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essure Regulator

검색결과 148건 처리시간 0.026초

누출종류에 따른 LP가스용기 누출량 실증 실험 (LPG Cylinder Leak Experiment from Multiple Leak Scenarios)

  • 이민경;이강옥;김영규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23권6호
    • /
    • pp.61-66
    • /
    • 2019
  • 액화석유가스는 배관을 통해 공급되는 도시가스와 달리 용기 또는 소형저장탱크와 같이 독립된 저장방식이 사용되며 이러한 사용특성에 의해 사고 발생률이 높다. LP가스 사고가 주로 발생하는 주택 및 업소는 인구밀집도가 높기 때문에 사고 발생 시 대규모 인명피해로 이어질 수 있는 우려가 있다. 이로 인해 액화석유가스는 타 가스에 비해 인명피해율이 높아 안전관리 강화에 대한 필요성이 꾸준히 제기되어왔다. 이에 따라 1996년 한국가스안전공사에서는 LP가스 누출시험을 진행한 바 있다. 본 연구는 1996년 실험을 바탕으로 외기온도, 배관 상태 등의 추가 조건을 설정하여 LP가스 용기의 가스 누출량 측정실험을 진행하였다. 이를 통해 LP가스 누출의 여러 시나리오에 대한 누출경향을 확인하였다. 가스누출에 있어서 조정기 등 감압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용품이 연결되지 않은 누출의 경우 외기 온도에 의해 누출량의 변화가 크게 나타나고, 조정기와 같은 용품이 체결될 경우 출구압에 의한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본 실험의 결과를 통해 추후 발생할 수 있는 LP가스 누출 사고에 대한 누출량 판단에 기초자료로 활용되어 가스안전관리 방안에 효과가 있기를 기대한다.

고에너지 전자선을 조사한 피부의 세포막모델에서 공기 중의 O2-N2 혼합기체의 분리투과 특성 (Separation Permeation Characteristics of N2-O2 Gas in Air at Cell Membrane Model of Skin which Irradiated by High Energy Electron)

  • 고인호;여진동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3권2호
    • /
    • pp.261-270
    • /
    • 2019
  • 본 논문에서는 고에너지 전자선(6MeV)을 조사한 피부의 세포막 모델에서 공기의 주요 구성성분인 $N_2-O_2$ 혼합기체가 압력차에 따른 투과도차의 변화를 나타내고 결국 $N_2-O_2$ 분리투과성의 변화로 나타내어 기체분자가 분리 전달되는 특성을 연구하였다. 이 실험에 사용한 재료로 피부의 세포막 모델은 polydimethyl siloxane (PDMS)분말을 polysulfone과 결합시킨 비다공성 복합막, 압축공기와 순도 99.9%인 산소, 질소기체통, 산소분석기(LC-700H, Japan), soap-bubble flow meter, wet-test meter, pressure regulator, back-pressure regulator, permeation cell, Linac 전자선 조사기 등을 사용하였다. 실험방법으로는 $N_2-O_2$ 기체투과 장치를 이용하여 피부세포막모델의 온도는 $36.5^{\circ}C$로 고정한 후에 기체의 온도도 $15^{\circ}C$로 고정하고 조작압력법위를 $1{\sim}6kg_f/cm^2$로 하며 각각 $1kg_f/cm^2$ 단위로 측정하였다. 방사선을 조사한 피부의 고분자막(세포막모델)에서 공기를 구성한 $N_2-O_2$ 혼합기체의 분자가 압력차에 따른 투과도차가 발생하여 피부세포에 비정상적으로 전달되는 과정을 실험을 한 결과 아래와 같은 결론을 추론하게 되었다. 피부의 고분자 막(세포막모델)에서 $N_2-O_2$ 혼합기체의 투과분리특성의 변화에 대하여 알아본 결과 방사선을 조사하지 않은 때 질소와 산소의 투과도 변화는 각각 $1.19{\times}10-4{\sim}2.43{\times}10^{-4}$$1.72{\times}10^{-4}{\sim}2.6{\times}10^{-4}[cm^3(STP)/cm^2{\cdot}sec{\cdot}cmHg]$이며 방사선조사로 질소와 산소의 투과도 변화는 각각 $0.19{\times}10^{-4}{\sim}0.56{\times}10^{-4}$$0.41{\times}10-4{\sim}0.76{\times}10^{-4}[cm^3(STP)/cm^2{\cdot}sec{\cdot}cmHg]$이며 4~10배 정도 낮아짐을 알 수가 있었고 방사선을 조사하지 않은 때 질소에 대한 산소의 이상분리인자 ${\alpha}^*$의 값은 1.32~0.42로 나타내었으며 방사선조사로 질소에 대한 산소의 이상분리인자 ${\alpha}^*$의 값은 0.237~0.125이며 4~5배 정도 낮아짐을 나타내었다. 또한, 압력차가 $1{\sim}6kg_f/cm^2$로 증가함에 따라서 작업변수인 cut가 0에 접근할수록 투과도상의 산소부화도는 증가하지만 반면에 압력비 Pr이 0에 가까워질수록 투과도상의 산소부화도는 방사선조사로 4~19배 정도 감소하였다. 방사선의 조사 유 무에 관계없이 압력차가 $1{\sim}6kg_f/cm^2$ 로 증가함에 따라서 질소, 산소 및 공기의 투과도는 증가하였지만 질소에 대한 산소의 선택성은 감소하였다.

가스보일러 CO중독 위험성 예측 및 근원적 예방기술 개발 (The Risk Assessment of Carbon Monoxide Poisoning by Gas Boiler Exhaust System and Development of Fundamental Preventive Technology)

  • 박찬일;류기윤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27-38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가스보일러 가동 중 배기통이 이탈하는 상황이 발생했을 때, 시스템적으로 인지하고 자동으로 보일러 가동을 중지하여 일산화탄소를 포함한 유해 배기가스가 실내로 유입되는 상황을 근원적으로 차단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1) 연소에 필요한 공기량을 제어하기 위해 설치된 풍압센서(APS : Air Pressure Sensor)의 출력전압을 측정하여 배기통의 정상상태와 이탈상태를 감시하는 기능을 추가한다. (2) 배기통이 이탈하면 APS의 출력전압이 상시 운전범위에서 일시적으로 상승하게 된다. 보일러 제어부인 PCB가 이 상태를 배기통 이탈로 간주하여 보일러 가동을 멈추면서 배기통 이탈 상태를 실내온도 조절기에 표시하도록 한다. 또한 국토교통부령으로 정한 「건축물의 설비기준 등에 관한 규칙」에서 명시한 공동주택 및 다중이용시설의 환기시설 기준에 따라, 실내공기 교환횟수에 맞는 풍량을 적용하여 실내공기를 환기하는 실험을 실시하였다. 이 실험 결과 실제 일산화탄소가 실내에 누출된 최악의 상태에서, 중독사고 예방이 가능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다만, 동 규칙에서 정의한 시간당 실내공기 교환횟수를 기존 0.7회에서 0.5회로 2013년부터 완화하여 운영하고 있는데, 실험결과 8시간 가중평균 노출기준인 TWA 30 ppm을 초과하는 농도가 측정되어 기준을 강화할 필요성이 있다. 본 연구 결과에 기초하여 가스보일러 배기압력의 기계적 인지를 통해 배기통 이탈을 감지하는 기술과 일산화탄소 경보기와 연동된 실내공기 환기시스템 기술을 도입한다면 일산화탄소 중독사고가 크게 감소될 것으로 판단된다. 제조 및 검사단계의 문제점을 보완하고, 올바른 설치 및 수리, 사용자의 배기통 이탈에 대한 관심이 더해졌을 때, 일산화탄소 중독으로 인한 인명사고를 예방하는데 효과적인 대책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전술유도무기용 소형 유압식 구동장치의 모델링 및 시뮬레이션 (Modeling and Simulation of A Small Hydraulic Actuation System for the Tactical Missile)

  • 이도윤;이호성;안성용;박연정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45권4호
    • /
    • pp.349-357
    • /
    • 2017
  • 최근 전술유도무기 분야는 대부분 전기식 구동장치를 채용하고 있으나 주어진 공간조건과 무게 제한 아래 상대적으로 부하가 크며 작동시간이 짧고 동시에 빠른 응답성이 요구될 경우에는 무게 및 공간 조건을 맞추기 위해서 반드시 유압식 구동장치를 적용해야 할 경우가 발생한다. 본 논문에서는 소형 유압식 구동장치 시스템을 대상으로 수학적 모델링과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수학적 모델은 고압용기, 압력조절밸브, 저유기, 유압작동기로 나누어 구성하였으며 실험 결과와 비교하여 모델의 타당성을 검증하고 고찰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소형 유압식 구동장치 시스템 설계에 유용한 수학적 모델을 수립하였다.

공기분사 및 회전 롤러를 이용한 옥수수 포엽 제거장치의 시험 (Evaluation of an Air-jet and Roller Type Corn-husker)

  • 박회만;조광환;홍성기;이선호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35권3호
    • /
    • pp.163-168
    • /
    • 2010
  • With income growth and "well-being" trends, sales of corn has been increased recently. Corns are processed at processing facilities on the main production site. Corn processing steps include removing bract, steaming, vacuum packing, and storing. To replace manual corn bract removing, some bract removing machines were imported and used. However, the machines were abandoned shortly, because of high damaging ratio of corns. In this research, factors of successful bract removing was studied with rotating rollers and air-injection nozzles to develop corn bract removing system. The test device was composed of a cylindrical roller, an air spray nozzle, a regulator, and a motor. Designing factors were roller type, diameter of air spraying nozzle, spraying angle, and spraying pressure. The measured factors were bract removing rate and damaging rate. It was found that optimum cylindrical roller surface shape was cylindrical roller and linear grove roller. This roller shape produced lowest damaging rate. Test results of the efficacy of preprocessing showed that the air spraying after preprocessing produced highest performance. The rotational speed and inclination of the roller didn't affect the bract removing performance. Optimum injection angle of the air jet nozzle was $70^{\circ}$. To increase bract removing rate and to reduce corn damage, required injection pressure and injection nozzle diameter were decided to less than 0.4 MPa and 2.5 mm, respectively. More than 3 times of nozzle passing produced good bract removing performance an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number of passing times.

Anti-G 밸브 특성 분석을 통한 고기동 항공기 여압기능 개선연구 (Studies on the Improvement of Pressurized Quality for High Maneuver Aircraft by Characteristic Analysis of Anti-G Valve)

  • 이희랑;안종무;정원영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46권3호
    • /
    • pp.230-236
    • /
    • 2018
  • Anti-G 밸브는 Anti-G Suit에 연결되어 급격한 기동 시 조종사에게 적절한 여압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Anti-G 밸브는 연결된 레귤레이터를 조종하여 기동 간 조종사의 생리학적 산소요구량 증가에 따라 적절한 PBG(Pressure Breathing for G)가 제공되도록 조절한다. FA-50과 같이 고기동 임무가 요구되는 항공기에서 Anti-G 밸브는 조종사의 생존 및 항공기의 안전을 위해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본 논문에서는 Anti-G 밸브 개발 중 발생된 문제점을 바탕으로 개발 요구도 및 설계개선 내용을 기술하였으며, 개선된 연구에 대해 구성품 성능시험 및 비행시험검증 결과를 함께 소개한다.

엔진 착화 라인의 생산성 향상을 위한 LPI 엔진 가솔린 연료 적용성에 대한 실험적 연구 (Experimental Study on Firing Test of LPI Engine Using Gasoline Fuel for Improving the Production Process at End of line)

  • 황인구;최성원;명차리;박심수;이종수
    • 한국자동차공학회논문집
    • /
    • 제15권3호
    • /
    • pp.133-140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gasoline fuel to the LPI engine. Firing test bench was used in order to assess the effect on gasoline-injected LPI engine. Gasoline fuel was supplied into the reverse direction(3-4-2-1 cylinder) at 3.0 bar with commercial gasoline fuel pump. Engine test was performed using the firing test mode at end of line. The deviations of excess air ratio of each cylinder and maximum combustion pressure using gasoline fuel were within 0.1 and $1{\sim}2\;bar$. Engine start time was measured with changing coolant temperature at $20^{\circ}C,\;40^{\circ}C,\;80^{\circ}C$, respectively. Residual gasoline volume in the fuel line was measured about 32 cc after firing test and it was less than 2 cc within 10 seconds purging. To simulate the end of line, the residual gasoline in the fuel line was purged during 5 and 10 seconds. Start time of LPI engine with LPG fuel were 0.61 and 0.58 seconds. This work showed that severe problems such as misfiring and liner scuffing were not occurred applying gasoline fuel to LPI engine.

Dynamics of lockstitch sewing process

  • Midha, Vinay Kumar;Mukhopadhyay, A.;Chattopadhyay, R.;Kothari, V.K.
    • 복식문화연구
    • /
    • 제21권6호
    • /
    • pp.967-973
    • /
    • 2013
  • During high speed sewing, the needle thread is exposed to dynamic loading, short strike loading, inertia forces, friction, rubbing, force of check spring, bending, pressure, friction, impact, shock and thermal influence. The dynamic thread loading/tension alters throughout the stitch formation cycle and along its passage through the machine. The greatest tensile force occurs at the moment of stitch stretching, when the take up lever pulls for required thread length through the tension regulator. These stresses act on the thread repeatedly and the thread passes 50-80 times through the fabric, the needle eye and the bobbin case mechanism, before getting incorporated into the seam, which result in upto 40% loss in tensile strength of the sewing thread. This damage in the sewing thread adversely affects its processing and functional performance. In this paper, the contribution of dynamic loading, passage through needle and fabric, and bobbin thread interaction in the loss in tensile properties has been studied. It is observed that the loss in tensile properties occurs mainly due to the bobbin thread interaction. Dynamic loading due to the action of take up lever also causes substantial loss in tenacity and breaking elongation of cotton threads.

New Control Scheme for the Wind-Driven Doubly Fed Induction Generator under Normal and Abnormal Grid Voltage Conditions

  • Ebrahim, Osama S.;Jain, Praveen K.;Nishith, Goel
    • Journal of Power Electronics
    • /
    • 제8권1호
    • /
    • pp.10-22
    • /
    • 2008
  • The wind-driven doubly fed induction generator (DFIG) is currently under pressure to be more grid-compatible. The main concern is the fault ride-through (FRT) requirement to keep the generator connected to the grid during faults. In response to this, the paper introduces a novel model and new control scheme for the DFIG. The model provides a means of direct stator power control and considers the stator transients. On the basis of the derived model, a robust linear quadratic (LQ) controller is synthesized. The control law has proportional and integral actions and takes account of one sample delay in the input owing to the microprocessor's execution time. Further, the influence of the grid voltage imperfection is mitigated using frequency shaped cost functional method. Compensation of the rotor current pulsations is proposed to improve the FRT capability as well as the generator performance under grid voltage unbalance. As a consequence, the control system can achieve i) fast direct power control without instability risk, ii) alleviation of the problems associated with the DFIG operation under unbalanced grid voltage, and iii) high probability of successful grid FRT. The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solution is confirmed through simulation studies on 2MW DFIG.

Vanadium이 신장 Na-K-ATPase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odium Orthovanadate on Renal Na-K-ATPase Activity and Renal Function in Rabbits)

  • 김인순;이상복;조규철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01-106
    • /
    • 1983
  • Vanadium is widely distributed in animal tissues and it is supposed to be a regulator of Na-K-ATPase activity. The effect of sodium orthovanadate on Na-K-ATPase activity in rabbit kidney was measured in vitro and compared with that of ouabain. The influence of sodium orthovanadate on the renal function of rabbits was also investigated. 1) Na-K-ATPase activity was decreased by sodium orthovandate at the concentrations of $10^{-7},\;10^{-6},\;10^{-5}\;and\;10^{-4}\;M$ to 73.89, 36.49, 6.50 and 4.99% of the control activity respectively. 2) Na-K-ATPase activity was decreased by ouabain at the concentrations of $10^{-4},\;10^{-3}\;and\;10^{-2}\;M$ to 69.52, 22.84 and 3.88% of the control activity respectively. 3) Urine volume, urinary excretion of $Na^+,\;K^+\;and\;Cl^-$, clearances of inulin and p-amino-hoppuric acid were decreased until after 60 minutes following the administration of sodium orthovanadate 0.5 mg/kg intravenously $Na^+\;reasorption$ rate was not changed and mean arterial pressure was significantly elevated during 60 minutes after the administration of sodium orthovanadat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