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imary teeth dentin

검색결과 55건 처리시간 0.031초

유치와 영구치 상아질의 전처리 시간에 따른 표면 미세구조 변화와 글라스 아이오너머 수복재의 결합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DENTIN WITH VARIOUS PRETREATMENT APPLICATION TIME ON THE DENTIN SURFACE STRUCTURE AND THE BOND STRENGTH OF GLASS IONOMER RESTORATIVE MATERIALS)

  • 이창근;김용기;김종수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749-760
    • /
    • 1998
  •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dentin with various pretreatment application time on the dentin surface structure and the bond strength of glass ionomer restorative matrials between primary and permanent tooth. There are difference of composition, structure and pretreated effect of dentin conditioning between the primary and permanent teeth. Inspite of thease fact, we used the same application time of permanent tooth. This study intends to determine the most effective application time using SEM analysis of the surface change by dentin conditioning. Forty five intact primary and permanent teeth were splited mesiodistally with seperating diamond disk. Each eight specimens were prepared for shear bond strength test. (randomely devided eight group as follows:) group I conditioning for five seconds group II conditioning for ten seconds group III conditioning for fifteen seconds group IV conditioning for twenty seconds Additional specimens were prepared to SEM analysis. The result are as follows: 1. Primary teeth are higher shear bond strength in group I and group II. 2.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rimary and permanent teeth in group III and group IV. 3. In SEM analysis, smear layer removal by dentin pretreatment of primary teeth was faster than permanent teeth. Primary teeth may require shorter pretreatment time of dentin for G-I restoration than that of permanent teeth.

  • PDF

유치 상아질 산부식 후 습윤 정도에 따른 조직상 (A STUDY ON THE MICROSCOPIC IMAGES OF DENTIN SURFACES IN PRIMARY TEETH ACCORDING TO SURFACE WETNESS AFTER ACID ETCHING)

  • 오영준;정태성;김신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545-553
    • /
    • 2003
  • 상아질 접착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적절히 습윤한 상아질 표면을 얻는 것이 중요하다. 이런 방법에는 정확한 지침이 없으며, 주관적이고 술자에 따라 많은 차이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적절히 습윤한 상아질을 얻는 방법에 관한 연구의 일환으로, 유치의 산부식 후. 여러 가지 방법을 이용해 상아질을 건조시킨 표본의 조직상을 획득하여 상아질 표면의 차이를 비교하고자 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유치 상아질을 산부식하면, 도말층이 제거되고 상아세관이 노출되며, 관간상아질과 관주상아질이 탈회되고, 교원섬유가 풍부한 이행층이 노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2. 산부식된 상아질이 과도하게 건조되면 탈회된 상아질이 수축하여, 관간상아질이 붕괴되어 높이가 점차적으로 낮아지고 상아세관의 직경은 조금씩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유치 산부식 후, 10cm 거리에서 20초 동안 압축 공기로 건조시키면 상아질이 과도하게 건조, 탈수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4. 유치 산부식 후, 10cm 거리에서 3초 동안 압축 공기로 건조시키거나 마른 cotton, 젖은 cotton, microbrush, absorbent tissue paper로 건조시키면 상아질이 적절하게 건조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Er:YAG 레이저의 법랑질 및 상아질의 삭제효과 비교 (ANALYSIS OF ER:YAG LASER IRRADIATION ON CUTTING EFFICACY OF ENAMEL AND DENTIN)

  • 홍성수;이상호;이창섭;김수관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728-734
    • /
    • 2001
  • Er:YAG 레이저의 유치와 영구치에서의 법랑질 및 상아질 삭제효과를 비교, 평가하고자 발거된 유치와 영구치를 대상으로 상아세관 내 조직액과 치수 내압을 유지할 수 있는 치아 시편을 제작하고 Er:YAG 레이저를 비접촉식 방법으로 조사세기, pulse repetition rate 등의 조사조건을 달리하여 치면에 조사하고 이때의 치아 삭제량을 비접촉식 삼차원 표면형상 측정기로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레이저 조사세기와 pulse repetition rate가 클수록 치아 삭제량이 증가되었다. 2. 유치에서의 삭제량이 법랑질과 상아질 공히 영구치에비해 컸다. 3. 상아질에서의 삭제량이 유치와 영구치 모두 법랑질에서의 삭제량보다 컸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Er:YAG레이저는 영구치보다는 유치에서 그리고 법랑질에서보다는 상아질에서 삭제효과가 더 큰 것으로 사료되었다.

  • PDF

유치와 영구치에서 치과용 접착제의 전단결합강도 (THE SHEAR BOND STRENGTH OF DENTAL ADHESIVES ON PRIMARY AND PERMANENT TEETH)

  • 최진영;최남기;박영준;최충호;양규호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579-589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최근에 개발된 치과용 접착제를 대상으로 유치와 영구치의 법랑질과 상아질에 대한 결합력을 비교 평가하여 임상에서 상아질 접착제를 적절하게 선택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시행하였다. 실험재료로 Adper Scotchbond Multi-purpose Plus Adhesive (SM; 3M ESPE, USA), Adper Single bond 2 (SB; 3M ESPE, USA), Clearfil SE Bond (SE; Kuraray Medical Inc., Japan), Adper Prompt L-Pop (PL; 3M ESPE, USA), G-Bond (GB; GC Cooperation Toyko, Japan)를 이용하여 전단결합강도를 평가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유치 법랑질에서 전단결합강도는 SM이 $28.47{\pm}7.93\;MPa$로 가장 높았고 SB ($28.18{\pm}6.84$), PL ($24.02{\pm}6.14$), SE ($21.70{\pm}6.56$), GB ($17.70{\pm}6.68$) 순이었다. SM과 SB는 SE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결합강도를 보였으며, SM, SB, PL은 GB보다 높았다(p<0.05). 2. 유치 상아질에서 전단결합강도는 SE가 $28.72{\pm}14.44MPa$로 가장 높았고, PL ($20.10{\pm}6.13$), SM ($17.72{\pm}10.65$), SB ($15.48{\pm}2.66$), GB ($10.10{\pm}5.45$) 순이었으며 SE와 GB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 다른 군들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3. 영구치 법랑질에서의 전단결합강도는 SB가 $28.36{\pm}5.68\;MPa$로 가장 높았고 SM ($22.77{\pm}4.63$), PL ($22.05{\pm}6.57$), SE ($21.74{\pm}4.62$), GB ($15.60{\pm}6.75$)순이었다. SB는 다른 접착제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결합력을 나타냈으며, GB는 가장 낮은 결합력을 보였다(p<0.05). 4. 영구치 상아질에서의 전단결합강도는 SM이 $28.22{\pm}5.56\;MPa$로 가장 높았고, SB ($21.68{\pm}7.44$), SE ($20.13{\pm}9.88$), GB ($14.30{\pm}6.81$), PL ($14.18{\pm}5.88$)순이었으며, SM은 PL, GB와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5. 유치의 법랑질과 상아질 간에는 SM, SB, GB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영구치 법랑질과 상아질 간에는 PL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6. 유치 법랑질과 영구치 법랑질 간에는 모든 접착제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유치 상아질과 영구치 상아질 간에는 SM과 SB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 PDF

상아질 접착제를 사용한 광중합 복합레진과 Glass Ionomer Cement의 전단 결합력에 관한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FOR SHEAR BOND STRENGTH OF COMPOISTE RESIN USING SEVERAL DENTIN BONDING AGENTS AND LIGHT CURED GLASS IONOMER CEMENT)

  • 권병렬;이제호;최형준;이종갑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450-460
    • /
    • 199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shear bond strength of composite resin using several dentin bonding agents and light cured glass ionomer cement(Fuji II LC). 40 Bovine primary anterior teeth were used for this experiment. Labial surface of teeth were flattened. It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Each group was composed of 10 teeth. The material used for this experiment were Scotchbond Multipurpose-Z-100, Allbond 2-Aelitefil, Gluma-Pekalux, light cured glass ionomer cement(Fuji II LC). Each of the materials was applied to the exposed surfaces of 10 teeth by insertion into a cylindrical shaped matrix which is 3mm diameter and 3mm in height. The completed specimens were stored at $37^{\circ}C$ under 100% humidity for 24 hours : the shear bond strength of each material to dentin surface were measured with INSTRON universal testing machin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Shear bond strength to dentin surface increased in order of light cured glass ionomer cement(Fuji II LC), Gluma, Allbond 2, Scotchbond Multipurpose. 2. Between shear bond strength of light cured glass ionomer cement(Fuji II LC) and Allbond 2, there was statistical significace(p<0.05) 3. Between shear bond strength of light cured glass ionomer cement(Fuji II LC) and Scotchbond Multipurpose, between shear bond strength of Gluma and Scotchbond Multipurpose, there was statistical significance.(p<0.01) The shear bond strength of dentin bonding agents were higher than light cured glass ionomer cement. The reason is that materials and quality of dentin bonding agent were enhanced. Further investigation is necessary to improve shear bond strength of light cured glass ionomer cement.

  • PDF

유치 상아질에 대한 수종의 상아질 결합제의 전단결합강도에 대한 연구 (THE STUDY ON SHEAR BOND STRENGTH OF VARIOUS DENTIN BONDING SYSTEMS IN PRIMARY DENTIN)

  • 강선희;이광희;김대업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293-299
    • /
    • 2005
  • 소아환자의 수복치료에서 시술시간과 시술과정을 줄이는 것은 중요한 점이다. 복합레진은 물성의 증가로 영구치, 유치 전치부 심미수복재로써 뿐만 아니라 구치부 수복에도 많이 쓰이고 있다. 최근에 개발된 7세대 상아질 결합제는 기존의 복합레진을 치면에 부착하기 위해 필요했던 산부식, 프라이밍, 접착제 도포의 복잡한 과정을 한번의 처리로 단순화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유치 상아질에서 7세대 상아질 결합제의 결합력을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여러 결합제의 결합력과 비교하였다. 1, 2, 3, 4군은 각각 4, 5, 6, 7세대 상아질 결합제를 사용하였다. 유치 상아질을 노출시키고 군에 따라 상아질 면을 처리한 후에 직경 2.5mm, 높이 2.0mm의 주형을 이용하여 복합레진을 접착시키고 열순환을 시행한 다음 전단결합강도를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5세대 상아질 결합제인 Clearfil SE Bond가 가장 높은 전단결합강도인 $27.87{\pm}5.33\;MPa$를 보였다. 이것은 4, 6, 7세대와 비교했을 때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였다. 2. 4세대 상아질 결합제의 전단결합강토는 $20.11{\pm}5.73\;MPa$로 6, 7세대보다는 약간 높게 나타났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3. 6, 7세대 상아질 결합제의 전단결합강도는 유사하게 나타났다.

  • PDF

수종의 상아질 결합체의 전단강도 및 결합부의 형태에 관한 비교연구 (THE COMPARATIVE STUDY ON THE SHEARBOND STRENGTH AND THE MORPHOLOGY OF RESIN-DENTIN INTERFACE BONDED BY SEVERAL DENTINAL BONDING SYSTEM)

  • 김윤철;김용기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867-886
    • /
    • 199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shearbond strength and resin-dentin interface of three different dentinal bonding systems in primary and permanent teeth. Thirty extracted human primary molars and premolars, which were non-carious and free of obvious defect,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All specimens were divided into six groups with two groups allocated for each of the three dentinal bonding system(All-bond 2, Scotchbond Multi-Purpose, Gluma bonding system). After completion of bonding composite to dentin using each tested dentin bonding system, bond strength measurement and histological observation were perform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All-bond 2 and Scotchbond Multi-Purpose, A good quality hybrid layer was identified, the morphology of which could be equated with the zone of H-E and Brown-Brenn staining. In Gluma bonding system, hybrid layer was very thin, and separated from the solid polymer. 2. All-bond 2 had the highest mean shearbond strength, followed by Scotchbond Multi-Purpose and Gluma bonding system in both primary and permanent teeth.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All-bond 2 and Scotchbond Multi-Purpos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could be found between Gluma bonding system and the other two groups(p<0.05). 3. The fracture patterns observed were mainly the mixture of adhesive failure and dentin dettachment pattern in All-bond 2 and Scotchbond Multi-Purpose while adhesive failure prevailed in Gluma bonding system.

  • PDF

Shell teeth 환자의 전신마취 하 치과치료 : 증례보고 (DENTAL TREATMENT OF SHELL TEETH UNDER GENERAL ANESTHESIA: A CASE REPORT)

  • 장은정;이형직;김지연;정태성
    • 대한장애인치과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31-35
    • /
    • 2018
  • 부산대학교 치과병원 소아치과에 내원한 Shell teeth에 이환된 소아 환자를 전신마취 하에 치료하였다. 임상검사시 다수 치아의 치관 파괴와 치수 노출 및 상악 유전치 잔존치근이 관찰되었다. 방사선검사상 전반적인 유치열에서 정상보다 큰 크기의 치수강과 넓은 치근관 및 얇은 경조직 층이 존재했으며 발생중인 영구치 치배의 형태이상이 관찰되었다. 환자의 언니와 아버지를 포함한 부계 가족 구성원 일부에서 상아질형성부전증 병력이 조사되었다. 치료시 수복이 불가능한 치아는 발거하였고 보존 가능한 치아는 치수치료 및 기성금속관, 복합레진 수복치료를 시행하였다. 치료 결과 환자의 통증이 감소하였고 저작능력이 회복되었다. 주기적인 내원 및 경과관찰이 요구된다.

유치에 대한 3-in-1 유동성 복합레진의 전단결합강도 (Shear Bond Strength of a 3-in-1 Flowable Composite Resin to Primary Teeth)

  • 이형직;신종현;김지연;정태성;김신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5권4호
    • /
    • pp.436-444
    • /
    • 2018
  • 이 연구의 목적은 최근 새로 소개된 3-in-1 자가부식, 자가접착 유동성 복합레진의 유치 법랑질과 상아질에 대한 결합력을 기존의 접착 시스템들과 비교 평가하기 위함이다. 110개의 발치된 건전한 유전치를 상아질과 법랑질, 그리고 접착 시스템에 따라 11개의 군으로 나눴다. 연구재료로 Scotchbond Multi-Purpose Plus, Single bond 2, Clearfil SE Bond, All-Bond Universal, Constic을 사용하여 전단결합강도를 평가하였다. 3-in-1 자가부식, 자가접착 유동성 복합레진은 상아질과 법랑질 연구에서 모두 가장 낮은 전단결합강도를 나타냈지만 몇몇 접착 시스템과는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아 유치 수복에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나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여겨진다.

한 단계 자가부식 접착제를 이용한 복합레진 수복 시 타액오염 후 처치 방법에 따른 미세인장강도 비교 (Effect of Saliva Decontamination on Bond Strength of 1-step Self-etching Adhesives to Dentin of Primary Posterior Teeth)

  • 이준희;김신;정태성;신종현;이은경;김지연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6권3호
    • /
    • pp.274-282
    • /
    • 2019
  • 이 연구의 목적은 유치에서 한 단계 자가부식 접착제를 이용한 레진수복 시 타액오염 후 처치과정에 따른 미세인장강도를 비교하는 것이다. 건전한 유구치를 접착제 사용에 따라 각각 $Scotchbond^{TM}$ Universal Adhesive (SBU), All-Bond $Universal^{(R)}$ (ABU), and $Tetric^{(R)}$ N Bond Universal (TBU)의 3 그룹으로 나누어 무작위로 분배하였다. 각 그룹은 접착제 도포 후 처치과정에 따라 7가지 하위분류로 나누었다. Subgroup I은 대조군으로써, 타액오염 없이 제조사 권고사항에 따라 접착제를 적용하였다. Subgroup II - IV는 접착제 광중합 전에 타액오염을 시행하였고, subgroup V - VII는 접착제 광중합 후에 타액오염을 시행하였다. 그 후 subgroup II, V는 건조, subgroup III, IV는 수세 후 건조, subgroup IV, VII는 수세 후 건조, 그리고 접착제 재도포를 시행하였다. SBU와 ABU에서 subgroup I, IV, VII의 미세인장강도가 subgroup II, III, V, VI의 미세인장강도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TBU에서 subgroup I, IV의 미세인장강도가 subgroup II, III, V, VI의 미세인장강도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이 연구 결과, 임상가는 한 단계 자가부식 접착제를 이용한 레진 수복 시 타액과 수분의 오염으로부터 철저하게 격리를 지켜야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타액오염이 발생하였다면, 수세 및 건조 후 접착제를 재도포할 것을 권장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