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eterm Delivery

검색결과 90건 처리시간 0.04초

Perinatal outcome and possible vertical transmission of coronavirus disease 2019: experience from North India

  • Sharma, Ritu;Seth, Shikha;Sharma, Rakhee;Yadav, Sanju;Mishra, Pinky;Mukhopadhyay, Sujaya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64권5호
    • /
    • pp.239-246
    • /
    • 2021
  • Background: The consequences of 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 corona virus 2 on mother and fetus remain unknown due to a lack of robust evidence from prospective studies. Purpose: This study evaluated the effect of coronavirus disease 2019 (COVID-19) on neonatal outcomes and the scope of vertical transmission. Methods: This ambispective observational study enrolled pregnant women with COVID-19 in North India from April 1 to August 31, 2020 to evaluate neonatal outcomes and the risk of vertical transmission. Results: A total of 44 neonates born to 41 COVID-19-positive mothers were evaluated. Among them, 28 patients (68.3%) (2 sets of twins) were delivered within 7 days of testing positive for COVID-19, 23 patients (56%) (2 sets of twins) were delivered by cesarean section; 13 newborns (29.5%) had low birth weight; 7 (15.9%) were preterm; and 6 (13.6%) required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admission, reflecting an increased incidence of cesarean delivery and low birth weight but zero neonatal mortality. Samples of cord blood, placental membrane, vaginal fluid, amniotic fluid, peritoneal fluid (in case of cesarean section), and breast milk for COVID-19 reverse transcription-polymerase chain reaction tested negative in 22 prospective delivery cases. Nasopharyngeal swabs of 2 newborns tested positive for COVID-19: one at 24 hours and the other on day 4 of life. In the former case, biological samples were not collected as the mother was asymptomatic and her COVID-19 report was available postdelivery; hence, the source of infection remained inconclusive. In the latter case, all samples tested negative, ruling out the possibility of vertical transmission. All neonates remained asymptomatic on follow-up. Conclusion: COVID-19 does not have direct adverse effects on the fetus per se. The possibility of vertical transmission is almost negligible, although results from larger trials are required to confirm our findings.

쌍태 임신에서 일측 태아의 자궁내 사망이 산모와 생존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ingle Fetal Death on Mother and Live Co-twin in Twin Pregnancy)

  • 김소연;정해율;백희조;최익선;조창이;최영륜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5권12호
    • /
    • pp.1512-1518
    • /
    • 2002
  • 목 적 : 쌍태 임신에서 일측 태아가 자궁내 사망한 경우 생존아의 사망률이 높고 범발성 혈관내 응고병증, 패혈증 및 뇌손상 등을 증가시킨다고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일측 태아의 자궁내 사망 후 생존아들의 주산기 합병증 및 이와 연관된 위험 인자들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1995년 1월부터 2000년 12월까지 쌍태 임신 중 일측 태아가 자궁내 사망한 후 생존 출생한 15례의 의무 기록지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생존아에서는 말초 혈액과 혈액 응고계 검사, 두부 초음파 및 뇌 자기공영상 검사를, 그리고 산모에서는 말초 혈액과 혈액 응고계 검사 및 임신과 관련된 합병증에 대해 의무 기록지를 통하여 후향적으로 조사하였고, 생존아에서 주산기 합병증에 대한 위험 인자로 융모막 상태, 출생 체중, 재태 주령 및 일측 태아의 자궁내 사망 후 분만까지의 기간에 대해 관찰하였다. 결 과 : 1) 일측 태아의 자궁내 사망 후 생존 출생아 15례의 재태 주령은 $33.7{\pm}3.2$주, 출생 체중은 $1,992{\pm}592g$, 분만까지의 기간은 $32.4{\pm}29.5$일이었고, 조산아 11례(73.3%), 만삭아 4례(26.7%)로 조산의 원인은 조기 진통과 조기 양막 파수가 주였다. 2) 산모에서 시행한 혈액 검사상 범발성 혈관내 응고병증은 1례도 없었고, 산모의 말초 혈액 검사(백혈구수, 혈소판수, PT, aPTT, fibrongen, FDP) 소견과 생존아의 범발성 혈관내 응고병증 및 뇌연화증 발생과는 연관이 없었다. 3) 생존아 총 15례 중 6례(40.0%)는 정상이었고, 범발성 혈관내 응고병증 3례(20.0%), 뇌연화증 3례(20.0%), 자궁내 발육 지연 1례, 쌍태아간 수혈 증후군(recepient) 1례, 선천성 심장기형(심방 중격 결손 및 폐동맥 협착)이 동반된 경우 1례 있었다. 4) 생존 출생아에서 범발성 혈관내 응고장애 및 뇌연화증의 발생은 융모막 상태, 출생 체중, 재태 주령 및 일측 태아의 자궁내 사망 후 생존아 분만까지의 기간과 통계학적 유의성이 없었다. 결 론 : 본 연구에서는 자궁내에서 일측 태아가 사망한 경우 산모에서 혈액학적 이상은 발견할 수 없었고 생존아에서 주산기 합병증을 예측할 수 있는 의의 있는 위험 인자를 발견할 수 없었지만 약 20.0%에서 뇌연화증 및 범발성 혈관내 응고병증이 발생하였기에 쌍태 임신 중 임신 제2, 3기에 일측 태아가 자궁내 사망한 경우 생존 출생아에 대한 면밀한 혈액학적 및 신경학적 검사가 필요하다고 사료되었다.

The Rare and Challenging Presentation of Gastric Cancer during Pregnancy: A Report of Three Cases

  • Pacheco, Sergio;Norero, Enrique;Canales, Claudio;Martinez, Jose Miguel;Herrera, Maria Elisa;Munoz, Carolina;Jarufe, Nicolas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16권4호
    • /
    • pp.271-276
    • /
    • 2016
  • Pregnancy-associated gastric cancer is extremely rare. In many cases, it is diagnosed at an advanced stage because the symptoms during pregnancy are generally overlooked. We report three cases of gastric cancer during pregnancy with various outcomes. The first case included a patient with stage IV gastric cancer who received palliative chemotherapy. This patient had a preterm birth and died 7 months after diagnosis. The second case received neoadjuvant chemotherapy during pregnancy and a total gastrectomy was performed after delivery. She then received adjuvant chemoradiotherapy. This patient developed pulmonary metastasis and died of recurrence 41 months after surgery. In the third case, a distal subtotal gastrectomy was performed at week 14 of pregnancy, with no complications. The patient received adjuvant chemoradiotherapy. She is currently without recurrence 14 months after surgery. In patients with pregnancy-associated gastric cancer, treatment decisions are predominantly influenced by clinical stage and gestational age at diagnosis.

$Ureaplasma$ infections in pre-term infants: Recent information regarding the role of $Ureaplasma$ species as neonatal pathogens

  • Sung, Tae-Jung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3권12호
    • /
    • pp.989-993
    • /
    • 2010
  • Although numerous clinical observational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ver a period of over 30 years, the clinical significance of $Ureaplasma$ infection is still under debate. The $Ureaplasma$ speices. is a commensal in the female genital tract and considered to have of low virulence; however, $Ureaplasma$ colonization has been associated with infertility, stillbirth, preterm delivery, histologic chorioamnionitis, and neonatal morbidities, including congenital pneumonia, meningitis, bronchopulmonary dysplasia, and perinatal death. Recently, $Ureaplasma$ was subdivided into 2 separate species and 14 serovars. $Ureaplasma$ $parvum$ is known as biovar 1 and contains serovars 1, 3, 6, and 14, and $Ureaplasma$ $urealyticum$ (biovar 2) contains the remaining serovars (2, 4, 5, and 7-13). The existence of differences in pathogenicities of these 14 serovars and 2 biovars is controversial. Although macrolides are the only antimicrobial agents currently available for use in neonatal ureaplasmal infections, in the current clinical field, it is difficult to make decisions regarding which antibiotics should be used. Future investigations involving large, multicenter, randomized, controlled studies are needed before proper recommendations can be made for clinical practice.

The impact of COVID-19 on human reproduction and directions for fertility treatment during the pandemic

  • Lee, Dayong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48권4호
    • /
    • pp.273-282
    • /
    • 2021
  • Since December 2019, 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 coronavirus 2 (SARS-CoV-2) has spread rapidly, resulting in a pandemic. The virus enters host cells through angiotensin-converting enzyme 2 (ACE2) and transmembrane protease serine subtype 2 (TMPRSS2). These enzymes are widely expressed in reproductive organs; hence, coronavirus disease 2019 (COVID-19) could also impact human reproduction. Current evidence suggests that sperm cells may provide an inadequate environment for the virus to penetrate and spread. Oocytes within antral follicles are surrounded by cumulus cells, which rarely express ACE2 and TMPRSS2. Thus, the possibility of transmission of the virus through sexual intercourse and assisted reproductive techniques seems unlikely. Early human embryos express coronavirus entry receptors and proteases, implying that human embryos are potentially vulnerable to SARS-CoV-2 in the early stages of development. Data on the expression of ACE2 and TMPRSS2 in the human endometrium are sparse. Moreover, it remains unclear whether SARS-CoV-2 directly affects the embryo and its implantation. A study of the effect of SARS-CoV-2 on pregnancy showed an increase in preterm delivery. Thus, vertical transmission of the virus from mother to fetus in the third trimester is possible, and further data on human reproduction are required to establish this possibility. Based on analyses of existing data, major organizations in this field have published guidelines on the treatment of infertility. Regarding these guidelines, despite the COVID-19 pandemic, reproductive treatment is crucial for the well-being of society and must be continued under suitable regulations and good standard laboratory practice protocols.

신생아집중치료실 입원아의 혈청 IGF-1과 성장 및 질병 사이의 관련성 (The association between serum IGF-1 and neonatal growth and disease in a NICU)

  • 김정옥;임해리;김행미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2권2호
    • /
    • pp.176-180
    • /
    • 2009
  • 목 적 : 신생아의 IGF-1 정상치를 설정하고 신생아 성장 및 질병상태와 IGF-1치의 연관성을 조사하여 신생아 성장 및 질병 경과를 추정하는 지표로 사용할 수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2007년 3월부터 7월까지 5개월 동안 경북대학교 신생아 집중치료실에 입원한 환아들을 대상으로 입원 시 1회 채혈하여 RIA법으로 IGF-1를 측정하였다. 아울러 환아들의 의무 기록을 후향적으로 검토하여 출생 시 체중, 재태 주령, 분만 방법, 동반 질환 등을 조사하였다. 결 과 : 출생 직후 채혈이 가능했던 만삭아 22명과 미숙아 30명의 혈중 IGF-1은 각각 $53.4{\pm}40.0$, $31.6{\pm}27.3$ ng/mL로 미숙아에서 유의하게 낮았다(P<0.05). 건강한 만삭아와 질환을 동반한 만삭아의 IGF-1은 각각 $64.1{\pm}39.5$, $46.0{\pm}40.2$ ng/mL로 질병 동반 시 유의하게 낮았다(P<0.05). 건강한 미숙아와 질환 동반 미숙아의 IGF-1은 각각 $33.2{\pm}23.3$, $30.6{\pm}30.4$ ng/mL로 두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이들 모두 건강한 만삭아에 비해 의의 있게 낮았다(P<0.05). 출생 8일후 이후 입원, 채혈한 신생아는 27명으로 이들 중 입원 시 체중이 출생체중에 비해 감소한 환아의 IGF-1은 $13.3{\pm}19.9$ ng/mL, 입원 시 체중이 출생체중에 비해 증가한 환아의 IGF-1은 $70.8{\pm}36.2$ ng/mL로 체중 감소군의 IGF-1이 유의하게 낮았다(P<0.001). 성별 및 분만법에 따른 IGF-1의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결 론 : 미숙아는 만삭아에 비해 출생 당일의 IGF-1치가 낮았으며, 출생 후 체중이 감소한 만삭아의 IGF-1은 체중이 증가한 만삭아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다. 이러한 소견으로 보아 신생아의 혈청 IGF-1은 재태 주령, 출생 후 체중 증가와 관련성을 가지는 것으로 보인다.

한국부인의 임신.분만 및 신생아에 대한 통계적 연구 (Statistical Studies on the Gestation and Delivery of the Pregnant Women and on the Neonates)

  • 최중명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17권1호
    • /
    • pp.193-202
    • /
    • 1984
  • 1982년 1월 1일부터 동년 12월 31일까지 만 1년간 경희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 산부인과에 입윈한 산모 1,930명과 신생아실에 입원된 신생아 1,961명을 대상으로 임상 통계적 관찰을 시행하여 얻은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산모의 연령은 $25{\sim}29$세군이 51.30%로 제일 높은 분포를 보였으며, $20{\sim}29$세 사이가 전체의 82.4%를 보였다. 2) 산과력에 의한 산모의 분포에서 분만 및 유산의 경험이 전혀 없는 군이 45.5%로 제일 높았다. 3) 산모의 유산경험에서는 전체 산모의 36.1%에서 경험이 있으며, 평균 유산횟수는 1.8회였다. 4) 분만형에는 자연분만이 58.1%로 제일 높았으며, 다음이 흡인분만으로 22.4%, 제왕절개술이 18.81%의 순이었다. 5) 재태기간의 분포는 미숙아가 7.1%, 만삭아가 87.2%, 과숙아가 5.7%를 보였다. 6) 남아 대 여아의 출생비는 1.03:1이었다. 7) 출생시 체중별 분포에서는 저체중아가 9.0%, 정상체중아가 85.5%, 과체중아가 5.5%를 보였다. 8) 신생아의 평균 신체 계측치는 체중이 남아가 3.28k 여아가 3.18kg였으며, 신장은 남아가 50.40cm, 여아가 49.77cm였고, 흉위는 남아가 32.54cm, 여아가 32.17cm, 그리고 두위는 남아가 33.49cm, 여아가 33.11cm로 계측되었다. 9) 1분 Apgar평점은 남아가 평균 7.70, 여아가 7.63을 나타냈다. 10) 신생아 황달은 전체 신생아의 50.0%에서 볼 수 있었고, 성별에 대한 차이는 볼 수 없었으나 미숙아군이 만삭아나 과숙아군보다 조금 높았다. 11) 신생아 질환의 발생율은 8.9%였으며, 역시 미숙아군에서 높게 발병되었고, 질병별로는 신생아 감염이 35.6%로 제일 높았다. 12) 쌍태아의 비율은 전체 신생아 중 3.1%를 차지하였으며, 단태아에 대한 비는 64.3출산 중 1예였다. 쌍태아의 남여비는 1:1.03이었다. 13) 선천성 기형의 발생 빈도는 2.4%였으며, 성 별 발생빈도는 3.18 : 1이었다. 선천성 기형을 기관별로 보면, 소화기계의 기형이 30.9%로 제일 높았으며, 다음이 비뇨생식기계로 25.9%였다. 14) 신생아 사망율은 11.73이었으며, 출생시 체중별 신생아 사망은 저체중아군이 전체 사망의 78.3%를 차지하였고, 재태기간별로 보면 역시 미숙아군에서 78.3%를 차지하였다. 사인별로 보면 비정상폐환기로 인한 사망이 39.1%로 제일 높았으며, 다음이 미숙아로 30.4%, 그리고 선천성 기형의 13.0%순이었다.

  • PDF

Giant Brain Abscess in a Neonate: Good Outcome with Single Transfontanelle Aspiration and Antibiotic Therapy

  • Ko, Jin-Hee;Choi, Yu-Mi;Shim, Kye-Shik;Bae, Chong-Woo;Chung, Sa-Jun;Bang, Jae-Seung;Yoon, Kyung-Lim
    • Neonatal Medicine
    • /
    • 제18권2호
    • /
    • pp.399-403
    • /
    • 2011
  • 신생아의 뇌 농양은 극히 드문 경우로 특정 선행 요인을 가지고 있는 경우가 많다. 가장 흔한 원인 균주는 그람 음성 균주이며 치료법의 발달로 사망률은 감소하였지만 반신 마비, 경련, 발달 장애 등의 후유증이 남을 수 있다. 39일 된 남아가 하루 전부터 시작된 발열을 주소를 내원하였다. 환아는 조산, 저 체중 출산아로 신생아 중환자실에 입원했던 경력이 있었다. 신체 검진상 대천문이 팽창된 것 외에 다른 신경학적 증후는 보이지 않았다. 신경 촬영 검사상 양측 전두엽에 정중선이 오른쪽으로 치우쳐 있는 뇌 농양으로 의심되는 거대한 병변이 있었다. 뇌 농양이 매우 컸음에도 불구하고 수술장으로 이동하지 않고 환자의 침상에서 직접 단순 흡입 치료를 시행하였고 항생제 치료를 병행하였다. 원인균은 Enterobacter cloacae로 판명되었고 meropenem을 8주간 투여 하였다. 환아는 빠른 회복을 보이며 이후 어떤 신경학적 휴유증도 보이지 않았다. 저자들은 Enterobacter cloacae 감염에 의한 거대한 뇌 농양이 발견된 신생아를 단순 흡입과 항생제 만으로 치료 하였고 이후 좋은 경과를 보인 1례를 경험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충남 아산시 저체중 출생아의 산전 환경 위험요인 (A Survey on Prenatal Environmental Risk Factors for Mothers of Low Birth Weight Infants in Asan-City)

  • 윤석준;안형식;하미나;고경심;전경자;이희영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37권1호
    • /
    • pp.11-16
    • /
    • 2004
  • Objective : In this study, we aimed to produce basic data on the prenatal environmental risk factors of low birth weight infants at a community level. Methods : In 2000, we conducted the direct interview using questionnaire about prenatal environmental risk factors with low birth weight infant-delivered mothers and normal weight infant-delivered mothers in Asan-city, Chungcheongnamdo Province, Korea. The questionsgiven to the mothers included past pregnancy history, menstrual status, disease history before and during the pregnancy, family history, environmental risk factors and exposure history. The responses of the twogroups were compared to calculate the prenatal environmental risk factors of each group. Results : Mothers' smoking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low birth weight infants (adjusted odds ratio(AOR) 3.27; 95% confidence interval (CI) 1.25-8.56) and preterm baby (AOR 4.20; 95% CI, 1.21-14.61). Other environmental risk factor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Conclusion: Smoking of mothers can be a risk factor for the delivery of low birth weight infants. These results could provide the basic data on prenatal environmental risk factors of mothers of low birth weight infants and suggest research topics for further community-based evaluation.

임산부에서의 Methylenetetrahydrofolate reductase (MTHFR) 유전자 변이, 엽산 및 비타민 B$_{12}$ 결핍과 고호모시스틴 혈증이 재태기간과 출산아의 체중에 미치는 영향 (The risk of MTHFR variants, folate and vitamin B$_{12}$ deficiencies and hyperhomocysteinaemia during pregnancy associated with short gestational age and reduced birth weight)

  • 박혜숙;김영주;하은희;이화영;장남수;홍윤철;김우경
    • 한국환경성돌연변이발암원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1-6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whether the MTHFR variants, folate and vitamin $B_{12}$ deficiencies increase the risk of hyperhomocysteinaemia and adverse pregnancy outcome such as short gestational age or reduced birth weight. Healthy pregnant women (n=136; 24-28 gestational weeks; 20-40 years old), who visited Ewha Womans University Hospital for prenatal ca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At the time of delivery, trained nurses recorded the pregnancy outcome from medical chart. We determined maternal MTHFR polymorphisms (C to T subsitution at nucleotide 677) and measured serum homocyteine, vitamin $B_{12}$, and folate concentrations. We compared serum homocysteine level by MTHFR genotype, serum folate and serum vitamin B12 levels using ANOVA. To evaluate the association between serum homocysteine level and pregnancy outcome, we compared the gestational age and birth weight by serum homocysteine levels us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djusting for other potential predictors. Mean level of serum homocysteine was highest among pregnant women of the MTHFR variants with low levels of serum folate and vitamin $B_{12}$. Regarding association with birth outcome, we found the relationship between homocysteine levels and increased gestational age (p=0.03) and reduced birth outcome (p>0.05). Our data demonstrates that serum level of folate and vitamin $B_{12}$ among pregnant women affects significantly serum homocysteine levels, and the genetic polymorphism of MTHFR modul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However, we did not have conclusive evidence of association between high homocysteine level and adverse pregnancy outcome such as preterm or low birth weigh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