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evalence of hypertension

검색결과 409건 처리시간 0.026초

Epidemiology of PAH in Korea: An Analysis of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Data, 2002-2018

  • Albert Youngwoo Jang;Hyeok-Hee Lee;Hokyou Lee;Hyeon Chang Kim;Wook-Jin Chung
    • Korean Circulation Journal
    • /
    • 제53권5호
    • /
    • pp.313-327
    • /
    • 2023
  • Background and Objectives: Pulmonary arterial hypertension (PAH) is a rare but fatal disease. Recent advances in PAH-specific drugs have improved its outcomes, although the healthcare burden of novel therapeutics may lead to a discrepancy in outcomes between developing and developed countries. We analyzed how the epidemiology and clinical features of PAH has changed through the rapidly advancing healthcare infrastructure in South Korea. Methods: PAH was defined according to a newly devised 3-component algorithm. Using a nationwide health insurance claims database, we delineated annual trends in the prevalence, incidence, medication prescription pattern, and 5-year survival of PAH in Korea. Cumulative survival and potential predictors of mortality were also assessed among 2,151 incident PAH cases. Results: Between 2002 or 2004 and 2018, the prevalence and incidence of PAH increased 75-fold (0.4 to 29.9 per million people) and 12-fold (0.5 to 6.3 per million person-years), respectively. The proportion of patients on combination PAH-specific drug therapy has also steadily increased up to 29.0% in 2018. Among 2,151 incident PAH cases (median [interquartile range] age, 50 [37-62] years; 67.2% female), the 5-year survival rate and median survival duration were 71.8% and 13.1 years, respectively. Independent predictors of mortality were age, sex, etiology of PAH, diabetes, dyslipidemia, and chronic kidney disease. Conclusions: This nationwide study delineated that the prevalence and incidence of PAH have grown rapidly in Korea since the early 2000s. The use of combination therapy has also increased, and the 5-year survival rate of PAH in Korea was similar to those in western countries.

소금과 고혈압 (Salt and Hypertension)

  • 이원정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378-385
    • /
    • 1999
  • A reduced NaCl intake for the general population of the world has been recommended to reduce the overall blood pressure level and hence to reduce the overall incidence of cardiovascular disease. A high NaCl diet convincingly contributes to elevated arterial pressure in humans and animal models of hypertension. Among individuals there is considerable variability of blood pressure responsiveness to NaCl intake. In normotensive as well as hypertensive subjects, blood pressure can be judged to be salt sensitivity (SS) when observed to vary directly and substantially with the net intake of NaCl. The prevalence of SS in normotensive adults in the U.S. ranges from 15% to 42% and in hypertensive adults from 28% to 74%. SS is a risk factor for hypertension and may be an important marker in the identification of children for hypertension prevention programs. High NaCl intakes produce expansion of the extracellular fluid volume and thus increase blood pressure. Nonchloride salts of sodium does not expand the extracellular fluid volume and does not alter blood pressure. Blood pressure response to NaCl may be modified by other components of the diet. Low dietary intakes of potassium or calcium augment NaCl-induced increases of blood pressure. Conversely, high dietary intakes of potassium or calcium attenuate NaCl-induced hypertension. A greater intakes of potassium or calcium may prevent or delay the occurrence of hypertension. SS occurs when dietary potassium is even marginally deficient but is dose-dependently suppressed when dietary potassium is increased within its normal range. Orally administered KHCO$_3$, abundant in fruits and vegetates, but not KCl has a calcium-retaining effect which may contributed to its reversal of pressor effect of dietary NaCl. Since nutrients other than NaCl also affect blood pressure levels, a reduced NaCl intake should be only one component of a nutritional strategy to lower blood pressure.

  • PDF

Future Elderly Model을 활용한 중·고령자의 연령집단별 3대 만성질환 의료비 변화 예측 (Prediction of Changes in Health Expenditure of Chronic Diseases between Age group of Middle and Old Aged Population by using Future Elderly Model)

  • 백미라;정기택
    • 보건행정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185-194
    • /
    • 2016
  • Backgrou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orecast changes in the prevalence of chronic diseases and health expenditure by age group. Methods: Based on the Future Elderly Model, this study projects the size of Korean population, the prevalence of chronic diseases, and health expenditure over the 2014-2040 period using two waves (2012, 2013) of the Korea Health Panel and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database. Results: First, the prevalence of chronic diseases increases by 2040. The population with hypertension increases 2.04 times; the diabetes increases 2.43 times; and the cancer increases 3.38 times. Second, health expenditure on chronic diseases increases as well. Health expenditure on hypertension increases 4.33 times (1,098,753 million won in 2014 to 4,760,811 million won in 2040); diabetes increases 5.34 times (792,444 million won in 2014 to 4,232,714 million won in 2040); and cancer increases 6.09 times (4,396,223 million won in 2014 to 26,776,724 million won in 2040). Third, men and women who belong to the early middle-aged group (44-55 years old) as of 2014, have the highest increase rate in health spending. Conclusion: Most Korean literature on health expenditure estimation employs a macro-simulation approach and does not fully take into account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behaviors. Thus, this study aims to benefit medical administrators and policy makers to frame effective and targeted health policies by analyzing personal-level data with a microsimulation model and providing health expenditure projections by age group.

The association of the Korean Healthy Eating Index with chronic conditions in middle-aged single-person households

  • EunJung Lee;Ji-Myung Kim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17권2호
    • /
    • pp.316-329
    • /
    • 2023
  • BACKGROUND/OBJECTIVE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ssociation between dietary quality based on the Korean Healthy Eating Index (KHEI), and the prevalence of chronic conditions among middle-aged individuals (40-60 yrs of age) living alone. MATERIALS/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selected (1,517 men and 2,596 women) from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2016-2018 and classified into single-person households (SPH) and multi-person households (MPH). Nutrient intake, KHEI, and the prevalence of chronic conditions were compared according to household size. The odds ratios (ORs) of chronic conditions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tertile levels of KHEI by gender within each household size category. RESULTS: Men in SPH had a significantly lower total KHEI score (P < 0.0001) and a lower prevalence of obesity (OR, 0.576) than those in MPH. For men, the adjusted ORs for obesity, hypertension, and hypertriglyceridemia in the first tertile (T1) of KHEI scores within SPH compared with the third tertile (T3) were 4.625, 3.790, and 4.333, respectively. Moreover, the adjusted OR for hypertriglyceridemia in the T1 group compared to the T3 group within the MPH was 1.556. For women, the adjusted ORs for obesity and hypertriglyceridemia in T1 compared to T3 within the SPH were 3.223 and 7.134, respectively, and 1.573 and 1.373 for obesity and hypertension, respectively, within MPH. CONCLUSIONS: A healthy eating index was associated with a reduced risk of chronic conditions in middle-aged adults. Greater adherence to a healthy eating index could lower the risk of chronic conditions in middle-aged adults living alone.

Diabetes Mellitus prevalence and related factors in Korean Adult over 19 years according to time trend: Data from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2011, 2021

  • Ji-Suk Seong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9권8호
    • /
    • pp.123-131
    • /
    • 2024
  • 본 연구는 국민건강영양조사의 자료를 이차 분석하여 시간적 추이에 따른 19세 이상 한국 성인의 당뇨병 유병률과 관련 요인을 파악하여 당뇨병 예방과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자료는 IBM SPSS/WIN 22 program을 이용하여 2011년, 2021년 2개년도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질병관련 특성, 건강관련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복합표본 빈도분석, 복합표본 교차분석, 복합표본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당뇨병 유병를은 2011년 6.6%에서 2021년 9.5%로 증가하였고 당뇨 유병 관련 요인은 2011년에서 성별, 연령, 교육 수준, 고혈압, 이상지질혈증, 주관적 건강인지로 나타났고(Negelkerke R2=.255) 2021년에서 성별, 연령, 교육 수준, 고혈압, 이상지질혈증, 모친의 당뇨병, 주관적 건강인지로 나타났다(Negelkerke R2=.327). 본 연구는 시간적 추이에 따른 당뇨병 유병률과 관련 요인을 파악하여 관련 요인의 변화를 확인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당뇨병을 예방하고 관리할 수 있는 중재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이 필요하다.

한국인 60세 이상 노년층의 황반변성과 백내장의 위험요인 -국민건강보험공단 노인코호트 자료를 활용하여-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Cataract and Macular degeneration by in Korean aged 60 years and over)

  • 박해용;이은희;박윤숙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8권10호
    • /
    • pp.273-279
    • /
    • 2017
  • 연구목적: 60세 이상 인구에서 나이 관련 안질환인 백내장과 황반변성의 위험요인을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건강보험공단 노인코호트(2002년-2013년)자료를 활용하여. 연구기간동안 노년층의 대표 안질환인 백내장(ICD-10; H25)과 나이관련 황반변성(ICD-10; H353)을 진단받은 341,588명을 대상(남: 44.18%, 여:61.887%)으로 두 질환의 유병률 결정 요인을 Cox 확률비례위험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백내장과 나이관련 황반변성 유병율은 여성이, 나이가 많을수록, 고소득 집단일수록, 고혈압, 심장질환, 당뇨가 있으면 더 높게 나타났다(p<0.0001). 결론: 60세 이상 노인들은 고혈압, 심장질환 및 당뇨와 같은 만성질환이 많을수록 백내장과 황반변성 유병률이 더 높았다. 눈이 건강한 고령화 사회를 만들기 위해서는 노인들의 만성질환 관리가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고혈압 환자의 근육 신전운동과 대사증후군 지표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Muscular Extension Exercise and Metabolic Syndrome Indices in Hypertensive Patients)

  • 백순기;김도진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9호
    • /
    • pp.363-369
    • /
    • 2018
  • 본 연구는 경계성 고혈압 및 고혈압 환자를 대상으로 근육신전운동프로그램을 통해 측정변인의 상관관계 및 대사증후군 지표의 변화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계성 고혈압 및 고혈압 환자를 대상으로 15주간 근육 신전운동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은 28명으로 15주간 주 3회, 40분간의 근육 신전운동프로그램에 참여하였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근육 신전운동프로그램에 참여 전 대사증후군 지표의 상관관계에서 지표 간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참여 후 대사증후군 지표 간에 참여 전과 차이는 있었지만 전반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둘째, 15주간의 근육 신전운동프로그램 전과 후의 비교에서 체중, 근육량, 체지방량, BMI, 허리둘레, 이완기 혈압, 혈당 등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이는 근육의 신전운동만으로도 고혈압 환자의 대사증후군 지표의 개선을 가져올 수 있다고 판단되며, 이에 관련된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Dietary patterns and cardio-cerebrovascular disease in a Chinese population

  • Wang, Honglin;Qu, Meng;Yang, Peirong;Yang, Biao;Deng, Feng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9권3호
    • /
    • pp.313-318
    • /
    • 2015
  • BACKGROUND/OBJECTIVES: Dietary pattern and its association with cardio-cerebrovascular disease have not been studied in Baoji city by now. This study was aimed to identify the dietary patterns among Chinese adults in Baoji, and explore the association between these dietary patterns and cardio-cerebrovascular disease. SUBJECTS/METHODS: A total of 4,968 participants were included in this study at 12 counties. With multistage stratified random sampling and semi quantitative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the prevalence of cardio-cerebrovascular disease and dietary intake were investigated in 2013. We used factor analysis to establish dietary patterns. RESULTS: A total of 4,968 participants over 15 years old were included in this study. Five dietary patterns were identified in Baoji: protein, balanced, beans, prudent, and traditional patterns. The protein dietary pattern mainly included animal and plant proteins and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hypertension as well as stroke. The balanced pattern included carbohydrates, protein, and fat and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hypertension as well as stroke. The beans pattern was mainly beans and beans products and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hypertension. The prudent pattern only included staple foods and pickled vegetables and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hypertension as well as coronary heart disease. The traditional pattern was representative of local Baoji traditional recipes and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hypertension. CONCLUSIONS: The protein, balanced, and beans dietary patterns showed many protective effects on cardio-cerebrovascular disease. Based on these results, Baoji city residents should be encouraged to choose protein, balanced, and beans dietary patterns and abandon prudent and traditional patterns to prevent incidence of hypertension, coronary heart disease, and stroke.

초등학생 학부모의 고혈압 관련 지식에 관한 조사 (Survey of Knowledge on Hypertension among the Parent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 김진순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30권1호
    • /
    • pp.29-38
    • /
    • 2005
  • 전북지역의 김제시의 2개 초등학교 4-6학년 학부모 434명을 대상으로 2003년 11월 20일부터 2003년 11월 30일까지 10일간 자기 기입식 방법으로 설문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혈압 관련 지식의 정답률은 77.4%-94.5%로서 비교적 높게 나타났으며 이중 고혈압에 대한 혈압수치의 정답률이 77.4%로서 제일 낮았다. 그러나 비만인 사람이 고혈압에 더 걸리기 쉽다는 응답의 정답률이 94.5%로서 높은 지식을 나타냈다. 둘째, 혈압측정을 실천했는지를 분석한 결과 아버지 측정율이 53.7%인 반면 어머니의 측정율은 54.8%로서 높지 않게 나타났다. 셋째, 측정한 학부모들의 자기혈압을 알고 있는지 분석한 결과 알고 있다는 인지율이 아버지는 84.1%, 어머니는 91.1%로서 비교적 잘 알고 있었으며 이들이 작성한 자기 혈압 수치를 혈압 분류기준에 따라 분석한 결과 아버지들의 고혈압 전단계(120-139mmHg/80-89mmHg) 비율이 12.2% 및 고혈압(140/90mmHg)이 28.6%로 나타났다, 반면 어미니들의 고혈압 전 단계 비율이 7.7% 및 18.2%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기초로 다음과 같은 결론 및 제안을 하고자 한다. 첫째, 고혈압의 예방 및 관리를 위하여 지역 사회 대상 접근 방법이 기존의 보건의료기관에서 내소자를 중심으로 개인 대상 접근 방법보다 더 중요함을 시사하므로 적극적인 홍보가 실시되어야 한다. 둘째, 지역주민이 갖고 있는 고혈압관련지식 수준은 비교적 높은데 이러한 지식을 생활하면서 실천 하는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그러므로 지역사회 고혈압 예방 및 관리에서 학교라는 지역 사회시설과 감수성이 높고 교육효과가 크다고 증명된 초등학생들을 적극 활용하는 것이 중요하므로 초등학교에 고혈압 예방교육이 실시되어야 한다.

  • PDF

제 5기, 6기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성인의 우유 섭취와 만성질환 유병률 사이의 관련성 연구 (Study on relationship between milk intake and prevalence rates of chronic diseases in adults based on 5th and 6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data)

  • 권세혁;이정숙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0권2호
    • /
    • pp.158-170
    • /
    • 2017
  • 본 연구는 사회경제적 요인, 식행동 및 신체활동에 의한 만성질환 (고혈압, 고중성지방혈중, 저HDL콜레스텔롤혈증, 당뇨병, 복부비만, 비만 및 대사증후군) 유병률에 우유와 유제품 섭취가 매개변인으로 작용하였을 때의 효과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 활용한 자료는 제 5기, 6기 국민건강영양조사 (2010~2015) 자료를 활용하여, 만 30세이상의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하였고, 질환이나 체중조절을 위해 식이요법을 실시하고 있거나 임산부는 분석대상에서 제외하였다. 고혈압, 고중성지방혈중, 당뇨병, 복부비만, 비만, 대사증후군의 유병률은 남자에서 유의적으로 높았고, 저HDL콜레스테롤혈증은 여자에서 유의적으로 높아 만성질환 유병률은 성별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사회경제적요인, 식행동 및 신체활동은 남녀에 따라 차이를 보이고 있으나 만성질환 유병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이었다. 복부비만과 비만을 제외한 고혈압, 고중성지방혈증, 저HDL콜레스테롤혈증, 당뇨병 및 대사증후군의 유병률은 남녀 모두 사회경제적 수준 (가구내 소득수준, 교육수준)이 낮을 경우 높았고, 신체활동 (걷기, 중등도 및 격렬한)을 실천할 경우 낮았다. 반면 복부비만과 비만의 유병률은 남자의 경우 사회경제적 수준이 높을수록, 여자 경우 사회경제적 수준이 낮을수록 높은 것으로 나타나 성별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흡연을 만성질환의 유병률을 증가시키는 요인이었고, 음주의 경우 저HDL콜레스테롤혈증을 제외한 질환의 유병률을 증가시키는 요인이었다. 외식은 남자의 비만 유병률을 증가시키는 요인이었으나, 성인 여자에서는 비만과 대사증후군의 유병률을 감소시키는 요인이었다. 만성질환과 유의한 관련성을 보인 사회경제적, 식행동 및 신체활동 요인 (설명변수)에 우유 섭취를 매개변인으로 추가한 후의 효과를 평가한 결과 성인 남자의 경우 교육수준은 당뇨병에서, 음주는 고혈압, 고중성지방혈증, 저HDL콜레스테롤혈증, 대사증후군에서, 아침식사는 대사증후군, 외식은 비만, 중등도 신체활동은 고중성지방혈증에서 부분통제됨으로서 하루 200 g 이상의 우유를 섭취할 경우 교육수준, 음주, 아침식사, 외식 및 중등도 신체활동에 의한 만성질환 유병률을 낮추는 효과가 있었다. 성인 여자의 경우 가구 내 소득수준은 고중성지방혈증, 당뇨병, 복부비만에서, 교육수준은 고혈압, 복부비만에서, 음주, 아침식사, 외식 및 걷기 실천은 저HDL콜레스테롤혈증에서, 중등도 신체활동은 고중성지방혈증과 저HDL콜레스테롤혈증에서 부분통제됨으로 인해 우유 섭취가 이들 설명변수에 의한 만성질환 유병률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보였다. 이외 성인 남자와 여자에서 유의적인 관련성을 보인 변인은 우유, 유제품 섭취에 의해 완전통제 또는 완전매개 되어 우유 섭취 시 이들 설명변수가 만성질환 유병률에 미치는 영향은 사라졌다. 본 연구결과, 하루 200 g 이상의 우유를 섭취할 경우 사회경제적 요인, 식행동 및 신체활동에 의한 효과가 통제 또는 매개하는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므로 적정수준의 우유 섭취는 고혈압, 고중성지방혈증, 저HDL콜레스테롤혈증, 당뇨병, 비만, 복부비만 및 대사증후군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었다. 그러나 본 연구는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활용한 후향적 관측 연구이고, 우유 및 유제품 섭취에 의한 매개효과를 파악한 것이므로 추후 한국인의 만성질환 예방을 위한 적정수준의 우유 및 유제품 섭취 수준에 관한 가이드라인 선정을 위해서는 대단위 실험 설계나 코호트 자료 분석을 통한 다양한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