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imordia formation

검색결과 87건 처리시간 0.024초

은행나무의 성숙배 및 유식물에 있어서 유관속조직의 분화 (Vascular Differentiation in the Mature Embryo and the Seedling of Ginkgo biloba L.)

  • 홍성식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26권4호
    • /
    • pp.207-216
    • /
    • 1983
  • Mature embryo and developing seedlings of Ginkgo biloba L. were embedded in a paraplast and serially sectioned at 10${\mu}{\textrm}{m}$ to examine vascular differentiation and vascular transition. Procambium and protophloem formed a continuous system along the epicotylhypocotyl root axis and cotyledons in mature embryo, whereas protoxylem was differentiated discontinuously in the cotyledons and rarely in the upper hypocotyl. The traces of the first and second leaf primordia apeared almost at the same time oppositely to each otehr at the epicotyl and alternately with the cotyledon traces in the upper hypocotyl. The trace differentiated bidirectionally toward the epicotyl and root tips. the young root initially formed a diarch xylem. Then, as the traces of the first and second leaves were superimposed, the diarch xylem. Then, as the traces of the first and second leaves were superimposed, the diarch xylem of the root was changed totriarch and tetrarch xylem, respectively. On the formation of primary vascular system of Ginkgo biloba, it is suggested that the primary phloem forms a continuous system throughout the seedling, whereas the primary xylem of the epicotyl is formed independently from that of the root-hypocotyl cotyledon system.

  • PDF

Phellinus pini의 배양적 특성과 자실체형성 (Cultural Characteristics and Fruitbody Formation of Phellinus pini)

  • 류영현;조우식;정기채;윤재탁;최부술
    • 한국균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1-15
    • /
    • 2000
  • Phellinus pini는 진흙버섯속(Phellinus)에 속하는 버섯으로 진흙버섯속 버섯 중에서 항암저지율이 가장 높다고 알려져 있다(중국본초도감). 온도별 배양결과 $25^{\circ}C$에서 34 mm/14일(PDA배지)로 생육이 가장 좋았고 배지별 시험에서는 PDA 배지에서 30mm/10일, MCM 배지에서 28mm/10일로 나타났으며 pH $5{\sim}6$에서 균사생장이 양호하였다. 시험관을 이용한 톱밥배지 배양에서는 참나무톱밥+버드나무톱밥 +미강(4.5:4.5:1)과 참나무톱밥+소나무톱밥+미강(4.5:4.5:1)에서 균사생장이 가장 빨랐고 균사밀도는 참나무톱밥+미강(9:1)과 소나무톱밥+미강(9:1) 배지가 가장 높았다. 참나무원목에 접종한 결과 접종 60일 경과시 원목내 균사생장은 40 mm로 나타났으며 균사활착율은 26%정도였고 최초 발이 소요기간은 접종 후 110일 정도로 나타났다.

  • PDF

생장조절물질(生長調節物質) 처리(處理)가 콩나물의 생육(生育) 및 세근발생(細根發生)에 미치는 영향(影響) - III. 생장조절물질(生長調節物質) 처리(處理)가 콩나물의 뿌리원기(原基), 세근발생(細根發生), 수분보유력(水分保有力) 및 ABA 함량(含量)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Plant Growth Regulator Treatments on the Growth and Lateral Root Formation in Soybean Sprouts - III. Effect of Plant Growth Regulator Treatments on the Root Primordia, Lateral Root Formation, Water Retaining Ability and ABA Content in Soybean Sprouts)

  • 강충길;이경휘;박영선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97-102
    • /
    • 1989
  • 1. 콩나물의 뿌리원기(原基) 발생(發生)은 무처리(無處理)와 IAA는 처리후(處理後) 1일(日)에 각각(各各) 8.0, 10.0개(個)로 그 발생(發生)이 많았고, 세근(細根)도 처리후(處理後) 2일(日)에 이미 발생(撥生)된 반면(反面) BA나 BA가 함유(含有)된 처리(處理)에서는 뿌리원기(原基)의 발생(發生)이 크게 억제(抑制)될 뿐만 아니라 세근(細根)도 처리(處理) 5일(日) 후(後)에 발생(發生)되었다. 2. 콩나물의 수분보유력(水分保有力)은 생장조절물질(生長調節物質) 처리후(處理後) 3일(日)까지는 무처리(無處理)와 BA 25 ppm 및 인돌비간(間)에는 대차(大差)가 없었으나 처리후(處理後) 5일(日)부터 랑(郞) 시판(市販)될 수 있을 정도(程度)의 크기부터는 큰 차이(差異)를 보였다. 특(特)히 BA 25 ppm 처리시(處理時) 수분보유력(水分保有力)이 현저(顯著)히 증가(增加)하였다. 3. BA 25 ppm 처리시(處理時) 콩나물 하배축(下胚軸)의 ABA 함량(含量)은 0.0148 ${\mu}g$/fresh wt. g으로서 무처리(無處理) 0.0098 ${\mu}g$/fresh wt. g에 비(比)해 증가(增加)된 반면(反面) 뿌리에서는 BA 25 ppm 처리시(處理時) 0.049 ${\mu}g$/fresh wt. g으로서 무처리(無處理)에 비(比)해 다소(多少) 억제(抑制)되었으며. ABA 함량(含量)과 수분보유력간(水分保有力間)의 밀접(密接)한 관계(關係)가 있을 것으로 추찰(推察)되었다. 4. Thiophanate-methyl+thiram(상표(商標) 호마이) 등(等)의 몇 가지 종자(種子) 소독제(消毒劑)는 콩나물의 신장(伸長) 및 비대(肥大)에 뚜렷한 효과(效果)를 보이지 않고, 또한 세근발생수(細根發生數) 에도 무처리(無處理)와 유사(類似)하였다. 5. 콩나물 재배시(栽培時)에는 가급적(可及的) 관수(灌水)와 관수시간(灌水時間) 사이에 용비상부(容器上部)를 덮어서 재배(栽培)하는 것이 용기내(容器內) 자연발생(自然發生)하는 $C_2H_4$ 축적량(蓄積量)을 높여 콩나물의 비대촉진(肥大促進) 및 산정옥제(伸長抑制) 효과(效果)도 클 것으로 판단(判斷)된다.

  • PDF

다수성 병재배용 느타리 신품종 『만타리』의 균사배양 및 생육특성 (Mycelial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of a new high yield oyster mushroom variety,Mantari, for bottle culture)

  • 최종인;이윤혜;전대훈;권희민;지정현;신평균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90-93
    • /
    • 2016
  • 갓 조직이 탄력있고 다수성으로 수출 및 장기유통에 적합한 느타리버섯 신품종 "만타리"의 주요특성은 다음과 같다. 균사생장 적온은 $26{\sim}29^{\circ}C$이고 버섯발생온도는 $19^{\circ}C$, 버섯생육온도 $16^{\circ}C$로 '춘추2호'와 유사하였다. 병 재배시 배양기간은 32일, 초발이 소요일수는 4일, 생육일수는 3일로 총재배기간은 39일이 소요되었다. 갓직경은 30.2 mm이며, 갓색도(L)는 32로 진회색을 나타냈었다. 대는 직경 10.2 mm, 길이 92.7 mm로 가늘고 긴형태이며, 대색택은 회백색을 나타내었다. 수량은 생산력 검정시 900 ml병에서 179g을 나타내었다. 대의 물리성에서 있어 탄력성, 응집성, 씹음성, 깨짐성이 각각 96%, 76%, 160g, 15 kg을 나타내었다. DNA다형성을 비교 분석한 결과 UFPF3, UFPF7, UFPF7등의 primer에서 교배모본인 '춘추2호'와 'DM11732'의 DNA의 밴드가 혼합되어 있었으며 품종간, 균주간의 밴드 차이가 있었다. 저장기간에 따른 중량 감모율은 저온 저장시 7.8%, 상온 보관시 0.2% 이었으며, 신선도는 저온 저장시 6점, 상온 보관시 4점을 나타내어 대조품종인 '춘추2호'와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중고온성 병재배용 느타리 신품종 『흑타리』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new mid-high temperature adaptable oyster mushroom variety 『Heuktari』 for bottle culture)

  • 최종인;이윤혜;하태문;전대훈;지정현;신평균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74-78
    • /
    • 2015
  • 갓색이 진한 중고온성 병재배용 고품질버섯 '흑타리'의 주요특성은 다음과 같다. 균사생장적온은 $23{\sim}26^{\circ}C$이고 버섯발생 및 생육온도는 각각 $18{\sim}19^{\circ}C$로 중고온성을 나타내었다. 병재배시 배양기간은 30일, 초발이 소요일수는 4일, 생육일수는 5일로 총재배기간은 39일이 소요되었다. 갓크기는 35.2 mm이며, 갓색은 진회갈색을 나타냈다. 대직경 11.4 mm, 대길이 84.2 mm로 굵고 짧은형태이며, 대색은 백색을 나타내었다. 수량은 생산력검정시 900 cc병에서 180 g을 나타내었으며, 농가실증재배시 광주 226 g/1100cc, 양평 188 g/900 cc, 여주 241 g/1100 cc의 수량을 나타내었다. 대의 물리성에서 있어 탄력성, 응집성, 씹읍성, 깨집성이 각각 96%, 82%, 511g, 47 kg을 나타내었다. DNA다형성을 비교 분석한 결과 UFPF2, UFPF3, UFPF4등의 primer에서 교배모본인 'P11056'와 'MT07156'의 DNA의 밴드가 혼합되어 있었으며 품종간, 균주간의 밴드 차이가 있었다.

느타리버섯 신품종 '수타리'의 육성 및 특성 (Characteristics and breeding of a new variety 'Sootari' in Pleurotus ostreatus)

  • 이관우;김민자;전종옥;김익제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180-185
    • /
    • 2018
  • 느타리버섯 신품종 '수타리'의 균사생장 적정 온도는 $20{\sim}25^{\circ}C$이었으며 대조품종인 '곤지7호'의 균사생장 적온은 $26{\sim}29^{\circ}C$라고 보고되었으나(Choi et al., 2013) 본 연구에서는 $20{\sim}25^{\circ}C$에서 균사 생장이 활발했다. '수타리'의 발이 온도는 $18{\sim}19^{\circ}C$, 적정 생육온도는 $15{\sim}16^{\circ}C$로 '곤지 7호'와 비슷한 중온성 품종으로 나타났다. '수타리'는 배양 25일, 버섯 발생 4일, 생육 4일로 총 재배기간이 33일이었으며 '곤지7호'에 비해 재배기간이 2일 짧았다. '곤지7호'는 버섯 품질이 우수하여 가락동 도매시장에서 판매가격이 높으나 버섯 발생현상이 불균일하다(Jeoung et al., 2015). Jeoung에 따르면 '곤지7호' 품종을 $20^{\circ}C$에서 30일간 배양 후 버섯 발생특성 조사 결과 발이율은 100%였고, 측면 발생현상은 22.0%가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버섯 발생현상을 조사한 결과 '곤지7호'는 발이율 92.2%, 측면 발생현상 22.2%로 전체적인 버섯 발이율은 기존 연구에 비해 낮아졌지만 측면 발생현상은 비슷하였다. '수타리'의 발이율은 95.3%, 측면 발생현상은 10.1%로 '곤지7호' 대비 발이가 안정되고 균일한 양상을 나타냈다. '수타리'는 '곤지7호'와 비교하여 갓 두께가 두껍지만 대는 가늘고 짧은 형태를 띄었다. '수타리'의 갓색은 흑색으로 명도값(L) 29.1로 대조구 58.5에 비해 많이 진한 것으로 나타났다. 생산력 검정을 통해 수량을 측정한 결과 '수타리'의 병 당 평균 수량이 131.3 g으로 대조품종 비해 2% 증가되었다. 현재 느타리버섯 시장에서는 품질을 중요시하고 있다. 갓색이 흑색으로 진하고 대색이 순백색인 형태가 소비자와 시장의 선호도가 높다. 본 연구를 통해 육성된 '수타리'는 갓색이 진하여 시장의 요구에 부합되는 품종이다. 또한 재배농가에서는 버섯 발생 균일성, 다수성 품종을 요구하고 있다. '수타리'는 대조구 '곤지7호'에 비해 버섯 발생이 균일하고 안정되었으며 수량이 높았다.

고온성 흑갈색 팽이버섯 신품종 '여름향2호'의 육성 및 특성 (Characteristics and breeding of 'Yeoreumhyang2ho': a new blackish-brown variety of Flammulina velutipes that is adaptable to high temperature)

  • 김민자;이관우;장후봉;전종옥;김익제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192-197
    • /
    • 2018
  • 팽이버섯 신품종 '여름향2호'는 '갈뫼'와 우리원 육성품종 '흑향'으로부터 분리한 단포자를 교배함으로써 육성된 품종으로, 갓 색이 흑갈색을 나타내며, 고온성이면서 재배기간이 짧은 장점이 있다. $16^{\circ}C$ 고온에서 병재배 시 배양 기간은 24일, 초발이 소요일수는 8일, 생육일수는 8일로 총재배기간이 40일 소요되어 대조품종 '흑향'에 비해 3일 단축되었다. 특히 초발이 소요일수가 2일 단축되면서도 버섯 발생이 균일한 특성을 보였다. 수량은 850 ml(Ø59) 병 당 154 g으로 '흑향'에 비해 8% 증수되었다. 베타글루칸 함량은 67.89 g/100g으로'흑향', 시판 중인 황금팽이, 백색 팽이버섯에 비해서 1.1~2.2배 높았다.

Phellinus gilvus의 배양적 특성과 자실체 형성 (Cultural Characteristics and Fruitbody Formation of Phellinus gilvus)

  • 류영현;조우식;정기채;윤재탁;최부술
    • 한국균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6-10
    • /
    • 2000
  • 마른진흙버섯(Phellinus gilvs)은 진흙버섯속(Phellinus)에 속하는 버섯으로 본초도감에서는 비장강화, 위장활성 등의 약효가 있다고 한다. 온도별 배양결과 $30^{\circ}C$에서 69 mm/14일(PDA배지) $25^{\circ}C$에서는 42 mm/14일(PDA배지)로 나타났으며 배지별 시험에서는 PDA 배지와 MCM 배지에서 38 mm/14일, 34 mm/14일로 각각 나타났으며 $pH\;6{\sim}7$에서 균사생장이 가장 양호하였다. 참나무추출물배지에서는 24 mm/14일 정도였으나 소나무추출물배지에서는 2.7 mm/14일 정도로 참나무추출물배지에 비해서 매우 느렸다. 시험관을 이용한 톱밥배지 배양에서는 참나무톱밥+버드나무톱밥(5:5)과 참나무톱밥+버드나무톱밥+미강(4.5:4.5:1) 등에서 균사생장이 좋았다. 참나무원목에 접종한 결과 접종 60일 경과시 원목내 균사생장은 200 mm로 나타났으며 균사활착율은 100%였고 최초 발이 소요기간은 접종 후 90일 정도였다. 자실체 수량은 참나무원목에서 180 g, 소나무원목에서 29 g, 사과나무에서는 150 g 정도로 나타났으며 생체수율은 각각 24%, 9%, 15% 정도였다.

  • PDF

The Artificial Cultivation of Oudemansiella mucida on the Oak Sawdust Medium

  • Lee, Geon-Woo;Jaysinghe, Chandana;Imtiaj, Ahmed;Shim, Mi-Ja;Hur, Hyun;Lee, Min-Woong;Lee, Kyung-Rim;Kim, Seong-Hwan;Kim, Hye-Young;Lee, U-Youn;Lee, Tae-Soo
    • Mycobiology
    • /
    • 제35권4호
    • /
    • pp.226-229
    • /
    • 2007
  • To produce fruiting bodies of Oudemansiella mucida, porcelain fungus, on the oak sawdust medium, additives suitable for the mycelial growth and fruiting body formation were screened. In general, the mycelial growth of the three strains of O. mucida used in this study have been good on oak sawdust mixed rice bran of $20{\sim}30%$. The mycelia incubated in potato dextrose broth for 7 days were inoculated on oak sawdust medium supplemented with various ratios of rice bran and incubated for 30 days at $25^{\circ}C$ in the dark condition until the mycelia of O. mucida fully colonized the media from top to bottom. Then, top surface of the media in the bottles were horizontally scratched with a spatula and filled with tap water for 3 hours. To induce the primordial formation of O. mucida, the bottles were transferred to the mushroom cultivating room under 12 hrs of light (350 lux) and dark condition with relative humidity of 95% at $17^{\circ}C$. The primordia of O. mucida were formed on the surface of oak sawdust media after 7 days of incubation. The mature fruiting bodies were observed 5 days after primordial formation. The fruiting bodies O. mucida were formed on oak sawdust medium mixed with 5 to 30% rice bran. However, abundant fruiting-bodies of O. mucida were produced in oak sawdust medium supplemented with 20% rice bran. This is the first report associated with an artificial fruiting body production of O. mucida in Korea.

The Fruiting Body Formation of Oudemansiella radicata in the Sawdust of Oak (Quercus variabilis) Mixed with Rice Bran

  • Shim, Jae-Ouk;Chang, Kwang-Choon;Kim, Tae-Hyun;Lee, Youn-Su;Lee, U-Youn;Lee, Tae-Soo;Lee, Min-Woong
    • Mycobiology
    • /
    • 제34권1호
    • /
    • pp.30-33
    • /
    • 2006
  • To screen additives and their mixed ratio suitable for the mycelial growth and fruiting body formation of Oudemansiella radicata in the oak sawdust, additives such as rice bran, fermented soybean powder and wheat bran were used. Generally, the mycelial growth of O. radicata has been stable on oak sawdust mixed with rice bran of $5{\sim}20%$. In case that O. radicata was cultured for about 30 days at $22{\pm}1^{\circ}C$ under the illumination (350 lux) of 12 hours and moisture condition of $90{\pm}5%$, the primordia have been formed gradually from red-brown crusts covering the surface of oak sawdust media. Based on the experimental results from 9 strains of O. radicata, fruiting bodies were produced widely on oak sawdust medium mixed with rice bran of 5 to 30%. Even though fruiting bodies of O. radicata have been produced well on oak sawdust media mixed with rice bran, fruiting bodies of O. radicata were produced intensively on oak sawdust media mixed with rice bran of 10%. Therefore, this result will provide a basic information for commercial production of fruiting body of wild O. radicata. This result is the first report associated with an artificial fruiting body formation of O. radicata in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