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imary angioplasty

검색결과 35건 처리시간 0.025초

원발성 폐동맥 육종 (Primary Pulmonary Artery Sarcoma A Case Report -A Case Report-)

  • 김성완;구본원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0권10호
    • /
    • pp.1036-1039
    • /
    • 1997
  • 원발성 폐동맥 육종은 드물며, 흔히 폐동맥 색전증으로 오진하기 쉽다. 예후는 매우 좋지않아서 치료하지 않았을 때의 생존율이 약 1.5개월이며,수술후에도 생존율을 일년정도까지 연장할 수있다. 본 교실에서는 원발성 폐동맥 육종을 1례 치험하였기에 보고하고자 한다. 환자는 55세 여자로 주증상은 호흡곤란, 우측흉통, 및 객혈이었다. 술전 흉부 전산화단층촬영상 폐동맥 색전증과 유사한 종괴음영을 나타내었다. 수술은 부분 체외순환하에 폐동맥 성형술과 우측전폐 절제술이 시행되었다. 술후 조직학적 진단은 미분화 육종이었고, 증상은 다소 호전되었으나 술후 3개월에 원인 미상으로 사망하였다.

  • PDF

경피적 관상동맥 성형술의 성공율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에 대한 고찰 (Determinants of Successful Percutaneous Transluminal Coronary Angioplasty)

  • 최교원;권준영;김영진;이태일;신동구;김영조;심봉섭;이현우;이삼범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11권2호
    • /
    • pp.230-239
    • /
    • 1994
  • 경피적 관상동맥 성형술의 성공율과 그에 영향을 주는 인자들을 알아보기 위하여 1992년 9월부터 1993년 8월까지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에 입원하여 급성 심근경색증, 불안정형 협심증, 안정형 협심증, 경색후 협심증으로 진단된 172개소의 협착병소를 대상으로 하여 경피적 관상동맥 조영술 및 성형술을 시행하였다. 임상적 변수들로 나이, 성별, 협심증기간, 심혈관 위험인자, 임상적 진단명으로 구분하였고, 협착병변의 특정 및 술기적 변수들로는 American Heart Association/American College of Cardiology에 따른 분류, 병변혈관의 위치, 협착병소의 길이, 석회화 유무 그리고 팽창압력과 팽창시간들로 구분하였고 성공군과 실패군에서 각각의 혈관탄성반도를 구하였다. 관상동맥 성형술의 전체성공율은 87.2%이고 성별로는 여성이 93.5%로 남성보다 높았으며 임상적 진단에 따라서는 안정형 협심증이 93.7%로 가장 높았고 경색후 협심증이 77.7%로 가장 낮았다. 협착부위의 소견중 45도 이상 굴곡된 병변과 혈전이 있는 병변에서 성공율이 낮았고 성공군과 실패군의 비교에서 관상동맥 성형술 전의 지름 협착율, 혈관탄성반도, 그리고 병변의 길이가 실패군에서 유의하게 크게 나왔다(p<0.05). American Heart Association/American College of Cardiology 분류에서는 C형에서, 단일 혈관 질환보다는 다혈관 질환에서 성공율이 낮았고 그외 관상동맥 성형술전에 혈전용해 요법을 시행했을 때가 관상동맥 성형술만을 시행했을 때보다 성공률이 높았다. 결론적으로 관상동맥 성형술의 성공율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로는 다혈관 질환, 45도 이상 굴곡된 병소, 혈전이 동반된 병소, Type C인 병소(p<0.05), 협착정도(p<0.05), 혈관탄성반도(p<0.05), 협착길이 (p<0.05)로 보이며 앞으로 더 많은 례에서의 연구, 검토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Preliminary Experience of Neuroform Atlas Stenting as a Rescue Treatment after Failure of Mechanical Thrombectomy Caused by Residual Intracranial Atherosclerotic Stenosis

  • Yi, Ho Jun;Sung, Jae Hoon;Lee, Dong Hoon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64권2호
    • /
    • pp.198-206
    • /
    • 2021
  • Objective : The low-profile Neuroform Atlas stent can be deployed directly without an exchange maneuver by navigating into the Gateway balloon. This retrospective study assessed the safety and efficacy of Neuroform Atlas stenting as a rescue treatment after failure of mechanical thrombetomy (MT) for large artery occlusion. Methods : Between June 2018 and December 2019, a total of 31 patients underwent Neuroform Atlas stenting with prior Gateway balloon angioplasty after failure of conventional MT caused by residual intracranial atherosclerotic stenosis (ICAS). Primary outcomes were successful recanalization and patency of the vessel 24 hours after intervention. Secondary outcomes were vessel patency after 14 days and 3-month modified Rankin Scale. Peri-procedural complications, intracerebral hemorrhage (ICH), and 3-month mortality were reviewed. Results : With a 100% of successful recanalization, median value of stenosis was reduced from 79.0% to 23.5%. Twenty-eight patients (90.3%) showed tolerable vessel patency after 14 days. New infarctions occurred in three patients (9.7%) over a period of 14 days; two patient (6.5%) underwent stent occlusion at 24 hours, and the other patient (3.2%) with delayed stent occlusion had a non-symptomatic dot infarct. There were no peri-procedural complications. Two patients (6.5%) developed an ICH immediately after the procedure with one of them is symptomatic. Conclusion : Neuroform Atlas stenting seems to be an effective and safe rescue treatment modality for failed MT with residual ICAS, by its high successful recanalization rate with tolerable patency, and low peri-procedural complication rate. Further multicenter and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are needed to confirm our findings.

하지동맥 질환의 인터벤션: 전반적 치료 계획 수립 (General Treatment Strategy for Intervention in Lower Extremity Arterial Disease)

  • 원제환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2권3호
    • /
    • pp.500-511
    • /
    • 2021
  • 하지동맥 질환의 유병률은 고연령 군에서 증가한다. 최근의 기술적 진보로 혈관 내 치료가 점점 더 많은 빈도로 시행되고 있다. 간헐적 파행의 치료 목표는 보행 능력을 향상시키고 증상을 완화시키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해부학적 내구성을 높이는 것이 중요한 전략이며 개통률이 치료 평가 기준이 된다. 임계 하지허혈을 가진 환자에서는 병변이 광범위하고 특히 무릎아래동맥을 심하게 침범한다. 임계 하지허혈의 치료 목적은 상처 회복을 촉진하고 주요 절단을 예방하는데 있으며 사지 보존율이 평가의 기준이 된다. 장골동맥 협착의 치료에는 피복 혹은 비피복 스텐트 삽입술이 일차적 치료로 인정된다. 대퇴슬와동맥 질환은 죽종제거술과 함께 약물방출풍선 및 스텐트가 자주 사용되는 반면 무릎아래동맥 질환에서는 풍선확장술이 주요 치료 방법이다. 컴퓨터단층 혈관조영술은 절대적 금기증이 없는 환자에서 혈관 내 치료계획 수립을 하는데 로드맵을 제공한다.

Clinical Outcomes of Arteriovenous Grafts Using the Superficial Vein versus Venae Comitantes as Venous Outflow

  • Yo Seb Lee;Song Am Lee;Jae Joon Hwang;Jun Seok Kim;Hyun Keun Chee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57권2호
    • /
    • pp.178-183
    • /
    • 2024
  • Background: The superficial veins are commonly used in conventional autogenous arteriovenous fistulas and the placement of prosthetic grafts. When they are unsuitable, however, the use of the deep veins (venae comitantes) is generally considered to be a reasonable alternative. This study conducted a comparative analysis of clinical outcomes for arteriovenous grafts between 2 groups based on the type of venous outflow: superficial veins or venae comitantes. Methods: In total, 151 patients who underwent arteriovenous grafts from November 2005 to March 2022 were retrospectively analyzed. The patients were divided into 2 groups: group A (superficial veins, n=89) and group B (venae comitantes, n=62). The primary, secondary patency, and complication rates were analyzed in each group. A propensity score-matched analysis was performed. Results: In total, 55 well-balanced pairs were matched. Kaplan-Meier analysis reveal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rimary patency rate between the 2 groups at 1-year, 3-year and 5-year intervals (group A, 54.7%, 35.9%, 25.4% vs. group B, 47.9%, 16.8%, 12.6%; p=0.14), but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secondary patency rate (group A, 98.2%, 95.3%, 86.5% vs. group B, 87.3%, 76.8%, 67.6%; p=0.0095). The rates of complications, simple percutaneous transluminal angioplasty, and stent insertion were comparable between the groups. Conclusion: Although this study demonstrated not particularly favorable secondary patency rates in the venae comitantes group, the venae comitantes may still be a viable option for patients with unsuitable superficial veins because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rimary patency and complication rates between the 2 groups.

PTCA 시술 환자의 인지적 평가와 위험요인수정행위 (Relationship between Cognitive Appraisal and Cardiac Risk Reduction Behavior Following Coronary Angioplasty)

  • 한숙원;이명선
    • 성인간호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556-565
    • /
    • 2004
  • Purpose: According to Lazarus & Folkman (1984), appraising a stressor as a threat is associated with negative psychological and physical adjustment, whereas appraising a stressor as a challenge is positive psychological and physical adjustment. This study examined how cognitive appraisal of PTCA(heart disease threat and treatment appraisal) related to the cardiac risk reduction behaviors(smoking cessation, low salt and low cholesterol diet, regular exercise and stress management) 6 weeks following discharge. Method: Data were collected from 50 subjects with successful primary PTCA. Result: Heart disease threat was negative related to treatment appraisal (r=-0.240, p=0.046). Psychological well-being was negative related to heart disease threat (r=-0.317, p=0.012) and positive related to treatment appraisal(r=0.402, p=0.002). The cardiac risk reduction behaviors score was negative related to heart disease threat(r= -0.296, p=0.018) and positive related to treatment appraisal(r=-0.291, p=0.020). Conclusion: More negative appraisal was related to lower the cardiac risk reduction behaviors score. But more positive appraisal was related to higher the cardiac risk reduction behaviors score. So, there is a need to develop the cognitive-behavioral intevention that increase the coping strategy to replace with positive appraisal.

  • PDF

심실중격결손을 동반한 대동맥교약증의 수술성적 (Operative results of coarctation of the aorta associated with ventricular defect)

  • 서동만;박영관;서경필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17권4호
    • /
    • pp.620-624
    • /
    • 1984
  • The optimal surgical management of the coarctation of the aorta associated with ventricular septal defect is still debated. Sixteen patients with the coarctation of the aorta and VSD were operated upon between November, 1980 and September 1984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They were 11 males and 5 females. All presented between 5 months and 11.5 years of age [mean= 5.5 years]. Presenting symptoms were congestive heart failure in 11 [69%], cyanosis on crying in 3 [19%], and frequent upper respiratory infection in 2 [13%]. In all cases two-stage operation was applied except one in which one stage procedure was taken. Resection and end-to-end anastomosis was used in 3, Dacron graft in 5, Gortex graft in 1, and left subclavian flap angioplasty in 4. Remaining two were missed on the operating table before correction of the coarctation of the aorta. Overall operative death in repair of the coarctation of the aorta were 3[20%]. Among the 12 survivors after repair of the coarctation of the aorta, 4 required patch closure of VSD, 2 required primary closure, 2 showed spontaneous closure [17%], one [8%] showed decrease in its size, 3 were under observation. It might be safe to approach the coarctation of aorta plus VSD with initial repair of the coarctation of the aorta without banding of main pulmonary artery and later management of VSD as usual manner in simple VSD.

  • PDF

혈액투석 접근로 기능부전에서의 비피복형 스텐트: 접근로 종류와 스텐트 위치에 따른 개통률 평가 (Bare-Metal Stent in Dysfunctional Hemodialysis Access: An Assessment of Circuit Patency according to Access Type and Stent Location)

  • 이경민;원제환;권요한;이수형;방준배;김진우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4권1호
    • /
    • pp.197-211
    • /
    • 2023
  • 목적 기능장애 혈액투석 접근로에서 나이티놀 비피복형 스텐트 설치 후 접근로 유형과 스텐트의 위치에 따른 개통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2017년 1월과 2019년 12월 사이에 159명의 환자(평균 연령, 64.1 ± 13.2세)가 혈액투석 접근로 기능장애를 치료를 위해 나이티놀 스텐트를 설치하였다. 스텐트의 위치는 다음과 같다; 18개 팔머리 정맥, 51개 노쪽피부정맥궁, 40개 위팔 정맥, 10개 문합부위 인접 정맥, 7개 동정맥 문합부 및 33개 인조혈관-정맥 문합부. 12개월 개통률은 카플란-마이어 방법과 콕스 회귀 모델로 평가하였다. 결과 총 159개의 스텐트가 103개의 자가동정맥루와 56개의 인조혈관접근로에 성공적으로 설치되었다. 인조혈관접근로는 자가동정맥루에 비해 12개월 일차 및 이차 개통률이 더 낮았다(일차 개통률; 25.0%대 44.7%; p = 0.005, 이차 개통률; 76.8%대 92.2%; p = 0.014). 스텐트 설치 후 노쪽피부정맥궁 및 인조혈관-정맥 문합부에서 다른 부위에 비해 12개월 일차 개통성이 불량하였다. 결론 나이티놀 비피복형 스텐트 설치 후 자가동정맥루는 인조혈관접근로와 비교하여 더 좋은 12개월 일차 및 이차 개통률을 보인다. 노쪽피부정맥궁 및 인조혈관-정맥 문합부의 스텐트는 다른 위치의 스텐트에 비해 더 낮은 12개월 일차 개통률을 보인다.

Clinical Outcomes After Drug-Coated Balloon Treatment in Popliteal Artery Disease: K-POP Registry 12-Month Results

  • Jong-Il Park;Young-Guk Ko;Seung-Jun Lee;Chul-Min Ahn;Seung-Woon Rha;Cheol-Woong Yu;Jong Kwan Park;Sang-Ho Park;Jae-Hwan Lee;Su-Hong Kim;Yong-Joon Lee;Sung-Jin Hong;Jung-Sun Kim;Byeong-Keuk Kim;Myeong-Ki Hong;Donghoon Choi
    • Korean Circulation Journal
    • /
    • 제54권8호
    • /
    • pp.454-465
    • /
    • 2024
  • Background and Objectives: The popliteal artery is generally regarded as a "no-stent zone." Limited data are available on the outcomes of drug-coated balloons (DCBs) for popliteal artery disease.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12-month clinical outcomes among patients who received DCB treatment for atherosclerotic popliteal artery disease. Methods: This prospective, multicenter registry study enrolled 100 patients from 7 Korean endovascular centers who underwent endovascular therapy using IN.PACT DCB (Medtronic) for symptomatic atherosclerotic popliteal artery disease. The primary endpoint was 12-month clinical primary patency and the secondary endpoint was clinically driven target lesion revascularization (TLR)-free rate. Results: The mean age of the study cohort was 65.7±10.8 years, and 77% of enrolled patients were men. The mean lesion length was 93.7±53.7 mm, and total occlusions were present in 45% of patients. Technical success was achieved in all patients. Combined atherectomy was performed in 17% and provisional stenting was required in 11%. Out of the enrolled patients, 91 patients completed the 12-month follow-up. Clinical primary patency and TLR-free survival rates at 12 months were 76.0% and 87.2%, respectively. A multivariate Cox regression analysis identified female and longer lesion length as the significant independent predictors of loss of patency. Conclusions: DCB treatment yielded favorable 12-month clinical primary patency and TLR-free survival outcomes in patients with popliteal artery disease.

급성심근경색증의 일차적 관동맥성형술 후 조기 Tl-201 재분포영상을 이용한 구조심근 예측 (Prediction of Salvaged Myocardium in Patients with Acute Myocardial Infarction after Primary Percutaneous Coronary Angioplasty using early Thallium-201 Redistribution Myocardial Perfusion Imaging)

  • 최준영;양유정;최승진;여정석;박성욱;송재관;문대혁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219-228
    • /
    • 2003
  • 목적: 심근경색증 후 재관류술에 의해 구조된 심근의 범위는 중요한 예후 인자중의 하나이다. 급성심근경색증의 일차적 관동맥성형술 후 조기 Tl-201 재분포영상이 구조심근과 심근벽운동 호전을 예측할 수 있는지 알아보았다. 대상 및 방법: 흉통 발생 $5.2{\pm}2.8$시간에 급성심근경색증으로 일차적 관동맥성형술을 시행한 36명을 대상으로 관동맥성형술 후 $5.8{\pm}2.1$일에 디피리다몰 부하 -4 시간 재분포 Tl-201 SPECT 영상을 얻었다. Tl-201 재분포 영상은 좌심실을 16분절로 나누고, 각 분절의 섭취를 5등급으로 평가하였다. 심초음파는 내원 당시, 경색 후 7일, 30일, 7개월에 시행하였고, 구조심근 분절은 내원 당시 심초음파상 벽 운동 이상이 있으면서 30일 또는 7개월 심초음파에서 벽 운동이 호전된 분절로 정의하였다. 결과: 내원 당시 212분절에서 벽운동 이상을 보였다(저운동 41분절, 무운동 171분절). 이중 1개월에는 78분절(36.8%)에서, 7개월에는 97분절(45.8%)에서 벽 운동이 호전되어 구조심근으로 판정하였다. 구조심근을 찾는 Tl-201 재분포 영상의 수신자판 단특성곡선면적은 1개월에 대해서는 $0.79{\pm}0.03$, 7개월에 대해서는 $0.83{\pm}0.03$이었다. Tl-201 섭취 40%를 경계로 정할 때 재분포 영상의 구조심근을 찾는 예민도, 특이도는 1개월에서는 84.6%(66/68), 55.2%(74/134), 7개월에서는 87.6%(85/97), 64.3%(74/115)였다. 재분포영상에서 Tl-201의 섭취정도와 벽 운동의 호전될 확률은 서로 비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결론: 급성심근경색증의 일차적 관동맥성형술 후 10일 이내에 시행한 조기 Tl-201 재분포영상은 구조심근과 심근벽운동 호전 예측 판정에 높은 예민도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검사이다.EX>$100{\mu}M$)는 각각 11.9배와 6.8배, K562(Adr) 세포에서($50{\mu}M$)는 각각 14.3배와 8배, K562(Vcr) 세포에서($10{\mu}M$)는 각각 7배와 5.7배 증가하였다. Cyclosporin A에 의한 MIBI와 tetrofosmin의 섭취율(30분)을 기저치(30분)와 비교해 본 결과 HCT15/CL02세포에서($50{\mu}M$)는 각각 10배와 2.4배, K562(Adr)세포에서($50{\mu}M$)는 각각 44배와 13배, K562(Vcr)세포에서($10{\mu}M$)는 각각 18.8배와 11.8배 증가하여, MIBI의 섭취율이 tetrofosmin보다 1.2배에서 4배정도 높게 나타났다. 결론: 이러한 결과로 보아 MIBI와 tetrofosmin은 다약제내성의 발현을 평가할 수 있는 방사성의약품으로 판단되며, 다약제내성 극복제의 효능평가에는 MIBI가 tetrofosmin보다 더 우수할 것으로 사료되나, 세포추에 따른 차이가 있을 수 있으므로 보다 많은 세포주에서의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여 후 구한 MPD는 평균 $13.3{\pm}1.9GBq\;(9.7{\sim}16GBq)$ 이였고, 치료용량 방사성옥소 투여 후 구한 MPD는 평균 $13.8{\pm}2.1GBq(10.4{\sim}16.3GBq)$로 유의한 차이가 얻었으며 (p=0.20), 두 수치간에는 유의한 상관 관계가 있었다(r=0.8, p<0.0001). 7명의 환자에서 말초혈액림프구 중기염색체 분석법으로 MPD를 측정하였는데 혈액의 피폭선량은 $1.78{\pm}0.03Gy$였으며, 같은 환자에서 혈중 방사능소실곡선으로부터 구한 피폭선량은 $1.54{\pm}0.03Gy$로 유의하게 낮았으나 (p=0.01), 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