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wer (Psychology)

검색결과 119건 처리시간 0.027초

진도 다시래기의 상징적 의미 (A Perspective of Analytical Psychology on "Jin Do Dasiraegi")

  • 박상학
    • 심성연구
    • /
    • 제26권2호
    • /
    • pp.149-188
    • /
    • 2011
  • 한국의 남쪽 섬 진도의 장례식에서는 상여가 나가기 전날 밤에 다시래기(再生 ; 다시 낳기)라는 연극을 한다. 그 과정 중에 숨겨진 죽음과 관련된 원초적이고 보편적인 심리적 의미를 분석심리학적 관점에서 고찰해 본다. 이 연희의 특징은 1) 축제식 장례 2) 광대의 등장(대극의 존재와 갈등) 3) 성적표현들 4) 여성의 적극적 참여 5) 출산과정의 난관 6) 아이의 탄생과 함께 나누는 기쁨들로 요약된다. 이는 인생의 마지막 통과의례 중 전이기의 의례(Transition)이다. 연희의 전제조건인 호상(好喪)은 삶의 여정에서 그가 갖추어야 할 페르조나(persona)들에 대한 집단의식의 판단이다. 갖추어진 삶을 산 다음에 제대로 된 죽음이 된다. 등장하는 눈 뜬 장님 거사와 남성들을 희롱하는 사당 그리고 파계승 세 사람은 삼각의 갈등 구조를 보인다. 거기에 연출자이면서 주인공인 가상제가 합세 4인의 균형을 이룬다. 이들은 예의 바르고 이성적인 집단의식의 그림자적 측면을 나타내는 광대들이다. 동시에 트릭스터 원형상의 모습을 나타낸다. 산 자와 죽은 자, 상자와 가상자, 경건함과 난장판, 통곡과 웃음, 침묵과 넋두리, 죽음과 출생 등 다양한 대극이 공존하고 이로서 전체가 된다. 거사와 중은 대극이며 사당(아니마)은 둘 사이를 오가며 갈등을 부추긴다. 아기는 그 갈등의 소산이며 동시에 해결책이기도 하다. 갈등은 전체성의 상징인 아이의 탄생으로 해소되는 듯 하다 아기의 친권을 두고 재연되고 그 해결은 네 번째 인물이자 최초의 시작인 상주에게 아기를 맡기는 것이다. 이렇게 무의식은 드러나는 현실과 손을 잡는다. 무의식의 상들이 의식화 되고 무의식에서 생성된 새로운 에너지는 의식으로 흘러들어 의식의 결손을 치유하는 힘이 된다. 다시래기는 죽은 자를 위한 것이기 보다 오히려 산자를 위로하기 위한 성격이 더 강한 놀이이다. 죽음이 상실이 아니라 새로 태어남이요, 살아남은 자에게는 새로운 독립된 지도자로의 변환을 뜻한다. 죽은 자와 산 자 모두에게 갱신이라는 이중적 의미를 갖는다. 최근에 민간의 장례절차에서는 다시래기가 사라지고 단지 무대에서 굿으로 그 형태가 일부 보존되고 있다. 지나치게 엄격한 죽음에 대한 집단의식의 일방적 태도를 보상하는 무의식의 표현이 다시래기라면, 그 사라 저감은 죽음을 종결로 보고 너무 쉽게 정리해 버리려는 오늘날의 사회적 태도와 관련성을 고려해 봐야 할 것이다.

신장이식환자를 위한 능력증강교육프로그램 효과 (The Effects of an Empowerment Education Program for Kidney Transplantation Patients)

  • 김성희;유혜숙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47권4호
    • /
    • pp.445-455
    • /
    • 2017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n Empowerment Education Program (EEP) for kidney transplant patients and to test the program's effects on uncertainty, self-care ability, and compliance. Methods: The research was conducted using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with a pretest-posttest design. The participants were 53 outpatients (experimental group: 25, control group: 28) who were receiving hospital treatment after kidney transplants. After the pre-test, pati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underwent a weekly EEP for six weeks. The post-test was conducted immediately after, and four weeks after the program's completion in the same manner as the pre-test. For the control group, we conducted a post-test six and ten weeks after the pre-test, without and program intervention. A repeated measure ANOVA was performed to compare the change scores on main outcomes. Results: Uncertainty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experimental group than in the control group, both immediately after (t=-3.84, p=<.001) and 4 weeks after (t=-4.51 p=<.001) the program, whereas self-care ability (t=5.81, p=<.001), (t=5.84, p=<.001) and compliance (t=5.07, p=<.001), (t=5.45, p=<.001) were significantly higher. Conclusion: Kidney transplant patients who underwent an EEP showed a decrease in uncertainty and an improvement in self-care ability and compliance. Thus, our findings confirmed that an EEP can be an independent intervention method for improving and maintaining the health of kidney transplant patients.

온라인 게임과 학습과의 관련성 분석 연구 (An Exploratory Study For Online Game-Based Learning Theory)

  • 조일현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7권1호
    • /
    • pp.59-68
    • /
    • 2007
  • 최근 e-러닝에서의 몰입 학습을 위해 게임의 재미(fun) 요소를 활용하고자 하는 시도들이 나타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게임을 e-러닝에 접목시키는 본격적으로 시도에 앞서, 학습 전략으로서 게임의 효과성에 대한 이론과 관련 선행 연구를 분석하였다. 수용자가 게임에 몰입하는 이유로서 커뮤니티 속성, 빠른 피드백, 그리고 스토리텔링 요소가 제시되었다. 게임이 학습에 미치는 효과는 개별학습의 경우는 인지유연성 이론, 구조주의학습이론, 성찰적 실천 이론에 의해서, 협력학습의 경우는 사회문화적 구성주의와 상황주의 이론에 의해서 설명될 수 있었다. 각 이론적 관점별로 관련 선행연구 사례 분석을 통해 이러한 이론적 관점들의 타당성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분석 결과, 게임이 갖고 있는 몰입 학습의 장치들이 정규 교육 또는 e-러닝과 접목되기 위해서는 수업 설계 전략이나 동기 전략에 대한 연구 이전에, 보다 근본적인 차원에서 학습을 보는 패러다임의 변화와 입시 중심, 분과 교과 중심의 전통적인 교육 체제의 전환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경도인지장애와 알츠하이머병 치매의 생물학적 표지자로서 뇌파와 사건유발전위의 임상적 의미 (Clinical Implications of EEG and ERP as Biological Markers for Alzheimer's Disease and Mild Cognitive Impairment)

  • 김창규;김현택;이승환
    • 생물정신의학
    • /
    • 제20권4호
    • /
    • pp.119-128
    • /
    • 2013
  • Objectives Memory impairment is a very important mental health issue for elderly and adults. Mild cognitive impairment (MCI) is a prodromal stage of Alzheimer's disease (AD). Early detection of the prodromal stage of patients with AD is an important topic of interest for both mental health clinicians and policy makers. Methods Electroencephalograpgy (EEG) has been used as a possible biological marker for patients with MCI, and AD. In this review, we will summarize the clinical implications of EEG and ERP as a biological marker for AD and MCI. Results EEG power density, functional coupling, spectral coherence, synchronization, and connectivity were analyzed and proved their clinical efficacy in patients with the prodromal stage of AD. Serial studies on late event-related potentials (ERPs) were also conducted in MCI patients as well as healthy elders. Even though these EEG and ERP studies have some limitations for their design and method, their clinical implications are increasing rapidly. Conclusion EEG and ERP can be used as biological markers of AD and MCI. Also they can be used as useful tools for early detection of AD and MCI patients. They are useful and sensitive research tools for AD and MCI patients. However, some problems remain to be solved until they can be practical measures in clinical setting.

다문화가족지원센터 종사자의 직무만족도 및 관련변인에 관한 연구: 방문교육지도사를 중심으로 (A Study on Job Satisfaction and Relevant Variables in Employees of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 Focused Home-Visiting Educator)

  • 강성애;박정윤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53권4호
    • /
    • pp.391-404
    • /
    • 2015
  • This study examined job satisfaction and relevant variables for multi-cultural family home-visiting educators. The selected study subjects were 192 home-visiting educators who work at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s in the Seoul, Gyeonggi-do, and Chungcheongnam-do areas. Data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SPSS ver. 18.0.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job satisfaction level in multi-cultural family visiting educators stood at 3.29 points, subjects' age, averagely monthly income, marital status, and activity career were shown to influence generally upon job satisfaction, self-efficacy, job stress, and cultural competency. Job satisfaction was high in groups with: a high age, small career, low averagely monthly income, and married. Second, self-efficacy and job stress were big in the job satisfaction of multi-cultural family visiting educators. The same outcome as the existing prior research was indicated. Cultural competency was not significant. Third, an examination of relative influence upon job satisfaction in home visiting educators indicated that the explanation power was 29.0%. Significant influential variables included academic background, marital status, self-regulation, and role ambiguity. Self-regulation was greater for those with lower academic backgrounds and unmarried. Job satisfaction was higher in the lower role ambiguity. Thus, the same outcome as the existing prior research was indicated. Cultural competency wasn't indicated to be significant. This has significance in having shown characteristics of job satisfaction in multi-cultural family visiting educators.

Kingdon모형을 적용한 전시 작전통제권 전환 정책변동에 관한 연구 노무현 정부, 이명박 정부를 중심으로- (A Study on Wartime OPCON Transfer Policy Changes Applied Kingdon's Policy Model - Focussing on Administrations of Roh Moo Hyun and Lee Myoung Bak -)

  • 이정훈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5호
    • /
    • pp.291-295
    • /
    • 2022
  • 문재인 정부의 공약이었던 임기내 전시 작전통제권 전환은 무산되었다. 1950년 6.25전쟁당시 이양된 이후 70여년이 지난 오늘날에 이르고 있는 전시 작전통제권 전환 정책은 그 간 전환결정과 번복을 수차례 거듭해왔다. 이러한 전작권 전환은 우리 안보와 직결되는 국가정책으로 정부의 전작권 전환 결정요인을 바로 이해하는 것은 무엇보다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노무현 정부당시의 2006년, 이명박 정부당시인 2010년 2차례에 걸친 전작권 전환 정책 조정사례를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두 정부의 정책변동 비교를 통해 향후 도래할 전작권 전환 정책변동의 시기에 정책적인 예측력 뿐 아니라 성공적인 정책집행의 실마리를 얻길 기대한다.

원자력발전소 운전원의 오류모드 예측 (Prediction of Plant Operator Error Mode)

  • Lee, H.C.;E. Hollnagel;M. Kaarstad
    • 대한인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인간공학회 1997년도 춘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56-60
    • /
    • 1997
  • The study of human erroneous actions has traditionally taken place along two different lines of approach. One has been concerned with finding and explaining the causes of erroneous actions, such as studies in the psychology of "error". The other has been concerned with the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prediction of possible erroneous actions, exemplified by the field of human reliability analysis (HRA). Another distinction is also that the former approach has been dominated by an academic point of view, hence emphasising theories, models, and experiments, while the latter has been of a more pragmatic nature, hence putting greater emphasis on data and methods. We have been developing a method to make predictions about error modes. The input to the method is a detailed task description of a set of scenarios for an experiment. This description is then analysed to characterise thd nature of the individual task steps, as well as the conditions under which they must be carried out. The task steps are expressed in terms of a predefined set of cognitive activity types. Following that each task step is examined in terms of a systematic classification of possible error modes and the likely error modes are identified. This effectively constitutes a qualitative analysis of the possibilities for erroneous action in a given task. In order to evaluate the accuracy of the predictions, the data from a large scale experiment were analysed. The experiment used the full-scale nuclear power plant simulator in the Halden Man-Machine Systems Laboratory (HAMMLAB) and used six crews of systematic performance observations by experts using a pre-defined task description, as well as audio and video recordings. The purpose of the analysis was to determine how well the predictions matiched the actually observed performance failures. The results indicated a very acceptable rate of accuracy. The emphasis in this experiment has been to develop a practical method for qualitative performance prediction, i.e., a method that did not require too many resources or specialised human factors knowledge. If such methods are to become practical tools, it is important that they are valid, reliable, and robust.

  • PDF

팀 학습행동, 개인 창의성, 팀 공유정신모형, 상호 수행 모니터링이 대학 수업에서 팀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Team Learning Behavior, Individual Creativity, Team Shared Mental Model, Mutual Performance Monitoring on Team Creativity in the College Classroom)

  • 전명남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 /
    • 제5권6호
    • /
    • pp.317-325
    • /
    • 2015
  • 이 연구는 팀 학습행동, 개인 창의성, 팀 공유정신모형, 상호 수행 모니터링이 대학 수업에서 팀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을 회귀분석을 통해 검증해냄으로써 이와 관련된 이론적·실천적 기초자료를 제공해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팀 창의성에 대한 연구 참가자들의 예측 변인과 결과 변인의 관계를 검토하였다. 2014년 1학기에 총 257명의 대학생들이 참여하였으며, 팀 학습은 6주간 이루어졌다. 자료분석방법은 상관분석과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로는 첫째, 팀 학습행동, 개인 창의성, 팀 공유정신모형, 상호 수행 모니터링은 팀 창의성을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예측해내지 못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창의성이 우수한 개인이 팀에 참가한다거나 일반적인 팀 활동에서 나타나는 팀 학습행동이나 팀 공유정신모형, 상호 수행 모니터링이 팀 창의성을 설명할 수 없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따라서 팀 창의성을 제대로 발휘되기 위한 집단 내 과정에 대한 후속 연구가 요청된다.

청년기 손자녀-친/외조부모간 유대와 접촉, 가치유사성 및 부모-조부모 관계 질과의 관계 (The Affective Solidarity Between Grandparents and Their Grandchildren in Emerging Adulthood, Focused on Lineage and Grandchildren's Sex)

  • 임미혜;이승연
    • 한국노년학
    • /
    • 제34권2호
    • /
    • pp.277-297
    • /
    • 2014
  • 본 연구는 청년기 손자녀의 인식을 기초로 조손간의 유대관계를 이해하는 것에 목적을 두었으며 손자녀 성(손자, 손녀)과 조부모 혈족(친조부모, 외조부모)에 따라 구분하여 조손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조부모님이 적어도 한 분 이상 생존해 계시는 만 19~25세의 청년세대 501명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설문지를 통해 평가하였다. 손자녀와 조부모간의 직접적 관계에 기초한 주요 특성변인들이 손자녀 성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t검증을 실시하고, 조손유대에 대한 부모특성변인들과 개인특성변인들의 설명력을 확인하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손자녀 성에 따라 친조부모와의 가치유사성, 친조부모와의 유대, 외조부모와의 접촉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지각된 아버지-조부모 관계 질, 어머니-조부모 관계 질, 접촉, 가치유사성은 모든 조손관계에서 조손유대를 유의미하게 예측하였으나, 각 특성변인의 상대적인 설명력은 각 조손관계에 따라 다양한 양상으로 나타나 조손유대를 설명하는 메커니즘이 손자, 손녀와 부계, 모계에 따라 다름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결과에 기초한 한국문화적 맥락에 따른 함의와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에 제시하였다.

임상간호사의 직무 스트레스, 긍정심리자본이 직무배태성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f Job Stress a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n Job Embeddedness in Clinical Nurses)

  • 주미희;신용순
    • 임상간호연구
    • /
    • 제29권3호
    • /
    • pp.271-282
    • /
    • 2023
  • Purpose: This study is a descriptive research study attempted to identify the job stress a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f clinical nurses and to identify the factors that impact job embeddedness.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115 nurses with over one year of clinical experience working at a 500-bed B General Hospital.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the SPSS 27.0 program using frequency and percentag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Scheffé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Results: As a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hope among the sub-factors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β=0.48, p<.001), matters related to the work schedule (β=-0.23, p=.005) among the sub-factors of job stress, and conflict with doctor (β=0.20, p=.013) was found to have an impact on job embeddedness, and the explanatory power of this regression model was 52.0% (F=13.12, p<.001). Conclusion: It was found that the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f clinical nurses has a positive impact on job embeddedness. In order to increase the job embeddedness of clinical nurses, it is necessary to develop, educate, and utilize specific intervention programs that can strengthe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Efforts should be needed to prepare specific strategies for nurses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hope and actively utilize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create an organization-level working environment and continuous management to reduce the job stress of clinical nurses.