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eannouncing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22초

The Influence of Price Discount Preannouncing in the Distribution Process on Regret and Price Fairness Perception

  • KANG, Min-Jung;HWANG, Hee-Joong
    • 유통과학연구
    • /
    • 제20권1호
    • /
    • pp.87-98
    • /
    • 2022
  • Purpose: This research investigates whether the existence of preannouncing price discount before purchase has an effect on after regret about purchasing and price fairness perception. Moreover, this paper examines whether the preannouncing effects on regret (or price fairness perception) are moderated by motive inference type (or brand trust).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This experimental design consisted of total 8 between-subjects full factorial, which is completed by 2 (preannouncing price discount before purchase) × 2 (motive inference type) × 2 (consumer's brand trust level). Results: First, regret (or price fairness) differs depending on the presence/absence of preannouncing price discount before purchase and price discount motive inference type. Second, interaction effect of preannouncing price discount presence/absence before purchase and price discount motive inference type on regret (or price fairness) after purchase differs depending on motive inference type (or brand trust). Conclusions: Preannouncing external cue could decrease the possibility of consumers to regret and prevent consumers perceiving price change as unfair. Thus, corporations should sufficiently explain to consumers about preannouncing and specific reason of price fall in order to decrease regret caused by price fall and to increase price fairness perception from preannouncing effect.

패션브랜드 확장 유형, 프리어나운싱, 조절초점이 확장제품의 호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fashion brand extension types, preannouncing and regulatory focus on preferences toward extension product)

  • 허유진;황선진
    • 복식문화연구
    • /
    • 제23권1호
    • /
    • pp.102-116
    • /
    • 2015
  •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effects of fashion brand extensions types, preannouncing and consumers' regulatory focus on preference towards extension products. To that end, the study used a 2 (fashion brand extension types: similar vs. non-similar) ${\times}2$ (preannouncing: near preannouncing vs. far preannouncing) ${\times}2$ (regulatory focus: promotion focus vs. prevention focus) three mixed element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280 men and women in their 20~40s living in Seoul and Chungnam province and total of 229 data were analyzed. Data were analysed with SPSS 19.0 program and three-way ANOVA, simple interaction effects and simple main effects analysis were conduc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preference based on fashion brand extension types and preannouncing.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s in preference between extension types of fashion brand and regulatory focus. But there was no difference in preference toward extension products according to types of preannouncing and regulatory focus. Lastly, fashion brand extension types, preannouncing and regulatory focus showed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s on preference. Thus even in cases of non-similar brand extensions which carry more risk of failing, the appropriate marketing communication strategies such as preannouncing will result in brand preference. Also marketing activities should be comprehensive and strategical based on consumers' tendencies in order to derive positive evaluations.

시간적 거리와 사전지식에 따른 프리어나운싱 전략이 기억에 근거한 판단과 구매의도에 미치는 효과 (A Study on in Influence on the Memory-Based Judgement and Purchase Intention upon Temporal Distance and Prior Kowledge in Preannouncing Strategy)

  • 한광석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33권1호
    • /
    • pp.99-118
    • /
    • 2014
  • 본 연구는 기업들의 프리어나운싱 전략에 있어 제품 출시와 관련한 시간적 거리(가까운 미래/ 먼 미래)와 사전지식 수준(고지식/ 저지식)에 따라 기억에 근거한 판단(종합적인 제품판단/ 개별적인 제품판단)과 구매의도 간의 차이가 어떻게 차별적으로 나타나는지를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프리어나운싱의 시간적 거리의 주 효과에 따른 기억에 근거한 판단과 구매의도간의 차이는 일관되게 종합적인 제품판단보다 개별적인 제품판단의 인식이 높게 나타났으며, 구매의도도 높았다. 둘째, 프리어나운싱 제품에 대한 지식 수준이 높으면 종합적인 제품판단에 비해 개별적인 제품판단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식 수준이 낮으면 개별적인 제품판단보다 종합적인 제품판단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구매의도는 고지식 수준의 소비자들이 체계적인 정보처리를 통한 태도가 구매의도로 이어져 높게 나타났다. 셋째, 프리어나운싱의 시간적 거리와 지식 수준에 따른 상호작용 효과에 대한 연구 결과 가까운 미래 조건에서 지식 수준이 높은 소비자들은 종합적인 제품 판단보다 개별적인 제품 판단이 높게 나타났다. 반면, 먼 미래 조건에서 지식 수준이 낮은 소비자들은 개별적인 제품판단보다 종합적인 제품 판단을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페이스북 브랜드 팬 페이지를 활용한 신제품 프리어나운싱 융합전략이 태도와 판단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New Product Preannouncing Convergence Strategy on Attitude and Judgement Using Facebook Brand Fan Page)

  • 한광석;조재현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8권3호
    • /
    • pp.163-168
    • /
    • 2017
  • 본 연구는 페이스북을 통한 기업들의 신제품 프리어나운싱 전략에 있어 제품에 대한 사전지식(고지식/저지식)X시간적 거리(가까운 미래/ 먼 미래)에 따라 태도와 기억 효과에 어떠한 차이가 나타나는지를 실증적으로 연구하였다. 실험은 페이스북의 실제 브랜드 팬 페이지를 이용하여 실험물을 가상의 웹 브라우져에 삽입 후 실험물 배너 사이트를 누르면 실험물 접속하도록 조작하였다. 연구 결과, 프리어나운싱이 가까운 미래에 신제품이 출시될 때 저지식 소비자들은 제품에 대한 종합적인 정보(GRM) 판단이 속성정보(ARM) 판단보다 긍정적으로 작용하여 구매 판단을 하였으나 프리어나운싱이 먼 미래에 신제품이 출시될 때 고지식 소비자들은 제품에 대한 속성정보(ARM) 판단이 종합적인 정보(GRM) 판단보다 긍정적으로 작용하였다. 또한 프리어나운싱이 가까운 미래에 신제품이 출시될 때 저지식 소비자들과 고지식 소비자들 간에 제품에 대한 태도가 차이가 없이 모두 긍정적이었으나 먼 미래에 신제품이 출시될 때 저지식 소비자들과 고지식 소비자들 모두 제품 태도가 부정적이었다.

신제품 프리어나운싱의 전략적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haracteristics of New Product Preannouncing Strategy)

  • 정헌수
    • Asia Marketing Journal
    • /
    • 제2권4호
    • /
    • pp.1-12
    • /
    • 2000
  • 대부분의 서구 하이테크 기업들이 "신제품 프리어나운싱 (new product preannouncing)"을 공식적인 신제품 개발, 출시 전략의 일부분으로 채택, 활용하고 있다. 최근 미국 학계에서도 이 분야에 대한 연구관심이 급속히 증가하고 있지만, 한국에서는 신제품 프리어나운싱이라는 개념조차 제대로 알려져 있지 않은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신제품 프리어나운싱에 대한 개념적 고찰 및 미국에서의 기존 연구 성과를 요약, 제시한다. 이를 통해 한국 하이테크 기업들이 프리어나운싱 전략을 활용, 신제품의 성공가능성을 높이는데 도움을 주고자 하며, 아울러 이 분야에 대한 한국에서의 향후 연구에 실마리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먼저 신제품 프리어나운싱의 개념적 특성, 사례 및 신제품 프리어나운싱에 수반되는 혜택 및 위험을 구체적으로 기술한다. 그리고 신제품 프리어나운싱 의사결정과 관련된 개념적 모형도를 개발, 제시하며, 관련된 기존 연구 및 향후 이 분야에서 요구되는 연구내용 들을 요약, 제시한다.

  • PDF

프리어나운싱 된 신제품 정보의 생동감이 인터넷커뮤니티 유저의 e-WOM와 인터넷 포스팅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Vividness of Preannounced New Product Information on e-WOM in Internet Community and Intention of Internet Posting)

  • 송용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2호
    • /
    • pp.312-321
    • /
    • 2011
  • 현재 신제품 출시전에 인터넷 상에서 출시 전 제품에 대한 커뮤니케이션 활동인 프리어나운싱 활동이 활발하게 시행되고 있다. 특히 이러한 프리어나운싱 관련 정보들은 제품 관련 인터넷 커뮤니티에서 확산 되어지는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는 신제품의 프리어나운싱 맥락에서 인터넷상에서의 신제품의 프리어나운싱 활동이 인터넷 유저들의 e-WOM(electronic word-of-mouth)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더욱이 현재 인터넷 커뮤니티 상에서 e-WOM 활동은 블로그, 트위터 등으로의 포스팅으로 연계되어 구전활동이 가속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이러한 인터넷상에서의 포스팅 의도에 대한 신제품정보의 생동감의 영향을 살펴보면서, 특히 정보의 생동감을 외적인 생동감과 내적인 생동감의 차원으로 그 영향을 고찰하고자 한다. 연구 결과 신제품 정보의 외적인 생동감과 내적인 생동감이 인터넷 커뮤니티 e-WOM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또한 인터넷 커뮤니티 내 e-WOM는 유저들의 웹포스팅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 시장의 신제품 사전예고 정보 속성의 중요성에 관한 연구: 제품 지식과 제품 혁신성의 조절역할을 중심으로 (A Framework Exploring the Pivotal Role of Preannounced Information Attributes in the Chinese Market: Moderating Effects of Product Knowledge and Product Innovativeness)

  • 단샤오웨이;여엽청;황몽첩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7호
    • /
    • pp.386-403
    • /
    • 2021
  • 정보타깃 고객에게 신제품을 사전 예고하는 것은 다양한 산업, 특히 제품 진입 속도를 매우 중요하게 여기는 산업에서 점차 널리 퍼져 있다. 본 연구는 마케팅 신호 이론에 기반하여 신제품에 대한 사전예고 정보와 개인 고객의 행동적 의도 간의 관계를 파악하여 연구 모델을 제시하였다. 또한, 본 연구는 사전 제품 지식과 신제품 혁신성의 유의한 조절 효과도 더불어 확인하였다. 이에 따라, 데이터 수집을 위한 웹 기반 조사를 실시하고 구조 방정식 모델을 이용해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에 의해 신제품 사전예고의 정보 속성(즉, 정보량, 명확성)이 소비자의 태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며, 더 나아가 구매의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제품 지식과 제품 혁신성의 조절효과도 검증되었다. 구체적으로 제품 지식은 정보량과 태도 간의 관계에 긍정적 조절 효과를 미칠 것이며 명확성과 태도 간의 관계에 부정적 조절 효과를 미칠 것이다. 반면, 제품 혁신성은 이와 정반대된 결과를 보여주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한계점도 모두 기술하였다.

프리어나운싱 정보속성이 스타트업 신제품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확장된 통합기술수용이론(UTAUT2)을 중심으로 (A Study of the Influence of Start-up New Product Preannouncing Information Attributes on Purchase Intention: Focused on UTAUT2)

  • 한병철;유재현
    • 벤처창업연구
    • /
    • 제18권5호
    • /
    • pp.1-16
    • /
    • 2023
  • 스타트업은 독창적인 아이디어를 상품화하여 이윤을 만들어내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조직으로 스타트업의 신제품이 어떻게 시장에 정착할 수 있으며, 지속가능한 성장을 만들어 낼 수 있는가에 대한 연구는 스타트업의 성공에 중요한 요소라고 할 수 있다. 기존 연구에서 신제품의 시장진출 및 마케팅에 대한 연구는 다양한 방면에서 진행되었으나, 기업의 규모가 대부분 대기업이나 중소기업에 맞춰져 있어, 스타트업 관점에서의 신제품 마케팅 전략에 대한 연구는 부족했다고 볼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상대적으로 인지도나 인프라가 열악한 스타트업의 신제품이 어떻게 시장에서 주목을 받을 수 있는가와 이러한 주목이 스타트업의 지속가능한 성장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 지에 관하여 프리어나운싱 마케팅 전략 활용의 관점에서 그 실효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특히, 스타트업 신제품에 대한 프리어나운싱 마케팅 전략에서 고객경험을 향상시키는 수단으로서의 관련성, 생동감, 새로움 등의 정보 특성 요인이 확장된 통합기술수용이론의 주요 변수인 성과기대와 쾌락적 동기 하에서 고객의 구매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를 수행한 결과, 스타트업 프리어나운싱 정보의 속성 중 관련성, 생동감, 새로움이 확장된 통합기술수용이론의 성과기대, 쾌락적 동기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성과 기대와 쾌락적 동기는 프리어나운싱 된 스타트업 신제품 구매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이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신제품 프리어나운싱 마케팅 전략을 활용하여 신규 시장에 진출하는 스타트업에게 고객의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을 제시하여, 스타트업이 마케팅 전략을 수립할 때 적용할 수 있는 실무적인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