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eceding Crop

검색결과 17건 처리시간 0.027초

전작물 재배를 위해 토양에 혼화처리된 Ethoprophos의 후작물 흡수이행 (Uptake and Translocation of Ethoprophos Mixed with Soil for Cultivation of Preceding Crop into Succeeding Crop)

  • 곽세연;이상협;김효영;신병곤;김장억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92-98
    • /
    • 2021
  • BACKGROUND: Unintentional residual pesticide in soil derived from preceding crops and the transfer to succeeding crops was considered a critical barrier for positive list system (PLS). Thus, an uncertain risk is predicted for ethoprophos applied at cultivation of preceding crop (Korean cabbage) to succeeding crop (spinach). METHODS AND RESULTS: Ethoprophos was treated on soil following the recommended dose and 5 times dose according to the safe use guidelines for Korean cabbage after seeding. On the 4 days after harvesting of preceding crop, spinach was sowed. The initial residual amounts of ethoprophos on soil (7.081-19.493 mg/kg) were decreased to 3.832-7.218 mg/kg until the harvest of Korean cabbage, and then finally decreased to 0.011-0.079 mg/kg after spinach cultivation. The uptake rates of ethoprophos from soil by Korean cabbage were 0.01-0.03% and distributed to root (0.150-0.903 mg/kg) and shoot (0.021-0.151 mg/kg), respectively. The residual amounts of uptake and translocation from preceding crop cultivated soil to spinach edible part were found to be below LOQ. CONCLUSION: The plant back internal (PBI) for ethoprophos is not recommended during sequential cultivation of leafy vegetables, since the residual amounts of ethoprophos in spinach were less than MRL (0.02 mg/kg).

조생종 사료용 옥수수 품종의 2기작 재배 시 생산성 (Productivity of Early Maturity Silage Corns during Continuous Monocropping)

  • 손범영;배환희;고영삼;김선림;신성휴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5권4호
    • /
    • pp.416-425
    • /
    • 2020
  • 본 연구는 최근 개발된 조생종 사료용 옥수수 품종에 대한 2기작(전기작 및 후기작)의 생육특성 및 생산성을 구명하고 조사료 생산 확대의 가능성을 검토하고자 수행하였다. 1. 파종기에서 출사기까지의 전기작 출사일수는 78일이 소요되었고 후기작은 52일이 소요되었다. 출사기에서 수확기까지의 전기작 소요일수는 26일이 소요되었고 후기작은 46일이 소요되었다. 2. 파종기에서 출사기까지의 전기작 적산온도는 1,512℃이였고 후기작은 1,246℃이었다. 전기작과 후기작 간의 적산온도는 266℃ 차이가 있었으며 후기작 적산온도가 전기작보다 적었다. 파종기에서 수확기까지의 전기작 적산온도는 2,198℃이였고 후기작은 1,951℃이었다. 전기작과 후기작 간의 적산온도는 247℃ 차이가 있었으며 후기작 적산온도가 전기작보다 적었다. 3. 건물수량은 전기작(1,637 kg/10a)과 후기작(1,565 kg/10a)이 비슷하였다. 전기작의 품종 간 건물수량은 신황옥2호(1,673 kg/10a), 신황옥(1,660 kg/10a), 광평옥(1,579 kg/10a)이 모두 비슷하였다. 후기작의 품종 간 건물수량은 신황옥(1,669 kg/10a)과 광평옥(1,651 kg/10a)이 비슷하였으며 신황옥2호(1,374 kg/10a)가 가장 적었다. TDN수량은 전기작(1,135 kg/10a)과 후기작(1,037 kg/10a)이 비슷하였다. 전기작의 품종 간 TDN수량은 신황옥2호(1,183 kg/10a), 신황옥(1,158 kg/10a), 광평옥(1,063 kg/10a)이 모두 비슷하였다. 후기작의 품종 간 TDN수량은 신황옥(1,150 kg/10a)과 광평옥(1,100 kg/10a)이 비슷하였으며 신황옥2호(970 kg/10a)가 가장 적었다. 4. 총 건물수량은 신황옥(3,329 kg/10a)과 광평옥(3,230 kg/10a)이 비슷하였으며 3품종 중에 신황옥2호(3,047 kg/10a)가 가장 적었다. 총 TDN수량은 신황옥(2,307 kg/10a), 광평옥(2,162 kg/10a), 신황옥2호(2,152 kg/10a) 모두 비슷하였다.

연작으로 인한 토양잔류 Procymidone의 비의도적 후작물 흡수이행 (Uptake and Carry-over of Procymidone Residues to Non-target Succeeding Crop from Applied on Preceding Crop)

  • 곽세연;이상협;;김효영;신병곤;김장억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203-210
    • /
    • 2021
  • BACKGROUND: Pesticides can persist in soil due to multiannual uses. To decrease the concerns for potential carry-over of such residues from treated soil during preceding crop cultivation to non-target crops grown in rotation, an uptake study of procymidone was conducted under the actual cultivation conditions in Korea. METHODS AND RESULTS: Procymidone was sprayed twice by foliar application with recommended and double dose according to the safe use guidelines for Korean cabbage up to 14 days before harvest. Arable land was kept fallow for 4 days after harvesting Korean cabbage, and spinach was cultivated as a succeeding crop. Initial residues in soil were 5.670-14.175 mg/kg that were degraded to 3.098-4.555 mg/kg until harvest of Korean cabbage, and then persisted at 1.026-1.300 mg/kg by spinach harvest. Procymidone residues in edible part of succeeding crops from soil uptake were in range of 0.020-0.048 mg/kg for recommended dose and 0.055-0.116 mg/kg for double dose. Root concentration factor (RCF) values of procymidone at different concentration ranged from 0.053 to 0.123, and translocation factor (TF) ranged from 0.176 to 0.768 for spinach. The value of TF was higher than RCF, indicating that the capability of translocation to shoot was relatively higher than that of root uptake and accumulation. CONCLUSION: Procymidone applied on Korean cabbage can be carried-over to spinach and detected at a level similar to MRL (0.05T mg/kg).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a follow-up study for establishment of plant back interval (PBI) of succeeding crops reflecting the actual agricultural conditions as this study.

중부지방에 있어서 풋콩의 답전작재배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Green-Soybean Cultivation as preceding Crop of the Rice in the Paddy-Field in the middle Parts of Korea)

  • 김기준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14권
    • /
    • pp.173-189
    • /
    • 1973
  • 중부 지방에 적응할 수 있는 답전작 풋콩 재배법을 구명하기 위하여 1972년 3월부터 6월까지에 걸쳐서 건국대하교 농과대학 부속 실습 농장에서 실시한 품종, 단일 처리, 시비 및 재식 거리 등에 관한 일련의 시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3월 15일 온상에 파종하여 육묘 정식하더라도 육묘 중 단일 처리를 하지 않으면 어떤 품종도 답전작 풋콩 재배의 개화 한계기인 5월 15일 이전에 개화하지 못하였다. 2. 육묘 중 단일 처리를 하면 극조생 계통의 품종군은 5월 15일 이전에 개화하였는데, 북해일호, 조생록, 팔중방성, 삼보백조, Verde 등이 이에 속하였다. 3. 제일정상복엽이 전개할 무렵부터 10일간의 단일 처리를 할때의 최적 일장은 중.만생 품종군이 7-9시간, 조생 및 극조생 품종군이 7-11시간이었다. 4. 11시간의 단일 처리를 할 때의 최적 처리 일수는 품종의 조만생에 관계 없이 10일 정도로 인정되었다. 5. 단일 처리에 의한 개화 소요 일수의 단축도 즉 품종의 감광성 정도는 극조생 및 조생 품종군보다 중생 및 만생 품종군이 현저하게 높았다. 6. 무질소의 경우보다 질소 표준량(4.0kg/10a) 시용에서 약 17%의 증수를 보였으나 질소 배량의 시용은 도리어 감수 경향을 보였다. 7. 인산 표준량(4.0 kg/10a) 시용에 비한 인산 배량 시용의 증수 효과는 미미하였다. 8. 재식 본수를 3.3$m^2$당 54본으로부터 130본까지 변동시킬 경우 130본구의 약 2배의 수량을 내어 밀식 효과가 극히 현저함이 인정되었다. 9. 결론적으로 중부 지방에서도 극조생 계통의 품종을 3월 15일 온상에 파종하고 제일정상복엽 전개기인 4월 6일경부터 11시간의 단일 처리를 10일간실시하여 정식하면 답전작 풋콩 재배가 가능하며, 10a당 전량 기비로 질소 및 인산 4.0 kg, 가중 6.0 kg을 주고 3.3$m^2$당 130본으로 밀식하는 것이 가장 증수됨이 인정되었다.

  • PDF

밀-하작물 작부체계가 밀 품질 및 토양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e Double Cropping System on Wheat Quality and Soil Properties)

  • 최지수;오성환;오서영;김태희;김성훈;박현진;차진경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8권4호
    • /
    • pp.335-342
    • /
    • 2023
  • 벼, 콩, 옥수수와 밀을 이모작하여 작부체계가 경질밀인 금강밀과 조경밀의 생육 및 품질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1. 밀 이모작에서 하작물에 의한 밀의 생육기 및 수량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경장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고, 경장은 벼와의 작부체계에서 가장 컸으나, 경장이 밀품질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2. 밀 품질 요소들 중 단백질함량은 콩을 심은 후 재배한 밀에서 가장 컸으며, 품종에 따라 단백질함량의 증감 정도에 차이가 있었다. 품종특성으로 비교했을 때 상대적으로 단백질 함량이 적은 조경밀이 상대적으로 단백질 함량이 많은 금강밀보다 콩과의 작부체계에 의한 단백질 함량 증가가 크게 나타났다. 3. 작부체계에 따른 토양 중량수분함량에 차이가 있었으며, 밭 상태로 작부체계를 하는 콩과 옥수수의 경우보다 재배시 물을 가둬야하는 벼를 재배했을 때 공극내 액상비율이 증가하였고, 이러한 토양환경 변화는 밀 품질 변화에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사료된다. 4. 토양 화학성에서 인산과 칼슘의 함량이 작부체계에 따라 유의하게 변화한다고 판단되었으며, 가장 밀 품질을 향상시켰던 콩 재배시 토양 내 인산이 가장 많이 감소하였으므로 토양 인산함량과 밀 품질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국내 품종에서 콩과의 이모작이 경질밀로서 우수한 품질의 밀을 생산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되며, 하작물의 재배가 밀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에 대한 생리적 실험 진행에 근거가 될 것으로 판단된다.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주요 작물모델의 국내 적용성 분석 (Applicability Analysis of Major Crop Models on Korea for the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송용호;임철희;이우균;엄기철;최솔이;이은정;김은지
    • 한국기후변화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109-125
    • /
    • 2014
  • 작물의 안정적 재배에 있어서 적합한 기후는 필수적 요소이며, 이는 곧바로 작물의 생산량 증가로 이어진다. 국내의 경우, 기후변화에 따른 곡물 및 작물의 수량 예측을 위하여 작물모델을 이용한 연구가 진행되었으나, 각기 다른 작물모델의 사용과 국외 실정에 맞춘 입력 자료의 사용으로 연구 결과의 신뢰성을 낮게 하는 경향이 있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외에서 개발된 작물 모델을 비교 분석하여 국내에서의 적용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또한, 모델별 입력자료 확보 가능성을 기초로 구동 가능 모형을 선정하였으며, 이의 문제점을 파악한 후 국내 적용방안을 제시하였다.

Effects of different densities of wild oat (Avena fatua L.) and nitrogen rates on oilseed rape (Brassica napus L.) yield

  • Kazemeini, Seyed Abdolreza;Naderi, Ruhollah;Aliabadi, Hadis Karimi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36권3호
    • /
    • pp.167-172
    • /
    • 2013
  • A Two-year field experiment was carried out in 2009 and 2010 to evaluate the effects of different densities of wild oat and nitrogen (N) rates on oilseed rape yield and yield components. Experimental design was split plot with three replications. Increased nitrogen rates up to 150 kg N/ha caused an increase in oilseed rape grain yield in weed-free plots (4.26 t/ha; 1t = $10^3kg$), while even at the lowest density of wild oat (15 $plants/m^2$), increasing N fertilizer only up to 50 kg/ha led to a significant increase in grain yield. Wild oat growth was favored by high levels of N. Intraspecific competition reduced biomass, 100-seed weight and number of tillers of wild oat. Both lower N rate and intraspecific competition had negative effect on wild oat growth but the weed was still able to produce a considerable number of tillers and vigorous seeds. It showed that wild oat possess a notable adaptive plasticity and can allocate a greater proportion of its resource toward reproductive organs even under resource shortage conditions and, thus, it may increase the competitive ability of the weed over the crop.Our results suggest that effective weed management should be done to prevent wild oat seed production in crops preceding oilseed rape as well as to control the weed at early season in oilseed rape fields.

일단계 추출 및 메칠화법에 의한 유료작물의 지방산 분석 (Fatty Acid Composition Analysis of Major Oil Crops by One-Step Extraction/Methylation Method)

  • 김진경;김남희;방진기;이병규;박충범;이봉호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5권3호
    • /
    • pp.211-215
    • /
    • 2000
  • 시료의 지방산 분석은 먼저 지방의 추출이 선행되어야 하는데 이때에는 시료량 및 시약이 많이 들고 또한 분석시간이 많이 소요되므로 지방 추출 및 지방산의 에스테르화를 한 단계에서 실시하는 One step extraction/methylation법(방법 1)에 따라 주요 유료작물의 지방산 조성을 살펴보았다 이 방법은 methanol-heptane-benzene-DMP-H$_2$SO$_4$ 혼합용매를 사용하여 지방 추출 및 지방산 에스테르화를 단일층에서 일어나게 한것으로 기존의 sodium methoxide를 촉매로 한 methanolysis 법에 의한 지방산 분석 결과와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이 혼합시약으로 이미 추출된 지방을 대상으로 실험하였을 때에도(방법 2) 기존방법과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이 One step extraction/methylation법은 시료가 생체이든 추출된 지방이든 그 과정이 단순하고 시간과 노력이 훨씬 적게 소요되어 지방산 분석에 널리 이용될 수 있을 것이며, 특히 1회에 많은 시료를 처리하고자 할 때 더욱 분석효율이 높을 것으로 기대되었다

  • PDF

라맥품종의 개화유기에 관한 암흑처리와 춘화처리의 효과 (Effects of Vernalization and Preceding Dark Treatment on Floral Induction of Naked Barley)

  • 송융남;김이훈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51-55
    • /
    • 1979
  • 암흑처리가 라맥의 개화유기에 대한 일연의 시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저온과 암흑처리의 효과 저온효과에 대하여 반응이 뚜렷한 4가지 라맥품종에 대한 암흑처리의 효과는 모두 저온효과와 동일하고 $5^{\circ}C$하에서 80~90%의 개화유기를 보였으며 추파형이며 단일춘화에 민감한 Kobinkadagi 품종을 제외하고 나머지 3 품종은 고온($25^{\circ}C$)에서도 저온효과에는 미치지 못하나 71~80%의 개화유기를 보였다. 2. 암흑처리기간의 효과 Hashinhadaka 품종의 암흑처리기간에 따른 개화효과는 45일처리가 제일 높았고, $5^{\circ}C$인 경우에는 30일과 45일사이에서 차이가 없었으나 $25^{\circ}C$인 경우에는 3가지 수준사이에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 3. 암흑처리전의 묘령에 의한 효과 2가지 온도수준에 있어서 개화효과는 5$^{\circ}C$인 경우에는 묘령에 관계없이 모두 개화하였으나 $25^{\circ}C$인 처리구에서는 묘령이 증가할수록 개화율이 감소하였다. 4. 저온암흑 교호처리효과 저온과 암흑의 전기간(45일) 처리에 의한 개화율은 100%와 60%로써 유의적 차이를 나타내었고 초기와 후기의 15일간씩의 교호처리효과는 91%, 중기 15일간의 교호효과는 92%의 개화율을 보였으므로 저온과 암흑의 작용기구는 상이한 것으로 사료된다.

  • PDF

Nitrogen fixation, and growth characteristics of Three Legume cover crops in no-tillage paddy field

  • Cho, Young-Son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8권4호
    • /
    • pp.308-315
    • /
    • 2003
  • A field experiment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performance of three legume species in a zero-tillage, non-fertilized rice field in a temperate zone. Before the experiment for 5 years, from 1995 to 1999, plant growth patterns of three legume species grown as over-wintering (October-May) cover crops on a paddy field were maintained to study N balance and $\textrm{N}_2$ fixation. Decrease in plant density accelerated from after winter to flowering from 1,090, 320, and 5 to 732, 232, and 6 plants $\textrm{m}^{-2}$ in Chinese milk vetch (CMV), white clover (WC), and hairy vetch (HV), respectively. Total dry weights of plants above-ground level were 0.05, 0.11, and 2.43 g $\textrm{plant}^{-1}$. in WC, CMV and HV respectively but steeply increased at ripening up to 0.77, 2.33, and 26 g $\textrm{plant}^{-1}$. The root dry weight of HV and CMV rapidly increased while in WC, root dry weight increased slightly towards flowering. The highest nodule numbers were recorded in CMV to April thereafter WC produced the highest. Nodule size was distributed within 7mm in CMV but it was larger in HV varying from 1 to 10mm. Shoot N (g $\textrm{m}^{-2}$) greatly increased from over-wintering to flowering in CMV, HV and WC and it ranged from 1.66, 0.5 and 1.92 to 12.6, 3.1 and 13.02 g $\textrm{m}^{-2}$, respectively. After wintering, the initial shoot N content (%) was more in CMV. Root N content (%) was constant or slightly decreased in HV and WC. Soil total N in the control plot (clean fallow) was the highest on Mar. 2 then decreased rapidly to flowering. Soil N content was constant in HV plots whereas it was low in WC plots for the entire growth period except just after winter. Maximum nitrogenase activities were 9, 37.8, and 131 mol $\textrm{C}_2\textrm{H}_4$ $\textrm{plant}^{-1}$ $\textrm{hour}^{-1}$. in CMV, HV, and WC, respectively. Nitrogenase activity showed a direct correlation with nodule number, size and fresh weight. As a cover crop preceding a rice crop, CMV is more suited to colder regions due to its earlier ripening characteristics. Hairy vetch and WC are recommended for regions with a mild winter and a long summer owing to their late ripening and great N fixation activ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