioplasty). The average time of CSP for group I was 385 ± 7.8 min, and that for group II was 195 ± 8.33 min. The time reduction rate of VSP compared with CSP was 62.8% in group I and 41.5% in group II. On the other hand,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cost reduction. Conclusions: The time investment in VSP in this study was significantly smaller than that in CSP, and the difference was greater in group I than in group I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