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actice Attitude Towards Death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22초

간호대학생의 사회심리적 특성에 따른 죽음에 대한 태도 (A Study of Nursing College Students' Attitude towards Death by Psychosocial Characteristics)

  • 황경혜;조옥희;정미영
    • 가정간호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63-71
    • /
    • 2013
  • Purpos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dentify nursing college students' attitudes towards death and was conducted as a pre-investigation to prepare them for coping with terminally ill patients in their clinical practice. Methods: The subjects consisted of 321 nursing students. Their attitudes towards death were measured by using the Collett-Lester Fear of Death Scale(CLFODS). The data obtained were analyzed by using the one-wayANOVA and Duncan's multiple test using the SAS 9.2 soft ware program. Results: The mean CLFODS score was 2.99. Among the 4 subscale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students with respect to grade, indirect experience of death, social isolation, daily life stress, and suicidal ideation in the past year. Conclusion: A negative attitude towards death was observed in the psychosocial characteristics, with indirect experience of death, social isolation, daily life stress, and suicidal ideation in the past year. It is necessary to educate students on how to care for dying patients before clinical practice. This education can be carried out by developing a death education program after considering the above mentioned psychosocial characteristics noted in this study.

  • PDF

임상실습을 경험한 간호대학생의 말기환자에 대한 주관적 태도: Q방법론 적용 (Subjective Attitudes towards Terminal Patients of Nursing Students with Clinical Practice Experience: Application of Q Methodology)

  • 이은주;황경혜;조옥희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22권4호
    • /
    • pp.156-165
    • /
    • 2019
  • 목적: 본 연구는 임상실습을 경험한 간호대학생의 말기환자에 대한 주관적 태도 유형을 확인하고, 유형별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Q 방법론을 적용한 조사연구이다. 방법: 75개의 Q 모집단 중 최종 34개의 Q표본을 선정하고 임상실습을 경험한 간호대학생 43명의 P표본을 대상으로 9점 척도의 Q-분류를 하도록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PC QUANAL Program으로 주요인분석을 하였다. 결과: 임상실습을 경험한 간호대학생의 말기환자에 대한 주관적 태도는 모두 3개 유형으로 나타났으며, 이들의 전체변량은 49.96%였다. 제1유형인 '생명의료 희망형'은 말기환자가 자신의 상태를 정확히 알고 생명을 연장하기를 원한다고 생각하였다. 제2유형인 '서비스 제공 요구형'은 말기환자가 미리 죽음을 준비할 수 있도록 다학제적인 간호와 이에 대한 제도가 마련되어야 한다고 생각하였다. 제3유형인 '죽음 수용 인식형'은 호스피스 병동에 입원하여 품위 있게 죽기를 원한다고 생각하였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임상실습을 경험한 간호대학생의 말기환자에 대한 다양한 주관적 태도를 파악했으며, 이를 토대로 유형별 맞춤형 교육 프로그램이 개발된다면 말기환자에 대한 교육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질 것이다.

DACUM 기법을 통한 죽음교육프로그램 개발 분야의 직무분석 : 사회복지사를 중심으로 (Job Analysis by DACUM Method in the Field of Well Dying Education Model Development : focusing on the Social Worker)

  • 황혜정;김광환;김용하;이무식;심문숙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8호
    • /
    • pp.5501-5507
    • /
    • 2015
  • 이 연구는 사회복지사 대상 죽음교육 프로그램을 만들기 위해 DACUM 기법을 활용한 직무분석을 통해 사회복지사들이 현장에서 실제로 적용 가능한 의료적 시각과 인문학적 시각을 동시에 수용하는 융합된 죽음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사회복지사의 책무와 과업들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기간은 2015년 3월 2일부터 동년 3월 10일까지 직무분석을 위해 DACUM 위원 8명으로 구성된 보건의료 및 인문사회분야의 전문 교수진으로 구성되어 의료적, 인문학적 시각 및 사회적 시각으로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상실과 애도' 책무에 대한 과업으로 '죽음의 수용과 이해'와 '상실 스트레스 치유 및 자살 예방 교육'이 중점이 되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죽음교육의 필요성' 책무에 대한 과업으로 '전통사회의 죽음과 현대사회의 죽음'이 '자신의 죽음과 관련된 문제의 이해'등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 인문학적 시각에 의한 죽음의 수용과 이해를 위한 힐링과 치유가 강조된 죽음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함을 시사해 주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