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inted Book

검색결과 104건 처리시간 0.022초

조선시대에 간행된 간지본 대학의 간년추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rinted Books of Great Learn(大學) Caved by Old Years in Chosun Dynasty)

  • 송일기;정왕근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193-213
    • /
    • 2004
  • 이 연구는 조선시대 간행된 대학의 판본 중에 간지로 간기가 기재된 현존본을 대상으로 그 간행연도를 추정하는데 목적을 두고있다. 조사대상은 한문본 13종과 언해본 5종으로 모두 18종의 판본을 선정하였으며, 이를 지역, 판종, 간행처, 간지, 추정연도로 분석하였다.

  • PDF

조선시대 금속활자본 불교서적의 서지적 연구 (A Bibliographical Study on the Metal Type Buddhist Book Editions during the Joseon Dynasty Period)

  • 송일기;정왕근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9권1호
    • /
    • pp.223-246
    • /
    • 2015
  • 이 연구는 조선시대 금속활자로 간인한 불교서적에 대해서 서지학적 측면에서 그 특징을 고찰한 것이다. 조선시대 금속활자로 간행한 불교서적은 모두 36종이 현전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를 간행에 사용한 활자별로 분석해 보면, 갑인자본이 9종, 을해자본이 13종, 정축자본이 2종, 을유자본이 3종, 그리고 전사자본이 9종으로 밝혀졌다. 그 가운데 을해자로 간인된 불서가 13종으로 가장 많은 수량을 보이고 있어 전체 36%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이를 간행시기로 분석한 결과, 조선전기에는 모두 27종이, 조선후기에는 모두 9종의 불교서적이 간행된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 중 세조대에 간행된 금속활자본은 19종으로 조사되어 전체 70%를 차지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세조의 비정상적 즉위와 더불어 호불적 성향과 깊은 영향관계가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대한제국시대(大韓帝國時代) 학부(學部)의 도서편찬(圖書編纂) 및 간행(刊行)에 관한 연구(硏究) (A Study on the Compilation and Publication of the Hakbu in the Empire of Korea Dynasty)

  • 이철찬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321-344
    • /
    • 2016
  • 본 연구는 대한제국시대 학부의 도서 편찬 및 간행에 대하여 밝히고자, 문헌상의 기록과 현존하는 실물을 조사하여 이들을 형태서지학적으로 분석하고 특징과 내용을 고찰하는 데 그 목적을 두었으며, 연구 결과에서 밝혀진 사실들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부에서 편찬 간행한 도서의 수는 현재까지 밝혀진 것은 63종이었다. 둘째, 학부의 도서 간행은 연도별로 차이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판종은 활자본이 84.1%를 차지하고 있으며, 그중 신연활자본이 35종으로 제일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용지 및 장정은 학부 초기에는 모든 도서에서 한지 한장본을 사용하였다. 다섯째, 도서의 가격은 지금의 도서 가격보다 조금 높은 수준의 가격이었다. 여섯째, 학부에서 편찬 간행한 도서 중 번역서는 6종이었다. 이 연구 결과는 학부에서 편찬 간행한 도서에 대한 종합적인 것으로 이후 관련 연구의 토대가 될 것이다.

"침경지남(鍼經指南)"과 "침구옥룡경(鍼灸玉龍經)"의 문헌적 특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ocumentary Characteristics of "Chimgyeongjinam(鍼經指南)", "Chimguokryonggyeong(鍼灸玉龍經)" on Acupuncture and Moxibustion)

  • 김성철;김기욱;박현국
    •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93-102
    • /
    • 2009
  • During the Geum and Won dynasties, the documentary characteristics of "Chimgyeongjinam","Chimguokryonggyeong" can be summarized into the following. 1. "Chimgyeongjinam" 1) "Chimgyeongjinam" is an acupuncture and moxibustion anthology by the acupuncture expert of the Geum and Won dynasties, Duhangyeong(竇漢卿) which was edited and revised by Dugyebang and is a kind of "Chimgusaseo(鍼灸四書)" that was printed in the Huanggyeong Imja year of the Won dynasty(1312). 2. This book was printed as a kind of "Chimgusaseo" and the origins of the editions are as such. The entire text of "Chimgusaseo" originates from the Won edition[元刊本] of "Chimgyeongjinam". 3. This book has all the 12 acupuncture and moxibustion dissertations by Du. 4. Most of the contents of Du's works in this book are collections from older medical books like "Jaoyujuchimgyeong(子午流注鍼經)","Donginsuhyeolchimgudogyeong(銅人腧穴鍼灸圖經)","Yujupalhyeol(流注八穴)","Naegyeong(內經)". 5. Duhangyeong's works on acupuncture and moxibustion were mostly collected by later generations and reflected in books on Du's acupuncture methods. dynasty. 2. "Chimguokryonggyeong" 1) The full title of "Chimguokryonggyeong" is "Pyeonjaksineungchimguokryonggyeong(扁鵲神應鍼灸玉龍經)" and it was edited by Wanggukseo(王國瑞) in the Won dynasty. 2) This book was written before 1290 and there is the '"Munyeongaksagojeonseo(文淵閣四庫全書)" edition' which was pretty much spread around much. 3) The main part of this book is the 'Okryongga(玉龍歌)' and it's annotations. 4) The main contents of this book is a record of the acupuncture techniques of the acupuncture master of the Won dynasty, Duhangyeong.

  • PDF

"고금도서집성(古今圖書集成)"과 한.중(韓.中) 의학교류(醫學交流) (${\ulcorner}Gogeumdoseojipseong{\lrcorner}$ and Medical Interchange between Korea and China)

  • 안상우
    • 한국한의학연구원논문집
    • /
    • 제8권2호통권9호
    • /
    • pp.1-16
    • /
    • 2002
  • ${\ulcorner}Gogeumdoseojipseong{\lrcorner}$, it has been compiled by Chenmenglei(1651-1723). This large encyclopedia was published in 1125 during Ohing dynasty of China in the reign of the Kangxi emperor. The medical parts of this encyclopedia was titled the name of Yibuquanlu, but it is not correct. KIOM(Korea Institute of oriental Medicine) researched the compilation and publication of the original book of this and the process of introduction to Chosun with its woodblock-printed book for making database of this book. Even more, we analyzed the structure of this book and apprehended the historical significance about medical interchange between Korea and China by this book. As the result, we found that the most part of this large encyclopedia quotedfrom ${\ulcorner}Donguibogam{\lrcorner}$ of Chosun, then it was back to Chosun and taken a part to medical books such as ${\ulcorner}Imwonkyungjaejis{\lrcorner}$, ${\ulcorner}Uijongsonikr{\lrcorner}$.

  • PDF

1, 2세 영아-어머니의 가정에서의 책 읽기 상호작용 (Mother-Infant Book Reading in the Home)

  • 채유진;김명순
    • 아동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25-138
    • /
    • 1999
  • This study explored mother-infant interactions during reading of picture books with and without printed words. The interactions of 40 mother-infant dyads(??) were video-taped while mothers read the books aloud to their 1- or 2-year-old child at home. When reading the books with words, mothers used more "where" questions and gave more feedback to the non-verbal behavior of the infants. Mothers gave more labels, descriptions, predictions, and "what", "function/activity" questions when reading the wordless book. The infants used more nonverbal answers reading the book with words. The mothers of the 2-year-olds used more "what", "function/activity" questions, and gave feedback to their verbal behaviors. The 2-year-olds used more imitation, verbal answers, and comments. For the mothers of the 2-year-olds, the interaction with the wordless book led to more attention-recruiting and bridging. For the children, however, reading the wordless book led to more labels, questions, and comments.

  • PDF

"의림촬요(醫林撮要)"의 판본(板本)과 최근 연구 성과 (Introduction of several printing types on the ${\ulcorner}$Uirimchwaryo${\lrcorner}$)

  • 안상우
    • 한국한의학연구원논문집
    • /
    • 제10권1호
    • /
    • pp.31-48
    • /
    • 2004
  • ${\ulcorner}$Uirimchwaryo(醫林撮要)${\lrcorner}$ is a medical book that takes a model of written in the middle of Chosun dynasty. In the contents side, it seems to unite a korea medicine with the Geum-Won Dynasty(金元時代) in ancient china. we can think much of the value that it combines theory with experience, choosing the merits of ${\ulcorner}$Uibangyuchwi(醫方類聚)${\lrcorner}$ which were the masterpieces of the first half of Chosun Dynasty and it increased a practical use to choose easily prescription in the clinic. This book which was proofread and published by imperial physician Yang Yaesoo(楊禮壽, ? ${\sim}$ 1597) is not exist. In this condition, existing print type is added by scholars only after ${\ulcorner}$Donguibogam(東醫寶鑑)${\lrcorner}$ was compiled. When the academic conference was held in last year, I introduced a chosun printed book in japan's possession, moreover I survey more documents. I will investigate and arrange a few old printed books that are handed down to Chosun and Japan. In addition, I will present Korea and foreign researching results, trend about ${\ulcorner}$Uirimchwaryo${\lrcorner}$ which is finished lately and researching materials about translating into current korean language. We can evaluate the value and effect of ${\ulcorner}$Uirimchwaryo${\lrcorner}$ in Chosun dynasty of medical history.

  • PDF

『의림촬요(醫林撮要)』의 주요 판본(板本)과 고대(古代) 의학교류(醫學交流) (Several printing types on the『Uirimchwaryo』and interchange in ancient oriental medicine)

  • 안상우
    • 한국의사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27-43
    • /
    • 2004
  • "Uirimchwaryo(醫林撮要)" is a medical book that takes a model of written in the middle of Chosun dynasty. In the contents side, it seems to unite a korea medicine with the Geum-Won Dynasty(金元時代) in ancient china. we can think much of the value that it combines theory with experience, choosing the merits of "Uibangyuchwi(醫方類聚)" which were the masterpieces of the first half of Chosun Dynasty and it increased a practical use to choose easily prescription in the clinic. This book which was proofread and published by imperial physician Yang Yaesoo(楊禮壽, ? ~ 1597) is not exist. In this condition, existing print type is added by scholars only after "Donguibogam(東醫寶鑑)" was compiled. When the academic conference was held in last year, I introduced a new founded book in japan's possession that printed in Chosun dynasty. Moreover I survey more documents and investigate a few old printed books that are handed down to Chosun and Japan. In addition, I will present that had done interchanges between the ancient nations in par-eastern asia, especially to have done by diplomatic mission. We can evaluate the value and effect of "Uirimchwaryo" in Chosun dynasty of medical history.

  • PDF

구텐베르크 은하계와 음악 (Gutenberg Galaxy and Music)

  • 김효경
    • 트랜스-
    • /
    • 제5권
    • /
    • pp.49-64
    • /
    • 2018
  • 미디어 학자 마샬 맥루언은 구텐베르크 은하계라는 단어를 통하여 인쇄술이 인간에게 부여한 새로운 환경을 논하였다. 구술, 필사, 인쇄로 이어진 미디어의 진화는 인간의 삶에 있어 부수적인 존재였던 미디어를 하나의 환경으로 확장시켰고, 구텐베르크 은하계 속에서 인간의 삶은 매우 다르게 변화하였다. 본 연구는 구텐베르크 인쇄술의 개발이 인간의 삶을 넘어 음악, 특히 낭만주의 음악에 어떠한 영향을 끼쳤는지에 관하여 집중해보고자 한다. 인쇄술이 낳은 가장 대표적인 미디어는 책이라 할 수 있다. 같은 공간 아래 있을 때 정보 전달이 수월했던 구술, 필사와 달리 상대적으로 공간적 제약으로부터 자유로운 인쇄술의 개발은 지식과 정보를 그 질과 양에 있어 획기적으로 변화시킨다. 이전의 정보가 인간의 생활과 밀접한 형태를 띠고 있었다면, 책 속의 지식과 정보들은 신화의 세계와 같이 실생활을 넘어선 다른 세상으로 지식의 영역을 확장시킨다. 즉, 눈에 보이지 않는 세계로 지식의 영역을 확장시킨 것이다. 이와 같은 지식의 변화는 자연스레 인간의 사고를 확장시켰고, 사고의 확장은 곧 근대 서양 사회의 모든 분야에 영향을 끼친다. 인쇄 악보를 매개로하여 점진적으로 대중화되던 음악계 또한 예외가 아니었다. 인쇄술이 형성시킨 구텐베르크 은하계는 실용 음악에 가까웠던 이전의 음악 형태와 달리 음악 안에 신비와 환상의 세계를 심어놓았다. 그리고 이러한 현상은 낭만주의라는 하나의 흐름을 형성시킨다. 본 연구는 구텐베르크 은하계가 변화시킨 음악, 특히 낭만주의 음악에 집중하여, 미디어와 음악의 상관성을 증명해보고자 한다.

  • PDF

철제 스테이플이 박힌 책의 보존처리 (Conservation of stapled books: Rebinding using colored iron cores)

  • 하효진;최정은
    • 보존과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27-32
    • /
    • 2014
  • 본 논문에서 보존처리 한 책은 1935년 일본사에서 발행된 "위인최후(偉人最後)の언엽집(言葉集)"이다. 1900년대 초반의 책들은 대부분이 산성지로 되어있어 책의 산도가 높고 스테이플로 인한 갈변현상이 심하다. 본 시료도 갈변현상이 관찰되었으며, 책의 pH가 3.2로 매우 낮았다. 스테이플에 의한 갈변 이외에 종이 전체의 색이 많이 변하였으며, 종이 자체의 산성도로 인하여 종이가 바스러지는 현상이 보였다. 스테이플 철심을 제거한 후 건식, 습식클리닝을 행하여 오염물을 제거하였다. 가볍게 프레스하여 종이를 건조시킨 후, 미농지($4g/m^2$)를 사용하여 속지와 겉 표지를 배접하여 보강처리를 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스테이플 심을 대신하여 실이나 종이로 다시 묶는 기존의 보존처리 방법과 다르게 기존의 스테이플과 유사한 철심을 만들어 원래의 자리에 복원하는 작업을 하였다. 복원 하기 위해 스테이플의 두께와 비슷한 철사를 사용하였고, 착색액 ($H_2O$, $C_2H_5OH$, $CuSO_4{\cdot}5H_2O$, $FeCl_3{\cdot}6H_2O$)에 넣어 부식된 스테이플 심과 유사한 색으로 착색하였다. 마지막으로 20%의 paraloid B-72로 방식처리를 하여 차후의 부식을 예방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