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edators

검색결과 185건 처리시간 0.023초

Effect of Parasitoids' Exit and Predators' Ingress Holes on Silk Yield of the African Wild Silkmoth, Gonometa Postica Walker (Lepidoptera: Lasiocampidae)

  • Fening, Ken Okwae;Kioko, Esther Ndaisi;Raina, Suresh Kumar
    •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ntomology and Biomaterials
    • /
    • 제19권2호
    • /
    • pp.265-268
    • /
    • 2009
  • Wild silkmoths can be utilised sustainably in the production of silk as an income for resource-poor rural communities. However, attack by parasitoids and predators affect the quality of cocoons and quantity of raw silk produced. A laboratory experiment was undertaken to quantify the effect of parasitoids' (dipteran and hymenopteran) and predators' (ants) exit and ingress holes, respectively, on silk production. The mean number of shells required to produce fifty grams of raw silk was highest with cocoons parasitised by a dipteran and lowest with unattacked cocoons (but with moths already emerged). Degumming loss was highest in parasitised and lowest in unttacked cocoons, but both were not different from cocoons predated by ants. Shell weight was highest in unattacked cocoons, followed by hymenopteran-parasitised and predated cocoons, with the dipteran parasitized ones being the least. Single cocoon weight was greater in hymenopteran-parasitised and predated cocoons than the dipteran-parasitised and unattacked cocoons. Shell ratio or raw silk, floss and yarn weights were higher in unattacked than parasitised and predated cocoons. The total loss in raw silk attributable to attack by parasitoids and predators ranged between 17.4~31.2%. The results offer baseline information for assessment of economic losses in wild silk farming due to parasitoids and predators in the field.

칠레이리응애의 살충제에 대한 감수성 (Susceptibility of the Predatory Mite, Phytoseiulus persimilis (Acari: Phytoseiidae) to Several Insecticides)

  • 김무성;김상수
    • 농약과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66-71
    • /
    • 2016
  • 포식성 천적 칠레이리응애에 대하여 8종 살충제들의 감수성을 검정하였다. 칠레이리응애 암컷성충은 실험약제들의 처리 168시간 후에 78-92%의 개체들이 생존하였으며, 무처리 암컷성충에 비해 62.6-93.4%의 산란수를 보였으며, 산란된 난들의 부화에 영향이 없었다. 실험약제들은 칠레이리응애 난의 부화와 약충의 생존율에 큰 영향이 없었다. 칠레이리응애의 발육태들은 실험약제들이 처리된 잎 절편에서 생존율에 큰 영향을 받지 않아, 98-100%의 개체들이 성충태에 도달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실험약제들은 해충종합관리 체계에서 칠레이리응애와 함께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Improved marine predators algorithm for feature selection and SVM optimization

  • Jia, Heming;Sun, Kangjian;Li, Yao;Cao, Ning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16권4호
    • /
    • pp.1128-1145
    • /
    • 2022
  • Owing to the rapid development of information science, data analysis based on machine learning has become an interdisciplinary and strategic area. Marine predators algorithm (MPA) is a novel metaheuristic algorithm inspired by the foraging strategies of marine organisms. Considering the randomness of these strategies, an improved algorithm called co-evolutionary cultural mechanism-based marine predators algorithm (CECMPA) is proposed. Through this mechanism, search agents in different spaces can share knowledge and experience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the native algorithm. More specifically, CECMPA has a higher probability of avoiding local optimum and can search the global optimum quickly. In this paper, it is the first to use CECMPA to perform feature subset selection and optimize hyperparameters in support vector machine (SVM) simultaneously. For performance evaluation the proposed method, it is tested on twelve datasets from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Irvine (UCI) repository. Moreover, the coronavirus disease 2019 (COVID-19) can be a real-world application and is spreading in many countries. CECMPA is also applied to a COVID-19 dataset. The experimental results and statistical analysis demonstrate that CECMPA is superior to other compared methods in the literature in terms of several evaluation metrics. The proposed method has strong competitive abilities and promising prospects.

포식이 선재도 갯벌 대형저서동물 군집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redation on Macrobenthic Communities in Seonjae-do Tidal Flat)

  • 김창수;유재원;박미라;이창근;홍재상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9권spc1호
    • /
    • pp.142-150
    • /
    • 2006
  • We examined the effect of predation by observing the changes in macrobenthic communities in a tidal flat at Seonjae, Korea, following the exclusion of large predators such as birds, fishes and crustaceans using protective screens. We conducted two interference experiments in the field from April to November 2004: (1) Experiment 1 was conducted at a mid-tidal flat in the western part of Seonjae-do, Incheon, Korea, (2) Experiment 2 was set up at a low tidal flat in the eastern part of Seonjae-do. predator exclusion showed different effects in the two experiments. Both the number of species and density were reduced by 20% in Experiment 1. Whereas in Experiment 2, they increased by up to 13% and 69%, respectively. In Experiment 1, a high density of brachyuran crabs observed in the treatment may have caused the difference in community composition between the treatment and the control, and this probably resulted from active predation of macrofauna (e.g., small crabs) under protection from megafaunal predators such as birds and fishes. However, in Experiment 2, as typically observed in other predator exclusion experiments, a lower density of benthic predators and the subsequent reduction of over predation probably resulted in a more diverse and abundant benthic community in the treatment. We confirmed that predation was a contributing factor in the formation of the macrobenthic community. We also demonstrated relationships that exist among different trophic groups (large predators, macrobenthic predators and prey) and what effects and responses occur in each component of the tidal flats.

점박이응애(Tetranychus urticae), 간자와응애(Tetranychus Kanzawai)와 긴털이리응애(Amblyseius womersleyi)에 대한 Abamectin의 독성 비교 (Comparative Toxicity of Abmectin to the Spider Mites, Tetranychus urticae Koch and Teranychus Kanzawai Kishida (Acarina; Tetranychidae) and the Predatory Mite, Amblyseius womersleyi Schicha (Acarina: Phytoseiidae))

  • 김상수;백채훈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164-172
    • /
    • 1996
  • 점박이응애, 간자와응애와 긴털이리응애에 대하여 abanectin 의 독성을 leaf disc 법으로 시험하였다. A-bamectin은 점박이응애나 간자와응애보다 긴털이리응애에 대하여 독성이 매우 낮았다. 긴털이리응애 암컷성충은 처리 농도가 증가할수록 생존율이 크게 감소하였으나, 0.38~6ppm에서 8~78%가 생존하였으며, 산란수도 농도 증가에 따라 크게 감소하였다. 모든 처리 농도에서 긴털이리응애 난의 부화나 생존 유.약충의 발육에는 영향이 없었다. 유.약충의 생존율은 농도 증가에 딸라 감소하여 0.38~3ppm에서 42~90%가 성충으로 우화하였다. 중독된 먹이를 섭식한 긴털이리응애 암컷 성충은 생존율에는 별 영향이 없었지만, 산란수와 차세대의 성비에는 상당한 영향을 받았다. 또한 긴털이리응애에 상대적으로 영향이 적어 아치사농도라할수 있는 0.38~0.75ppm에서의 abamectiondms 점박이응애나 간자와응애의 종합관리에서 긴털이리응애와 식식성응애류의 밀도비율 조절에 유요할것으로 생각된다.

  • PDF

칠레이리응애와 차응애에 대한 spirodiclofen과 fluacrypyrim+tetradifon의 선택독성 (Selective toxicity of spirodiclofen and fluacrypyrim+tetradifon to the predatory Mite, Phytoseiulus persimilis (Acarina: Phytoseiidae) and the tea red spider mite, Tetranychus kanzawai (Acarina: Tetranychidae))

  • 서상기;박종대;김선곤;김도익;김상수
    • 농약과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54-62
    • /
    • 2004
  • 칠레이리응애와 차응애에 대하여 spirodiclofen과 fluacrypyrim+tetradifon의 독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강낭콩 leaf disc에 각 응애 종의 자성충 또는 난을 접종하고 각 약제를 농도별로 살포한 결과, spirodiclofen과 fluacrypyrim+tetradifon은 차응애보다 칠레이리응애에 대하여 독성이 매우 낮았다. Spirodiclofen을 처리한 결과 칠레이리응애 자성충은 처리 농도의 증가에 따라 생존율이 감소하였으나, $22.5\sim180$ ppm 에서 92-68%가 생존하였으며, 산란수도 농도 증가에 따라 감소하였다. 모든 처리 농도에서 칠레이리응애 난의 부화에는 영향이 없었다. 유 약충의 생존율은 농도 증가에 따라 감소하였으나 $22.5\sim90$ ppm에서 88-20%가 성충으로 되었다. Fluacrypyrim+tetradifon을 처리하였을 경우, 칠레이리응애 자성충은 처리 농도가 증가할수록 생존율 이 감소하였지만, 22.5-180 ppm 에서 94-72%가 생존하였으며, 산란수도 농도 증가에 따라 감소하였다. 모든 처리 농도에서 칠레이리응애 난의 부화에는 영향이 없었다. 약충의 생존율은 농도 증가에 따라 감소하였으나, $22.5\sim180$ ppm에서$100\sim86%$가 성충태로 도달하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spirodiclofen과 fluacrypyrim+tetradifon은 차응애의 종합관리에서 칠레이리응애와 함께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긴털이리응애(Neoseiulus womersleyi)와 점박이응애( Tetranychus urticae)에 대한 3종 살비제의 선택독성 (Selective Toxicity of Three Acaricides to the Predatory Mite, Neoseiulus womersleyi and its Prey, Tetranychus urticae (Acari: Phytoseiidae, Tetranychidae))

  • 천금수;백채훈;김상수
    • 농약과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249-255
    • /
    • 2008
  • 긴털이리응애와 점박이응애에 대하여 fluacrypyrim, cyflumetofen과 spiromesifen의 권장사용농도로 상대독성을 시험하였다. Fluacrypyrim과 cyflumetofen은 점박이응애보다 긴털이리응애의 자성충에 대하여 독성이 매우 낮았으며, 이들 두 살비제를 처리한 긴털이리응애 암컷성충은 무처리에 비해 $88{\sim}93%$의 산란수를 나타내었다. Fluacrypyrim과 cyflumetofen의 처리는 긴털이리응애 난의 부화나 생존 유 약충의 발육에 영향이 없었으며, 유 약충의 $92{\sim}96%$가 성충으로 우화하였다. Spiromesifen은 시험농도에서 긴털이리응애 암컷성충의 생존율과 산란수에는 큰 영향이 없었으나, 유충에는 100%의 치사율을 나타내었다. Fluacrypyrim과 cyflumetofen을 처리한 먹이를 섭식한 긴털이리응애 자성충은 생존율과 산란수에 큰 영향을 받지 않았다. 또한 이들 살비제를 처리한 먹이를 포식한 긴털이리응애의 유 약충도 성충 우화율에 실질적인 영향을 받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에서 긴털이리응애의 암컷성충과 발육태에 영향이 적게 나타난 fluacrypyrim과 cyflumetofen은 점박이응애의 종합관리체계에서 긴털이리응애와 함께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긴털이리응애와 점박이응애에 대한 Fenpyroximate의 독성 비교 (Relative Toxicity of Fenpyroximate to the Predatory Mite, Amblyseius womersleyi (Acarina: Phytoseiidae) and the Twospotted Spider Mite, Tetranychus urticae (Acarina: Tetranychidae))

  • 백채훈;김상수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266-272
    • /
    • 1996
  • 긴털이리응애와 점박이응애에 대한 fenpyroximate의 독성에 비교하기 위하여 농도별로 처리한 강남콩 엽편에 두 종의 자성충과 난을 접종하여 시험한 결과, fenpyroximate는 점박이응애보다 긴털이리응애에 대하여 독성이 매우 낮았다. 긴털이리응애 자성충은 처리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생존율이 감소하였으나 6.25~50ppm에서 58~74%가 생존하였으며, 산란수는 처리농도 간에 큰 차이가 없었다. 점박이응애 자성충은 6.25~50ppm에서 32~40%가 잔존하였지만 모두 활동불능되었으며, 산란수도 처리농도가 높을수록 감소하였다. 모든 처리농도에서 긴털이리응애 난의 부화나 생존한 유.약충의 발육에는 영향이 없었다. 긴털이리응애 유.약충의 생존율은 농도증가에 따라 감소하였으나 6.25~50ppm에서 16~48%가 성충으로 우화하였다. 그러나 점박이응애의 경우는 6.25~50ppm에서 성충태에 이른 개체가 전혀 없었다. 중독된 먹이를 섭식한 긴털이리응애 자성충은 생존율과 산란수 및 차세대의 성비에 실질적인 변화가 없었다. 또한 긴털이리응애에 상대적으로 영향이 적어 아치사농도라 할 수 있는 6.25~12.5ppm의 농도는 점박이응애의 종합관리에서 긴텅이리응애와 점박이응애의 밀도비율을 조절하는데 유용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QUALITATIVE ANALYSIS OF A DIFFUSIVE FOOD WEB CONSISTING OF A PREY AND TWO PREDATORS

  • Shi, Hong-Bo
    • 대한수학회보
    • /
    • 제50권6호
    • /
    • pp.1827-1840
    • /
    • 2013
  • This paper is concerned with the positive steady states of a diffusive Holling type II predator-prey system, in which two predators and one prey are involved. Under homogeneous Neumann boundary conditions, the local and global asymptotic stability of the spatially homogeneous positive steady state are discussed. Moreover, the large diffusion of predator is considered by proving the nonexistence of non-constant positive steady states, which gives some descriptions of the effect of diffusion on the pattern formation.

포식성 천적 사막이리응애의 식물추출물에 대한 감수성 (Susceptibility of the Predatory Mite, Neoseiulus californicus (Acari : Phytoseiidae) to Plant Extracts)

  • 김지오;국용인;김상수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881-891
    • /
    • 2016
  • 포식성 천적 사막이리응애의 멀구슬, 후추 정향의 추출물과 이들의 혼합물에 대한 감수성을 검정하였다. 사막이리응애 암컷성충은 실험 식물추출물들의 처리 7일 후에 76-86%의 생존율을 나타냈으며, 무처리 암컷성충에 비해 62.6-93.4%의 산란 수를 보였고, 산란된 난들의 부화에 영향이 없었다. 실험 식물추출물들의 처리는 사막이리응애 난에 대해 전혀 영향이 없어 100% 부화하였다. 또한 이들 식물추출물의 처리는 약충의 생존율에 큰 영향이 없었다. 사막이리응애의 발육태들은 실험 식물추출물들이 처리된 잎 절편에서 생존율에 큰 영향을 받지 않아, 78-90%의 개체들이 성충태에 도달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실험 식물추출물들은 식식성응애류의 종합관리 체계에서 사막이리응애와 함께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