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imary central incisor

검색결과 56건 처리시간 0.026초

H 병원 치과응급실에 내원한 치아 외상 환자에 대한 임상적 고찰 (Dental trauma patients visiting the emergency room in H hospital)

  • 안소연;김아현;심연수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3권5호
    • /
    • pp.819-826
    • /
    • 2013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types of dental emergencies. This study was carried out for dental trauma patients visiting the emergency room in H hospital from 2005 to 2006. Methods : Subjects were 252 patient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consisted of age, gender, dentition, and dental related injury. Results : Male patients had 1.65 times higher tooth injury than female. Teenagers had higher prevalence of tooth injury. Main cause of dental injury was falling down. Young children accounted for 41.7% of the injuries. Late evening was the highest outbreak time of injury. The most commonly affected teeth were central incisor and lateral incisor. The damage of oral soft tissue was more common than the that of alveolar bone. Main area of primary tooth loss was gingiva(10.7%), tongue or soft palate(7.5%), and frenulum(6.0%). Subluxation(28.6%) and luxation(28.6%) were main cause for the primary teeth. Tooth fracture(50.0%) were the most common injury. Conclusions : Thus, to understand the incidence, causes and patterns of dental trauma is to help preserving natural teeth.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provide the clinical guidelines on the treatment of dental emergency patients.

유전치 기성 크라운의 형태 및 치질 삭제량 비교 (Comparison of Crown Shape and Amount of Tooth Reduction for Primary Anterior Prefabricated Crowns)

  • 김소영;임유진;이상호;이난영;지명관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6권1호
    • /
    • pp.64-75
    • /
    • 2019
  • 이 연구의 목적은 임상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3종의 기성 크라운 즉, 레진관, 레진피복 금속관, 지르코니아 크라운의 크기와 형태를 3차원적으로 계측하여 자연치와 비교함으로써 기성 크라운의 크기 선택과 치질 삭제량에 대한 지침을 얻고자 하는데 있다. 300개의 유전치 석고모델과 3종의 기성 크라운을 대상으로 3D 스캐너와 컴퓨터 이미지 프로그램으로 3차원적 모델을 만들었다. 3차원 모델에서 치관의 근원심 너비, 치관 높이, 치관 ratio, 순면의 곡률반경 등 4가지 평가 척도에 의해 각 기성 크라운별로 한국인 자연치 표준모형과 가장 유사한 형태를 고르고 이를 기준으로 치질 삭제량을 비교, 평가하였다. 유중절치의 경우 기성 크라운별로 레진피복 금속관은 2번, 지르코니아 크라운은 1번, 레진관은 2번이, 유측절치의 경우 레진피복 금속관은 3번, 지르코니아 크라운은 2번, 레진관은 3번이 가장 유사한 형태를 보였다. 치아 삭제량은 상악 유중절치와 유측절치에서 같은 양상을 보였다. 절단연에서는 지르코니아 크라운의 삭제량이 가장 컸다. 인접면은 지르코니아 크라운과 레진관이 비슷한 삭제량을 보였으며 레진피복 금속관에 비해서 컸다. 순면 역시 지르코니아 크라운이 유중절치와 유측절치에서 삭제량이 가장 컸다. 설면의 경우 순면에 비해 전체적으로 삭제량이 적었으며 3종류의 기성 크라운 간에 삭제량 차이도 크지 않았다. 크라운의 형태를 비교하기 위한 4가지 평가 척도 중 치관의 근원심 너비가 기성 크라운의 크기를 선택하는데 가장 중요한 척도로 나타났다.

유치의 치근단 병소에 의해 변위된 영구치의 자발적 맹출 (THE SPONTANEOUS ERUPTION OF DISPLACED PERMANENT TOOTH BY PERIAPICAL LESION OF PRIMARY TEETH)

  • 강동균;양승덕;김태완;김현정;김영진;남순현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329-334
    • /
    • 2007
  • 유치의 치수감염은 주로 치아우식증이나 외상에 의해 발생한다. 유치의 치수 감염을 적절히 치료하지 않으면, 계승영구치의 법랑질 형성 부전이나 매복, 치배의 위치 변화, 치근 만곡 등의 합병증을 초래한다. 유치의 치근단 병소에 의한 계승영구치는 여러 방향으로 변위가 가능하다. 변위된 계승영구치의 치료법으로는 유치 발거 후 주기적 관찰, 외과적인 노출, 교정적 견인, 치아이식, 영구치의 발거 등이 있다. 본 증례들에서는 초진시 임상적 및 방사선학적 검사 결과, 유전치의 치근단 병소에 의해 변위된 영구치 치배가 관찰되었다. 변위 정도와 치근 발육 정도, 맹출 방향 등을 고려하여 유치 발거 후 변위된 영구치의 자발적 맹출 유도를 기대하였다. 두 증례에서 유치의 발거 후 주기적 관찰만으로 변위된 영구치의 자발적 맹출의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 PDF

특발성 치은 섬유종증에 의한 상악 측절치의 변위 (DISPLACEMENT OF MAXILLARY LATERAL INCISOR CAUSED BY IDIOPATHIC GINGIVAL FIBROMATOSIS)

  • 정지숙;박호원;이주현;서현우;이석근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296-302
    • /
    • 2011
  • 특발성 치은 섬유종증은 드물게 나타나는 질환으로 외과적 제거 후에도 쉽게 재발될 수 있다. 이 질환은 보통 전반적인 양상으로 양측성으로 나타나고, 때때로 국소적인 양상으로 편측성으로 나타나기도 하며, 국소적인 양상일 경우 보통 상악구치 부나상악 결절 부위에 나타난다. 이 질환으로 인해 치아 변위, 부정 교합, 저작, 발음, 심미적인 문제 등이 발생할 수 있다. 5세 남아가 상악 우측 유측절치 부위의 치은 비대를 주소로 내원하였고, 9세경에 재내원 시 상악 우측 측절치의 심한 변위가 관찰되었다. 본 환아는 이 질환에 연관된 어떠한 의과적 병력 및 가족력이 없었으며, 임상적, 조직병리학적 검사 결과 특발성 치은 섬유종증으로 진단되었다. 교정적인 방법으로 변위된 치아를 재배열시키기 위해 상악 우측 중절치와변위된상악 우측 측절치 부위의 과증식된섬유성 조직을 외과적으로 제거하였다. 이 질환의 유전적 특성을 알기 위해 제거된 조직을 간단한 면역조직화학 배열법을 사용해 평가하였다. 평가 결과 병소 조직의 각질세포, 섬유모세포, 내피세포, 대식세포 내에 CTGF, HSP-70, MMP-1, PCNA, CMG2, TNF-${\alpha}$의 증가된 발현이 관찰되었다. 따라서 치은 섬유종증은 치은 조직의 섬유 상피성 증식과 염증 반응에 의한 CTGF, HSP-70, MMP-1, PCNA, CMG2, TNF-${\alpha}$의 수반하는 과발현에 의해 발생되었다.

선천성(先天性) 치아(齒牙) 결손증(缺損症) 1례(一例) 증례보고(症例報告) (OLIGODONTIA Report of case.)

  • 이종갑;최선옥;손흥규;허만욱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41-45
    • /
    • 1980
  • The term "Oligodontia" or "Hypodontia" have been used to describe variable degrees of reduction in number of teeth. Oligodontia may occur alone or as a result of some syndrome. Although the teeth are derived in part from ectoderm, the current opinion of reason of oligodontia should be reserved for those disorders in which there is abnormal development of one or more ectodermal tissues. 7 year 5 months old female was refered to the department of pedodontics, college of dentistry Yonsei university for evaluation and replacement of absent teeth. She had no special inf.ectious disease in her childhood, and her parents were healthy. She had no special syndrome of ectodermal disorders except the saddle nose, yellow and fine hair, and notched upper anterior central incisor. Panex radiogram was showing 6 anterior primary teeth, 2 permanent first molars and 2 unerupted first bicuspid in mandible. Another permanent teeth were absent. and normal number of primary and permanent teeth in maxilla. Lateral cephalogram showed no special abnormality in growth pattern. We had evaluated lower anterior decayed teeth with jacket resin and chrome steel crown and removable partial denture at missing area. We had got good results for rehabilitation of function and aesthetic.

  • PDF

Transitional implant를 이용한 임시수복과 최종 수복 (CLINICAL APPLICATION OF TRANSITIONAL IMPLANTS)

  • 김유리;민승기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27권6호
    • /
    • pp.575-580
    • /
    • 2005
  • Transitional implants were developed to support provisional restorations and to allow for load-free osseointegration of conventional implants while a patient was provided with immediate esthetics and function and are usually placed simultaneously at the time of definitive implant placement. Transitional implants are placed in a non-submerged fashion in a single-stage surgery and are designed to be immediately loaded. They generally are made of commercially pure titanium or titanium alloy and are designed as 1-piece implants composed of root and crown replacement segments. Transitional implants can be used in a wide range of indications, such as basic use as temporary implant, to support and protect the primary implants during the healing phase, single crown in the edentulous anterior region of mandibular, anchorage for orthodontic treatment, support a surgical and radiographic template, and primary implant to extremely atrophied alveolar crests of the mandible and maxilla. This article describes the clinical use of transitional implants to support the provisional complete denture and single crown in the restricted edenturous central incisor region of mandible.

분광광도계를 이용한 상악 유중절치의 부위에 따른 색조 분포 연구 (Color Distribution Analysis of Maxillary Primary Central Incisors using a Spectrophotometer)

  • 이석순;장지혜;이대우;양연미;김재곤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6권1호
    • /
    • pp.93-100
    • /
    • 2019
  • 이 연구의 목적은 상악 유중절치를 절단, 중간, 치경부로 나누어 각 부위의 색조 분포 및 각 부위 색조 사이의 관계를 분석하는 것이었다. 3세에서 6세 어린이의 건전한 상악 유중절치의 색조를 분광광도계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CIE $L^*$, $a^*$, $b^*$, $C^*$, $h^*$ 및 이에 가장 잘 맞는 shade가 각 부위와 전체 순면에 대해 얻어졌다. 각 부위 및 전체 순면에 대해 CIE $L^*$, $a^*$, $b^*$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p < 0.05) 각 부위 사이의 색조 차이는 임상 허용의 한계치 보다 컸다. 각 부위의 색조 사이의 관계를 $L^*$, $a^*$, $b^*$ 값 사이의 관계로 정리하면 한 부위의 색조로 다른 부위의 색조를 예상하거나 유치의 색조에 더 잘 부합하는 수복 재료 및 보철물을 제작하기 위한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하악에 발생한 과잉치의 치험례 (A CASE OF SUPERNUMERARY TEETH IN THE MANDIBULAR INCISOR REGION :)

  • 박정아;최남기;김선미;장희숙;양규호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644-648
    • /
    • 2005
  • 과잉치는 정상치판(dental lamina)의 과도한 증식의 결과로 발생되어 가족적 성향을 보이며, 쇄골두개이형성(Cleidocranial dysplasia), Gardner 증후군 등의 여러 질환과 관련되어 나타나기도 한다. 그 빈도는 유치열에서 $0.3{\sim}0.8%$, 영구치열에서 $1.0{\sim}3.5%$이고, 남성에서 호발되며(2 : 1), 상악에서 더 많이 발생한다(9 : 1). 상악에서는 mesiodens라고 불리는 중절치 사이의 위치가 가장 흔한 부위이고, 그 다음은 fourth molar와 측절치 부위이다. 하악에서는 소구치 부위가 가장 흔한 부위이고 전치부위에서는 약 2%로 매우 드물게 발생한다. 과잉치의 만기 잔존은 치간 이개, 인접한 치아의 맹출 장애, 치근 흡수 등을 야기하고 과잉치와 관련되어 함치성 낭종이 발생될 수 있으므로 조기진단과 적절한 치료가 중요하다. 본 두 증례는 비교적 드물게 나타나는 하악에 발생한 과잉치로, 하악 전치부와 소구치부에 발생한 과잉치를 발거하고 교정치료를 시행하여 양호한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 PDF

심미적 영역에서 즉시 임플란트 식립 및 임시 수복을 통한 단일치의 수복에 대한 증례 보고 (Immediate implant placement and provisionalization of single implant in the esthetic region : Cases report)

  • 이성배;박유선;김병헌;이보아;최성호;김영택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58권2호
    • /
    • pp.83-92
    • /
    • 2020
  • In the anterior maxillary area, dental implants for tooth replacement are challenging due to the need to satisfy high esthetic level as well as functionality. Immediate implant placement and provisionalization can dramatically reduce the edentulous period, and then fulfill patient's demand for esthetics. The aim of present case report is to demonstrate two cases that successfully restored single tooth with immediate implant placement and provisionalization in the anterior maxillary area. A 47 years old female was scheduled to replace her maxillary right central incisor due to crown-root fracture by trauma. Another 54-year-old female was planned to place dental implant following tooth extraction of maxillary right lateral incisor owing to continuous pus discharge despite repetitive treatments including apicoectomy. In these two cases, surgical and prosthetic procedures progressed in a similar way. After minimal flap elevation, atraumatic tooth extraction was performed. Implant was placed in proper 3-dimensional position and angulation with primary stability. Bone graft or guided bone regeneration for peri-implant bone defect was conducted simultaneously. Provisionalization without occlusal loading was carried out at the same day. Each definitive crown was delivered at 7 and 5 months after the surgery. Two cases have been followed uneventfully for 2 to 5 years of loading time. In conclusion, Immediate implant placement and provisionalization could lead to esthetic outcome for single tooth replacement with dental implant under proper case selection.

  • PDF

유치와 후속 영구치 근원심 폭경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RRELATIONS BETWEEN MESIODISTAL CROWN DIAMETERS OF THE DECIDUOUS AND SUCCESSIONAL PERMANENT TEETH)

  • 이두희;정규림;이기수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341-352
    • /
    • 1985
  • The primary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stimate of the mesiodistal crown diameters of the unerupted permanent successors derived from the mesiodistal crown diameters of the deciduous teeth in Korean population. The subjects were 54 individuals (twenty nine boys and twenty five girls) with normal occlusion aged 6 to 13 years. The mesiodistal crown diameters of the deciduous and the successional permanent teeth were measured from the longitudinal dental cast models using the sliding calipers (Mitutoyo Co.). From the study,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Sex differences of mesiodistal won diameters were less in the deciduous teeth, but male were more than that of female in the successional permanent teeth. 2. The mesiodistal crown diameters of the deciduous central incisors, lateral incisors, canines were smaller than that of the successional permanent teeth and the deciduous 1st molars, and 2nd molars were more larger than that of the successional permanent teeth. 3. Size differences between sum of the mesiodistal crown diameters of central incisors and lateral incisors in the decidous teeth and the successional permanent teeth were $7.20{\pm}1.79mm$ in upper, $5.38{\pm}1.64mm$ in lower and that of canine,1st molar and 2nd molar in the deciduous teeth and the successional permanent teeth were $0.56{\pm}1.19mm$ in upper, $2.22{\pm}1.19mm$ in lower. 4. In male,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the upper deciduous central incisor and the successional permanent tooth (r = 0.57) and in female,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the upper deciduous 1st molar and the successional permanent tooth (r=0.67) appeared the highest. 5. The regression constants were determined to estimate the mesiodistal crown diameters of the unerupted successional permanent teeth.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