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actical Teaching Methods

검색결과 350건 처리시간 0.028초

초등과학 '작은 생물의 세계' 단원에 대한 STEAM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효과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Effects of STEAM Program about 'World of Small Organisms' Unit in Elementary Science)

  • 최영미;홍승호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2권3호
    • /
    • pp.361-377
    • /
    • 2013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develop STEAM teaching materials about 'world of small organisms' unit o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and to apply lesson using them for the 5th and 6th graders. Compared to other STEAM programs studied previously, the STEAM teaching materials of this study includes students' STEAM, teachers' guide, story-telling books and multimedia teaching aids consisted of practical resources to manage STEAM lessons. The whole program was designed from multidisciplinary integration to extradisciplinary integration through activities making creative products, meanwhile each period had discretionary S, T, E, A, M factors specifically. To examine the effects of integrated lesson on scientific knowledge, process skills, and affective domain, the study subjec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The experimental group was composed of 69 individuals participated in STEAM lesson, while students of the control group were 67 individuals learned through general learning methods. The developed STEAM teaching materials affected significantly on scientific knowledge and affective domai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but process skills were not increased significantly. In the present study, therefore, the approach applying STEAM education could be suggested as alternative learning materials or supplementary teaching materials at the field of small organisms in elementary science sufficiently.

Study of Pedagogical Practice and Teaching Experience in European Countries

  • Poplavskyi, Mykhailo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2권3호
    • /
    • pp.252-258
    • /
    • 2022
  • Globalization, development of the information society, intensification of migration processes, and internationalization of education in recent years have significantly affected the international labour market and increased competition between professionals in various fields. Academic, research and teaching staff are currently facing rapid changes and growing demand for quality educational services. Under such conditions, educational institutions around the world pay particular attention to improving the quality of the educational process in order for their graduates to be able to compete in the international labour market. The study of the experience of teachers' professional training in advanced countries opens new opportunities for improving the system of pedagogical training in Ukraine in order to adapt it to the requirements of the European educational space. The progressive achievements of countries demonstrating a high level of teachers' professional training in accordance with international standards, having rich historical educational traditions are of considerable scientific interest; consequently, this contributes to their leadership in science and education at the regional and global levels. The purpose of the present academic paper lies in analysing the latest trends in exploring teaching experience in the European countries and performance review of passing by students and teachers of the program on studying of pedagogical practice and experience of teaching in the countries of Europe. Methodology. Analytical and empirical (questionnaire) methods were used in the research process. Results. According to the obtained results of the research, the advantages, the most common areas of educational programs and the wishes of the participants regarding the practical implementation of the experience were identified.

직접 교수 모형에 기반한 체육과 ICT활용 교수 학습 과정안 개발 및 적용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ICT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for Physical Education based on Direct Instruction Model.)

  • 김종희;이재무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9권3호
    • /
    • pp.397-406
    • /
    • 2005
  • 본 연구는 직접교수학습 모형에 기반한 체육과 ICT교수학습 과정안을 개발하고 현장에 적용하여 교수 학습에서의 효율성을 입증하는 것이다. 체육 교과는 교사의 시범 및 피드백이 필요하고, 기상 조건 등으로 인하여 수업이 어려운 경우가 있다. 그리고 실제 학습에서의 학습 모형의 적용이 미비한 상황이다. 이러한 경우에 ICT 교수 학습 과정안을 활용한다면 전문가의 시범을 대치할 수 있으며, 학습자들은 개별적, 적응적 피드백을 제공받고, 자신의 학습 속도에 맞도록 느린 동작, 구분 동작 학습, 반복 학습이 가능하다. 그리고 교사들의 교수학습 방법에 대한 공유를 높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체육과에서 일반적으로 적용되는 직접 교수 모형을 ICT 활용 수업에 적합하도록 재구성하여 절차적 모형으로 각 단계를 정의하고, 이를 실현하기 위한 ICT 교수 학습 과정안을 개발하였다. 그리고 초등학교 5학년 수업에 적용하여 학습 효과를 분석하였다.

  • PDF

Learning a Foreign Language Using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Comfortable Implementation of the Professional Position of a Future Specialist in a Foreign Language Environment

  • Postolenko, Iryna;Biletska, Iryna;Kmit', Olena;Paltseva, Valentyna;Mykhailenko, Olena;Yatsyna, Svitlana;Kuchai, Tetiana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2권11호
    • /
    • pp.63-70
    • /
    • 2022
  • At the present stage, the main directions of the professional position of a specialist in the implementation of English-language Education are to improve and spread the practice of learning languages throughout a person's life by involving information, communication and digital technologies in the educational process. Computerization of the educational process in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is considered as one of the first and most promising areas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education in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The necessity of ensuring timely training and retraining of specialists of various profiles (in particular teachers) on the effective use of domestic and foreign electronic resources with the help of modern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professional position of a future specialist in a foreign-language environment is noted. The main goal of teaching a foreign language (the formation of students' communicative competence, which means mastering the language as a means of intercultural communication) is defined. The types of speech activity that cover the content of teaching a foreign language are highlighted. The main types of assessment in a foreign language are shown - current (non-classroom), thematic, semester, annual assessment and final state certification. The task of the teacher is drawn, which is to create conditions for practical language acquisition for each student, to choose such teaching methods by means of information technologies that would allow each student to show their activity, their creativity; to activate the cognitive activity of the student in the process of learning a foreign language.

체육교과용 웹 기반 프로젝트학습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Web Based PBL System for Physical Education Science)

  • 장종철;최숙영;안성훈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6권12호
    • /
    • pp.216-225
    • /
    • 2006
  • 교수학습법은 학생들이 새로운 경험에 대해 열린 마음을 가지고, 변화에 대한 융통성을 가지며 다양한 종류의 가치나 인생의 기로에서 올바른 선택을 내릴 수 있도록 가치 판단 능력을 가지게 하는데 초점을 맞춰야 한다. 그러나 전통 교수학습법에서는 교과서 중심/교수자 중심이었다. 이러한 교수학습법은 21세기 세계화와 정보화 요구에 발맞추어 학생들의 개별 수준이나 창의성 개발에 초점을 둔 학습자 중심의 교수학습법으로 개선되어야 마땅하며, 프로젝트 학습법은 특정 과목에 대한 철저한 학습과 학생들의 협동력과 탐구력 향상을 목적으로 하는 여러 가지 활동으로 특히 실습의 중요성이 강조되는 체육수업에서 이용하기에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체육과의 바람직한 수업 개선 방법으로 프로젝트 학습 시스템을 설계 및 구현하여 시스템을 이용한 수업 실천 방법을 제시하고 그 효과를 검증 해 보기로 한다.

  • PDF

영재 교육 현장경험을 통해 얻은 과학 교사들의 효과적 영재 교수방법에 대한 인식 탐색 (Exploration of Experienced Science Teachers' Perception on Teaching the Gifted in Science)

  • 최윤희;이현주
    • 영재교육연구
    • /
    • 제26권2호
    • /
    • pp.299-318
    • /
    • 2016
  • 본 연구는 교육청 부설 영재 교육 기관에서 과학 영재 학생들을 수년간 가르쳐온 12명의 과학 교사를 대상으로, 이들이 현장경험을 통해 어떠한 교수방법을 효과적으로 인식하고 있는지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4년~11년의 영재 교육 경력을 지닌 교사들을 섭외하여, 이들과 2회에 걸쳐 개별 심층면담을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영재 담당 교사들은 영재 교육 활동을 통해서 과학 영재들의 특성에 대한 일부 선입견이나 부정적 편견이 줄어들었으며, 영재 학생들이 일반 학생들과 다른 점에 대해 주목하기 시작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참여 교사들은 영재 학생들을 똑똑하기 보다는 잠재적 성장과 발전의 가능성을 지닌 학생들로 인지하였으며, 학생들의 지적 호기심이나 수행의지, 과제 집중력, 창의성 등의 특성이 발휘될 수 있는 수업을 구상하기 위해 노력해왔음이 드러났다. 이러한 관점에서 연구 참여 교사들은 탐구하는 과정과 방법에 대한 경험의 제공, 모둠 활동을 통한 리더십과 의사소통, 배려하는 능력의 함양, 창의적이고 융합적인 사고방식을 키우고 나아가 이공계 진로 진출을 고려한 진로 탐색의 기회를 주는 교수를 효과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영재 교육 초임교사나 새로운 교수법을 모색하는 교사들에게 많은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다중지능 교수.학습 방법을 적용한 실천적 문제 중심 가정과 교수.학습 과정안의 개발과 평가 - 중학교 가정과 '청소년의 영양과 식사' 단원을 중심으로 - (A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practical problem-based Home Economics lesson plans applying to multiple intelligence teaching.learning strategy - Focused on the unit 'Nutrition & Meals' of middle school Home Economics subject matter -)

  • 최성연;채정현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87-111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l학년 가정교과의 '청소년의 영양과 식사' 단원을 중심으로 다중지능을 활용한 실천적 문제 중심 교수 학습 과정안을 개발하고 평가하는데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Keller의 수업 설계 과정에 따라 수업을 정의하고 수업을 설계하며, 교수 학습 과정안을 개발하고 이를 현장수업에 적용하여 평가하였다. 수업 정의 단계에서는 다중지능을 활용한 실천적 문제 중심 수업을 위한 기초 연구를 수행하였다. 첫째, 2007년 개정 교육과정 해설서의 목표와 내용 단어를 추출하여 학습목표를 설정하였고, 실천적 문제를 규정하였다. 둘째, 식생활 교육내용의 연계성 연구를 토대로 하여 12종 교과서의 학습 내용을 분석하여 선행조직자로서의 개념도를 개발하였다. 셋째, 12종 교과서의 학습 활동을 다중지능 영역별로 분석하였다. 수업 설계 단계에서는 다중지능을 활용한 실천적 문제 중심 수업의 방향을 설정하였다. 첫째, 기존의 실천적 문제 중심 수업 과정에 개념이해 과정을 추가하여 실천적 문제 중심 수업을 설계하였다. 둘째, Armstrong과 그의 공동연구자들이 제시한 다중지능 교수 학습 방법을 적용하여 차시별로 8가지 지능을 모두 활용한 교수 학습 방법을 개발하였다. 셋째, 개발한 다중지능 교수 학습 방법을 실천적 문제 중심 수업의 과정에 투입하였다. 교수 학습 과정안 개발 단계에서는 교수 학습 자료와 참고자료를 선정하여 총 6차시의 교수 학습 과정안과 학습 활동지를 개발하였다. 수업 평가 단계에서는 개발한 4, 5차시의 교수 학습 과정안을 청주시 소재 중학교 1학년 남 여 2개 학급 72 명에게 2시간씩 시연한 후 설문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영양과 식사' 단원의 다중지능 교수 학습 방법 적용한 실천적 문제 중심 수업의 목표는 '청소년기 영양과 건강의 중요성을 이해하고 균형 잡힌 식사습관을 실천할 수 있다'이다. 실천적 문제는 '건강한 식생활을 유지하기 위해서 나는 무엇을 해야 하는가?'이고, 학습 내용은 건강한 생활, 영양소의 종류 및 기능, 청소년의 영양 문제, 식품 구성탑, 식사 구성안이며, 학습 활동은 8가지 다중지능 영역을 골고루 포함한 다양한 교수 학습 방법으로 진행된다. 둘째, 개발한 교수 학습 과정안은 실천적 문제 중심 수업의 흐름에 따라서 도입(생각열기, 지난 수업 내용 확인, 학습목표 제시), 전개(실천문제 규정, 개념 이해, 사회 문화적 맥락 이해, 목표 설정 및 대안 탐색, 대안 실행 결과 예측, 수업 내용 정리 및 생각 넓히기), 정리(성취확인학습, 적용 및 일반화 유도, 과제 제시 및 차시 예고)로 진행되도록 하였다. 이 수업 과정에 차시별로 8가지 다중지능을 모두 활용한 교수 학습 방법을 제시하여 학습자의 특성과 학습 환경에 따라 활동 선택이 가능하게 하였다. 개발된 활동은 언어지능 활용 방법 10개, 논리수학지능 활용방법 7개, 시각공간지능 활용 방법 9개, 음악지능 활용 방법 10개, 신체운동지능 활용 방법 6개, 대인관계지능 활용 방법 10개, 개인내적지능 활용 방법 7개, 자연탐구 지능 활용 방법 6개로, 총 65개이다. 셋째, 다중지능 교수 학습 방법을 적용한 실천적 문제 중심 수업은 평가 결과, 적극적 수업 태도를 함양하고, 학습 동기 유발, 학습내용 이해, 학습내용 암기, 실제 생활에 적용, 그리고 바람직한 식생활을 실천하는 데 도움이 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PDF

가정과 교육의 교수.학습 방법에 관한 국내 연구 동향 (Research Trends in Teaching-Learning Methods for Home Economics Education)

  • 김은정;권유진;이윤정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17-34
    • /
    • 2014
  • 본 연구는 가정과와 관련된 3개 주요 학술지의 교수 학습 방법 관련 연구 219편을 분석함으로써 가정과교육 분야의 교수 학습 방법에 대한 동향을 파악하고 향후 연구방향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분석대상 연구의 교수 학습 방법, 내용영역, 효과변수들을 양적으로 부호화 하여 빈도 및 교차분석을 통해 분석 결과를 도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교수 학습 방법 연구는 주요 학술지들이 출간되기 시작한 1996년 이래로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왔으며, 2010~2011년을 정점으로 최근에는 약간 감소하였다. 내용 영역으로는 특정 영역을 구분하지 않거나 2개 영역 이상을 통합한 경우가 가장 많았으며, 연구된 교수 학습 방법 중에는 교과의 내용을 중심으로 교수 학습 과정안을 제시한 경우가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으로는 실천적 추론 또는 문제해결이나 IT 관련 매체를 활용한 수업에 대한 연구가 많았다. 내용 영역별로도 아동/가족 분야는 내용중심과 실천적 추론, 소비/경영 분야에는 매체중심 방법과 실천적 추론/문제해결이 주로 적용되었고, 의생활과 주생활은 매체중심, 내용중심의 방법, 식생활에서는 실천적 추론/문제해결, 실습/노작이 가장 많이 연구되는 등 주로 관심을 갖는 교수 학습 방법이 다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종속변수로 활용된 효과 변수 분석 결과, 가장 높은 빈도를 보인 것은 지식 또는 이해도 관련 학업성취도, 가정교과와 관련된 태도 변화, 일반적 태도 또는 역량, 수업/방법에 대한 태도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향후 가정과 교수 학습 방법 관련 연구와 가정과 교수 학습 방법 분류라는 측면에서 기여할 수 있으며, 이러한 기초 연구들의 축적은 궁극적으로 교육과정 문서 체제 개선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컴퓨터 활용 능력 및 학습 태도 향상을 위한 창의적 교수법 연구 (A Study of Creative Teaching Method for Improvement of the Computer Literacy and the Learning Attitude)

  • 김종훈;김종진;고정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6권7호
    • /
    • pp.99-110
    • /
    • 2006
  • 지식을 직접적으로 경험하고, 느끼는 것을 통해 배우는 학습자 중심의 참여 교육이 강조되기 시작했다. 그리하여 교육현장에서는 이를 뒷받침하기 위해서 기존의 교수법이 아닌 새로운 창의적인 교수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하지만 컴퓨터 교육에 있어서 그와 같은 교수법 관련 연구가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컴퓨터 교수법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통해서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교수법을 개발하고, 이를 적용한 학습이 학생의 컴퓨터 활용 능력 및 학습태도 신장에 미치는 긍정적인 효과를 규명하는 데에 목적이었다. 창의적 교수법은 학생에게 최대한 주도권을 주고, 학생 상호간의 작용을 적극 이용하여 참여를 이끌어내는 학생 참여 중심의 교수법을 말한다. 본 연구의 결과 컴퓨터 활용 능력 및 학습 태도 향상을 위한 창의적 교수법은 컴퓨터 소양 교수법의 부재를 겪고 있는 학교 현장에 제공함으로써 컴퓨터 소양 교육의 실효성을 거둘 수 있음이 입증되었다. 연구 대상과 적용된 교육 주제에 한계가 있다. 그러므로 차후 실험집단의 확대와 교육 주제 등의 확대를 통한 창의적 교수법 개발 연구가 계속적으로 필요하다.

  • PDF

일부 치위생과 학생의 수업방법에 따른 수업인식과 진로인식 변화에 관한 연구: 치면세마 수업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hanges in Class Awareness and Career Awareness According to the Teaching Methods of Some Dental Hygiene and Students: Focusing on the professional tooth cleaning class)

  • 손은교;박일순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11호
    • /
    • pp.355-363
    • /
    • 2020
  • 본 연구는 강원도 일부 지역의 치위생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수업방법에 따른 수업 인식과 진로 인식의 변화를 살펴보기 위한 연구이다. 동일한 설문지를 사용하여, 2019년 12월에 대면 수업 후 1차 설문을 진행하였고, 2020년 7월에 비대면 수업 후 2차 설문을 진행하였다. 통계분석은 SPSS 24.0을 사용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학년에 따른 수업 인식과 진로 인식에 차이를 보였고, 학교생활 만족도와 치면세마 수업 만족도에 따라 진로 관심과 진로 호기심, 진로 자신감 차이를 보였다. 비대면 수업의 경우 인터넷을 통한 진로 결정의 비중이 높아졌으며, 진로 자신감도 상승하였다. 이 결과들은 실기과목 수업 운영에 있어 융복합적 측면을 고려한 플립러닝 수업과 같은 방법의 활용과 실기시험을 위한 표준화된 실기 동영상 제작에 필요한 기초자료로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