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e-education

검색결과 3,829건 처리시간 0.026초

중등 과학에서의 코티칭 수업 과정 분석 (Analyses of the Process of Coteaching Instruction in Secondary School Science)

  • 한재영;윤지현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33권1호
    • /
    • pp.152-163
    • /
    • 2009
  • 이 연구는 대학 강의 상황에서 두 예비 과학 교사들의 코티칭을 활용한 수업이 계획 준비되고, 실행되며, 평가 반성되는 과정을 자세히 기술하고 설명하며 이해하려는 목적을 가진다. 예비 과학 교사들은 수업에 대한 관점을 교환하며 코티칭 수업 모형과 내용을 선정하고 수업 자료를 공동으로 준비하였다. 강의실의 공간을 두 예비 과학 교사들이 효율적으로 활용하고, 수업을 이끌어가는 역할을 주고받으면서 코티칭 수업을 함께 진행하였다. 코티칭 수업에 직접적 간접적으로 참여하는 지도교수와 다른 예비 과학 교사들은 학생 또는 수업 비평가의 역할을 맡아 코티칭 수업을 도왔으며, 수업 후 평가와 반성을 공유하였다. 코티칭 수업이 중등 교육 현장, 과학 교사 교육, 과학 교육 등에서 가지는 의미와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 PDF

예비교사를 위한 수학답사활동 수행 결과 분석 (The Analysis on the Results of Mathematics Field Trips for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

  • 서보억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30권2호
    • /
    • pp.139-159
    • /
    • 2016
  • 본 연구는 수학교육의 현장을 교실이 아닌 교실 밖으로 확장할 수 있다는 것을 전제로 진행되었다. 최근 수학교육은 다양한 현장체험활동, 실생활을 기반으로 한 수학교육 등의 중요성이 증가되고 있고, 이로 인해 예비교사교육에서도 이에 대한 고려가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 예비수학교사를 대상으로 수학답사활동을 진행하고, 그 구체적인 적용 결과를 분석하였다. 우리 고유의 역사적 문화재 속에서 실시한 예비교사의 수학답사활동 전후에 대한 인식의 변화에 대한 양적 분석과 더불어, 수학답사활동의 목적인 인지적 효과, 정의적 효과, 문화-수학적 효과, 수학수업 개선 효과 및 수업목표지식, 수업내용지식 측면에서 질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수학답사활동은 예비수학교사에게 유의미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새로운 교수학습 방법으로 정착하기 위해 지속적인 연구가 기대된다.

Effects of Programming-based TPACK Education Program on the Teaching Expertise of Pre-service Teachers

  • Kim, Seong-Won;Lee, Youngjun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5권7호
    • /
    • pp.213-224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김성원과 이영준(2019)의 프로그래밍 기반 TPACK 교육 프로그램이 예비 교사의 수업 전문성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은 40명의 예비 교사이며, 두 집단으로 나누어 처치를 진행하였다. 실험 집단(n=20)에게는 프로그래밍 기반 TPACK 교육 프로그램을 처치하고, 통제 집단(n=20)에게는 ICT 도구 기반 TPACK 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예비 교사의 수업 전문성 변화를 분석하기 위하여 수업 전문성, 교수 효능감, 테크놀로지 통합 자아효능감을 측정하는 검사 도구를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통제 집단과 달리 실험 집단은 수업 전문성과 교수 효능감, 테크놀로지 통합 자아효능감이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사전 검사에서는 실험 집단과 통제 집단이 유의한 차이가 존재하지 않았지만, 사후 검사에서는 실험 집단이 통제 집단보다 수업 전문성이 유의하게 높았다.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프로그래밍을 활용한 TPACK 교육이 예비 교사의 수업 전문성 발달에 효과적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우리나라 예비 과학교사 교육 연구의 동향 (Trends in Pre-service Science Teacher Education Research in Korea)

  • 이경건;안태수;문선영;홍훈기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127-147
    • /
    • 2022
  • 예비 과학교사 교육은 학교 현장에서 이루어지게 될 과학교육의 질을 제고하기 위하여 중요하며, 이에 따라 많은 예비 과학교사 교육연구들이 국내에서 보고되어 왔다. 그러나 그 연구 동향을 중등교사 맥락을 포함하여 포괄적으로 살펴보고 정리하는 작업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아 왔다. 이에 본 연구는 지금까지 국내에서 이루어진 예비 과학교사 교육 연구의 동향을 살펴보았다. 분석 대상 문헌은 1995년부터 2021년까지 17개의 KCI 등재지급 학술지에서 출판된 410건이었다. 해당 연구 문헌들의 동향은 시기별 문헌 수, 주제어 빈도, 연구의 질적 속성을 살펴봄으로써 조사하였다. 이 때 연구의 질적 속성은 예비교사의 유형과 전공, 연구맥락 교과, 연구 주제, 접근 방법, 자료 유형, 연구 참여자 수를 질적 코딩함으로써 다각적으로 파악하였다. 연구 결과, 예비 과학교사 교육 연구의 보고는 5년 간격으로 약 40건씩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연구가 출판되는 학술지는 '한국과학교육학회지'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되 2010년대 후반 이후 다양성이 증가하고 있었다. 주제어 빈도 분석 결과 과학교수효능감이나 과학의 본성, 그리고 여타 교수학습맥락이 강조되고 있었다. 질적 속성 코딩결과 예비교사 유형은 중등교사, 예비교사 전공과 연구맥락 교과는 '일반' 과학교육이 가장 많았다. 연구 주제로서는 '예비교사 대상 교육 프로그램', 그리고 '인식 및 정의적 영역'이 가장 많았다. 접근방법으로서는 특정 주제에 대한 '분석'을 수행한 연구가 가장 많았다. 연구 참여자 수는 11명 이상 30명 미만이 가장 많았다. 다만 이러한 질적 속성의 패턴은 시기별로, 그리고 예비교사 유형별로(유, 초, 중) 사뭇 다르게 나타났다. 연구 결과로부터 보다 행정적인 측면에 집중한 연구, 공통과학 교사에 대한 연구, 교사의 행위주체성에 집중한 연구, SSI 및 STS와 측면에서 생태전환교육을 주도할 환경교육 맥락의 포용 등 추후 예비 과학교사 교육 연구가 나아갈 방향을 탐색하고 제안하였다.

한국과 미국 초등 예비교사들의 연소에 대한 개념 비교 (Comparison of Korean and American Elementary School Pre-Service Teachers' Concepts on Combustion)

  • 신애경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3권4호
    • /
    • pp.736-750
    • /
    • 2014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concepts of Korean and American elementary school pre-service teachers on combustion, and to compare the concepts of Korean pre-service teachers with those of American pre-service teachers. For this study, concept test on combustion was administered to 23 Korean and 18 American elementary school pre-service teachers. The test composed of 6 items: 'Definition of combustion', 'The reason why a candle in a glass bottle is blown out when the bottle was closed', 'The change of gases in the bottle when a candle burns in it', 'The combustion products of a candle', 'The combustion products of steel wool', and 'The combustion products of a substance'. The results showed that the rates of elementary school pre-service teachers who had scientific concepts on combustion were very low in both Korean and American pre-service teachers' groups, although they were a little different from items. However the rates of pre-service teachers who had partial concepts and misconceptions on combustion were high in two groups. The levels of Korean elementary school pre-service teachers' concepts were a little higher than those of American elementary school pre-service teachers' concepts. The contents and activities on combustion which are in Korean and American science textbooks seem to affect building up their concepts on combustion.

숲교육(숲활동)에 대한 유아교사와 예비유아교사의 지식개념 연구 (A Study of Forest Education Concept Mapping of Pre-Service Teachers and In-Service Teachers' for Young Children)

  • 이연선;견주연;이시은;이소영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29-49
    • /
    • 2014
  • 본 연구는 유아교사와 예비유아교사들을 대상으로 '숲교육'에 대한 교사의 지식 내용과 수준을 분석하여 그들의 현 지식수준을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숲교육' 활성화를 위한 교사교육의 방향성을 모색해보고자 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B시에 소재한 유아교사 39명과 3, 4년제 유아교육과에 재학 중인 예비유아교사 60명, 총 99명을 대상으로 상위개념의 수, 내용요소에 따른 수, 종속 개념의 수, 특성, 위계, 밀도 등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유아교사와 예비유아교사 모두 '숲교육'에서 '자연(숲)'의 개념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었다. 둘째, 유아교사의 '숲교육'에 대한 상위개념에서 종속개념은 '생명', 위계는 '치유'와 '생명', 특성화 점수는 '숲 체험'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밀도는 1.00에서 4.80의 범위로 나타났다. 셋째, 예비유아교사의 '숲교육'에 대한 상위개념에서 종속개념은 '자연(숲)', 위계는 생명과 자연(숲), 특성점수는 '자연(숲)'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밀도는 1.00에서 6.78의 범위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에 기초하여 '숲교육'에 대한 교사의 지식과 지식수준의 문제점 진단 및 '숲교육' 활성화를 위한 교사교육의 방향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본 연구는 숲유치원의 올바른 정착을 위한 사전교육과 재교육에 기초자료를 제공하여, 숲교육이 올바르게 실천될 수 있도록 도움을 줄 것을 기대한다.

Comparing U. S. and Taiwanese Pre-service Teachers' Solving Triangular Arithmagons

  • LIN, Cheng-Yao;KUO, Yu-Chun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19권2호
    • /
    • pp.89-100
    • /
    • 2015
  • The study investigated pre-service teachers' knowledge and computational skills by using Triangular Arithmagon. Participants included 90 pre-service teachers from two schools in the United States and Taiwan. The Triangular Arithmagons Test (TAT) was used to measure pre-service teachers' performance in whole number, fractions, and decimals operations (i.e., addition, subtraction, multiplication, and division), each of which included level-1 (basic) and level-2 (advanced) tests. MANOVA analysis was performed to compare the performance between teachers from the United States and Taiwan. Results indicated that overall, pre-service teachers in Taiwan outperformed those in the United States, especially on the advanced-level tests. Pre-service teachers in the United States were found to have poor ability of solving complex operation problems. Different curriculum plans and teaching methods may lead to the performance gap between the two countries.

구성주의 교사양성교육을 지원하는 방안으로서 웹 기반 교육 체제의 유용성 (Usefulness of Web-based Education System as a Method Supporting Constructive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 윤지현;한재영;노태희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240-252
    • /
    • 2009
  • 이 연구에서는 예비교사들의 수업 시연에 웹 기반 교육 체제를 도입하고, 구성주의 교사양성교육을 지원하는 방안으로서 웹 기반 교육 체제의 유용성을 확인하였다. 예비교사들은 수업 시연을 위하여 웹 기반 활동을 하였고, 수업 시연이 끝난 예비교사들을 대상으로 면담을 실시하였다. 예비교사들의 웹 기반 수업시연 과정을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웹 기반 교육 체제의 유용성을 세 가지 상황에서 살펴 볼 수 있었다. 첫째, 예비교사들은 수업 시연 전 구성주의 교수-학습이론에 관한 자료를 살펴보고 관련된 이론적 지식을 구성할 수 있었다. 이 때 웹 기반 교육 체제의 토론방은 예비교사들이 이론들에 대해 깊이 생각하고 탐색할 수 있는 환경을 지원해 줄 수 있었다. 둘째, 예비교사들은 수업 시연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동료 예비교사들과 지도교수와의 상호작용을 경험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상호작용은 웹 기반 교육 체제의 토론방을 통해 지원되었으며, 예비교사들은 구성주의적 수업을 계획하고 구성하는 것과 관련된 실천적 지식을 형성 할 수 있었다. 셋째, 예비교사들은 수업 시연이 끝난 후 자신의 수업에 대한 평가를 하였다. 이 때 웹 기반 교육 체제가 제공하는 토론방은 예비교사들의 반성적 사고 과정을 위한 상호작용을 지원해 줄 수 있었다. 이 연구를 통해 웹 기반 교육 체제는 예비교사들이 구성주의적 교수-학습 방법들을 배울 수 있는 효과적인 환경을 제공해 줄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자녀의 학교 급별 교육비지출 : 두 자녀 가정을 중심으로 (Expenditure for Education of Two children)

  • 김순미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129-142
    • /
    • 1998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dentify education expenditure and to analyze contributing factors to total education expenditure for two children among married couples. For these purposes, total sample of 1,256 married couples those having two children of both pre-school aged and school aged were selected, and total sample was divided into four groups by first child's school aged; those were pre-school aged(375), elementary school aged(385), middle & high school aged(248) & college aged(248). Statistics used for the analysis were frequencies, means, percentile, and tobit and OLS analy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households those having the first child of pre-school aged didn't spent for public education expenditure, while public education xpenditure of school aged increased continuously. The households having the first child of high school aged spent the most private education expenditure among four groups, however, total education expenditure of the households having the first child in college aged spent the most education expenditure were household head's age, family size, home ownership and financial asset amount, and elementary school-aged's factors were household head's age, education level, home ownership and total household income. Also, household head's education level, wife's expectation of future economy, residence, total household income had significant effects on total education expenditure in middle and high school-aged, and household head's job, home ownership, contact with neighborhood, residence and Engel's coefficient were significant variables in college aged.

  • PDF

영적간호 교육이 간호학생들의 죽음에 대한 태도변화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s of Spiritual Care Nursing Education Towards Death and Dying)

  • 김정남;박경민
    • 한국보건간호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114-127
    • /
    • 1999
  • In order to care the persons who are dying a nurse should first solve her / his own conflicts about death. and be aware of their own concepts of death and dying. In order to find out patient's spiritual needs and to give better spiritual nursing care. a nurse should know her / his own spiritual needs and be aware of their own concepts of spiritual nursing problems. To improve nurse's understanding towards death and dying and nurse's knowledge towards spiritual needs and spiritual nursing care. 14 weeks(two hours a week) spiritual nursing care education was given to 3th grade baccalaureate nursing college student. Before and after spiritual nursing care education. 30 items of prepared questionare focused on the attitudes toward death and dying was asked. Pre and post results are as follow ; 1. The dying patient's emotional and physical need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re and post educated groups. Both of the situations. they agreed upon$(69.64\%)$ that the dying patients have high emotional and physical needs to solve. 2. Telling the truth of dying proces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re educated group$(53.33\%)$ and post educated group$(55.95\%)$. 3. Attitudes of medical personnel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re$(51.49\%)$ and post educated groups $(53.87\%)$. These responses indicate that nursing college student didn't have enough experiences on dying patients care. 4. General attitudes on death and dying. Number of nursing students who were thinking positively toward death and dying were Increased (pre $39.68\%$. post $45.44\%$) and who were thinking negatively toward death and dying were also decreased (pre $37.30\%$. post $33.93\%$). 5. Attitudes toward mechanical assistance for life-expanding of helpless patien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re and post educated groups. About $34.13\%$ of them approved upon mechanical assistance for life and about $33.14\%$ of them disapproved. 6. Attitudes of family members of dying patien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re and post educated groups. About $45.24\%$ of both groups, agreed upon that the family members feel annoyed with dying patients and about $22.42\%$ of both groups disagreed. Whether they received the spiritual nursing education or not, they were aware of that the family members feel annoyed with dying patients. 7. Special facility and educational preparation for dying patien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re$(82.14\%)$ and post$(90.87\%)$ educated groups. These responses indicated that after they received the education, they felt more about the necessity of special facility and educational preparation for the death and dying patients. 8. Special facility and welfare system for the ol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re$(58.33\%)$ and post$70.64\%$ educated groups. There responses indicated that after they received the education, they felt more about the necessity of special facility and welfare systems for the ol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