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epubertal group

검색결과 45건 처리시간 0.039초

소아 Graves병의 임상적 고찰 : 사춘기 이전군과 사춘기군의 비교 (Graves' Disease in Prepubertal Children Compared with Pubertal Children)

  • 김현미;윤주연;정민호;서병규;이병철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6권1호
    • /
    • pp.76-82
    • /
    • 2003
  • 목 적 : 소아 Graves병의 진단 시 발병 연령에 따른 갑상선 기능, 임상 양상, 갑상선 항체가 및 치료 기간 등이 어떻게 다른지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방 법 : 1989년 1월 1일부터 1995년 12월 31일까지 7년간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성모병원과 강남성모병원 소아과에서 Graves병으로 진단 받고 3년 이상 추적관찰이 가능하였던 환아 52명을 대상으로 Tanner의 성 성숙도를 기준으로 사춘기 이전에 발병한 군(사춘기전군)과 사춘기 시작 후 발병한 군(사춘기군)으로 나누어 갑상선 기능상태, 갑상선 항체, TSH 수용체 항체, 치료 후 갑상선 기능검사치가 정상화되는 시기 및 치료 기간 등을 조사하였다. 결 과 : 1) 전체 52명 중 남녀간의 성비는 1 : 12로 주로 여아에서 발병하였다. 2) 사춘기전군은 14명(남아 2명), 사춘기군은 38명(남아 2명)으로 각각 평균연령은 $7.2{\pm}0.9$세, $12.4{\pm}1.5$세이었다. 3) 치료 전 사춘기전군과 사춘기군에서 $T_3$$3.98{\pm}1.70$$3.82{\pm}1.63ng/mL$, $T_4$$17.49{\pm}5.56$$19.23{\pm}6.01{\mu}g/dL$, TSH는 $0.07{\pm}0.11$$0.07{\pm}0.24mIU/L$ 등으로 서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4) 치료 전 사춘기전군과 사춘기군에서 AMA 양성률은 85%와 89%이었고, 평균 항체가는 사춘기군이 사춘기전군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1). ATA 양성율은 각각 57.1%와 72.2%였으나 평균 항체가의 차이는 없었으며 TBII의 양성율은 각각 92.9%와 84.2%였고 평균 항체가는 사춘기전군에서 사춘기군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5). 5) 치료 후 사춘기전군과 사춘기군에서 $T_3$, $T_4$, TSH, TBII가 정상화되는 소요되는 기간은 $T_3$는 각각 $6.8{\pm}5.0$$5.4{\pm}13.2$개월, $T_4$는 각각 $2.3{\pm}1.9$$2.1{\pm}2.2$개월, TSH는 각각 $14.6{\pm}11.0$$6.8{\pm}7.8$개월, TBII는 각각 $26.7{\pm}24.0$$20.8{\pm}12.1$개월로 사춘기전군에서 TSH가 정상화되는 기간이 사춘기군보다 더 길었다(P<0.05). 두 군 모두 $T_4$, $T_3$, TSH, TBII 순으로 정상화되었다. 6) 치료 기간은 사춘기전군($53.3{\pm}19.3$개월)이 사춘기군($37.9{\pm}16.3$개월)보다 유의하게 길었다(P<0.01). 7) 약물 치료 3년 동안 관해는 사춘기전군에서 8례(57.1%), 사춘기군에서 26례(68.4%)였고 재발율은 각각 6례(75%) 및 17례(65.3%)였다. 8) Graves병의 진단 시 연령과 치료 기간 사이에는 역상관관계가 있었다(P=0.03). 결 론 : 소아에서 사춘기 이전에 발병하는 Graves병은 사춘기 이후에 발병하는 경우보다 항갑상선제 치료기간이 더 필요하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으며 앞으로 더 많은 환자를 대상으로 장기간의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Immunohistological expression of cytochrome P450 1A2 (CYP1A2) in the ovarian follicles of prepubertal and pubertal rat

  • Hwang, Jong-Chan;Park, Byung-Joon;Kim, Hwan-Deuk;Baek, Su-Min;Lee, Seoung-Woo;Jeon, Ryoung-Hoon;Jang, Min;Bae, Seul-Gi;Yun, Sung-Ho;Park, Jin-Kyu;Kwon, Young-Sam;Kim, Seung-Joon;Lee, Won-Jae
    • 한국동물생명공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329-337
    • /
    • 2020
  • Cytochrome P450 1A2 (CYP1A2) is a member of the cytochrome P450 superfamily enzymes in mammals and plays a major role in metabolizing endogenous hormones in the liver. In recent days, CYP1A2 expression has been found in not only the liver but also other tissues including the pancreas and lung. However, little information is available regarding the expression of CYP1A2 in the ovary, in spite of the facts that the ovarian follicle growth and atresia are tightly associated with controls of endocrine hormonal networks. Therefore, the expression of CYP1A2 in the ovaries of prepubertal and pubertal rats was investigated to assess its expression pattern and puberty-related alteration. It was demonstrated that the expression level of CYP1A2 was significantly (p < 0.01) higher in the pubertal ovaries than prepubertal counterparts. At the ovarian follicle level in both groups, whereas CYP1A2 expression was less detectable in the primordial, primary and secondary follicles, the strongly positive expression of CYP1A2 was localized in the granulosa cell layers in the antral and pre-ovulatory follicles. However, the ratio of CYP1A2-positive ovarian follicle was significantly (p < 0.01) higher in the ovary of pubertal group (73.1 ± 3.1%) than prepubertal one (41.0 ± 10.5%). During the Immunofluorescence, expression of CYP1A2 was mainly localized in Fas-positive follicles, indicating the atretic follicles. In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CYP1A2 expression was mainly localized at the atretic follicular cells and affected by the onset of puberty. Further study is still necessary but we hypothesize that CYP1A2 expresses in the atretic follicles to metabolize residue of the reproductive hormones. These findings may have important implications for the fields of reproductive biology of animals.

Effects of GnRH on the Plasma FSH, LH and Estradiol Levels at Estrus Induced with Injection of PGF2α and eCG in Prepubertal Buffaloes (Bubalus bubalis)

  • Singh, C.;Madan, M.L.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3권7호
    • /
    • pp.897-900
    • /
    • 2000
  •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to study the effect of GnRH administration at induced estrus on pituitary and ovarian response in buffalo heifers. Eight Murrah river buffaloes of 12 to 13 months of age were treated with $PGF_{{2}{\alpha}}$ and eCG combination. GnRH (Fertagyl) 200 ug was injected (iv) at estrus in four heifers (treated group) while saline (2 ml, iv) was injected in remaining four heifers (control group). Blood was collected through jugular catheter to estimate plasma FSH, LH and estradiol level. The pretreatment plasma FSH, LH and estradiol values ranged from $8.46{\pm}1.97ng/ml$ to $12.31{\pm}1.30ng/ml$, $0.87{\pm}0.21ng/ml$ to $1.19{\pm}0.29ng/ml$ and $19.09{\pm}2.38pg/ml$ to $20.24{\pm}1.00pg/ml$ respectively. The plasma estradiol concentration elevated significantly (p<0.05) within 24 hr after eCG administration and reached its peak levels of $154.09{\pm}17.28pg/ml$ and $181.95{\pm}31.82pg/ml$ at estrus in respectively treatment and control groups. The plasma FSH and LH concentrations did not increase during follicular development after eCG administration while initial significant (p<0.05) increases in both plasma FSH and LH concentrations occured within 5 and 10 min, reaching peak levels of respectively $110.06{\pm}23.56ng/ml$ and $13.15{\pm}3.13ng/ml$ within 90 min after GnRH injection was detected. A sharp and significant decline in plasma estradiol concentration ($59.27{\pm}8.78pg/ml$) associated with synchronized ovulation within 24 hours after GnRH injection was recorded. The observation suggest that the hypophysis of prepubertal buffaloes treated with eCG have gonadotrophins awaiting the releasing factor to evoke release of gonadotrophin during the follicular phase to induce synchronized ovulation.

사춘기전 I, II급 부정교합 아동의 기도 면적, 혀의 위치와 안면 형태에 관한 연구 (Effect of airway and tongue in facial morphology of prepubertal Class I, II children)

  • 황용인;이규홍;이기준;김상철;조형준;천세환;박양호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74-82
    • /
    • 2008
  • 본 연구는 사춘기 성장 이전의 I, II급 부정교합을 갖는 아동 환자들의 측모 두부 규격 방사선사진을 이용하여 두 개 안면 형태를 조사하고 이들과 혀의 위치 및 면적, 기도의 면적과의 관계를 조사하여 비인두 기도 및 혀의 형태가 악골 및 부정 교합의 형태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9 - 11세의 교정환자 76명을 대상으로 측모 두부 규격 방사선사진상 ANB difference를 기준으로 대조군(I급 부정교합군: $0{\le}ANB$ difference <4.0)과 실험군(II급 부정교합군: ANB difference ${\ge}$ 4.0)으로 분류하였다. 혀 면적, 혀와 구개 사이의 면적, 비인두 기도 면적과 두개안면형태 항목을 측정하고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혀 면적, 혀와 구개 사이의 면적, 비인두 기도 면적은 II급 부정교합군과 I급 부정교합군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Hyperdivergent 안면 형태일수록 비인두 기도 면적이 좁았다. 안모의 전후방 수직 길이가 길수록 혀의 면적이 넓었고, 전안면 고경이 길수록 혀는 하방위치 하였다. 비인두기도 면적이 좁을수록 혀의 면적도 좁아졌다. 이상의 연구 결과 혀의 면적과 위치, 비인두 기도의 면적은 I급, II급 부정교합 간에 차이를 보이지 않으며 hyperdivergent 안면 형태 및 안모의 전후방 수직 길이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돼지에서 PMSG와 $\textrm{PG600}^{\textregistered}$의 과배란 처치 효과 (Superovulation Treatment with PMSG and $\textrm{PG600}^{\textregistered}$ in Prepubertal Gilts)

  • 김대영;현상환;이갑상;김혜수;염수청;한병우;이강남;이은송;이병천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295-302
    • /
    • 2000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different superovulation treatments using PMSG or PG600$^{ }$ and to determine the optimal time of oocyte recovery after hCG administration. A total of 90 prepubertal Yorkshire x Landrace gilts crossed with Duroc, 6~7 months old and 100~120 kg of body weight, were used. PMSG (1,500 IU/head) or 5~7.5 ml of PG600$^{ }$(400 IU of PMSG and 200 IU of hCG) were administrated subcutaneously, and then 1,000 IU of hCG were administered intramuscularly at 72 hours after PMSG or PG600$^{ }$ injection. At carious time of 44, 46, 48 and 50 hours after hCG injection, superovulated gilts were slaughtered in a local abattoir. Ovaries together with oviducts were excised from the body immediately after slaughtered and transported to laboratory in 39$^{\circ}C$ saline. Ovaries were examined fur the number of corpus hemorrhagicum and unovulated follicles present in the surface of ovary. The unovulated follicles were categorized into small (1~3 mm in diameter) and large (4~8 mm) groups according to their diameter. Oocytes were recovered by flushing both oviducts with micropipette tip (1~100 $\mu$l) attached to a 10-ml disposable syringe. The number of CH on ovary and recovered oocytes at 46, 48 and 50 hr after hCG injection in PG600$^{ }$ treated group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other group. Group of phCG 50 hr among PMSG treated groups had a greater number of CH and recovered oocytes(P<0.05). The number of CH on ovary and recovered oocytes at 50 hr after hCG injection in 1$\frac{1}{2}$ vial(7.5 ml) of PG600$^{ }$ treated group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1 vial(5 ml) of PG600$^{ }$ treated group(P<0.05). In conclusions, considering a number of corpus hemorrhagicum and recovered oocytes after superovulation in gilts, effective time of oocyte recovery by treatment with PMSG and hCG was post-hCG 50 hr and with PG600$^{ }$ plus hCG was post-hCG 46, 48 and 50 hr. Also, admini-stration of 1$\frac{1}{2}$ vial(7.5 ml) of PG600$^{ }$ treated group had a great number of CH and recovered oocytes.covered oocytes.

  • PDF

Effect of MEM Vitamins Supplementation of In vitro Maturation Medium and In vitro Culture Medium on the Development of Porcine Embryos

  • Kim, J.Y.;Lee, E.J.;Park, J.M.;Park, H.D.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4권11호
    • /
    • pp.1541-1546
    • /
    • 2011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xamine the influence of minimum essential medium (MEM) vitamins supplementation to in vitro maturation medium and in vitro culture medium on the development of porcine embryos. Porcine embryo development was investigated following cultivation in both in vitro maturation and culture medium with the supplementation of MEM vitamins (0, 0.1, 0.2 and 0.4%) using immature oocytes collected from the ovary of prepubertal gilts. Embryo development was observed and the total cell number in each blastocyst generated under the culture conditions was quantified following supplementation of the medium. The embryonic development rate of the blastocyst and hatched blastocyst was higher, but not significantly so, when 0.4% MEM vitamins were supplemented to the in vitro maturation medium of the porcine oocyte. Interestingly, the total number of cells in the blastocyst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in vitro maturation MEM vitamins supplemented group compared to either the untreated group or the group which had MEM vitamins supplemented to both in vitro maturation and in vitro culture medium simultaneously (p<0.05). Therefore, the supplementation of 0.4% MEM vitamins to the in vitro mature medium has a beneficial effect on the embryonic development of in vitro produced blastocysts derived from the immature porcine oocytes.

미성숙 웅성 흰쥐를 이용한 이온화 방사선 조사 및 저농도 염화수은(II)의 음용에 따른 위해성 비교 평가 (Evaluation of Biological Effects of Low Concentrations of Mercury Chloride (II) and Ionizing Radiation in the Prepubertal Male Rats)

  • 김지향;김진규;윤용달
    • 환경생물
    • /
    • 제22권3호
    • /
    • pp.411-418
    • /
    • 2004
  • 생태계는 수은의 화학적 형상 및 산업화에 따른 방출로 지속적이면서 다양하게 오염된다. 또한 수은은 화학적 여러 형태로 분류되며 쉽게 기화되는 성질로 인해 수은을 공정하는 과정에서 수많은 근로자들이 쉽게 급성 혹은 만성 중독이 될 수 있다. 그러나 수은의 유독성이 알려져 있기는 하나 생체가 환경에서 노출 가능한 저농도의 수은 영향에 대해서는 정확한 접근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실험은 이온화 방사선과 염화수은(II)의 영향을 비교해보고자 수행하였다. 미성숙의 웅성F344 흰쥐의 음용수에 염화수은을 녹여 실험기간 동안 음용시켰으며, 방사선 조사군의 경우는 6.5Gy의 감마선을 전신 조사하여 실험기간 동안 관찰하였다. 실험기간 동안의 체중의 변화량을 대조군과 비교 하였을 때, 염화수은을 처리한 군은 4.9% 증가를 보였으나, 감마선을 조사한 군에서는 14.4% 감소를 보였다. 혈액적 표지 인자들의 농도를 분석하여 각각 비교하였을 때, 염화수은을 처리하였을 때의 결과는 방사선을 전신조사한 것과는 확연히 다른 양상을 나타내었다. 반면 스트레스 호르몬으로 알려진 대표적인 부신피질 호르몬인 cortisol의 혈청내 농도는 대조군에 비해 두 실험군에서 모두 상승하였다. 각 외인성 인자에 의한 세포자연사 양상을 비교하고자 정소와 신장 조직에 대한 역전사중합반응을 실시하였다. Bax mRNA 분자의 발현은 두 실험군의 정소와 신장에서 모두 증가하였으나, Bcl-2 mRNA는 실험군에 따라 혹은 기관에 따라 다른 양상을 보였다. 본 실험의 결과 염화수은(II)은 주대상기관을 신장으로 하여 그 손상 기전은 이온화 방사선의 것과 구별되는 양상을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미성숙 암컷 흰쥐의 사춘기 개시에 미치는 Vinclozolin의 영향 (Effect of Vinclozolin on the Onset of Puberty in Immature Female Rats)

  • 안나경;이성호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11권3호
    • /
    • pp.245-251
    • /
    • 2007
  • Dicarboximide계 살균제인 vinclozolin(VCZ)은 과일, 야채, 관상용 식물에서 미생물에 의해 유발되는 병들을 통제하는데 사용되어왔다. VCZ의 대사산물인 M1과 M2는 흔히 토양, 식물, 포유류에 잔존하기 때문에 인간에게 노출될 가능성이 크다. VCZ가 갖는 항안드로겐성 활성 때문에 주로 수컷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졌으며, 암컷의 사춘기와 생식계에 미치는 영향은 연구가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VCZ가 암컷 흰쥐의 사춘기 개시와 이와 관련된 생식 지표들의 변화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였다. 생후 21일부터 vehicle(DMSO) 또는 VCZ(10 mg/kg/day i.p.)를 사춘기 개시의 지표인 질구 개방(vaginal opening, V.O.)이 일어나는 날까지 투여하였다. 질구 개방이 일어난 날 오후에 희생시킨 후 난소와 자궁의 외양과 조직 무게를 측정하여 VCZ가 이들 조직에서의 세포 증식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였고, 현미경 관찰을 통해 해부학적인 변화 양상을 조사하였다. 또한, 면역조직화학법을 수행하여 단백질 수준에서의 유전자 발현을 조사하였다. 자궁 성숙의 지표인 프로게스테론 수용체(PR) 발현 양상은 정량적인 RT-PCR로 확인하였다. 결과로, VCZ 투여에 의해 질구 개방이 지연됨을 확인하였다(PND $34.00{\pm}1.22$ in control group vs PND $38.20{\pm}1.92$ in VCZ group, p<0.05). 그러나 체중 변화의 경우, 대조군과 VCZ군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난소와 자궁의 크기와 무게는 대조군에 비해 VCZ군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질구 개방이 일어난 대조군의 난소에서는 성숙의 지표인 그라프 난포(Graafian follicle)와 황체가 관찰되었으나, VCZ군의 난소에서는 미성숙한 1차, 2차 난포 그리고 작은 퇴화 난포(atretic follicle)들만이 다수 관찰되었다. 자궁의 경우도 대조군에서는 내막층과 근막층은 물론 상피층까지 잘 발달된 과다 성장 상태와 함께 분비선 수의 증가가 관찰되었으나, VCZ군에서는 모든 세포층과 분비선의 발달이 미약한 상태였다. RT-PCR 결과, 난소(p<0.01)에서의 PR mRNA 수준은 VCZ 투여에 의해 유의한 발현 감소가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사춘기 개시 전 특정시기에 단기적인 VCZ 투여에 의해 암컷 흰쥐의 생식계 활성화가 억제되고, 그 결과 사춘기 개시가 지연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 PDF

암컷 흰쥐의 사춘기 개시에 미치는 Genistein의 효과 (Effect of Genistein on the Onset of Puberty in Female Rats)

  • 이경엽;이성호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10권1호
    • /
    • pp.55-61
    • /
    • 2006
  • 콩류 섭취가 유방암이나 골다공증, 그리고 심혈관계 질환 예방에 도움이 된다는 사실은 학계는 물론 일반인들에까지 큰 관심을 불러 일으키고 있다. 그러나 콩류, 특히 그 주성분인 genistein(GS)이 상기한 긍정적인 효과 외에도 여성의 생식계에 잠재적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에 대한 의문이 계속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GS가 암컷 흰쥐의 사춘기 개시에 미치는 효과와 호르몬 수용체 등 이때의 다양한 생식 지표들의 변화들 조사하였다. GS(100mg/kg/day i.p.)를 생후 25일부터 사춘기 개시의 지표인 최초의 질구 개방(vaginal opening, VO)이 일어나는 날까지 투여하였다. 다음 날 희생시킨 후 난소와 자궁의 외양 변화와 조직 무게를 측정하여 GS가 이들 조직의 세포분열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였고, 조직절편의 현미경 관찰을 통해 해부학적인 변화 양상을 조사하였다. 한편 채취한 혈액내의 LH 수준은 방사면역측정법(RIA)로 측정하였다. 또한 자궁 성숙의 지표가 되는 프로게스테론 수용체(PR)의 mRNA 수준에 대한 정량적인 RT-PCR 조사를 수행하였다. GS 투여에 의해 질구 개방이 앞당겨짐이 확인되었고 ($35.3{\pm}0.7$ day in control group vs $31.2{\pm}0.6$ day in GS group, p<0.0l), 이 때 GS군의 체중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낮음을 관찰하였다. 난소와 자궁의 크기와 무게, 그리고 혈중 LH 수준이 GS군에서 유의하게 증가함이 관찰되었다. GS군의 난소에서는 성숙의 지표가 되는 그라프 난포(Graafian follicle)와 황체가 관찰되었으나 대조군의 난소는 미성숙한 난포들만이 관찰되었다. 자궁의 경우도 GS군에서는 내막층과 근막층은 물론 상피층까지 잘 발달된 과다 성장 상태와 함께 분비선 수의 증가가 나타났으나 대조군에서는 모든 세포층의 발달이 미약한 상태였다. 이러한 결과들은 GS의 에스트로겐 유사 효과에 기인하는 것으로 보인다. RT-PCR에서 난소와 자궁에서의 PR mRNA 수준은 GS 투여에 의해 발현 증가가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사춘기 전 특정 시기에 단기적인 GS 투여에 의해 암컷 흰쥐의 생식계가 활성화되고, 그 결과 조기 사춘기가 유도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 PDF

Effects of Serum Addition and Different Culture Media on Growth of Porcine Preantral Follicles In Vitro

  • Diao, Yun-Fei;Kim, Hong-Rye;Han, Rong-Xun;Kim, Myung-Yoon;Park, Chang-Sik;Jin, Dong-Il
    • Reproductive and Developmental Biology
    • /
    • 제34권3호
    • /
    • pp.207-211
    • /
    • 2010
  • Current developments in IVF and animal cloning have resulted in increasing demand for large quantities of oocytes and ovarian follicles at specific stages of development. These medical and scientific needs may be met by developing an optimal culture system for preantral follicle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growth of porcine preantral follicle cultures in different media and in the presence and absence of serum. Follicles were manually dissected from ovaries obtained from prepubertal gilts at a local slaughterhouse, and cultured for 3 days in M199 or NCSU23 medium supplemented with porcine FSH, transferrin, L-ascorbic acid and insulin. Follicle diameters were measured on day 1 and 3 of culture. In Experiment 1, the effect of supplementing culture medium with fetal calf serum (FCS) on porcine preantral follicle growth was examined. In the group of cultures supplemented with FCS, follicle diameter after 3 days of culture, survival rate and antrum formation rate in the FCS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 In Experiment 2, the effects of culture medium (M199 and NCSU23) on follicle growth were compared. Follicle diameters were increased in the M199 group, compared with those in NCSU23 (p<0.05), but we observ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survival and antrum formation rates between cultures grown in the two media. In conclusion, supplementation of the culture medium with serum enhances preantral follicle growth and antrum formation, and M199 is superior to NUSU23 for porcine preantral follicle culture in vitr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