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eferred title

검색결과 37건 처리시간 0.026초

음악저작 우선표제 기술 지침 개발시 고려사항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nsiderations in Developing Guidelines for Recording Preferred Title of Music Works)

  • 이미화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8권1호
    • /
    • pp.373-393
    • /
    • 2024
  • 본 연구는 음악저작의 우선표제 기술 지침 개발시 고려사항을 제안하고자 RDA 규칙을 분석하고, 여러 국가 도서관의 지침을 분석하였다. 우선, RDA 규칙을 분석하고, 규칙의 별법 및 선택사항별로 자체적인 지침을 개발한 8개 국가도서관에서 RDA 적용 지침을 조사하여 주요 고려대상 규칙을 살펴보았다. 이후 규칙별로 MLA, LC-PCC, DACH의 지침 내용을 분석하여 고려사항을 실질적으로 제시하였다. 첫째, 우선표제 선정과 관련하여 원어표제를 채택하도록 하되 원어표제가 국내 이용자에게 적합하지 않은 경우, 다른 언어의 우선표제를 사용하도록 할 필요가 있다. 둘째, 우선표제 기술과 관련하여 한 파트 저작, 둘 이상의 파트를 가진 저작, 한 저자의 전집, 특정 작곡유형명의 전집, 불완전한 합집, 여러 작곡가의 합집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셋째, 추가요소로 연주수단, 숫자표시, 음조, 기타 식별특성을 우선표제 기록시 고려사항으로 제시하였다. 넷째, 작곡유형명과 연주수단을 위한 통제어휘집을 지정하거나 제시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RDA 음악저작의 우선표제 기술 지침 개발시 고려할 사항을 제시하였으므로 음악저작의 우선표제 관련 규칙 개발과 도서관에서 음악저작의 우선표제 기술 지침 작성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음악 저작의 전거형접근점 규칙 마련시 고려사항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nsiderations in Rules for Authorized Access points of Music Work)

  • 이미화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9권4호
    • /
    • pp.147-166
    • /
    • 2018
  • KCR4에서 음악 저작의 집중을 위한 전거형접근점 규칙 제정시 고려사항을 제안하고자 FRBR, LRM, ICP 2016, RDA, BIBFRAME에서 전거형접근점의 방향을 조사하고, RDA에서 음악 저작 및 표현성 속성과 전거형접근점 기술 규칙과 VIAF 사례를 분석하였다. 첫째, VIAF와 같은 에그리게이터형의 전거형접근점 적용 방식을 제시하고, 원표제를 우선표제로 삼되, 원표제가 이용자에게 적합하지 않은 경우 적합한 언어나 문자를 선택할 것을 제시하였다. 둘째, 음악 저작의 전거형접근점은 작곡가의 전거형접근점과 저작의 우선표제로 구성하되, 원작곡가의 책임이 크지 않은 경우는 개작자 등으로 전거형접근점을 구성한다. 또한, 국내 전통음악도 작곡자의 책임성을 중심으로 저작유형별 전거형접근점 구성에 대해 고려할 것을 제안하였다. 셋째, 저작 및 표현형 속성을 일관되게 기술할 수 있도록 작곡유형, 연주매체, 음조 등에서 통제어휘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국내에서 음악저작의 저작 및 표현형 집중을 위한 전거형접근점 기술 규칙마련을 위한기초를 제시하였으며, 앞으로 음악 분야의 이용자 요구조사를 바탕으로 한 보다 구체적인 기술방안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RDA의 저작과 표현형의 접근점 규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nstructions for Access Points Representing Works and Expressions in RDA)

  • 도태현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27-48
    • /
    • 2012
  • 이 연구는 RDA의 저작과 표현형의 접근점 규정을 분석하였다. 저작과 표현형의 전거형 접근점은 저작의 채택된 표제를 기초로 작성하며, 가능하면 저작에 대하여 중요한 책임을 갖는 저자의 전거형 접근점에 저작의 채택된 표제를 더하여 작성한다. 이형 접근점은 저작의 이형 표제를 기초로 작성한다. 저작의 전거형 접근점이 저자의 전거형 접근점에 저작의 채택된 표제를 더하여 작성된 경우 이형 접근점은 저자의 전거형 접근점에 저작의 이형 표제를 더하여 작성하며, 저작의 채택된 표제만으로도 이형 접근점을 작성한다. RDA에는 특수한 유형의 자료들에 대하여 유형별 접근점 규정을 두고 있지만 일반 규정의 틀을 크게 벗어나지 않는다. RDA의 저작과 표현형에 대한 전거형 접근점 규정은 AACR2의 저자명 기본표목과 통일표제 기본표목의 원칙과 거의 일치한다.

종교저작의 우선표제 및 전거형접근점 적용 방안 (A Study on Constructing Preferred Titles and Authorized Access Points for Religious Works)

  • 노지현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4권4호
    • /
    • pp.105-122
    • /
    • 2023
  • 이 연구는 종교저작에 적용되는 우선표제와 전거형접근점을 실제 서지데이터 및 전거데이터를 이용하여 적용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1) 종교저작의 우선표제와 전거형접근점에 관한 목록규칙을 검토하고, (2) 주요 도서관에서 종교저작에 적용한 우선표제와 전거형접근점의 실제 사례를 조사한 다음, (3) 국내에 적용할 종교저작의 우선표제와 전거형접근점의 작성 방안을 국립중앙도서관 데이터를 사례로 하여 제안하였다. 이 과정에서 KCR5 개정안을 적용하더라도 종교저작에 우선표제를 기술하는 과정에서 추가적으로 검토가 필요한 사항을 도출할 수 있었다. 연구에 필요한 데이터는 문헌연구와 사례조사를 통해 확보하였으며, 데이터의 확인이 필요한 경우 이메일을 이용하여 추가정보를 수집하거나 확인하는 절차를 거쳤다. 최종적으로 종교저작의 우선표제와 전거형접근점의 작성 방안은 국립중앙도서관의 서지데이터를 샘플로 활용하여 KORMARC 통합서지용 및 전거통제용 형식으로 제시하였다.

임상병리사 명칭 변경을 위한 타당성 연구 (A Study on the Validity of Changing the Job Title of Medical Technologist)

  • 구본경;김원식;박선구;박종오;윤성민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53권1호
    • /
    • pp.105-121
    • /
    • 2021
  • 임상병리사 명칭 변경과 관련한 의견을 수렴하기 위해 사단법인 대한임상병리사협회에서는 정회원으로 등록된 총 22,638명에게 온라인을 통해 제시된 명칭에서 2개를 선택하는 설문 답변을 요구하였으며 이 중 3,999명(17.66%)이 설문조사에 회신답변하였다. 명칭 선호도는 회원 1인당 2개를 선택하는 답변을 통해서 6,958건이 산출되었으며 그 중 5,555건(79.83%)가 '분석사' 레벨을 선호하였다. 명칭에 대한 조사결과는 진단검사분석사가 2,417건(34.73%)으로 가장 많았고, 임상검사분석사는 1,710건(24.57%), 의생명병리사는 758건(10.89%), 의생명분석사는 730건(10.49%), 의생명검사분석사는 730건(10.03%), 임상검사과학사는 646건(9.26%) 순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조사된 회원들의 요구도, 자문, 문헌고찰, 표준직업분류, 주요대상국 현황을 기반으로 "진단검사분석사(Diagnostic Laboratory Analyst), 의생명검사분석사(Biomedical Laboratory Analyst), 의생명분석사(Biomedical Analyst)"를 명칭 정립으로 제언하고자 한다.

법률저작의 통일표제 작성지침 제안을 위한 연구 (A Study on the Proposal of Guideline for Uniform Title of Legal Works)

  • 이은주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8권1호
    • /
    • pp.329-349
    • /
    • 2024
  • 본 연구는 국내 도서관 현장에 적용가능한 통일된 형식의 우선표제 작성지침 제안을 목적으로 두고, 법률저작에 집중하여 논의를 진행하였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1) 국내·외 목록규칙 중 RDA, NCR, KCR2, KCR5 개정안을 대상으로 법률저작의 통일표제 그리고 전거형접근점 규칙을 분석하고, (2) LC, DNB, 북미권 대학도서관을 대상으로 법률저작의 통일표제 입력지침과 입력사례를 조사함으로써 실제 적용되는 방식을 분석한 후, (3) 국립중앙도서관 법률저작의 서지데이터를 임의추출하여 통일표제의 적용범위를 검토해보고 통일표제 작성지침 개발시 고려할 점을 도출하였다. 이를 근거로 (4) 법률저작의 통일표제 작성지침 초안을 도출한 후, 국립중앙도서관 실무진의 검토와 법률 및 통일표제 전문가 자문을 거쳐 최종안을 제안하였다. 논의에 필요한 데이터는 문헌연구와 사례조사를 통해 확보하였으며, 추가적인 데이터는 업무담당자와의 이메일 면담과 전문가 자문을 통해 확보하였다.

BIBFRAME 2.0 특징 분석 및 BIBFRAME 구축시 고려사항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nsiderations in Constructing BIBFRAME by Analyzing BIBFRAME 2.0)

  • 이미화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8권4호
    • /
    • pp.107-127
    • /
    • 2017
  • 본고는 국내에서 BIBFRAME 구축을 위한 세부적인 방안 마련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BIBFRAME 2.0의 특징을 변경사항을 중심으로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BIBFRAME 구축시 고려사항을 제시하고자 문헌연구를 실시하였다. 고려사항으로 첫째, BIBFRAME 2.0에서 핵심 개체로서 표현형 개체의 추가 혹은 표현형의 명확한 기술 방안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둘째, 자료유형별 다양한 기술 요소를 BIBFRAME과 매핑하여 BIBFRAME에서 RDA 요소의 반영여부를 파악하고, BIBFRAME 속성, 클래스 어휘의 개발을 제안하였다. 셋째, BIBFRAME에서 우선표제 및 우선이름 기술을 위한 목록규칙 개발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BIBFRAME 2.0 어휘가 지속적으로 변경되고 개발중인 상황에서 BIBFRAME 모델의 개정과 개발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다중 어댑터를 이용한 교차 언어 및 스타일 기반의 제목 생성 (Cross-Lingual Style-Based Title Generation Using Multiple Adapters)

  • 박요한;최용석;이공주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 및 데이터공학
    • /
    • 제12권8호
    • /
    • pp.341-354
    • /
    • 2023
  • 문서의 제목은 문서의 내용을 가장 효율적으로 요약하여 제공해 준다. 이때 독자들이 선호하는 스타일과 언어에 따라 문서의 제목을 다르게 제공해 준다면, 독자들은 문서의 내용을 좀 더 쉽게 예측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문서가 주어졌을 때 언어와 스타일에 따라 제목을 자동 생성하는'교차 언어 및 스타일 기반의 제목 생성 모델을 제안한다. 모델을 학습하기 위해서는 같은 내용을 다른 언어와 다른 스타일로 작성한 병렬데이터가 필요하다. 그러나 이러한 종류의 병렬데이터는 구축하기 매우 어렵다. 반면, 단일 언어와 단일 스타일로 구축된 제목 생성 데이터는 많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제로샷(zero-shot) 학습으로 제목 생성을 수행하고자 한다. 교차 언어 및 스타일 기반의 제목 생성을 학습하기 위해 다중 언어로 사전 학습된 트랜스포머 모델에 각 언어, 스타일, 기계번역을 위한 어댑터를 추가하였다. 기계 번역용 병렬데이터를 이용하여 기계번역을 먼저 학습한 후, 동일 스타일의 제목 생성을 학습하였다. 이때, 필요한 어댑터만을 학습하고 다른 부분의 파라미터는 모두 고정시킨다. 교차 언어 및 스타일 기반의 제목을 생성할 때에는 목적 언어와 목적 스타일에 해당하는 어댑터만을 활성화시킨다. 실험 결과로는 각 모델을 따로 학습시켜 파이프라인으로 연결시킨 베이스라인에 비해 본 연구에서 제안한 제로샷 제목 생성의 성능이 크게 떨어지지 않았다. 최근 대규모 언어 모델의 등장으로 인한 자연어 생성에서의 많은 변화가 있다. 그러나 제한된 자원과 제한된 데이터만을 이용하여 자연어 생성의 성능을 개선하는 연구는 계속되어야 하며, 그런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를 모색한다.

종교 저작에 대한 한국목록규칙의 개정 방향과 범위 탐색 (Exploring the Revision Direction and Scope of the Korean Cataloging Rules for Religious Works)

  • 노지현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2권4호
    • /
    • pp.153-177
    • /
    • 2021
  • 한국목록규칙(KCR)에 대한 전면적인 개정이 진행되고 있다. 이 연구에서 집중적으로 다룬 부분은 종교 저작에 관한 규칙이다. 종교 저작은 음악작품이나 법률 저작과 함께 IFLA LRM 개념모형을 지향하는 새로운 목록규칙에서도 특별하게 다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KCR2 이후에 접근점에 대한 논의가 없었던 국내의 경우, 종교 저작에 관한 기술과 접근점 규정을 별도로 마련할 필요가 있는지, 한다면 어떠한 내용과 범위를 다루어야 하는지에 대해 검토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문헌연구와 사례조사를 토대로 하여, (1) 최근 개정을 완료한 목록규칙인 RDA와 NCR에 수록된 종교 저작에 관한 내용을 분석하고, (2) 실제 사례를 통해 종교 저작에 적용된 접근점과 그 기능을 검토한 다음, (3) 종교 저작에 대한 KCR4의 개정 방향과 범위를 제안하였다. 연구결과, 종교 저작의 경우 동일 저작이 상이한 버전이나 표제를 가지는 경우가 많아 이를 집중하기 위한 특별한 수단이 강구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 종교 저작의 유형별로 우선표제의 선정과 전거형 접근점의 작성 규칙을 마련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이와 더불어, KCR 개정과정에서 후속 논의가 필요한 사항을 정리하여 제안하였다.

A Study on the Transference of Headlines and Types of Preferred Headlines in Offline and Online Newspapers

  • Kim, Man-Ki;Kang, Hyun-Jig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9권1호
    • /
    • pp.89-106
    • /
    • 2011
  • With the development of the Internet, the media market is experiencing rapid change. The traditional form of offline newspaper markets, which has created the mainstream news delivery market, have been losing large amounts of power due to the emergence of online media. On the other hand, online media armed with its ability to post breaking news almost as it occurs has increased its influence and popularity at a rapid speed. However, since the exposure time and readership of online newspapers are less than their offline counterparts online media has a high dependence on sensational titles and somewhat exaggerating headlines rather than the objective and recapitulative headlines which are preferred. This paper will examine the function and significance of headlines, and conduct a comparative analysis on contents and forms of the headlines in offline newspaper and online newspaper in order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each newspaper. Through comparisons, it examines the types of headlines and the transference of headlines. In addition, it examines the differences in recognition of copy editors according to media in determining the headline, and it illuminates which type of headlines is preferred in order to instigate readers to read online newspapers. The analysis results of title-transferring cases in offline newspaper and online newspapers are that offline newspapers try to convey the contents accurately by making use of an information-transferring headline, while attention-attracting headline or subject-hiding headlines tend to be used for attracting the eye of readers. In addition, analysis results of headlines that are put on the top with a click counts in online newspapers are that attention-attracting headlines are the majority, while subject-hiding headlines that are hardly used in offline newspapers, are well-used in online newspapers. In an interview with copy editors, they responded that offline editors focus on the fact-transference in determining the title, while online editors put the weight on immediacy in the delivery of news and the function of guiding read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